박사

19세기 金剛山圖 硏究

이영수 2016년
논문상세정보
' 19세기 金剛山圖 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9세기
  • 금강산도
  • 김홍도
  • 모사
  • 민화
  • 박물학
  • 복제성
  • 정선
  • 해산첩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49 0

0.0%

' 19세기 金剛山圖 硏究' 의 참고문헌

  • 李象秀, 『峿堂集』 卷13
  • 李裕元, 『林下筆記』
  • 李萬敷, 『息山先生別集』 卷3
  • 李義聲, 『靑流漫錄』
  • 李朝漢文短篇集
    李佑成 林熒澤 일조각 [1978]
  • 李昌鉉, 『姓源錄』
  • 柳儼, 『省菴雜稿』
  • 劉在建, 『里鄕見聞錄』
  • 金剛山圖 연구
    朴銀順 一志社 [1997]
  • 호암미술관 소장 謙齋 鄭敾의 <蓬萊全圖>
    權倫慶 『호암미술관연구논문집』 1호, 삼성문화재단 , pp. 244-250. [1996]
  • 한양대학교 한국학연구소 편, 『19세기 조선 지식인의 文化地形圖』
    한양대학교출판부 [2006]
  • 한국학문헌연구소 편, 『乾鳳寺本末事蹟 楡岾寺本末寺誌』
    서울아세아문화사 [1977]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사전 http://encykorea
    aks.ac.kr/
  • 한국고전번역DB http://www
    itkc.or.kr/
  • 지음, 민족문학사연구소 한문분과 옮김, 『18세기 조선인물지:幷世才彦錄』
    이규상 창작과 비평사 [1997]
  • 조선후기 사회변동 연구
    鄭奭鍾 일조각, 1993(초판1983). [1993]
  • 조선일보 월간조선부단행본팀 엮음, 『금강산은 부른다』
    조선일보사 [1998]
  • 조선시대 관동팔경도의 연구
    이보라 『미술사학연구』266호, 한국미술사학회 , pp. 157-188. [2010]
  • 조선시대 臥遊 文化 硏究
    李鍾默 『진단학보』 98호, 진단학회 , pp. 81-106. [2004]
  • 조선말기 어해도 병풍 연구
    계인선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저, 실시학사고전문학연구회 옮김, 『조희룡전집4 又海岳庵稿外』
    조희룡 한길아트 [1998]
  • 저, 실시학사고전문학연구회 옮김, 『조희룡전집1 石友忘年錄』
    조희룡 한길아트 [1998]
  • 이곡 外 지음, 정우영 엮음, 『선인들과 함께하는 금강산 기행』
    인화 [1998]
  • 옮김, 『豹菴遺稿』
  • 역주, 『국역 關東誌(下)』
    손승철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 역주, 『輿地圖書15-17』 강원도Ⅰ-Ⅲ
    김우철 디자인흐름 [2009]
  • 역, 『金剛山記』
    이창섭 목란문화사 [1990]
  • 역, 『기행문선집』1
    김찬순 조선문학예술총동맹출판사 [1964]
  • 역, 『東游帖』
    이충구 이풍익 성균관대학교출판부 [1994]
  • 성리논변:개념과 논변으로 본 조선성리학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
    snu.ac.kr/
  • 북한지역정보넷 http://www
    cybernk.net/
  • 민족문화추진회 옮김, 『신편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10
    한국학술정보(주) [2007]
  • 김홍도의 금강산 관동팔경 스케치
    李龜烈 孟仁在선생 고희기념 논총간행위원회편, 『孟仁在선생 고희기념 韓國의 미술문화사논총』, 학연문화사 , pp. 303-306. [2002]
  • 김하종의 《해산도첩》
    박은순 『미술사논단』 제4호, 한국미술연구소 , pp. 309-331. [1997]
  • 금강산기행가사집
    강혜선 김남기 이경수 강원대학교출판부 [1999]
  • 금강산 전설의 文獻傳承 硏究-종교적 표상성을 중심으로-
    龍野沙代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국외소재문화재재단, 『왜관수도원으로 돌아온 겸재정선화첩』
    사회평론아카데미 [2013]
  • 국립민속박물관 편, 『조선대세시기 Ⅲ-경도잡지, 열양세시기, 동국세시기』
    국립민속 박물관 [2007]
  • 국립문화재연구소 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http://portal
    nricp.go.kr/kr/data/
  • 강원도사편찬위원회
    『강원도사』 제6권 조선후기 [2012]
  • 韓國의 歷史上
    李佑成 창작과 비평사, 1992(초판1982). [1992]
  • 韓國繪畫史論
    李東洲 열화당 [1990]
  • 金尙星 외 지음, 서울대 규장각 옮김, 『시화첩 관동십경』
    효형출판 [1999]
  • 金善臣의 生涯와 그의 著作에 관한 一考
    辛로사 『東方漢文學』 36, 동방한문학회 , pp. 129-155. [2008]
  • 金光國, 『石農畵苑』
  • 趙熙龍, 『壺山外史』
  • 趙熙龍 劉在建 著, 南晩星 譯, 『壺山外史/里鄕見聞錄』
    삼성미술문화재단 [1980]
  • 謙齋鄭敾評傳
    崔完秀 『澗松文華』 76, 한국민족미술연구소 , pp. 105-179. [2009]
  • 謙齋 鄭敾 眞景山水畵
    崔完秀 범우사 [1993]
  • 箕山 金俊根 풍속화에 관한 연구
    申善暎 『미술사학』20,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pp. 105-141. [2006]
  • 洪敬謨, 『冠巖全書』
  • 東游帖
    이성민 이충구 이풍익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5]
  • 朝鮮王朝末期(약 1850~1910)의 繪畫
    안휘준 『한국근대회화백년』, 국립중앙박물관 , pp. 191-209 [1987]
  • 朝鮮後期 文人들의 鄭敾 繪畫에 대한 畵評 硏究
    吳姸周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 朝鮮 後半期 中國名勝圖 연구-山水畵譜 臨摹帖을 중심으로-
    유미나 『강좌미술사』 33호,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pp. 227-265. [2009]
  • 復軒白華詩畵合璧帖考-주로 檀園의 在世年代에 관해서
    崔淳雨 『미술사학연구』통권 76호, 한국미술사학회 , pp. 244-246. [1966]
  • 復軒 金應煥의 山水畵 硏究
    韓炅旼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85]
  • 姜世晃, 『豹菴遺稿』
  • 吳世昌, 『槿域書畵徵』
  • 吳世昌 편저, 東洋古典學會 譯 『국역 槿域書畵徵』하
    시공사 [1998]
  • 之又齋 鄭遂榮의 山水畵 연구
    朴晶愛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 三才圖會와 조선후기 회화
    崔玎妊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3]
  • 『李朝の民畵』 上 下, 東京: 講談社, 1982.
  • 『혜환 이용휴 산문전집』下
    박동욱 이용휴 조남권 소명출판 [2007]
  • 『한국시가의 역사인식』
    조동일 문예출판사 [1993]
  • 『표롱을첨 縹礱乙㡨』上
  •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유봉학 신구문화사 [1999]
  •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연구』
    고연희 일지사 [2001]
  •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서기재 소명출판 [2011]
  • 『조선시대 책과 지식의 역사』
    강명관 천년의 상상 [2014]
  • 『조선미술사기행』
    이태호 1, 다른세상 [1999]
  • 『유홍준의 한국미술사강의 3-조선 그림과 글씨』
    유홍준 눌와 [2013]
  • 『우리땅, 우리의 진경』
    국립춘천박물관 [2002]
  • 『우리 옛그림의 아름다움』
    시공사 시공아트 [2004]
  • 『양양 낙산사』
    국립춘천박물관 [2014]
  • 『아름다운 金剛山』
    국립중앙박물관 [1999]
  • 『신편국역 신증동국여지승람』
    11, 한국학술정보(주) [2007]
  • 『신편국역 귤산 임하필기』
    9, 한국학술정보(주) [2008]
  • 『삼척 죽서루』
    국립춘천박물관 [2015]
  • 『단원 김홍도-조선적인, 너무나 조선적인 화가』
    오주석 열화당 [1998]
  • 『나의 북한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하) 금강예찬, 중앙엠엔비출판(주) [2001]
  • 『김광국의 석농화원』영인본
    김채식 유홍준 눌와 [2015]
  • 『금강산 유람기』
    김동주 전통문화연구회 [1999]
  • 『그리운 金剛山』
    국립현대미술관 [2004]
  • 『규장각 그림을 펼치다』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5]
  • 『고미술 특별 기획전』
    다보성고미술전시관 [1994]
  • 『高靈申氏世譜』
  • 『韓國歷代書畵家事典』
  • 『韓國繪畵史』
    안휘준 일지사, (초판 1980년) [1991]
  • 『關東誌』
  • 『輿地圖書』
  • 『謙齋를 따라가는 금강산 여행』
    대원사 [1999]
  • 『謙齋 鄭敾』
    겸재정선기념관 [2009]
  • 『續修四庫全書 725』史部 地理類, 影印本, 上海: 上海古籍出版社, 199-.
  • 『眞景山水畵』
    국립광주박물관 [1991]
  • 『澗松文華』
    66, 76, 88, 한국민족미술연구소, , 2009, 2014 [2004]
  • 『江原別曲』
    강원도 국립민속박물관 [2014]
  • 『檀園 金弘道-탄신 250주년 기념 특별전』
    국립중앙박물관 [1995]
  • 『檀園 金弘道 연구』
    진준현 일지사 [1999]
  • 『東闕圖읽기』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2005]
  • 『東垣先生蒐集文化財』
    국립중앙박물관 [1984]
  • 『朝鮮時代御眞關係都監儀軌硏究』
    강신항 유송옥 이성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7]
  • 『朝鮮時代 記錄畵의 世界』
    고려대학교박물관 [2001]
  • 『朝鮮時代 宮中行事圖』
    Ⅲ, 국립중앙박물관 [2012]
  • 『朝鮮時代 地圖와 繪畵』
    국립중앙박물관 [2013]
  • 『日省錄』
  • 『新增東國輿地勝覽』第45卷
  • 『承政院日記』
  • 『夢遊金剛』
    일민미술관 [1999]
  • 『名品圖錄』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06]
  • 『內閣日曆』
  • 『光州鄭氏族譜』
    上, 광주정씨족보편찬회 [2001]
  • 『中國古代版畵叢刊二編』 第八輯, 上海古籍出版社, 1994.
  • 「龍珠寺本 父母恩重經 版畵와 朝鮮後期 繪畫」
    『佛敎美術史學』 4, 통도사성보박물관 불교미술사학회, , pp. 163-195 [2006]
  • 「金剛山 萬物相의 歌辭文學的 形象化」
    김기영 『한국시가연구』제6집, 한국시가학회, , pp. 263-293 [2000]
  • 「천기론적 진경에서 사실적 진경으로」
    『한국미술과 사실성』눈빛, , pp. 47-80 [2000]
  • 「진재 김윤겸의 진경산수화」
    이태호 『고고미술』152, 한국미술사학회, , pp. 1-23 [1980]
  • 「조선후기 회화의 애호풍조와 鑑評活動」
    홍선표 『朝鮮時代繪畵史論』, 문예출판사, , pp. 231-254 [1999]
  • 「조선후기 진경산수화의 여운-李豊瀷의 『東遊帖』에 실린 금강산그림들」
    이태호 이풍익 지음, 이충구 이성민 옮김, 『東游帖』,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pp. 310-329 [2005]
  • 「조선후기 지방 파견 화원들과 그 제도, 그리고 이들의 지방 형상화」
    이훈상 『동방학지』 144,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pp. 305-366 [2008]
  • 박사
    「조선후기 연폭 병풍 연구-산수병풍을 중심으로-」
    김아영 이화여자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2]
  • 「조선후기 문인들의 서화수집활동 연구」
    박효은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9]
  • 「조선후기 中國山水版畵의 성행과 《五嶽圖》」
    정은주 『古文化』 71,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pp. 49-80 [2008]
  • 「조선시대 『해내기관(海內奇觀)』의 수용과 화단에의 영향」
    이순미 『강좌미술사』31권, 한국불교미술사학회, , pp. 205-229 [2008]
  • 「정선과 수응화(酬應畵)」
    장진성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 1, 사회평론, , pp. 264-288 [2006]
  • 「장한종의 어해도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어해병풍>을 중심으로」
    김태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일본에 있는 김홍도의 금강산화첩 모본」
    진준현 『문헌과 해석』 통권48호, 가을, 문헌과 해석사, pp. 201-208 [2009]
  • 「유득공의 생애와 교유, 年譜」
    김영진 『대동한문학』 제27집, 대동한문학회. pp. 5-44 [2007]
  • 「여항화가 石塘 李維新에 대하여」
    황정연 『문헌과 해석』 24호, 가을, pp. 72-82 [2003]
  • 「사진매체의 수용을 통해 본 19세기말 한국 사회의 시각문화에 대한 연구」
    주형일 『한국언론학보』 47권 6호, 한국언론학회, , pp. 354-425 [2003]
  • 「보고 그리기와 기억으로 그리기」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생각의 나무, , pp. 38-103 [2010]
  • 「병풍 속의 서예」
    박철상 『병풍 속 글씨와 그림의 멋』, 수원박물관 [2011]
  • 「민화 금강산도에 관한 고찰」
    이영수 『미술사연구』 제14호, 미술사연구회, , pp. 99-135 [2000]
  • 「민중의 꿈, 민화 금강산도의 양식계보」
    진준현 『미술사학연구』 279 280, 한국미술사학회, , pp. 295-320 [2013]
  • 「문화현상으로 본 19세기」
    『역사비평』 35, 역사비평사, , pp. 58-72 [1996]
  • 「동궐도 그리기」
    안휘준 『동궐도읽기』,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 pp. 11-23 [2005]
  • 「단원 김홍도의 예술활동과 업적, 그리고 화성」
    박정애 이태호 『수원학연구』 제4호, 수원학연구소, , pp. 117-147 [2007]
  • 「단원 김홍도」
    『우리나라의 옛그림』, 학고재, pp. 166-211 [1995]
  • 「김단원이라는 화원」
    『우리나라의 옛그림』, 학고재, pp. 94-163 [1995]
  • 「금강산과 금강산 그림」
    이태호 『옛 화가들은 우리 땅을 어떻게 그렸나』, 생각의 나무, , pp. 104-153 [2010]
  • 「국문학에 나타난 金剛山의 의미」
    조동일 『茶谷 李樹鳳先生 回甲紀念論叢 古小說 연구 논총』, 다곡 이수봉선생 회갑기념논총간행위원회, , pp. 209-225 [1988]
  • 「경향학계의 분기와 경화사족」
    유봉학 『조선후기 학계와 지식인』, 신구문화사, , pp. 95-137 [1998]
  • 「겸재 정선(1676-1759)의 소상팔경도」
    안휘준 『미술사논단』 제20호, 한국미술연구소, pp. 7-48 [2005]
  • 「겸재 일파의 진경산수」
    『우리나라의 옛그림』, 학고재, pp.214-259 [1995]
  • 「高麗佛畵에 있어서 圖像의 傳承」
    정우택 『미술사학연구』 제192호, 한국미술사학회, , pp. 5-25 [1991]
  • 「靑流觀 李義聲의 생애와 詩文集」
    김영진 『한문학보』19집, 우리한문학회, , pp. 853-873 [2008]
  • 「鄭敾의 《辛卯年楓嶽圖帖》: 1711년 금강산 여행과 진경산수화의 형성」
    이경화 『미술사와 시각문화』11,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 pp. 192-225 [2012]
  • 「箕山 金俊根 繪畫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2]
  • 「眞景時代 後期 畵員畵의 視覺的 寫實性」
    강관식 『간송문화』 49, 한국민족미술연구소, , pp. 49-108 [1995]
  • 「琳田 趙廷奎의 繪畫 硏究」
    유치석 한국학중앙연구원 석사학위논문 [2011]
  • 「玉所 權燮의 소장 화첩과 權信應의 회화」
    윤진영 『규장각』 제20집,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 pp. 215-251 [2008]
  • 「玉所 權燮의 紀行詩文 연구」
    강혜선 『한국한시연구』18, 한국한시학회, , pp. 259-287 [2010]
  • 「玉所 權燮(1671-1759)의 그림 취미와 繪畫觀」
    윤진영 『정신문화연구』106호, 한국학중앙연구원, , pp. 141-171 [2007]
  • 「淸代 康熙-乾隆 年間 地方志 揷圖의 實景山水版畵에 대한 小考」
    박도래 『한국고지도연구』제1권 제2호, 한국고지도연구회, , pp. 79-93 [2009]
  • 「橘山 李裕元(1814~1888)의 書畵古董趣味와 繪畵觀: 『林下筆記』를 중심으로」
    이윤경 德成女子大學校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 「東游帖考」
    조선미 이풍익 著, 이충구 역, 『東游帖』, 성균관대학교출판부, , pp. 272-283 [1994]
  • 「朝鮮時代의 樓亭文化와 實景山水畵」
    『미술사학연구』 250 251, 한국미술사학회, , pp. 149-186 [2006]
  • 「朝鮮時代遊覽文化硏究」
    이상균 강원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朝鮮時代 關西關北 實景山水畵 硏究」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1]
  • 「朝鮮後期의 眞景山水畵 硏究-鄭敾 眞景山水畵風의 계승과 변모를 中心으로」
    이태호 『한국미술사논문집』 1,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pp. 39-76 [1984]
  • 「朝鮮後期開城金氏畵員硏究」
    박수희 『미술사학연구』 256, 한국미술사학연구회, , pp. 5-41 [2007]
  • 「朝鮮後期 關西名勝圖 연구」
    『美術史學硏究』258, 한국미술사학회, , pp. 105-139 [2008]
  • 「朝鮮後期 眞景山水畵의 發達과 退潮」
    이태호 『眞景山水畵』, 국립광주박물관 [1991]
  • 「朝鮮後期 寫意的 眞景山水畵의 形成과 展開」
    『미술사연구』16, 미술사연구회, , pp. 333-364 [2002]
  • 「朝鮮後期 商業發達과 地域構造의 變化」
    양보경 『地理學論叢』 제14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 12. pp. 141-164 [1987]
  • 「朝鮮後期 南宗畵風의 흐름」
    강관식 『간송문화』 39, 한국민족미술연구소 [1990]
  • 「明末淸初의 山水畵譜 硏究」
    유순영 『온지논총』 제14집, 온지학회, , pp. 367-421 [2006]
  • 「息山 李萬敷(1664-1732)와 陋巷圖 書畵帖 硏究」
    이선옥 『美術史學硏究』 227, 한국미술사학회, , pp. 5-38 [2000]
  • 「寫意와 眞境의 경계를 넘어서: 謙齋 鄭敾 新考」
    『겸재정선』, 겸재정선기념관, , pp. 204-235 [2009]
  • 「南公轍(1760-1840)의 書畵觀」
    문덕희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4]
  • 「儀軌를 통해서 본 朝鮮時代의 畵員」
    박정혜 『미술사연구』 9, 미술사연구회, , pp. 203-290 [1995]
  • 「之又齋 鄭遂榮의 繪畫-그의 在世年代와 作品槪觀」
    이태호 『美術資料』34호, 국립중앙박물관, , pp. 27-45 [1984]
  • 「之又齋 鄭遂榮의 山水畵 연구」
    『美術史學硏究』235, 한국미술사학회, , pp. 87-123 [2002]
  • 「一濠 南啓宇(1811-1890) 蝴蝶圖의 연구」
    이소연 『美術史學硏究』242 243, 한국미술사학회, , pp. 291-318 [2004]
  • 「『華城城役儀軌』의 회화사적 고찰」
    박정혜 『진단학보』 93, 진단학회, , pp. 413-471 [2002]
  • 「<水原陵幸圖屛> 硏究」
    박정혜 『美術史學硏究』189, 한국미술사학회, , pp. 27-68 [1991]
  • 「20세기의 金剛山圖-현장에서 그린 사생화(寫生畵)와 기억으로 담은 추상화(追想畵)」
    이태호 『그리운 금강산』, 국립현대미술관, , pp. 33-48 [2004]
  • 「20세기 초 李王家 관련 金剛山圖 硏究」
    이영수 『미술사학연구』 271 272, 한국미술사학회, , pp. 205-236 [2011]
  • 「20세기 생활공간에서의 민화」
    김윤정 『민화와 장식병풍』, 국립민속박물관, , pp. 348-361 [2005]
  • 「19세기초 중반의 사회경제적 성격」
    고석규 『역사비평』 37, 역사비평사, pp. 16-35 [1996]
  • 「19세기 連幅 實景圖 屛風의 유행과 作畵경향-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기록화 인물화』, 동아대학교석당박물관, , pp. 276-295 [2016]
  • 「19세기 후반 금강산 기행가사의 의식세계」
    장정수 『어문논집』 vol. 41, No. 1, 안암어문학회, , pp. 45-70 [2000]
  • 「19세기 회화식 군현지도와 지방문화」
    『한국고지도연구』제1권 제1호, 한국고지도연구회, , pp. 31-61 [2009]
  • 「19세기 초 名勝游衍과 李昉運의 <四郡江山參僊水石> 書畵帖」
    『溫知論叢』제5집, 온지학회, , pp. 289-329 [1999]
  • 「19세기 처사작(處士作)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장정수 『한국시가연구』 34, 한국시가학회, , pp. 151-188 [2013]
  • 「19세기 조선 在地士族의 위상변화와 권익수호 방식-전라도 寶城 士族을 중심으로」
    박진철 『한국민족문화』49,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 pp. 229-269 [2013]
  • 「19세기 시조의 ‘대중화 양상’에 대한 연구」
    고미숙 『時調學論叢』 10, 한국시조학회, , pp. 51-68 [1994]
  • 「19세기 문학예술의 성격, 그 인식상의 문제점」
    『畿甸語文學』 10 11,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 pp. 103-120 [1996]
  • 「19세기 무명씨 금강산가사의 생활 문화적 의미」
    염은열 한국고전문학회편, 『국문학과 문화』, 月印, , pp. 221-250 [2001]
  • 「19세기 농촌사회의 계급구조-부민, 요호의 원납기록을 중심으로」
    이세영 『한신논문집』 제8권, 한신대학교출판부, , pp. 167-208 [1991]
  •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寫景의 문학교육적 의의」
    정한기 『고전문학과 교육』, 14집,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 pp. 63-88 [2007]
  • 「19세기 관료문인의 문헌정리작업과 그 문학적 형상-李裕元의 「海東樂府」와 「蓬萊秘書」를 중심으로」
    함영대 『문헌과 해석』 43호, 문헌과 해석사, 여름, pp. 139-167 [2008]
  • 「19세기 경화세족의 실경산수화 후원 배경과 화단에 미친 영향」
    『미술사연구』 23, 미술사연구회, , pp. 279-314 [2009]
  • 「19세기 경화사족의 學藝 취향과 晩明思潮」
    한영규 『인문과학』 제48집,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pp. 278-300 [2011]
  • 「19세기 韓國漢詩史의 구도; 泊翁 李明五 시 연구(1)-初期詩를 중심으로-」
    이현일 『韓國漢詩硏究』 19, 한국한시학회, pp. 83-118 [2011]
  • 「19세기 平生圖 연구」
    최성희 『미술사학』,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pp. 79-110 [2002]
  • 「19세기 博物學的 趣向과 繪畫의 새로운 경향」
    『한국문화』44,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pp. 49-73 [2008]
  • 「19세기 京華士族 洪敬謨의 생애와 사상」
    강석화 『한국사연구』, 한국사연구회, , pp. 165-195 [2001]
  • 「19세기 京華世族의 독서문화-홍석주 가문을 중심으로」
    진재교 『한문학보』, 우리 한문학회, , pp. pp. 137-168 [2007]
  • 「19世紀 韓國史學의 새 樣相」
    이기백 『韓㳓劤박사정년기념사학논총』, 지식산업사, , pp. 473-487 [1981]
  • 「18세기말~19세기초의 場市發達에 대한 基礎硏究-慶尙道地方을 중심으로」
    한상권 『한국사론』 7,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국사학과, , pp. 179-237 [1981]
  • 「18세기말-19세기초 지식인과 지식계의 동향」
    이경구 『한국사상사학』46, 한국사상사학회, , pp. 283-312 [2014]
  •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名物學의 전개와 성격」
    노대환 『한국학연구』 31,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 pp. 541-572 [2013]
  • 「18세기 지리서・지도의 제작과 국가의 지방지배」
    양보경 『응용지리』 20, 성신여자대학교 한국지리연구소, , pp. 21-42 [1997]
  • 「18세기 文藝 공간에서 眞景畵와 그 추이-문예의 소통과 겸재화의 영향-」
    진재교 『東洋漢文學硏究』35집, 동양한문학회, , pp. 331-362 [2012]
  • 「18-19세기 箕城圖 屛風 연구」
    『古文化』74, 한국대학박물관협회, , pp. 5-41 [2009]
  • 「18, 19세기 기행가사 작자층의 성격변화 연구-<금강별곡>과 <금강산유산록>을 중심으로- 」
    유정선 『한국시가연구』, 한국시가학회, , pp. 235-261 [2000]
  • 「17-18세기 중국 山水版畵의 형성과 그 영향」
    『정신문화연구』 113호, 한국학중앙연구원, , pp. 131-162 [2008]
  • 《한국근대회화백년전》에 즈음하여
    李東洲 『미술자료』40, 국립중앙박물관 , pp. 10-31. [1987]
  • 19세기 碧梧社 同人들의 繪畫世界
    孫禎希 『미술사연구』17, 미술사연구회 , pp. 161-199. [2003]
  • 19世紀 朝鮮 紀行寫景圖 硏究
    金賢貞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05]
  • 18-19세기 예술사의 성격
    林熒澤 『한국학연구』7, 고려대학교한국학연구소 , pp. 5-24. [1995]
  • 18,19세기 京衙前과 예술활동의 양상-閭巷文化에 대한 한 고찰
    姜明官 『민족사의 전개와 그 문화』 上, 창작과 비평사 , pp. 779-822. [1990]
  • 18 19세기 기행가사 연구
    유정선 도서출판 역락 [2007]
  • 17세기 조선의 實景山水畵 연구
    金炫志 『미술사연구』 18, 미술사연구회 , pp. 31-68.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