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20세기 소비에트 발레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 연구 = A Study of Socialist Realism Represented in 20th Century Soviet Ballet

이희나 2016년
논문상세정보
' 20세기 소비에트 발레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 연구 = A Study of Socialist Realism Represented in 20th Century Soviet Balle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무대 공연
  • Class system
  • Drambalet
  • Nnationality
  • Partizanship
  • Socialist realism
  • soviet ballet
  • 계급성
  • 당파성
  • 드람발레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소비에트 발레
  • 인민성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29 0

0.0%

' 20세기 소비에트 발레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작품 연구 = A Study of Socialist Realism Represented in 20th Century Soviet Ballet' 의 참고문헌

  • 발레 <스파르타쿠스> 볼쇼이발레단 년 3월 공연 [2015]
  • 발레 <파리의 불꽃> 볼쇼이발레단 년 5월 공연 [2016]
  • 황성주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5)-비극적인 것 과 희극적인 것」, 『러시아소비에트문학』 vol.5, pp.179-214
    한 국러시아문학회 [1994]
  •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러시아・유라시아연구사업단 엮음, 『유토피아 의 환영』
    한울아카데미 [2010]
  •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 트로츠키와 문화
    천호강 『현대사상』 vol.16, pp.171-195, 대구대학 교 현대사상연구소 [2016]
  • 클레망, E., 외, 이정우 옮김, 『철학사전』
    동녘 [2001]
  • 클래식 음악, 오페라
    발레 전문 사이트 벨칸토 http://www.belcanto.ru/
  • 코올, S., 여균동 옮김, 『리얼리즘의 역사와 이론』
    미래신서 [1986]
  • 정차웅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6)」, 『러시아 소비에트문학』 vol.6, no.1, pp.239-249
    한국러시아문학회 [1995]
  • 이규환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4)-사회주의 리 얼리즘 미학에서의 민족적인 것과 국제적인 것」, 『러시아소비에트 문학』 vol.4, pp.253-281
    한국러시아문학회 [1993]
  • 유리・이경희 옮김, 『민중만들기』
    이남희 후마니타스 [2015]
  •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론』
    연희원 제임스 녹진 [1990]
  • 옮김, 『미학사』
    비어즐리 안원현 이성훈 이론과 실천 [1989]
  • 옮김,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 4』
    백낙청 염무웅 하우저 창작과비평사 [1999]
  • 옮김, 『맑스사전』
    아키히로 오석철 이신철 도서출판 b [2011]
  • 오프스야니코프, 이승숙․진중권 옮김, 『마르크스 레닌주의 미학원론』
    이론과 실천 [1990]
  • 예술과 정치 사회주의 , 「 : 리얼리즘에 대한 한 비판」, 『사회과학연 구』 vol.8, pp.287-313
    이성훈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2]
  • 엮음, 『서양의 지적 운동』
    김영한 임지현 지식산업사 [1994]
  • 심성보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2)-이념적․미학 적 범주로서의 민중성」, 『러시아소비에트문학』 vol.2, pp.143-174
    한국러시아문학회 [1990]
  • 스타이츠, R., 김남섭 옮김, 『러시아의 민중문화』
    한울 [2008]
  • 슐긴․꼬쉬만․제지나, 김정훈 외 옮김, 『러시아 문화사』
    후마니타스 [2002]
  • 슈미트&슈람 공편, 문학예술연구회 미학분과 옮김, 『사회주의 현실주의의 구 상』
    태백 [1989]
  • 소련과학아카데미, 신승엽 외 옮김, 『마르크스 레닌주의 미학의 기초이론』, Ⅰ.Ⅱ
    일월서각 [1988]
  • 사회주의 리얼리즘 , 「 연구-본질과 실상」, 『통일인문학 인문과학논 총』 vol.19, pp.27-55
    정창범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987]
  • 브이호트쩨프 P. S., 송인필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1)-V. I. 레닌 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제문제」, 『러시아소비에트문학』 vol.1, no.1, pp.135-157
    한국러시아문학회 [1990]
  • 볼쇼이극장 www
    bolshoi.ru
  • 베르트, N., 변지현 옮김, 『러시아 혁명-무엇을 할 것인가』
    시공사 [1989]
  • 버거, J., 김채현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열화당 [1988]
  • 발레 영화 <붉은 양귀비>, 체코슬로바키아 TV
    (https://youtu.be/DkTm5OVKyKc) [1955]
  • 발레 영화 <로미오와 줄리엣> DVD, Mosfilm 제작
    VAi 출시 [1954]
  • 발레 <파리의 불꽃> 미하일로프스키발레단
    (https://youtu.be/toO_L1dnOTM) [2013]
  • 발레 <파리의 불꽃> DVD, 볼쇼이발레단
    BelAir 제작 [2010]
  • 발레 <스파르타쿠스>, 볼쇼이발레단
    (https://youtu.be/Tu_9JEbkU9A) [1970]
  • 발레 <로미오와 줄리엣> VHS, 볼쇼이발레단 BBC 제작
    Kultur 출시 [1976]
  • 문학예술연구소, 『현실주의연구1』
    제3문학사 [1990]
  • 모르조프. A., 최성화 옮김,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관하여: ‘국민과 예 술’의 문제」, 『미술이론과 현장』 vol.7, pp.138-155
    한국미술 이론학회 [2009]
  • 마린스키극장 www
    mariinsky.ru
  • 르제프스키, N., 최진석 외 옮김, 『러시아 문화사 강의』
    그린비 [2011]
  • 루카치, G. 외, 홍승용 옮김,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실천문학사 [1994]
  • 루나찰스끼 외, 김 휴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일월서각 [1987]
  • 러시아 혁명이후의 소비에트 , ‘ 발레 연구 : 혁명 이후~년대 발 레의 창작품 중심으로’
    박성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1930]
  • 러시아 학술 백과사전 사이트 아카데믹 http://dic
    academic.ru/
  • 다큐멘터리 영화 <러시아 발레의 거장들>
    허버트 라파포트 감독 [1953]
  • 다께우찌 도시오, 안영길 옮김, 『미학 예술학 사전』
    미진사 [1989]
  • 노동자의 책 www
    laborsbook.org
  • 김혜란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3)-당파성의 문 제」, 『러시아소비에트문학』 vol.3, pp.159-174
    한국러시아문학 회 [1992]
  • 그린펠리드 Т. Я., 이명현 옮김, 「사회주의 리얼리즘 강의(8)-사회주의 리 얼리즘 논의의 현단계」, 『러시아소비에트문학』 vol.9, pp.166-197
    한국러시아문학회 [1998]
  • 『혁명과 모더니즘』
    이장욱 랜덤하우스코리아 [2005]
  • 『미학강의』
    오병남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러시아사』
    김학준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3]
  • 「혁명기 러시아 발레에 나타난 막시즘(Maxism)적 표현과 해석」
    이지원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74, no.1, pp.185-202, 대한무용학회 [2016]
  • 「초기 소비에트 연방의 민중문화로서의 춤 공연예술 현상연구」, 『무용역사기록학』 vol.39, pp.117-140
    양민아 무용역사기록학회 [2015]
  • 「시철논단 : 미학적 범주로서의 전형성과 총체성 - 게오르그 루카치 를 중심으로」
    김현돈 『시대와 철학』 vol.7, no.1, pp.153-174, 한국철 학사상연구회 [1996]
  • 「스탈린의 문화혁명과 그 사회적 의미에 관한 일고찰, -32 년」
    이정희 『슬라브학보』 vol.16, no.2, pp.269-296, 한국슬라브유라시 아학회, 2001 [1928]
  • 「스탈린 체제와 상징: 선전-선동의 아이콘」
    이완종 『아시아문화연구』 vol.19, pp.185-217,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2010]
  • 「소비에트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형성배경과 레닌의 미학」
    이길주 『중소연 구』 vol.39, pp.103-126,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1988]
  • 「소련 문학의 당성 : 사회주의 리얼리즘을 중심으로」
    김학수 『한국근현대 미술사학』 vol.22, pp.81-101,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1]
  • 「소련 문예정책의 전개와 사회주의리얼리즘 논쟁」
    이항재 『중소연구』 vol.15, no.1, pp.37-62,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1991]
  • 「사회주의리얼리즘의 역사적 전개와 그 이론」
    반성완 『중소연구』 vol.14, no.4, pp.9-35,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1990]
  •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재고(再考) -독자 대중과 국가 권력의 역할 을 중심으로」
    오원교 『러시아어문학연구논집』 vol.30, pp.91-122, 한국 러시아문학회 [2009]
  •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이론과 실재」
    권철근 『노어노문학』 vol.3, pp.77-99, 한국노어노문학회 [1990]
  • 「사회주의 리얼리즘에 대한 신화해체 - 러시아 포스트모더니즘 미 술에 대하여 -」
    권정임 『문예미학』 vol.6, no.0, pp.491-1003, 문예미 학회 [1999]
  • 「사회주의 리얼리즘 연구(Ⅰ)」
    홍승용 『외국어교육연구』 vol.6, pp.17-30, 대구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1991]
  • 「사회주의 리얼리즘 연구(2)」
    홍승용 『외국어교육연구』 vol.7, pp.125-139, 대구대학교 외국어교육연구소 [1992]
  • 「비교맥락적 관점에서 살펴본 러시아 리얼리즘 미술」, 『미술사논 단』 vol.33, pp.271-295
    이주은 한국미술연구소 [2011]
  • 「문화와 주체: 레닌과 보그다노프의 비교를 중심으로」
    천호강 『한국노어 노문학회지』 vol.27, pp.209-238, 한국노어노문학회 [2015]
  • 「문화: 년대 문학영역에서 볼셰비키의 정책」
    천호강 『러시아어문학 연구논집』 vol.37, pp.159-186, 한국러시아문학회, 2011 [1920]
  • 「문학의 정치 :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아방가르드」
    변현태 『러시아연구』 vol.23, no.1, pp.77-101, 서울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13]
  • 「몸의 문화의 조사방법과 분석틀」
    최해리 『아시아문화중심도시추진단 프 로젝트: 아시아 문화자료조사・수집을 위한 기초연구』, pp.202-256, 서울대 사회과학연구원 비교문화연구소・전남대 문화 예술교육연구원 호남문화연구소 [2005]
  • 「루카치의 리얼리즘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남상욱 『고황논집』 vol.6, pp.129-141, 경희대학교 대학원 원우회 [1990]
  • 「러시아 혁명 전후기의 문화운동의 위상」
    김형주 『이문논총』 vol.13, no.1, pp.227-237,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1993]
  • 「러시아 정교와 국가권력-시월혁명 전후를 중심으로」
    천호강 『러시아어 문학연구논집』 vol.32, pp.239-263, 한국러시아문학회 [2009]
  • 「러시아 아방가르드와 사회주의 리얼리즘」
    서상범 『외대논총』 vol.18, III, pp.163-180, 부산외국어대학교 [1998]
  • 「러시아 사회주의 혁명기 예술의 특징을 통해서 본 디아길레프의 발 레뤼스」
    임재정 『인문사회21』 vol.6, no.2, pp.219-236, (사)아시아문 화학술원 [2015]
  • 「러시아 발레의 역사, 사회문화적 정체성에 관한 연구」
    이지향 『무용역사 기록학』 vol.26, pp.113-134, 한국무용기록학회 [2012]
  • 「러시아 발레에 관한 연구」
    정소영 『아시아지역연구』 vol.6, pp.105-125, 충남대학교 아시아지역연구소 [2004]
  • 「라쁘호프에 관한 연구」
    조미송 『한국무용교육학회지』 vol.14, no.1, pp.133-159, 한국무용교육학회 [2003]
  • 「냉전사와 소련연구」
    노경덕 『역사비평』 vol. 101, pp.314-336, 역사 비평사 [2012]
  • 「기호학 비평과 마르크스주의 비평의 종합과 그 너머」
    이도흠 『한국문학 이론과 비평』 vol.44, pp.51-8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9]
  • 「「中蘇硏究」誌를 통해 본 한국 의 蘇聯연구동향」
    김경순 『중소연구』 vol.50, pp.301-329,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1991]
  •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당성」
    김형주 『한국노어노문학회지』 vol.6, pp.249-267, 한국노어노문학회 [1994]
  • 「‘리얼리즘’ 미술」
    김재원 『한국근현대미술사학』 vol.22, pp.71-89,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2011]
  • 「19세기 리얼리즘과 춤 연구」, 『우리춤연구』 vol.8, pp.59-83
    이 송 한양대학교 우리춤연구소 [2009]
  • 「1930년대 소련음악-소비에트 작곡가 동맹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채혜연 『노어노문학』 vol.21 no.4, pp.697-716, 한국노어노문학회, 2009 [2009]
  • 「1920년대 소련음악에 나타난 다양성, 대중성, 창조성-현대음악과 프롤레타리아음악」
    채혜연 『노어노문학』 vol.20 no.2, pp.417-440, 한 국노어노문학회, 2008 [2008]
  • 「"해빙기" 예술관의 변화」
    이혜승 『슬라브연구』 vol.18, no.2, pp.227-247, 한국외국어대학교 러시아연구소 [2002]
  • “20세기 전반기 소련의 음악 정치 사회적 격변기의 모더니즘과 사 회주의 리얼리즘 음악.”
    채혜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소비에트 발레에 관한 연구 : 러시아 혁명이후~년대’
    강시원 충남 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1930]
  • ‘소련의 음악정책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성호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음악학전공 예술전문사논문 [2001]
  • 박사
    ‘볼쇼이 발레단과 로얄 발레단의 비교연구’
    전향원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1992]
  • 박사
    ‘미디어를 활용한 컨템포러리 댄스의 초현실주의적 표현에 대한 연 구’
    조규성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 대학원 미디어아트전공 석사학위논 문 [2015]
  • ‘러시아 혁명 전후기의 발레연구’
    박시분 청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1989]
  • ‘러시아 발레에 관한 연구 : 20世紀 前. 中期의 公演活動을 中心으 로’
    서은하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6]
  • ‘러시아 社會主義 리얼리즘이 韓國近代劇에 끼친 影響에 관한 硏 究’
    김연수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The Friendshop of Peoples”: Soviet Ballet, Nationalisies Policy, and The Artistic Media, -1968’, Russian
    Hamm, K.E. East European, and Eurasian Studies in the Graduate College of the University of Illinois at Urbana-Champaign 석사 학위논문, 2009 [1953]
  • ‘Култьтурный процесс в России в пе рвое десятилетие после Октябрьско й революцции- 1928 гг.) [시월 혁명 이후 10 년 동안의 러시아 문화 과정(1917 - 1928년)]’
    천호강 Moscow State University 박사학위논문, 2009 [1917]
  • ‘Балетная фальшь’, “Правда”
    일자 [1936]
  • ‘The Thaw in Soviet Culture and the Return of Symphonic Dance’, International Symposium of Russian Ballet 발표문
    Ezrahi, C. Columbia University Harriman Institute [2007]
  • ‘The Mikhailovsky Ballet in The Flames of Paris’
    Watts G. “Danging Times”, 일자 [2013]
  • ‘The Early Life and Works of George Balanchine-1928)’
    Kattner-Ulrich, E. Freie Universit at Berlin 박사학위논 문, 2008 [1913]
  • ‘Stanford Dance Scholar Examines How Ballet Challenged the Soviet Regime’, “Stanford News”
    Dickason, K. 일자 [2013]
  • ‘Russian Ballet: a Dance to the Music of Time’, "The Telegraph"
    Berenson, W. 일자 [2014]
  • ‘Prokofiev's Romeo and Juliet: History of a Compromise’
    Wilson, D.A. Ohio State University 박사학위논문 [2003]
  • ‘Piety of Blasphemy? or, Taking Stock of the Soviet Ballet’, International Symposium of Russian Ballet 발표문
    Sholl, T. Columbia University Harriman Institute [2007]
  • ‘Moscow vs Petersburg. The Ballet Master Alexis Bogdanov and Others’, International Symposium of Russian Ballet 발표문
    Sholl, T. Columbia University Harriman Institute [2007]
  • ‘Moments of Geopolitical Choreography: Performance of Cultural Ideals in Nazi Germany, the Soviet Union and Beyond’
    Bohman, A. SUNY College at Brockport 석사학위논문 [2015]
  • ‘Modernism, Socialist Realism, and identity in The Early Film Music of Dmitry Shostakovich, -1932’
    Titus, J.M. Ohio State University 박사학위논문, 2006 [1929]
  • ‘Mikhailovsky Ballet – The Flames of Paris – St. Petersburg’, “DanceTabs”
    Capelle, L. 일자 [2013]
  • ‘Dance of Death’, “The Guardian”
    Mackrell, J. 일자 [2006]
  • 박사
  • ‘Asaf Messerer에 관한 연구 : 볼쇼이 발레단에서의 활동을 중심으 로‘
    김순정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7]
  • ‘Artistic autonomy and the Soviet Cultural project: the Kirov and Bolshoi Ballet companies, -1968’
    Ezrahi, C.F. University College London 박사학위논문, 2009 [1953]
  • ‘Alexander Pushkin's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Russian Ballet’, College of Arts and Sciences
    Cashin, K.K. Florida State University 박사학위논문 [2005]
  • ‘Alexander Gorsky에 관한 연구’
    김옥련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91]
  • ‘A Case Study of Soviet Ballet’s Historical Experience in Choreography & Teaching’, Dance School
    왕 빈 China Academy of Art 박사학위논문 [2008]
  • ква: Искусство, [반슬로프, V.V., 『발레에 대한 비평-음악과 미학적 문제』
    모스크바: 이스쿠스트바, 1981] [1981]
  • Фортунова, А.Е., ‘Балеты Д.Д. Шостаковича как явление отечественной культур ы -х - первой половины 1930-х годо 년대 년대 전반기 в [1920 -1930 민족 문화 현상으로서의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발레]’, 예술전문사논문: 니즈니노브고로드, 2007. 김수환, 「아방가르드의 ‘기원적’ 풍경-러시아 미래주의 선언문 읽기」
    『인문예술잡지 F』 2호, 2011 [1920]
  • Суриц, Е.Я., Хореографическое искусство двадцатых годов. Москва: Искусство,
  • Ред. Красовская, В.М., Советский балетный театр -1967, Москва: Искусство, 1976 [크라소브스카야, V.M. 엮음, 『소비에트 발레 1917-1967』
    모스 크바: 이스쿠스트바, 1976] [1917]
  • Ред, журнала "Балет", Балет ХХ век. Страни цы истории хореографического иску сства России XX века по материалам журнала "Балет", Москва: Редакция жу рнала Балет, [잡지 <발레> 편집부 엮음, 『20세기 발레 발레 잡지에 등장한 . < > 20세기 러시아 안무 예술의 역사』
    모 스크바: <발레> 편집부, 2011] [2011]
  • Обожда, О.В., ‘Формирование массовой соц иалистической культуры в Польше и Советский Союз : -1955 гг. [폴란드와 소련에 서의 사회주의 대중문화의 형성: 1945-1955년]’
    역사학 박사학위 논문: 모스크바, 2006 [1945]
  • Некрасова, Е.С., ‘Социалистический реали зм как культурный феномен [문화 현상으로 서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철학 박사학위논문: 상트페테르부르크 [2006]
  • Лопухов, Ф., 60 Лет в Балкте, Москва: Искус тво, [로푸호프, F., 『발레 60년』
    모스크바: 이스쿠스트 바, 1966] [1966]
  • Ильичева, М.А., ‘Эволюция балета в диалог е со временем : “Тщетная предосторо жность” в Петербурге - Петрограде - Ленинграде - Петербурге [시대에 따른 발 레 논의의 진화: 페테르부르그-페트로그라드-레닌그라드-페테르부 르크에서의 <La Fille Mal Gard e>]’
    예술학 박사학위논문: 상트 페테르부르크 [2001]
  • Володченков Р.Г., ‘Формирование художес твенных принципов в советском бал ете -80-х годов [1960-80년의 소비에트 발레에 있어서 예술 원칙의 형성]’
    예술전문사논문: 모스크바, 2015 [1960]
  • Ванслов, В.В., Статьи о балете. Музыкально -эстетические проблемы балета, Мос
  • ____________, Socialist Realist Painting: Yale University Press, 1998.
  • [수리쯔, E.I., 『년대 안무가들』
    모스크바: 이스쿠스트 바, 1979] [1920]
  • Vaughan, J., Soviet Socialist Realism: Origin and Theory: Macmillan, 1973.
  • Vanslov, V., ‘On the History of the Bolshoi Theatre Ballet’, The Problems of the Development of Soviet Ballet, The USSR Centre of the International Theatre Institute Moscow, pp.1-37.
  • Tirman, M.R., ‘Socialist Realism and Soviet Music: The Case of Dmitri Shostakovich’, Department of Music History Jordan College of Fine Arts and The Honors Program of Butler University, 2011.
  • Swift, M.G., The Art of the Dance in The U.S.S.R., Indiana: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1968.
  • Souritz, E., ‘At the Outset of Soviet Ballet’, The Problems of the Development of Soviet Ballet, The USSR Centre of the International Theatre Institute Moscow, pp.38-68.
  • Souritz, E., Soviet Choreographers in the 1920s (L. Visson & S. Banes, Trans.), Duke Univ. Press, 1990.
  • Slonimsky, J., The Soviet ballet,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1947.
  • Roslavleva, N., Era of the Russian Ballet 1770-1965, New York: E.P. Dutton and Company, 1966.
  • Roberts, R.,'Performing Gender in Maoist Ballet: Mutual Subversions of Genre and Ideology in The Red Detachment of Woman', Intersection: Gender and Sexuality in Asia and the Pacific, Issue 16, 2008.
  • McDaniel, C.P., 'Soviet Identity: Socialist Realism and Imperial Traditions'
  • Homans, J., ‘Swan Lake and Stalin: Ever since the Russian Revolution, the Kirov Ballet has been torn between imperial classics and Soviet innovations’, The New Republic, vol.232, no.6, pp.21-24, 2005.
  • Griggs, C., ‘Ballet in the Soviet Union Under Stalin: Socialist Realism, The Red Poppy, and The Bright Stream’, Stellar, vol.5, pp.12-16, Oklahoma City Univ., 2011.
  • Fitzpatrick, S.(Ed.), Cultural Revolution in Russia, 1928-1931, Indiana University Press, 1978.
  • Ezrahi, C., Swans of the Kremlin: Ballet and Power in Soviet Russia, University of Pittsburgh Press, 2012.
  • Brown, M.C., Art Under Stalin: Holmes & Meier Pub, 1991.
  • Blomqvist, L. E., ‘Some Utopian Elements In Stalinist Art’, Russian History, vol.11, Issue 2-3, pp.298-305, 1984.
  • 20세기 무용예술에서의 리얼리즘 경향과 표현
    김말복 나일화 『무용예술 학연구』 vol.50, no.5, pp.1-26, 한국무용예술학회 [2014]
  • 1930년대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과 영화의 역사적 배경에 관한 고찰
    오진곤 『사회과학논총』 vol.21, pp.413-438, 서울여자대학교, 2014 [2014]
  • '현대발레 작품분석을 통한 예술사조 연구'
    이선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9]
  • 'Romeo and Juliet’s Happy Ending', International Symposium of Russian Ballet 발표문
    Morrison, S. Columbia University Harriman Institute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