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지눌의 『화엄론절요』 연구 = A Study on the Hwaeomnon jeoryo of Jinul

정희경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지눌의 『화엄론절요』 연구 = A Study on the Hwaeomnon jeoryo of Jinul'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先悟後修
  • 선교일치
  • 수행원리
  • 신화엄경론
  • 이통현
  • 지눌
  • 화엄론절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6 0

0.0%

' 지눌의 『화엄론절요』 연구 = A Study on the Hwaeomnon jeoryo of Jinul' 의 참고문헌

  • 280) 제목에서 ‘要簡’은 ‘料簡’의 오자로 판단된다
  • 􋺷화엄학개론􋺸
    김잉석 법륜사 [1960]
  • 􋺷체용철학􋺸
    강진석 도서출판 문사철 [2011]
  • 􋺷선의 세계(개정번역판)􋺸
    고형곤 동국대학교출판부 [2005]
  • 􋺷高麗普照國師の硏究: その思想體系と普照禪の特質􋺸
    이종익 동국대학교 [1974]
  • 􋺷菩薩瓔珞本業經􋺸, 竺佛念譯(T24)
  • 􋺷義湘華嚴思想史硏究􋺸
    전해주 민족사, (ⓒ1993) [1994]
  • 􋺷維摩詰所說經􋺸, 三藏鳩摩羅什譯(T14)
  • 􋺷看話決疑論􋺸의 華嚴敎學批判
    인경 􋺷보조사상􋺸15, 보조사상연구원 [2001]
  • 􋺷大正藏􋺸 : T
  • 􋺷大方廣佛華嚴經􋺸, 實叉難陀譯(T10)
  • 􋺷大方廣佛華嚴經􋺸, 佛馱跋陀羅譯(T09)
  • 􋺷卍新續藏􋺸 : X
  • 􋺷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 鳩摩羅什譯(T8)
  • 「􋺷신화엄경론􋺸에 나타난 이통현의 􋺷화엄경􋺸해석의 특징: 중국 고유사상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34
    고승학 불교학연구회 [2013]
  • 「􋺷節要私記􋺸와 􋺷看話決疑論􋺸에서의 간화선 법문과 그 문제점」, 􋺷진단학보􋺸116
    박건주 진단학회 [2012]
  • 「􋺷眞心直說􋺸의 판본 계통과 普照知訥찬술설의 출현 배경」, 􋺷한국사상사학􋺸 38
    손성필 한국사상사학회 [2011]
  • 「􋺷眞心直說􋺸의 著者에 대한 새로운 이해」, 􋺷진단학보􋺸94
    최연식 진단학회 [2002]
  • 「􋺷眞心直說􋺸의 著者에 대한 再考察」,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남권희 최연식 한국도서관 정보학회 [2000]
  • 「李通玄의 華嚴思想硏究」
    임상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8]
  • 「화엄 교학에서의 연기(緣起) 개념」, 􋺷불교학연구􋺸37
    고승학 불교학연구회 [2013]
  • 「해제: 지눌 연구의 어제와 오늘」, 􋺷한국의 사상가 10人: 지눌􋺸, 예문동양사상연구원 이덕진 편저
    이덕진 예문서원 [2002]
  • 「한국선, 무엇이 문제인가: 다시 보는 禪佛敎의 諸問題」, 􋺷불교평론􋺸2
    심재룡 불교평론사 [2000]
  • 「한국불교전통에 대한 반성과 전망: 한국불교의 오늘과 내일: 한국불교학의 연구현황을 중심으로」, 􋺷철학사상􋺸11
    심재룡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0]
  • 「한국불교의 보편성과 특수성 : 물리적 '비빔'과 화학적 '달임'」, 􋺷대학원연구논집􋺸6
    고영섭 중앙승가대학교 [2013]
  • 「한국불교에서의 성기(性起)와 연기(緣起): 의상 화엄사상의 성기적 이해에 대한 재검토」, 􋺷불교학보􋺸74
    최연식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6]
  • 「지눌의 􋺷화엄론절요􋺸에 대한 연구 현황 및 과제」, 􋺷남도문화연구􋺸29
    정희경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2015]
  • 「지눌의 이통현 화엄사상 수용과 변용」, 􋺷보조사상􋺸33
    김천학 보조사상연구원 [2010]
  • 「지눌의 심성론」, 􋺷역사학보􋺸93
    길희성 역사학회 [1982]
  • 「지눌의 돈오와 점수에 대한 화엄성기론적 해석」, 􋺷보조사상􋺸30
    석길암 보조사상연구원 [2008]
  • 「지눌의 眞心사상 : 頓漸(定) 축과 理事(慧) 축의 긴장과 탄력」, 􋺷보조사상􋺸 15
    고영섭 보조사상연구원 [2001]
  • 「중국철학에서의 ‘체용’ 개념의 변천 과정-체용의 불교적 이해와 유학적 이해」, 􋺷시대와 철학􋺸제17권4호
    김제란 한국철학사상연구회 [2006]
  • 「이통현: 속성 없는 마음, 의지하지 않는 마음」, 􋺷마음과 철학: 불교편􋺸, 서울학교 철학사상연구소 엮음
    고승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우송 김태길 교수 정년퇴임 특집호: 한국 선불교의 철학적 연구: 지눌의 중국선이해를 중심으로」, 􋺷철학논구􋺸13
    심재룡 서울대학교 철학과 [1985]
  • 「선과 화엄사상 회통의 현대적 의미: 지눌의 선교회통론을 중심으로」, 􋺷대동철학􋺸45
    이찬훈 대동철학회 [2008]
  • 「불교의 주석 전통과 과문(科文)의 발달」, 􋺷불교학연구􋺸41
    서정형 조은수 불교학연구회 [2014]
  • 「불교의 마음 이해: 緣起적 관점과 性起적 관점을 중심으로」, 􋺷철학연구􋺸 123
    장진영 대한철학회 [2012]
  • 「보조지눌의 􋺷절요􋺸 연구: 믿음[信]과 바람[願]을 중심으로」, 􋺷철학􋺸70
    박재현 한국철학회 [2002]
  • 「보조지눌의 선교통합의 여러 유형」, 􋺷보조사상􋺸14
    이병욱 보조사상연구원 [2000]
  • 「보조지눌의 선교일치에 대한 재고찰」, 􋺷보조사상􋺸39
    정희경 보조사상연구원 [2013]
  • 「보조(普照)이후 통현화엄의 한국적 전개」, 􋺷선문화􋺸41
    김호성 월간 선문화사 [2003]
  • 「보조 지눌이 제시한 ‘마음’의 문제」, 􋺷한국철학논집􋺸27
    김방룡 한국철학사연구회 [2009]
  • 「돈점 논쟁의 쟁점과 과제-해오(解悟)문제를 중심으로」, 􋺷불교학연구􋺸32
    박태원 불교학연구회 [2012]
  • 「돈오(頓悟)의 두 유형과 반조(返照) 그리고 돈점 논쟁」, 􋺷철학연구􋺸 46
    박태원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12]
  • 「고려중기 선종의 부흥과 간화선의 전개」
    허흥식 􋺷규장각􋺸6 [1982]
  • 「고려 후기의 신앙결사」, 􋺷한국불교사 연구 입문􋺸상
    채상식 ㈜지식산업사 [2013]
  • 「간화선과 화엄, 회통인가 단절인가: 보조 지눌과 퇴옹 성철의 관점을 중심으로」, 􋺷불교학연구􋺸11
    김방룡 불교학연구회 [2006]
  • 「高麗時代華嚴宗團의 展開過程과 그 歷史的性格」, 􋺷한국사론􋺸20
    최병헌 국사편찬 위원회 [1990]
  • 「高麗時代華嚴學의 變遷: 均如派와 義天派의 對立을 중심으로」, 􋺷한국사연구􋺸30
    최병헌 한국사연구회 [1980]
  • 「高麗後期佛敎와 普照思想」, 􋺷보조사상􋺸3
    권기종 보조사상연구원 [1989]
  • 「高麗佛敎思想의 展開와 性格」, 􋺷한국종교사연구􋺸4
    노권용 한국종교사학회 [1996]
  • 「通玄華嚴의 한국 수용과 발전」, 􋺷선문화􋺸40
    김호성 월간 선문화사 [2003]
  • 「華嚴論節要中要簡280)節要의 體系에 대한 硏究」, 􋺷한국불교학􋺸21
    최성렬 한국불교학회 [1996]
  • 「華嚴經의 修行道體系硏究」, 􋺷불교학보􋺸34
    권탄준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7]
  • 「華嚴新論硏究」, 􋺷學術院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16
    고형곤 大韓民國學術院 [1977]
  • 「義湘性起思想이 普照禪에 끼친 영향」, 􋺷한국불교학􋺸14
    전해주 한국불교학회 [1989]
  • 「知訥의 華嚴思想」, 􋺷한국불교사상사􋺸, 숭산 박길진박사 화갑기념사업회 편
    이종익 裡里: 원불교사상연구원, (ⓒ1975) [1984]
  • 「知訥의 禪思想硏究: 三門體系를 中心으로」
    박영제 서울대학교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知訥의 性起說에 대한 一考察-中國華嚴敎學과 關聯하여」, 􋺷보조사상􋺸13
    이덕진 보조사상연구원 [2000]
  • 「知訥에서의 禪과 華嚴의 相依」, 􋺷보조사상􋺸1
    김지견 불일출판사 [1987]
  • 「知訥禪思想의 思想史的검토」, 􋺷동방학지􋺸144
    최연식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8]
  • 「知訥思想의 再照明」, 􋺷보조사상􋺸31
    권기종 보조사상연구원 [2009]
  • 「牧牛子知訥의 圓頓觀硏究」
    최성렬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7]
  • 「海東華嚴의 실천적 전개」, 􋺷불교연구􋺸30
    권탄준 한국불교연구원 [2009]
  • 「海東曹溪宗의 淵源및 그 潮流: 知納과 慧諶의 思想을 中心으로 」, 􋺷學術院論文集: 人文社會科學篇􋺸9
    고형곤 大韓民國學術院 [1970]
  • 「普照의 􋺷華嚴新論􋺸 理解」, 􋺷범한철학􋺸15
    최성렬 범한철학회 [1997]
  • 「普照의 禪 敎一元思想硏究」
    김명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학과 석사학위논문 [1988]
  • 「普照禪에 대한 眞覺慧諶의 看話禪僞造」, 􋺷진단학보􋺸113
    박건주 진단학회 [2011]
  • 「普照禪과 華嚴」, 􋺷한국화엄사상연구􋺸, 동국대학교불교문화연구소 編
    이종익 동국대학교출판부 [1986]
  • 「普照知訥의 􋺷華嚴論節要􋺸硏究」, 􋺷범한철학􋺸12
    최성렬 범한철학회 [1996]
  • 「普照知訥의 􋺷圓頓成佛論􋺸 分析」, 􋺷범한철학􋺸24
    최성렬 범한철학회 [2001]
  • 「普照知訥의 禪思想硏究: 中國佛敎와 關聯하여」
    이덕진 고려대학교 철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 「普照撰述의 書誌學的解題」, 􋺷보조사상􋺸3
    이종익 보조사상연구원 [1989]
  • 「普照撰述의 思想槪要와 書誌學的考察」, 􋺷보조사상􋺸1, 불일출판사(현
    이종익 보조사상연구원) [1987]
  • 「普照國師의 華嚴觀素描」, 􋺷선의 세계􋺸, 법흥 엮음
    김지견 호영 [1992]
  • 「普照國師의 華嚴觀(二)」, 􋺷현대불교􋺸3
    김잉석 현대불교사 [1960]
  • 「普照國師의 華嚴觀(三)」, 􋺷현대불교􋺸5
    김잉석 현대불교사 [1960]
  • 「普照國師의 華嚴觀(一)」, 􋺷현대불교􋺸1
    김잉석 현대불교사 [1959]
  • 「普照國師의 禪敎觀」, 􋺷불교학보􋺸9
    이종익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72]
  • 「普照國師知訥의 『圓頓成佛論』詳釋: 그의 禪敎一致체계를 중심으로」, 􋺷普照思想􋺸13
    심재룡 불일출판사 [2000]
  • 「新羅義湘의 華嚴敎學硏究: 一乘法界圖의 性起思想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박사학위논문, (출판: 􋺷義湘華嚴思想史硏究􋺸
    전해주 민족사, 1993) [1990]
  • 「定慧結社의 趣旨와 創立過程」, 􋺷보조사상􋺸5 6
    최병헌 보조사상연구원 [1992]
  • 「宗密과 普照의 禪敎觀비교」, 􋺷보조사상􋺸12
    이병욱 보조사상연구원 [1999]
  • 「圓頓成佛論의 十信에 대하여」, 􋺷불교학보􋺸29
    최성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92]
  • 「修禪結社의 思想史的意義」, 􋺷보조사상􋺸1
    최병헌 보조사상연구원 [1987]
  • 「修禪社重創記의 史料價値」, 􋺷고문서연구􋺸4
    허흥식 한국고문서학회 [1993]
  • 「佛日普照國師」, 􋺷불교학보􋺸1
    김잉석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1964]
  • 「事事無礙에 관한 철학적 고찰과 현대적 함의: 징관의 四法界설을 중심으로 」, 􋺷불교학연구􋺸46
    송남주 불교학연구회 [2016]
  • 「事事無礙에 관한 고찰: 징관의 四法界설을 중심으로」
    송남주 고려대학교 철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 李通玄と普照國師知訥: 􋺷華嚴論節要􋺸硏究への一視點
    木村淸孝 􋺷보조사상􋺸2, 불일출판사 [1988]
  • 李種益, 􋺷韓國佛敎の硏究: 高麗 普照國師を中心として􋺸, 東京: 國書刊行會, 1980
  • 金澤文庫, 􋺷金沢文庫資料全書第2卷: 華嚴篇􋺸, 橫浜: 神奈川懸立金澤文庫, 1975
  • 화엄교학과 간화선의 만남: 보조의 􋺷원돈성불론􋺸과 􋺷간화결의론􋺸 연구
    인경 명상상담연구원 [2006]
  • 한국역대문집총서 (http://db
    mkstudy.com/mksdb/e/korean-anthology/p/)
  • 조선불교통사역주편찬위원회 역편, 􋺷역주 조선불교통사 7: (원문개정판)朝鮮佛敎通史􋺸
    원편 이능화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 오스트리아 국립도서관 소장
    구글북스 디지털 영인 [2014]
  • 역, 􋺷깨침과 깨달음􋺸
    박성배 윤원철 예문서원 [2003]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마음과 철학: 불교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http://e-kyujanggak
    snu.ac.kr)
  • 불교사학회 편, 􋺷한국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0]
  • 보조사상연구원 편, 􋺷普照全書􋺸
    불일출판사 [1989]
  • 목우자 지눌 연구
    강건기 부처님 세상 [2001]
  • 동국대학교 불전간행위원회 편, 􋺷韓國佛敎全書: 高麗時代篇1􋺸 제4책
    동국대학교출판부 [1982]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한국화엄사상연구􋺸
    동국대학교출판부 [1982]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 대한전통불교연구원, 􋺷아세아불교에 있어서 화엄의 위상􋺸
    도서출판 동방원 [1991]
  • 기무라 기요타카, 정병삼 외 역, 􋺷중국화엄사상사􋺸
    민족사 [2005]
  • 국립중앙도서관 <http://www
    nl.go.kr)
  • 고려불교의 결사운동
    한기두 􋺷숭산박길진박사화갑기념 한국불교사상사􋺸 [1975]
  • 龜川教信, 「金沢文庫華厳逸書に就て: 報告(一)」, 􋺷龍谷学報􋺸309, 京都: 龍谷 学会, 1934
  • 高崎直道外7人, 정순일 역, 􋺷대승불교강좌3: 화엄사상􋺸
    경서원 [1988]
  • 高崎直道外, 􋺷講座大乘佛敎3: 華嚴思想􋺸, 春秋社, 1983
  • 高峯了州, 􋺷華厳論集􋺸, 国書刊行会, 1976
  • 高峯了州, 􋺷華嚴思想史􋺸, 百華苑, 1963
  • 高峯了州, 􋺷華嚴と禪との通路􋺸, 南都佛教研究会, 1956
  • 高峯了州, [李通玄の思想と禅], 􋺷龍谷大學論集􋺸346, 1953.09
  • 馬淵昌也, 「唐代華厳教学における三生成仏論の展開について」, 􋺷駒澤大学佛教学部論集􋺸36, 2005
  • 青木隆, 「中国仏教における体用論の一展開」, 􋺷仏教と文化:多田孝正博士古稀記念論集􋺸, 東京: 山喜房仏書林, 2008
  • 陳壽祺, 􋺷五經異義疏證􋺸 (구글북스
    디지털 영인본)
  • 陳壽祺, Drei Hefte in einem Umschlag ZALT, Bibliothek Arthur von Rosthorn ZALT, 􋺷Wujing yiyi shuzheng(五經異義疏證)􋺸, 1813,
  • 鎌田茂雄, 􋺷中國華嚴思想史の硏究􋺸, 東京大學東洋文化硏究所, 1965
  • 鎌田茂雄, 「總說ㆍ解題」, 􋺷金沢文庫資料全書第2卷: 華嚴篇􋺸, 橫浜: 神奈川懸立金澤文庫, 1975
  • 鎌田茂雄, 「澄観における禅思想の形成」, 􋺷印度学仏教学研究􋺸18, 1961.03
  • 鎌田茂雄, 「性起思想の成立」, 􋺷印度学仏教学研究􋺸10, 1957.03
  • 金知見, 「華嚴論節要について」, 􋺷印度學佛敎學硏究􋺸32, 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68.03
  • 金知見, 「法集別行録節要并入私記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36, 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70
  • 金知見, 「円頓成仏論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34, 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69.03
  • 金知見, 「はしがき」, 􋺷高麗國知訥錄華嚴論節要全三卷􋺸, 金知見編, 大阪: 淸風學院, 1968.04
  • 道源, 􋺷景德傳燈錄􋺸 (T51)
  • 道[厄*殳] 集, 􋺷顯密圓通成佛心要集􋺸 (T4)
  • 蘊聞, 􋺷大慧普覺禪師語錄􋺸 (T47)
  • 華嚴과 禪의 頓敎論爭
    인경 􋺷한국선학􋺸1, 한국선학회 [2000]
  • 荒木見悟, 􋺷仏教と儒教􋺸 , 東京: 研文出版, 1993(ⓒ1963)
  • 荒木見悟, 「李通玄の立場」, 􋺷福岡学芸大学紀要􋺸2, 福岡学芸大学, 1953
  • 義湘, 􋺷華嚴一乘法界圖􋺸 (T45)
  • 編, 􋺷高麗國知訥錄華嚴論節要全三卷􋺸
    김지견 大阪: 淸風學院 [1968]
  • 納富常天, 「金澤文庫と華嚴典籍」, 􋺷高麗國知訥錄華嚴論節要全三卷􋺸, 金知見編, 大阪: 淸風學院, 1968
  • 稲岡智賢, 「華厳思想に於ける過去の義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59, 1981.12
  • 稲岡智賢, 「李通玄の普賢観」, 􋺷印度学仏教学研究􋺸64, 1984
  • 稲岡智賢, 「李通玄の名号観」, 􋺷印度學佛教學研究􋺸 27(1), 1978
  • 稲岡智賢, 「李通玄の伝記について」, 􋺷佛教学セミナー􋺸 34, 1981.10
  • 稲岡智賢, 「李通玄における「信」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57, 1980.12
  • 知訥撰, 􋺷華嚴論節要􋺸全3卷(사진판)
    橫浜: 神奈川懸立金澤文庫 [1966]
  • 知訥, 􋺷看話決疑論􋺸 (􋺷普照全書􋺸)
  • 知訥, 􋺷法集別行錄節要幷入私記􋺸 (􋺷普照全書􋺸)
  • 知訥, 􋺷戒初心學人文􋺸 (􋺷普照全書􋺸)
  • 知訥, 􋺷圓頓成佛論􋺸 (􋺷普照全書􋺸)
  • 知訥, 􋺷勸修定慧結社文􋺸 (􋺷普照全書􋺸)
  • 知訥, 􋺷修心訣􋺸 (􋺷普照全書􋺸)
  • 知訥, 「六祖法寶壇經跋」(􋺷普照全書􋺸)
  • 知訥
    􋺷華嚴論節要􋺸 (金澤文庫사진판 책)
  • 澄觀, 􋺷大方廣佛華嚴經隨疏演義鈔􋺸 (T36)
  • 澄觀, 「心要」
    􋺷景德傳燈錄􋺸권30 (T51)
  • 澄觀
    􋺷大方廣佛華嚴經疏􋺸권2 (􋺷大正藏􋺸 第35冊)
  • 淨源集, 􋺷華嚴普賢行願脩證儀􋺸 (X74)
  • 洪覺範, 􋺷林間錄􋺸 (X87)
  • 法藏, 􋺷華嚴經旨歸􋺸 (T45)
  • 法藏, 􋺷華嚴經探玄記􋺸 (T35)
  • 柴崎照和, 「李通玄における信の構造」, 􋺷宗教研究􋺸271, 1987
  • 李通玄, 􋺷新華嚴經論􋺸(􋺷大正藏􋺸 第36冊)
  • 李通玄, 志寧釐經合論, 慧研補正, 􋺷大方廣佛新華嚴經合論􋺸 (T4)
  • 李贄, 􋺷大方廣佛華嚴經合論簡要􋺸 (X4)
  • 木村清孝, 􋺷東アジア仏教思想の基礎構造􋺸, 春秋社, 2001
  • 木村清孝, 􋺷中國華嚴思想史􋺸, 平樂寺書店, 1992
  • 木村清孝, 「􋺷華厳経合論簡要􋺸について」, 􋺷大乗仏教から密教へ: 勝又俊教博士古稀記念論集􋺸, 東京: 春秋社, 1981
  • 木村清孝, 「華厳と禅」, 􋺷禅研究所紀要􋺸31, 愛知学院禅研究所, 2003
  • 木村清孝, 「李通玄思想の流布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57, 東京: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80
  • 木村清孝, 「李通玄の禅定論: 佛光觀の問題を中心として」, 􋺷仏教の実践原理􋺸, 東京: 山喜房仏書林, 1977
  • 木村清孝, 「李通玄における智の性格」, 􋺷武蔵野女子大学紀要􋺸7, 武蔵野女子大学紀要編集委員会, 1972.03
  • 木村清孝, 「李通玄における六相と十玄」, 􋺷印度学仏教学研究􋺸40, 1972.03
  • 智儼集, 􋺷華嚴經內章門等雜孔目􋺸 (T45)
  • 方澤, 􋺷大方廣佛華嚴經合論纂要􋺸 (X5)
  • 惠洪, 􋺷禪林僧寶傳􋺸 (X79)
  • 張愛順(戒環), 「法蔵の成仏論について」, 􋺷印度学仏教学研究􋺸103, 2003
  • 張商英, 「決疑論後記」
    􋺷略釋新華嚴經修行次第決疑論􋺸권4 (T36)
  • 延壽, 􋺷註心賦􋺸 (X63)
  • 延壽, 􋺷宗鏡錄􋺸 (T48)
  • 崔詵, 􋺷大乘禪宗曹溪山修禪社重創記􋺸 (􋺷朝鮮佛敎通史􋺸)
  • 小島岱山編, 􋺷新華嚴經論資料集成􋺸, 東京: 華嚴學硏究所, 1992
  • 小島岱山, 「􋺷新華厳経論􋺸の研究序説」, 􋺷印度学仏教学研究􋺸66, 1985
  • 小島岱山, 「韓国仏教における華厳思想の展開: 「華厳論節要序」を中心として」, 􋺷理想􋺸606, 理想社, 1983
  • 小島岱山, 「李通玄の根本思想: 一真法界思想の形成とその思想史的意義」, 􋺷印度学仏教学研究􋺸62, 1983
  • 小島岱山, 「李通玄における禅思想の特質」, 􋺷印度学仏教学研究􋺸64, 1984.03
  • 小島岱山, 「李通玄における三聖円融思想の解明」, 􋺷華厳学研究􋺸1, 東京: 華厳学研究所, 1987
  • 小島岱山, 「新華厳経論の文献学的並びに注釈学的研究」, 􋺷仏教学􋺸18, 仏教思想学会, 1984.10
  • 宮崎圓遵, 􋺷中世佛教と庶民生活􋺸, 京都: 平樂寺書店, 1951
  • 宮崎圓遵, 「入宋沙彌圓種: 金澤文庫新出の資料による研究」, 􋺷龍谷学報􋺸311, 京都: 龍谷大学, 1935.01
  • 宗寶編, 􋺷六祖大師法寶壇經􋺸 (T48)
  • 宗密, 􋺷禪源諸詮集都序􋺸 (T48)
  • 安田理深, 􋺷緣起と性起􋺸, 京都: 永田文昌堂, 1982
  • 域外漢籍珍本文庫編纂出版委員會編, 􋺷域外漢籍珍本文庫: 第2輯子部18􋺸, 重慶: 西南師範大學出版社; 北京: 人民出版社, 2011
  • 圓照覺性, 「通玄과 淸凉의 화엄사상: 李通玄長子의 華嚴思想과 淸凉國師의 華嚴思想비교」, 􋺷華嚴經論會釋􋺸, 이통현장자 저, 원조각성 번역 강해
    현음사 [2001]
  • 吉津宜英, 􋺷華厳禅の思想史的研究􋺸, 大東出版社, 1985.3
  • 吉津宜英, 「法界縁起の成仏論」, 􋺷駒澤大学佛教学部論集􋺸15, 1984.10
  • 吉津宜英, 『華厳禅の思想史的研究』, 大東出版社, 1985
  • 佐藤泰舜교정
    􋺷華嚴論節要􋺸全3卷(필사본) [1944]
  • 伊藤真, 「伝記資料における李通玄のイメージ」, 􋺷佛教大学大学院紀要文学研究科篇􋺸40, 2012
  • 中華電子佛典協會, 􋺷CBETA 電子佛典􋺸, 臺灣, 2014.04
  • 中條道昭, 「華厳の性起: 智儼と法蔵」, 􋺷印度學佛教學研究􋺸72, 1988
  • 中島志郎, 「知訥􋺷華厳論節要􋺸の性格: 李通玄􋺷新華厳論􋺸との対照から」, 􋺷花園大学文学部研究紀要􋺸27, 花園大学文学部, 1995.03
  • 中島志郎, 「知訥における􋺷華厳論節要􋺸の意味」, 􋺷印度学仏教学研究􋺸87, 東京: 日本印度学仏教学会, 1995.12
  • Robert M. Gimello, Peter N. Gregory, Studies in Chan and Hua-yen,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3
  • Koh Seung-hak, “Chinul’s Hwaŏm Thought in the Hwaŏmnon chŏryo”, Acta Koreana Vol.17 No.1, Taegu, Korea: Academia Koreana, Keimyung University, 2014
  • Keel Hee-Sung, “Chinul: The Founder of the Korean Son Tradition”, Ph.D.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1977(published in Berkeley Buddhist Studies Series no.6, Berkeley: Institute of South and Southeast Asian Studies, 1984)
  • (서해기), 「징관의 화엄법계관: 법계 이해의 세 가지 유형」, 􋺷불교학연구􋺸12
    정엄 불교학연구회 [2005]
  • (綺山) 編, 􋺷(大乘禪宗曹溪山)松廣寺誌􋺸
    임석진 불일출판사 [1965]
  • (法淨), 「普照國師의 所錄인 􋺷華嚴論節要􋺸의 新發見」, 􋺷新佛敎􋺸13
    이종익 佛敎社 [1942]
  • (戒環), 􋺷현수법장연구: 화엄교학의 대성자􋺸
    장애순 운주사 [2011]
  • (戒環), 􋺷中國華嚴思想史硏究􋺸
    장애순 불광출판부 [1996]
  • (戒環), 「􋺷五敎章􋺸의 信滿成佛에 대한 考察」
    장애순 􋺷한국불교학􋺸36 [2004]
  • (https://books
    구글북스 google.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