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百濟 喪葬儀禮 硏究 :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강원표 2016년
논문상세정보
' 百濟 喪葬儀禮 硏究 :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분
  • 매장프로세스
  • 백제
  • 상장의례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78 0

0.0%

' 百濟 喪葬儀禮 硏究 : 古墳 埋葬프로세스를 中心으로' 의 참고문헌

  • 「횡구식석실 ․ 횡혈식석실의 조사 방법과 기록」,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 사연구방법론쇄, 5
    홍보식 국립문화재연구소, pp. 151~197 [2009]
  • 「해양교류와 고대 제사유적」, 내해양교류의 고고학쇄제26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발표논문집
    유병하 한국고고학회, pp.59~78 [2002]
  • 「한성시대 백제의 국가제사 체계와 변화 양상-풍납토성 경당지구 44 호, 9호 유구의 성격 검토를 중심으로-」, 내서울학연구쇄22
    김창석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pp.1~28 [2004]
  • 「한성백제기 기대 연구 : 풍납토성 출토 원통형기대와 상협하 광형기대를 중심으로」, 내考古學誌쇄18
    이명희 한지선 국립중앙박물관 [2013]
  • 「한성 백제기 도성권의 지형경관」, 내고고학쇄 14-1호
    이홍종 중부고고학회, pp.45~67 [2015]
  • 「한국민족지 고고학의 가능성과 방향에 대하여」, 내민족학연구쇄1
    배기동 한국 민족학회, pp.347~355 [1995]
  • 「한국 고대의 죽음과 喪․祭禮」 내한국고대사연구쇄65
    채미하 한국고대사학회. pp.35~75 [2012]
  • 「한국 고대의 제천의례」, 내한국사 시민강좌쇄45
    서영대 一朝閣, pp. 1~24 [2009]
  • 「한국 고대의 장례의식 연구」, 내한남대학교논문집(인문과학편)쇄17
    이필영 한 남대학교, pp.257~276 [1987]
  • 「통일신라의 장 ․ 묘제」, 내통일신라시대 고고학쇄, 제28회 한국고고학 전국대회 발표자료집
    홍보식 한국고고학회, pp. 71~115 [2004]
  • 「청동기시대 장송의례의 재인식 - 인도네시아 숨바섬 지석묘의 장송의 례 비교를 중심으로-」, 내무덤을 통해 본 청동기시대 사회와 문화쇄
    윤호필 경남발전 연구원역사문화센터・학연문화사, pp.139~163 [2012]
  • 「집안일대 고구려 왕릉의 ‘祭壇’」, 내高句麗硏究쇄19
    박승범 高句麗硏究會 [2005]
  • 「지석의 역사적 의의」, 내百濟武寧王陵쇄
    이기동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硏究所 [1991]
  • 「중원지역의 원삼국시대 분묘양상」, 내중원문화권 고분이 전개 양상과 성격쇄
    성정용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2009]
  • 「중부지방 백제 한성기 축조 신라 재사용 석실분과 고구려 신라 연속조 영 고분군」, 내고고학쇄14-2호
    최병현 중부고고학회 [2015]
  • 「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세부편년」, 내百濟硏究쇄33
    김성남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2001]
  • 「죽어야 사는 고고학」, 내움직이는 세상, 움직여야 하는 고고학쇄
    김종일 서경 문화사, pp.183~218 [2012]
  • 「조령숭배의 한일비교」, 내민속연구쇄5
    성병희 안동대학교민속학연구소 [1995]
  • 「제사유적을 통해 본 고대의 제사의례」, 내博物館硏究論集쇄14
    동진숙 부산박 물관 [2008]
  • 「제사고고학의 연구성과와 과제 - 수혈식 의례를 중시므로」, 『고고학 의 새로운 지향쇄, 제4회 부산복천박물관 학술발표회자료집
    김두철 복천박물관 [2000]
  • 「정지산유적과 백제의 喪葬儀禮, 내백제의 왕실제사유적 “공주 정지산” 학술발표회쇄
    권오영 국립공주박물관, pp.84~100 [1998]
  • 「전통적 기제사를 통해 본 조상관」, 내민속연구쇄9
    배영동 안동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1999]
  • 「장제와 묘제의 의미」,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이성준 국립문화 재연구소 [2009]
  • 「임당 유적 고총의 祭器 구성과 외래계 토기 – 조영EⅢ3호묘를 대상 으로-」, 내東垣學術論文集쇄16
    김대환 國立中央博物館․ 韓國考古美術硏究所 [2015]
  • 「유교의 수용과 세계관의 변용 –윤리・사회 덕목의 구현을 중심으로- 」, 내韓國古代史硏究쇄20
    신광철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pp.45~75 [2000]
  • 「유교식 상례」, 내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쇄
    정종수 두산동아, pp.73~150 [2005]
  • 「원시와 고대의 장송의례 연구」,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제51회 전 국역사학대회 발표자료집
    김동숙 한국고고학회 [2008]
  • 「울산지역의 4~5세기 목곽묘 연구」, 내야외고고학쇄12
    권용대 한국문화재조 사연구기관협회 [2011]
  • 「우물에 대한 祭儀와 그 意味」, 내嶺南文化財硏究쇄17
    김창억 嶺南文化財硏 究院 [2004]
  • 「신라의 음식」, 내신라문화제발표논문집-신라사회의 신연구쇄 8
    윤서석 경주 시・신라문화선양회 [1987]
  • 「신라고분에 보이는 음식공헌과 生死觀」, 내慶州史學쇄38
    김수민 慶州史學會 [2013]
  • 「신라 장경호 부장 정형과 신라 토기의 확산-‘토기제사법’과 ‘양식적 선택압’의 실체-」, 내중앙고고연구쇄
    김대환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 「신라 유교사상의 재조명」, 내신라문화제 학술발표회 논문집쇄12
    홍순창 동국 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1]
  • 「신라 ․ 가야의 象形容器와 분묘 제사」, 내丹豪文化硏究쇄12
    김동숙 용인대 학교 전통문화연구소 [2009]
  • 「송이도(松耳島)의 초분(草墳) 고찰-“앉은 초분”의 형태와 그 기능을 중심으로」
    박종오 내韓國民俗學쇄41, pp.303~331 [2005]
  • 「소가야지역 분구묘의 특징과 형성과정 연구」, 내야외고고학쇄2
    권용대 한국문 화재조사연구기관협회 [2007]
  • 「상․제례의 한국적 전개와 유교의례의 문화적 영향」, 내국학연구쇄 17
    박종천 한국국학진흥원, pp.363~397 [2010]
  • 「삼국지 동이전 한조의 고고학」, 내삼국지 동이전의 세계쇄
    권오영 성균관대학 교 출판부 [2013]
  • 「분묘 출토유물의 성격」, 내韓國上古史學報쇄 59
    김옥순 韓國上古史學會, pp.51~73 [2008]
  • 「분묘 및 주거지 출토 토기의 비교를 통해 살펴본 상장의례 –정읍 신 면유적과 장성 환교유적을 중심으로-」, 내湖南文化財硏究院쇄12
    송종열 湖南文化財 硏究院, pp.5~20 [2012]
  • 「부여 태양리 백제고분의 一例」, 내百濟文化쇄15집
    신광섭 이강승 공주사범대 학 백제문화연구소 [1983]
  • 「부여 능산리 사지에서 발견된 신요소」, 내백세사비도성의 불교사찰쇄
    김종만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한국고대학회 [2015]
  • 「복합고분과 제사 –나주 복암리 3호분의 제사자료-」, 내호남지역 선사 와 고대의 제사쇄제22회 호남고고학회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박중환 호남고고학회 [2014]
  • 「보성 조성리유적의 성격」 내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쇄
    이동희 대한문 화유산연구센터․ 학연문화사, pp.81~114 [2010]
  • 「백제의 산천제사와 그 정비」, 내東國史學쇄 48
    채미하 동국사학회, pp. 31~62 [2010]
  • 「백제문화의 도교적 요소」, 내韓國古代史硏究쇄64
    김영심 한국고대사학회 [2011]
  • 「백제권역 동물희생 관련 考古자료의 성격」 내百濟文化쇄47
    박중환 공주대학 교 백제문화연구소 [2012]
  •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매장과정과 그 의의」, 내제29회 고분문화연구회 발표자료집쇄
    임영재 고분문화연구회 [2016]
  • 「백제 한성기 묘제의 다양성과 그 의미」, 내고고학쇄4-1호
    임영진 중부고고학회 [2005]
  • 「백제 왕실수공업의 성립과 생산체제, 내백제고대 제사유구와 유물」, 내 선사․ 고대의 제사 풍요와 안녕의 기원쇄
    김창석 복천박물관, pp.149~163 [2006]
  • 「백제 사비시기 오제 제사 시행과 그 의미」, 내韓國思想史學쇄47
    박초롱 韓國 思想史學會, pp.5~39 [2014]
  • 「백제 무령왕릉 두침, 족좌의 용도와 성격」, 내美術史學硏究쇄289
    박서영 한 국미술사학회 [2016]
  • 「백제 묘제 연구에서 공주 수촌리 고분군이 갖는 의미」, 내수촌리유적 의 고고학적 성과와 의의쇄
    김낙중 공주시・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2013]
  • 「민족지고고학의 전망-한국고고학 방법론 확장 가능성에 대하여」, 내韓 國上古史學報쇄9
    배기동 韓國上古史學會 [1992]
  • 「물의 제사」, 내고고자료로 본 고대 제사쇄, 제10회 복천박물관 학술세 미나 자료집
    권오영 복천박물관, pp.51~83 [2006]
  • 「무령왕릉에 구현된 도교적 세계관」, 내韓國思想史學쇄40
    김영심 韓國思想史 學會 [2012]
  • 「무령왕릉 출토 지석에 관한 연구」, 내무령왕릉의 연구현황과 제문제쇄 무령왕릉 발굴 20주년 기념 학술대회 자료집
    성주탁 국립공주박물관 [1991]
  • 「마한 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내韓國上古史學報쇄88
    이진우 韓國上古史學會 [2015]
  • 「대가야의 고분과 사후세계」, 내축제와 함께하는 대가야사 학술대회쇄
    김세기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06]
  • 「대가야 고총의 상장례」, 내대가야의 정신세계쇄제7회 대가야사 국제학 술대회
    김용성 한국학연구원 [2009]
  • 「다호리유적 목관묘 시기의 묘제」, 내茶戶里 遺蹟 發掘成果와 課題 - 昌原 茶戶里 遺蹟 發掘 20周年國際學術 심포지엄-쇄
    신용민 국림중앙박물관 [2008]
  • 「나주 복암리 유적 출토 백제목간과 기타 문화자 관련 유물」, 내목간과 문자쇄3
    김성범 한국목간학회 [2009]
  • 「금석문을 통해서 본 백제인의 내세관」 내역사학연구쇄29
    박중환 호남사학회 [2007]
  • 「공주 송산리 D지구 적석유구의 성격 검토」
    임영진 내공주지역의 고분과 출토 유물』 백제 역사유적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위한 국제학술회의 [2013]
  • 「고분으로 본 신라의 장송의례와 그 변혁, 내중앙고고연구쇄15
    김용성 중앙문 화재연구원 [2014]
  • 「고분과 고대사회」,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권오영 국립문화재 연구소 [2009]
  • 「고분 부장품의 해석」,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법론쇄5
    서현주 국립문화 재연구소 [2009]
  • 「고대의 생활제사」, 내고고자료로 본 고대 제사쇄, 제10회 복천박물관 학술세미나 자료집
    김무중 복천박물관 [2006]
  • 「고대의 상장례와 생사관」, 내역사와 현실쇄 54
    나희라 한국역사연구회, pp.171~195 [2004]
  • 「고대 한국의 타계관」, 내한국고대사연구쇄20
    나희라 한국고대사학회 [2003]
  • 「고대 제사유적과 유물」, 내선사․ 고대의 제사, 풍요와 안녕의 기원쇄 특별전시도록
    동진숙 복천박물관, pp.145~163 [2006]
  • 「고대 분묘 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내한국 매장문화재 조사연구방 법론쇄5
    김동숙 국립문화재연구소, pp.359~380 [2009]
  • 「고구려 벽화고분의 帷帳의 설치와 기능」, 내고구려발해연구쇄44
    박아림 고구 려발해학회, pp.137~167 [2012]
  • 「고고학 자료로 본 신라 고분제사의 성격」, 내한국전통문화연구쇄 13
    방민규 한국전통문화학교 [2014]
  • 「경기지역 한성백제기 산성(山城) 출토 제의용(祭儀用) 토기의 검토, 내 사학지쇄49
    한준영 단국사학회, pp.171~210 [2014]
  • 「가락동・방이동고분군으로 본 백제 횡혈식석실의 성립」, 내先史와 古 代쇄40
    김규운 韓國古代學會 [2014]
  • 「高句麗壁畵古墳에 나타난 信仰과 祭儀樣相」, 내古文化쇄74
    정호섭 한국대학 박물관협회, pp. 83~114 [2009]
  • 「高句麗 積石冢 단계의 祭儀 양상」, 내先史와 古代쇄29
    정호섭 韓國古代學會, pp. 191~222 [2008]
  • 「馬韓墳墓와 그 墓制의 認識, 내馬韓百濟文化쇄22
    이남석 圓光大學校 馬韓百 濟文化硏究所 [2013]
  • 「馬韓 周溝墓의 類型과 時,空間的 展開過程 -京畿,忠淸地域을 中心으 로-」, 내百濟硏究쇄62
    김희중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15]
  • 「韓國 上古時代의 祭祀 意識과 그 繼承」, 내한국사학보쇄37
    정운용 고려사학 회, pp. 421~456 [2009]
  • 「陶磁器」, 내百濟武寧王陵쇄
    김홍남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表井里 百濟古墳調査」
    서성훈 신광섭 내中島쇄Ⅴ, pp.129~175 [1984]
  • 「竪穴式 石槨墓의 收容樣相, 내湖西考古學쇄5
    이남석 湖西考古學會 [2001]
  • 「百濟의 祭儀체계 정비와 그 변화」, 내계명사학쇄15-동곡 김종철교수 정년기념호-
    노중국 내계명사학회쇄 [2004]
  • 「百濟와 梁의 교섭과 大通寺」, 내공주 대통사지와 백제쇄
    조윤재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pp.121~160 [2012]
  • 「百濟武寧王陵塼考」, 내百濟硏究쇄5
    김영배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4]
  • 「百濟地域 橫穴墓의 鐵器副葬 習俗, 葬法의 系統과 造墓集團의 性格 」, 내百濟文化쇄48
    김길식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171~212 [2013]
  • 「百濟 竪穴式 石室墳 -變遷과 橫口式의 발생-」, 내先史와 古代쇄6
    이남석 韓 國古代學會 [1995]
  • 「百濟 漢城期 橫穴式石室의 構造와 調査方法」,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 쇄
    김무중 서경문화사 [2011]
  • 「百濟 威德王의 陵山里寺院 創建과 祭儀」, 내百濟文化쇄41
    길기태 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pp.5~34 [2009]
  • 「百濟 喪葬儀禮의 硏究 -錦江流域 喪葬儀禮 遺蹟의 意味-」 , 내百濟文化쇄54
    이남석 이현숙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2016]
  •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變容」,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第51回 全國歷史學大會 發表資料集-
    조윤재 韓國考古學會, pp.159~174 [2008]
  • 「漢城百濟期 據點都市의 構造와 機能 -羅城里遺蹟을 中心으 로-」, 내百濟硏究쇄60
    이홍종 허의행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14]
  • 「橫穴式 墓制의 淵源과 展開」, 『先史와 古代』30
    이남석 한국고대학회 [2009]
  • 「木棺墓에서 木槨墓로- 蔚山 中山里遺蹟과 茶雲洞遺蹟에 대한 檢討」, 내新羅文化쇄14
    이성주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1997]
  • 「新羅 積石木槨墓의 구조와 축조공정」, 내韓國考古學報쇄88
    심현철 韓國考古 學會 [2013]
  • 「宋代 祖上祭祀와 祭禮의 再構想:계급의 표상에서 종족결집의 수단으 로」
    육정임 내한국사연구쇄27, pp.313~349 [2007]
  • 「墓葬 資料의 사회적 분석과 楡樹老河深墓地의 一考察」, 내韓國上古史 學報쇄29
    박양진 韓國上古史學會, pp. 7~44 [1998]
  • 「喪葬制와 墓制」,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쇄
    권오영 중앙문화재연구원・서경문화 사, pp.41~62 [2011]
  • 「古代韓國의 陪墓 - 嶺南地域을 中心으로」, 내野外考古學쇄6
    김광명 정은정 한국문화재조사연구기관협의회 [2009]
  • 「原三國後期~百濟初期漢江中 下流域墓制의 地域性」, 내韓國上古史學 報쇄78
    차윤환 韓國上古史學會 [2012]
  • 「中西部地域 百濟漢城期 木棺墓 變化 - 烏山 水淸洞遺蹟을 中心으로 」, 내선사와 고대쇄27
    이창엽 한국고대학회 [2007]
  • 「中國 魏晉南北朝의 墓葬과 喪葬儀禮」, 내동아시아의 고분문화쇄
    조윤재 중앙 문화재연구원․ 서경문화사, pp.239~302 [2011]
  • 「三國時代 古墳出土 朱와 그 意味」, 내嶺南考古學쇄61
    김은경 嶺南考古學會 [2012]
  • 「<禮記> 喪葬觀의 人文衣食」, 내儒敎思想硏究쇄 20
    공병석 韓國儒敎學會, pp.277~308 [2004]
  • 「 漢晉 喪葬儀禮의 形成과 棺槨制度의 變容」, 내考古學쇄12-3
    조윤재 중부고 고학회 [2013]
  • 嶺南地域 原三國時代 後期 祭儀土器의 設定
    尹溫植 韓國考古學報 76, 韓國考古學會. [2010]
  • 連山地方 百濟土器의 硏究
    尹武炳 百濟硏究 1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 所. pp. 5~44. [1979]
  • 論山 表井里 百濟古墳과 土器
    安承周 百濟文化 9, 公州師範大學附設 百 濟文化硏究所 [1976]
  • 樂浪墳墓 埋葬主體部에 대한 硏究
    高久建二 내考古歷史學誌쇄10, 동아대학 교 박물관. [1994]
  • 한얼문화유산연구원
    내서울 우면동 유적쇄-서울 서초 우면 2지구 국민임대주택 부지 내 유적 발굴(시굴) 조사- [2012]
  • 한얼문화유산연구원
    내부여 오수리 큰독골 ․ 오실골 유적쇄-부여 고령친화모델 시범사업지4구 내 문화유적 발굴조사- [2013]
  • 한성백제의 탄생
    朴淳發 서경문화사 [2001]
  • 한성기 백제 횡혈식석실분의 성립과 전개
    林英宰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내대전 구성동 유적쇄 [1997]
  • 한남대학교 중앙박물관
    내천안-논산간 고속도로구간(제11지구) 추가편입지역 공주 상서리 유적쇄 [2003]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
    내부여 송국리유적 12 ․ 13차조사쇄 [2012]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고고학연구소
    내부여 송국리유적 14차조사쇄 [2013]
  • 한강유역 신라 고분의 제의유구에 대한 성격
    황보경 先史와 古代 29, 한국고대학회, pp.247~277 [2008]
  • 한강문화재연구원
    내김포 운양동 유적 Ⅰ쇄 [2013]
  • 한강문화재연구원
    내인천 구월동 유적쇄 [2014]
  • 충청문화재연구원
    내서천-공주간 고속도로건설공사 봉선리 노선변경구간 서천 봉선리 유적쇄 [2009]
  • 충청문화재연구원
    내홍성 남장리 유적쇄 [2010]
  • 충청문화재연구원
    내天安 柳里・獨井里・道林里遺蹟쇄 [2011]
  • 충청문화재연구원
    내禮山 沐里 新里 遺蹟쇄 [2014]
  •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내百濟의 祭儀와 宗敎쇄 [2007]
  •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내홍성 동성리유적쇄 [2014]
  • 축조와 의례로 본 지석묘사회 연구
    윤호필 목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쯔데 히로시(고분문화연구회 譯), , 내왕릉의 고고학쇄
    진인진 [2011]
  • 지석묘의 장송의례
    李相吉 古文化 45,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4]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충남 VI:금산・논산・대 전・청양-쇄
    진인진 [2015]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충남 V:부여2-쇄
    진인진 [2015]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충남 V:부여1-쇄
    진인진 [2015]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충남 IV:공주-쇄
    진인진 [2014]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충남 III:아산-쇄
    진인진 [2014]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충남 II:천안-쇄
    진인진 [2014]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I-충남 I:연기(세종)-쇄
    진인진 [2014]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I-충북-쇄
    진인진 [2013]
  • 중원문화재연구원 편, , 내마한・백제의 분묘 문화 I-서울・경기・인천・강원-쇄
    진인진 [2013]
  • 중국규산염학회 편, 오강원 역, , 내중국고대도사자쇄
    백산자료원 [1995]
  • 전통 상례
    인재해 대원사 [1990]
  • 전남대학교 박물관
    내여천시 평여동 산본 지석묘쇄 [1993]
  • 일본 고대의 殯(모가리)에 대하여
    姜玧錫 내古文化쇄65, pp.57~80 [2005]
  • 우리나라 明器에 관한 一考察
    崔虎林 韓國學論集 14, 한양대학교 한국학 연구소 [1988]
  • 우리나라 古代喪制 속에 반영된 宗敎觀
    全惠淑 한국복식 9, 단국대학교 박물관 [1991]
  • 예기
    지재희 상・하 자유문고 [2000]
  • 영산강 유역 前方後圓墳 출토 圓筒形 토기에 관한 試論
    禹在柄 百濟硏究 3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0]
  • 엘리아데(이윤기 譯), , 내샤마니즘-고대적 접신술-쇄
    미르치아 까지 [1992]
  • 양관(장인성․ 임대희 譯), , 내중국 역대 황제릉 陵寢 제도쇄
    서경문화사 [2005]
  • 세종대학교 박물관
    내하남 광암동유적쇄 [2006]
  • 성스러운 우물의 제사 - 풍납토성 경당지구 206호 유구의 성격을 중 심으로
    권오영 내지방사와 지방문화쇄11권 2호, pp. 211~241 [2008]
  • 선사시대 儀禮와 사회적 성(gender)의 고착
    金權九 내考古歷史學志쇄16, 동 아대학교박물관. [2000]
  • 서울大學校 博物館
    내石村洞 積石冢發掘調査報告쇄 [1975]
  • 서울大學校 博物館
    내石村洞 3號墳(積石冢) 發掘調査 報告書쇄 [1983]
  • 서울大學校 博物館
    내石村洞 3號墳(積石冢) 復元을 위한 發掘 報告書쇄 [1984]
  • 서울大學校 博物館
    내石村洞 3號 東쪽 古墳群 整理 調査報告쇄 [1986]
  • 서울大學校 博物館
    내華城 馬霞里 古墳群쇄 [2004]
  • 서울大學校 人文學硏究所
    내天安 慰禮山城쇄-試掘 및 發掘調査報告書- [1997]
  • 서경문화재연구원
    내인천 연희동 유적쇄–2014 인천 아시아경기대회 주경기장 건립부지 내- [2013]
  • 새우리말 큰사전
    신기철 신용철 삼성출판사 [1995]
  • 브뤼노 모레유(김성희 譯), , 내최초의 장례쇄
    알마 [2015]
  • 부안 죽막동유적에서 진행된 삼국시대의 해양제사
    兪炳夏 扶安竹幕洞 祭 祀遺蹟 硏究 , 國立全州博物館. [1998]
  • 복천박물관
    내고고학의 새로운 지향쇄 [2000]
  • 복천박물관
    내풍용와 안녕의 기원 –선사・고대의 제사쇄특별전 도록 [2006]
  • 백제 한성기 횡혈식 석실분의 변천 연구
    유동현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백제 한성기 橫穴式石室墳의 構造와 埋葬 方法
    金武重 내제18회 고분문화 연구회 발표요지쇄, 古墳文化硏究會. [2012]
  • 백제 수혈식 석곽묘의 형식학적 연구
    이성준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백제 무령왕릉과 남조묘의 차이연구
    岡內三眞 내百濟硏究』1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80]
  • 반 건넵(전경수 譯), , 내通過儀禮쇄
    乙酉文化社 [1985]
  • 무령왕릉의 목관
    吉井秀夫 내百濟 斯麻王쇄무령왕릉 발굴 그 후 30년의 발 자취 특별전 도록, 국립공주박물관. [2001]
  • 무령왕릉의 구조와 몇문제
    尹武炳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무령왕릉 출토 생선뼈에 대하여
    金殷暎 李俊貞 『무령왕릉을 격물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 무령왕릉 관재의 재질과 年輪構造에 관한 조사연구
    朴相珍 『百濟論叢』 6, (財)百濟文化開發硏究院. [2001]
  • 무덤資料로 본 南韓地域 靑銅器時代 社會 硏究
    平郡達裁 釜山大學校 博士 學位論文 [2012]
  • 목관장식, 금제장식, 은장식
    徐五善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마한・백제권 석곽묘의 변천
    이진우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마이크 파터 피어슨(이희준 譯), , 내죽음의 고고학쇄
    사회평론 [2009]
  • 로이(이성규 譯), , 내古代中國人의 生死觀쇄
    마이클 지식산업사 [1987]
  • 더글라스 프라이스(이희준 譯), , 내고고학의 방법과 실제쇄
    사회평론아카데미 [2013]
  • 대가야계 수혈식석관분의 “목관” 구조와 그 성격-못 ․ 꺽쇠의 분석 을 중심으로-
    吉井秀夫 내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 紀念論叢쇄,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00]
  • 능산리 고분의 개요
    강원표 유리건판으로 본 백제의 고분, 국립중앙박물 관, pp.102~143 [2015]
  • 내한성백제기 우물제사에 대한 고찰 - 풍납토성 206호 유구의 고고학 적 분석을 중심으로-쇄
    이한솔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내한성기 백제 횡혈식 석실분 연구 –한강유역을 중심으로-쇄
    김문옥 공주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10]
  • 내한반도의 고분쇄
    강인구 아르케 [1999]
  • 내풍속문화로 만난 무령임금 무검의 12가지 비밀쇄
    구중회 서경문화사 [2011]
  • 내중부지방 3~4세기 고분군 일연구 -세부편년과 고분군 조영 양상 분 석-」
    김성남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 내용인 수지 백제 주거지쇄
    한신大學校 博物館 [1998]
  • 내영산강유역 고분 연구쇄
    김낙중 학연문화사 [2009]
  • 내아름다운 백제 건축쇄
    장경호 주류성 [2004]
  • 내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쇄
    김용성 학연문화사 [2008]
  • 내신라왕도의 고총과 그 주변쇄
    김용성 학연문화사 [2009]
  • 내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쇄
    홍보식 춘추각 [2003]
  • 내상장례 민속학쇄
    남민이 시그마프레스 [2002]
  • 내사당의 역사와 위치에 관한 연구쇄
    장철수 국립문화재연구소 [1990]
  • 내고대한국의 국가와 제사쇄
    최광식 한길사 [1994]
  • 내고구려 고분의 조영과 제의쇄
    정호섭 고려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내裝身具 賜與體制로 본 百濟의 地方支配쇄
    이한상 서경문화사 [2009]
  • 내百濟土器의 新硏究쇄
    김종만 서경문화사 [2007]
  • 내百濟 器臺의 變遷과 機能쇄
    나혜림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내熊津ㆍ泗沘期 百濟 建物址 硏究쇄
    김유정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내漢城百濟伎 盒․ 洗流의 硏究쇄
    신윤정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내武寧王陵에 보이는 喪葬 -殯을 중심으로-쇄
    金相烈 仁荷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2]
  • 내中西部地方 3~4世紀 周溝土壙墓 特性 硏究쇄
    金聖洙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2009]
  • 내三國史記』 내三國志쇄, 내南齊書쇄, 내隋書쇄, 내新唐書쇄, 내北史쇄, 내梁書쇄, 내禮記쇄, 내周書쇄, 내晋書쇄, 내通典쇄
    내後漢書쇄
  • 내3~4세기 중서부지역의 토광묘 고찰쇄
    조보람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군산대학교 박물관
    내群山 山月里 遺蹟쇄 [2004]
  • 국사편찬위원회, , 내상장례, 삶과 죽음의 방정식쇄
    두산동아 [2005]
  • 국사편찬위원회
    내한국사쇄8 삼국의 제사 [1998]
  • 국사편찬위원회
    내한국사쇄6 삼국의 정치와 사상-Ⅱ백제 [1995]
  • 국립중앙박물관, , 「天安 清堂洞 第3次 發掘調査報告書」
    내固城貝塚 發掘調査報 告書쇄 [1992]
  • 국립중앙박물관
    내天安 清堂洞 第4次 發掘調査報告書쇄 [1993]
  • 국립중앙박물관
    내天安 清堂洞遺蹟 Ⅰ段階 調査報告쇄 [1995]
  • 국립전주박물관
    내扶安竹幕洞 祭祀遺蹟 硏究쇄국립전주박물관 개관5주년 기념 학술심포지움 논문집, 國立全州博物館 [1998]
  • 국립부여박물관, , 내신과의 만남
    백제의 제사쇄특별전시도록 [2012]
  • 국립민속박물관
    내한국의 제사쇄 [2003]
  • 국립민속박물관
    내한국의 상장례쇄특별전 도록 [1990]
  • 국립나주박물관
    『국립나주박물관』상설전시도록 [2013]
  • 국립김해박물관
    내가야의 그릇받침쇄특별전시도록 [1999]
  • 국립공주박물관
    내무령왕릉 기초자료집쇄 [2008]
  • 국립공주박물관
    내무령왕릉 신보고서』Ⅱ [2013]
  • 국립공주박물관
    내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보고서쇄Ⅰ [2005]
  • 국립공주박물관
    내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Ⅱ [2006]
  • 국립공주박물관
    내무령왕릉 출토유물 분석보고서』Ⅲ [2007]
  • 국립공주박물관
    내무령왕릉 신보고서쇄Ⅰ [2009]
  • 국립공주박물관
    내백제사마왕쇄특별전시도록 [2001]
  • 국립공주박물관
    내무령왕릉을 격물하다쇄특별전시도록 [2011]
  • 국립공주박물관
    내송산리고분군 기초자료집』 [2012]
  • 공주 수촌리고분군 제2차 발굴조사의 성과와 의의
    이 훈 금강유역권 신 출자료와 그 해석 , 제11회 백제학회 정기발표회 [2012]
  • 공주 수촌리 백제금동관의 고고학적 성격
    이 훈 충청학과 충청문화 5-2, 충남역사문화연구원 [2006]
  • 고분출토 취사용토기로 본 고대 한․일 장송의례의 비교-일본열도 瀨戶內地域을 중심으로-
    松永悅枝(마츠나가 요시에) 嶺南考古學 50. 嶺南考古學會. [2009]
  • 고대 한국의 국가제의 연구
    박승범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고대 한국의 喪葬儀禮
    權五榮 내韓國古代史硏究쇄20, 한국고대사학회・서경 문화사, pp.5~29. [2000]
  • 고구려 고분변화의 도교와 유교적 신화 도상 분석
    金一權 동북아역사논총 25. 동북아역사재단. [1996]
  • 경주지역의 출현기 목곽묘 연구
    權龍大 내韓國古代史探究쇄9, 韓國古代史 探究學會. [2011]
  • 경주지역 古墳을 통해 본 祭儀의 형태와 신라인의 죽음인식
    趙慶和 안동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경기문화재연구원, , 내오산 수청동 백제 분묘군–오산 세교 택지개발지구 내 문화 유적(4
    5지점) 발굴조사 보고서-쇄 [2012]
  • 건국대학교 박물관
    내燕岐郡 月山里 古墳群쇄 [1998]
  • 齋藤忠編, 1976, 葬送儀禮, 古代日本人の死の思想 V.111, 至文堂.
  • 齊藤忠, 1987, 古代アジアにあける葬送儀禮, 東アジア葬․ 墓制の硏究, 第一書房.
  • 魏志東夷傳에 나타난 古代人의 生活習俗 –禮葬・婚禮를 중심으로-
    金貞培 大東文化硏究 13,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소. [1979]
  • 高麗時代의 喪 ․ 祭
    崔在錫 韓國古代社會史硏究 , 一志社, pp. 582~610 [1987]
  • 高麗文化財硏究院
    내龍仁 上葛洞 遺蹟쇄 [2008]
  • 高麗大學校 考古環境硏究所
    내道三里 遺蹟쇄 [1999]
  • 高麗大學校 埋藏文化財硏究所
    내蓮芝里 遺蹟쇄 [2002]
  • 高麗大學校 埋葬文化財硏究所
    내保寧 蓮芝里 遺蹟쇄 [1999]
  • 高麗大學校 博物館
    내可樂洞 2號墳쇄 [2012]
  • 高句麗土器硏究
    崔鍾澤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韓日 前方後圓墳 比較檢討 –石室構造와 葬送 儀禮를 中心으로-
    土生田純之(하부다 요시유키) 韓國의 前方後圓墳 , 충남대학교출판부, pp.1~23 [2000]
  • 韓國考古環境硏究所
    내牙山 新南里 遺蹟쇄 [2009]
  • 韓國考古環境硏究所
    내行政中心複合都市 敷地 內 1-1區域 燕岐 松潭里・松院 里 遺蹟쇄 [2010]
  • 韓國考古環境硏究所
    내천안 대화리 신풍리 유적 -천안 제5일반산업단지 조성 사업부지 내 문화재 시발굴조사-쇄 [2012]
  • 韓國考古環境硏究所
    내나성리유적쇄 [2015]
  • 韓國考古學會, , 『墳丘墓 墳丘式古墳의 新資料와 百濟』
    韓國考古學會 [2006]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내尙州 新興里 古墳群(1)쇄 [1998]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내淸原 梧倉遺蹟쇄 [1999]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내淸原 主城里遺蹟쇄 [2000]
  • 韓國文化財保護財團
    내金浦 鶴雲里 遺蹟 -김포 양촌지방산업단지 조성사업부 지내 문화유적 시 ․ 발굴조사 보고서-쇄 [2009]
  •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下)
    變太燮 歷史敎育 4, 歷史敎育 硏究會. [1959]
  • 韓國古代의 繼世思想과 祖上崇拜信仰(上)
    變太燮 歷史敎育 3, 歷史敎育 硏究會. [1958]
  • 韓國古代社會史硏究
    崔在錫 一志社 [1987]
  • 韓國出土 卜骨에 對한 考察
    殷和秀 湖南考古學報 10, 湖南考古學會, pp. 5~30. [1999]
  • 韓國 喪禮 葬禮 硏究
    金時晃 東洋禮學 8, pp.39~80 [2002]
  • 韓國 古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山本孝文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韓國 先史時代의 水邊儀禮
    尹昊弼 고대 동북아시아의 水利와 祭祀 , 대 한문화유산연구센터・학연문화사, pp.141~171. [2011]
  • 韓國 儒敎式 喪禮의 硏究
    金時德 高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7]
  • 韓半島 古代社會의 殉葬文化
    金秀桓 李晟準 韓國考古學報 81, 韓國考古 學會 [2011]
  • 靑銅器時代 儀禮에 대한 考古學的 硏究
    李相吉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박 사학위논문 [2000]
  • 集安 高句麗碑에 나타난 왕릉제사와 조상인식
    趙宇然 한국고대사연구 70, pp.139~179 [2013]
  • 雄津百濟史硏究
    兪元載 도서출판 주류성 [1997]
  • 關野貞, 1915, 百濟の遺蹟, 考古學雜誌 第6卷3號, 日本考古學協會.
  • 長江中下流地域 漢 ․ 六朝前室墓의 墓門設置에 대한 일고찰
    趙胤宰 中國 史硏究 56, 中國史學會, pp.37~66 [2008]
  • 鐵箱集Ⅰ
    최종규 도서출판 考古 [2014]
  • 錦江文化遺産硏究院
    내扶餘 合井里 문냉이골 墳墓群쇄 -扶餘 百濟歷史再現團 地 골프장 코스 造成敷地(2地區)- [2013]
  • 釜山直轄市立博物館, , 「考察」
    내東萊福泉洞53號墳쇄 [1992]
  • 釜山大學校 博物館
    내蔚山下岱遺蹟-古墳 Ⅰ [1997]
  • 都出比呂志, 1991, 墳墓, 日本考古學-集落と祭祀- 4, 岩波書店.
  • 連山 新興里 百濟古墳과 그 出土遺物
    尹武炳 百濟文化 7·8合集, 公州師 範大學附設 百濟文化硏究所 [1975]
  • 輕部鉉恩, 1932,「公州に於ける百濟古墳」, 『考古學雜誌』
  • 誌石의 形態와 內容
    成周鐸 鄭求福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 校 百濟文化硏究所, pp.165~186. [1991]
  • 西藤淸秀․ 柳澤一男, 1992, 木製樹物․ 石人石馬, 古墳時代の硏究 9 -古墳 Ⅲ 埴輪-, 雄山閣.
  • 葬墓制度의 定着過程
    山本孝文 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 제51회 전국역 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175~186. [2008]
  • 范志军, 2003, 汉代丧礼研究, 郑州大学博士学位论文.
  • 耳飾, 頸飾, 釧
    朴永福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 硏究所. [1991]
  • 考古資料를 통해 본 高句麗 喪葬禮 硏究
    崔泰淨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 考古資料를 中心으로 본 百濟와 中國의 文物交涉 - 강남지방과의 관 계를 중심으로
    權五榮 『眞檀學報』 66, 震檀學會. [1988]
  • 考古學 資料로 본 백제의 祭祀
    兪炳夏 바다와 祭祀-扶安 竹幕洞 祭祀遺 蹟- 특별전 도록, 國立全州博物館. [1995]
  • 積石木槨墳期 非墳墓遺構의 性格
    朴普鉉 韓國上古史學報 10, 韓國上古 史學會. [1992]
  • 積石冢의 封, 槨, 殉
    崔鍾圭 考古學探究 9, 考古學探究會 [2011]
  • 穂積裕昌, 2012, 古墳時代の喪葬と祭祀, 雄山閣.
  • 祭祀를 통해 본 勸力의 發生
    李相吉 계층사회와 지배자의 출현, 한국고 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자료집, pp. 117~149 [2006]
  • 祭天儀禮의 歷史的 考察
    琴章泰 내儒敎思想文化硏究쇄4․ 5, 韓國儒敎學會, pp.51~67. [1992]
  • 石野博信等, 1990, 古墳時代の硏究 3 -生活と祭祀-, 雄山閣.
  • 石村洞發掘調査團
    내石村洞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쇄 [1987]
  • 石村洞 百濟初期古墳의 性格
    任孝宰 내考古美術쇄129 130 合輯 [1976]
  • 石室墳의 禮制
    崔鍾圭 考古學探究 13, 考古學探究會 [2013]
  • 皇南大塚의 遺物 副葬 위치를 통해 본 祭儀行爲 檢討
    車順喆 新羅史學報 3, 新羅史學, pp.1~20 [2005]
  • 百濟의 祭祀遺蹟
    崔夢龍 韓國上古史學報 17, 韓國上古史學會 [1994]
  • 百濟의 環帶에 대하여
    山本孝文 湖西考古學 16, 湖西考古學會, pp.25~56. [2007]
  • 百濟漢城時代古墳硏究
    林永珍 서울大學校大學院 博士學位論文 [1995]
  • 百濟泗沘時代陵寺硏究
    申光燮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百濟文化의 이해를 위한 中國六朝文化 탐색
    權五榮 내韓國古代史硏究쇄37, 한국고대사학회‧ 서경, pp.81~112. [2005]
  • 百濟文化開發硏究院
    내論山 表井里 百濟古墳 發掘報告書쇄-1985年度 發掘調査- [1988]
  • 百濟文化財硏究院
    내論山 斗月里 遺蹟 [2010]
  • 百濟文化財硏究院
    내洪城 新耕里 自耕洞 遺蹟쇄 [2012]
  •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과 風水說話硏究
    李樹鳳 (財)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86]
  •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 硏究 - 百濟文化圈域의 喪禮風俗과 風水 說話硏究 –湖西․ 湖南地方을 中心으로-
    李樹鳳 百濟文化開發硏究院. pp.9~132 [1986]
  • 百濟文化圈域 의 喪禮風俗과 風水說話硏究쇄-호서 · 호남지방을 중심 으로
    김수봉 百濟文化開發硏究院 [1986]
  • 百濟政治史硏究
    盧重國 일조각 [1988]
  • 百濟成立과 發展期의 錦江流域 墓制樣相
    崔完圭 韓國上古史學報 37, 韓 國上古史學會 [2002]
  • 百濟墓制의 硏究
    李南奭 서경문화사 [2002]
  • 百濟土器의 槪觀
    安承周 百濟土器圖錄 , 百濟文化開發硏究院, pp. 412~449. [1984]
  • 百濟土器 東아시아 交叉編年 硏究
    土田純子 서경문화사 [2014]
  • 百濟器台의 硏究
    徐聲勳 百濟硏究 11,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93~216. [1980]
  • 百濟古墳의 硏究
    安承周 百濟文化 7・8合輯, 公州師範大學 百濟文化硏 究所. [1975]
  • 百濟初期 埋葬土器와 生活土器의 關係
    林永珍 한국상고사(Ⅱ) , 학연문화사 [1993]
  • 百濟三足土器硏究
    李大行 李錫九 公州師大 論文集 25, 公州師範大學, pp. 88~107 [1987]
  • 百濟の遺蹟
    關野 貞 考古學雜誌 第6卷 3號, 日本考古學協會 [1915]
  • 百濟 金銅冠의 製作과 賜與에 대한 一考察
    姜元杓 百濟의 冠, 국립공주 박물관 [2011]
  • 百濟 雄津期 喪葬禮 硏究 –武寧王陵을 中心으로-
    河在一 공주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2014]
  • 百濟 石室墳 硏究
    李南奭 學硏文化社 [1995]
  • 百濟 漢城期의 石室墳 特徵과 性格 考察 -최근 발굴된 백제 석실분 을 중심으로-
    황보경 史林 37, 수선사학회 [2010]
  • 百濟 武寧王陵의 築造 背景 硏究
    崔旭鎭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百濟 武寧王陵 나무배개에 쓰여진 銘文 ‘甲’, ‘乙’에 대하여
    安秉燦 李相洙 考古學誌 2, 韓國考古美術硏究所, pp.98~104 [1990]
  • 百濟 有蓋三足器의 編年 硏究
    土田純子 韓國考古學報 52, 韓國考古學會 [2004]
  • 百濟 土器의 編年 硏究 -三足器 高杯 뚜껑을 중심으로-
    土田純子 忠南 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4]
  • 百濟 國家의 形成 硏究
    朴淳發 서울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8]
  • 百濟 三足土器의 一硏究
    姜熙天 尹煥 古代硏究 4, 古代硏究會, pp.47~74. [1995]
  • 百濟 三足土器 擴散과 消滅過程 硏究
    姜元杓 高麗大學校 碩士學位論文 [2001]
  • 發掘調査資料로 본 百濟時代의 祭祀遺蹟
    閔德植 史學硏究 71, 한국사학 회, pp.1~76. [2003]
  • 畿甸文化財硏究院
    내대덕골 유적쇄-용인 죽전 택지개발지구내- [2003]
  • 畿甸文化財硏究院
    내龍仁 麻北里 百濟 土壙墓쇄-‘서울 EMS테크센터’ 부지내 발굴조사보고서- [2005]
  • 環頭大刀와 裝飾刀子
    申光燮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 濟文化硏究所. [1991]
  • 王志高, 2005, 「百濟武寧王陵形制結構的考察」,『東亞考古論壇』1, 忠淸文化財硏究院, pp.181~204.
  • 王宮里遺蹟 發掘中間報告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1992]
  • 王妃頭枕과 墨書銘
    安秉燦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硏究所. [1991]
  • 熊津 泗沘期 百濟土器 編年에 대하여-三足器와 直口短頸壺를 中心으 로-
    朴淳發 百濟硏究 37,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57~80. [2003]
  • 無文土器時代의 生活儀禮
    李相吉 「환호집락과 농경사회의 형성」영남고곡 학회․ 구주고고학회 제3회 합동고고학대회 발표자료집, 영남고고학회․ 구주 고고학회, pp.241~279. [1998]
  • 漢江流域 百濟土器의 變遷과 夢村土城의 性格에 대한 一考察
    朴淳發 서울 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89]
  • 漢城期 百濟 石室墳의 再認識
    李南奭 眞檀學報 103, 震檀學會. [2007]
  • 漢城時代 百濟의 古墳文化
    李南奭 서경문화사 [2014]
  • 漢代厚葬風俗과 薄葬論, 내史林쇄15
    구성희 수선사학회 [2001]
  • 漢代 考古學 槪說
    姜仁求 王仲殊 學硏文化社 [1993]
  • 漢代 木槨墓 硏究
    辛勇旻 學硏文化社 [2000]
  • 淸家章, 2011, ③破碎副葬と葬送祭祀, 古墳構造と葬送祭祀 古墳時代の考古學3, 同成社.
  • 泗沘時代의 百濟考古學
    李南奭 서경문화사 [2014]
  • 江介也, 2005, 魏晋南北朝の分類と地域性․ 文化圈, 東亞考古論壇 創刊號, (財) 忠淸文化財硏究院
  • 氷庫를 통해 본 公州 艇止山遺蹟의 性格
    金吉植 『考古學誌』 12, 韓國考古 美術硏究所, pp.49~76. [2001]
  • 水野淸一・小林行雄編, 1959, 考古學辭典, 東京創元社
  • 武寧王陵의 誌石과 元嘉曆法
    李殷晟 東方學志 43, 延世大學校 國學硏究院 [1984]
  • 武寧王陵의 葬法과 墓制
    姜仁求 내百濟武寧王陵쇄,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148~162. [1991]
  • 武寧王陵의 木棺
    尹武炳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 武寧王陵 및 松山里六號墳의 塼築構造에 대한 考察
    尹武炳 百濟硏究 5,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4]
  • 武寧王陵 買地券의 起源과 受容背景
    張守男 『百濟硏究』54,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pp.83~112. [2011]
  • 武寧王陵 石獸의 硏究
    尹武炳 百濟硏究 9,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8]
  • 武寧王陵 撥遣 頭枕과 足座
    秦弘燮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 武寧王陵 墓誌를 통해 본 百濟人의 生死觀
    張寅成 『百濟硏究』 32, 忠南大 學校 百濟硏究所, pp.161~171. [2002]
  • 武寧王陵 出土 獸形佩飾
    金元龍 百濟硏究 6,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5]
  • 武寧王陵 出土 <童子像>에 對하여
    成周鐸 百濟硏究 10, 忠南大學校 百 濟硏究所. [1979]
  • 武寧王 誌石解釋에 대한 一考
    鄭求福 宋俊浩敎授停年記念論叢, pp.39~52 [1987]
  • 武玮, 2014, 汉代模型明器所见的丧葬观念, 中原文物 2014年第4 期.
  • 武寧王과 隅田八幡畫象鏡
    金在鵬 孫寶基 博士停年記念 韓國史學論叢, 지식산업사 [1988]
  • 樂浪郡과 弁・辰韓의 墓制-부장품의 조성과 배치에 대 한 분석을 중심으로
    高久建二(타카쿠켄지) 내고고학으로 본 변・진한과 왜쇄영남고고학회・구주고 고학회 제4회 합동고고학대회, 영남고고학회・구주고고학회. [2000]
  • 東北亞속의 韓國의 岩刻畵
    金貞培 韓國史硏究 제99·100호, 韓國史硏究. [1997]
  • 朴天秀, 1994, 伽耶․ 新羅地域の首長墓における筒形器臺, 考古學硏究 40卷4號.
  • 木棺의 樹種
    朴相珍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 究所. [1991]
  • 木棺墓 葬送儀禮의 復原
    무라마츠 요스케(村松洋介) 코기토 65, 부산대 학교 인문학연구소, pp.111~141. [2009]
  • 朝鮮美術史
    關野 貞 朝鮮史學會 [1932]
  • 朝鮮總督府
    내大正五年度古蹟調査報告쇄 [1916]
  • 朝鮮總督府
    내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쇄 [1917]
  • 朝鮮總督府
    내昭和二年度古蹟調査報告쇄 [1935]
  • 朝鮮總督府
    내大正十一年度 朝鮮古蹟調査報告 第一冊쇄 [1924]
  • 朝鮮古蹟硏究會
    내昭和十二年度 古蹟調査報告쇄 [1938]
  • 朝鮮初期 喪葬儀禮 硏究
    鄭鍾秀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朝陽洞文化 晩期의 무덤 構造
    崔鍾圭 考古學探究 8, 考古學探究會 [2010]
  • 最上孝敬編, 1979, 墓の習俗, 葬送墓制硏究集成 第4卷, 名著出版.
  • 日本 횡혈식 석실분의 축조과정과 그 상장례에 대한 시론 - 九州地 域의 6~7세기대의 圓墳을 중심으로-
    姜玧錫 내傳統文化論叢쇄3, 한국전통문화학교. [2005]
  • 新羅時代의 葬法과 喪・祭
    崔在錫 韓國古代社會史硏究 , 一志社, pp. 505~528 [1987]
  • 新羅古墳硏究
    崔秉鉉 一志社 [1992]
  • 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金恩鏡 한국고고학보 77, 한국고고학회 [2010]
  • 新羅․ 伽耶土器樣式의 生成
    李盛周 韓國考古學報 72, 韓國考古學會 [2009]
  • 新羅․ 伽倻古墳에 나타난 祭祀儀式에 關한 硏究 : 5․ 6世紀代 古墳 建築過程을 中心으로
    姜玧錫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 新羅․ 伽倻 墳墓의 祭儀遺構와 遺物에 관한 硏究
    金東淑 내嶺南考古學쇄 30, 嶺南考古學會, pp.59~98. [2002]
  • 新羅 象形 注口附容器에 대한 硏究
    愼仁珠 東亞大學校 博士學位論文 [2002]
  • 新羅 注口附容器에 대한 硏究
    愼仁珠 文物硏究 3, 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 재단. [1998]
  • 文化財管理局
    내武寧王陵 發掘調査報告書쇄 [1973]
  • 技術, 埋葬儀禮, 그리고 土器樣式
    李盛周 韓國考古學報 52, 韓國考古學 會, pp. 95~136 [2004]
  • 扶餘陵山里傳百濟王陵 ․ 益山雙陵
    有光敎一 橿原考古學硏究所論集 第 四, 橿原考古學硏究所 [1979]
  • 扶餘文化財硏究所
    내陵山里쇄扶餘 陵山里 公設運動場 新築 豫定敷地 -百濟古 墳 1 ․ 2차 緊急發掘調査報告쇄 [1994]
  • 扶餘 陵山里寺址 伽藍中心部의 變遷 過程
    李炳鎬 韓國史硏究 143, 韓國 史硏究會, pp.35~76 [2008]
  • 扶餘 陵山里 一古墳의 調査 : 史蹟 第十五號
    洪思俊 내美術史學硏究쇄7-3卷 [1966]
  • 慶星大學 校博物館
    내金海 大成洞 古墳群 Ⅰ쇄 [2000]
  • 慶州 ․ 蔚山地域의 三國時代 毁損土器 硏究
    權龍大 내湖西考古學쇄16, 湖 西考古學會. [2007]
  • 慶尙大學校 博物館
    내陜川 玉田 古墳群 Ⅵ쇄-23 ․ 28號墳- [1997]
  • 忠淸西海岸地方 百濟土器硏究 -保寧・舒川地方을 중심으로-
    金鍾滿 百濟 硏究 25, 忠南大百濟硏究所, pp.49~88. [1995]
  • 忠淸文化財硏究院
    내扶餘 佳塔里 旺浦里 軍守里 遺蹟쇄 [2003]
  • 忠淸文化財硏究院
    내靑陽 長承里 古墳群쇄 [2004]
  • 忠淸文化財硏究院
    내扶餘 井洞里遺蹟쇄 [2005]
  • 忠淸文化財硏究院
    내舒川 秋洞里 遺蹟(II地域)쇄 [2006]
  • 忠淸文化財硏究院
    내서천 옥북리 유적쇄 [2007]
  • 忠淸文化財硏究院
    내牙山 大興里 큰선장 遺蹟쇄 [2008]
  • 忠淸文化財硏究院
    내保寧 蟻坪里 가느실골 古墳群쇄 [2009]
  • 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내牙山 臥牛里 ・新法里 遺蹟쇄 [2001]
  • 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내公州 金鶴洞 古墳群쇄 [2002]
  • 忠淸埋藏文化財硏究院
    내舒川 花山里 古墳群쇄 [2003]
  • 忠淸南道歷史文化院
    내扶餘 甑山里 遺蹟쇄 [2004]
  • 忠淸南道歷史文化院
    내舒川 鳳仙里 遺蹟쇄 [2005]
  • 忠淸南道歷史文化院
    내錦山 水塘里 遺蹟쇄 [2007]
  •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瑞山 富長里遺蹟쇄 [2008]
  •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내아산 탕정 LCD단지 조성부지(2구역) 내 牙山 鳴岩 里 밖지므레 遺蹟 2-2地點쇄 [2011]
  •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내논산 제2일반산업단지 조성사업 예정부지내 論山 院南里 定止里遺蹟쇄 [2012]
  •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내公州 水村里古墳群 Ⅰ쇄 [2013]
  •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내公州 水村里古墳群 Ⅱ쇄 [2014]
  • 忠淸南道歷史文化硏究院
    내公州 水村里古墳群 Ⅲ쇄 [2015]
  •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내保寧 保寧里 百濟古墳發掘調査報告書쇄 [1984]
  •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定林寺쇄 [1981]
  •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扶餘 官北里百濟遺蹟發掘報告(Ⅰ)쇄 [1985]
  •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神衿城쇄-綜合發掘調査報告- [1994]
  •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扶餘 官北里百濟遺蹟發掘報告(Ⅱ)쇄 [1999]
  •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龍山洞쇄 [2002]
  •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天安 新豐里遺蹟쇄 [2004]
  •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弓洞쇄 [2006]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新鳳洞百濟古墳發掘調査報告書쇄 [1983]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 新鳳洞 百濟古墳 發掘調査 報告書-1990년도 조사-쇄 [1990]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 松節洞 古墳群쇄 [1994]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 新鳳洞 古墳群쇄 [1995]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 新鳳洞 古墳群쇄-1995年度 調査- [1996]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 新鳳洞 百濟古墳群쇄-2000年度 調査- [2002]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 新鳳洞 百濟古墳群쇄-2003年度 調査- [2005]
  •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忠州 金陵洞 遺蹟쇄 [2007]
  • 張英, 1990, 從考古學着我國東北古代民族毁器習俗, 北方文物 1990-3期.
  • 弁辰韓 社會의 발전과정-木槨墓의 출현배경과 관련하여
    李在賢 嶺南考古 學 17, 嶺南考古學會 [1995]
  • 廢棄에 관한 考古學的 檢討
    李相吉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周年記 念論叢, 慶北大學校 考古人類學科 [2000]
  • 巫鸿, 2010, “生器”的概念与实践文物, 文物 2010-1期.
  • 巫鸿, 2006, “明器”的理论和实践-战国时期礼仪美术中的观念化倾向- , 文物 2006-6期.
  • 嶺南地域 木棺墓에 대한 硏究
    李在賢 釜山大學校 碩士學位論文, pp. 40~41 [1994]
  • 尹根一, 1988, 「公州宋山里古墳發掘調査槪報」, 『文化財』 21, 文化財管理局.
  • 小形鐵製模型農工具 副葬의 意義
    安順天 嶺南考古學報 18, 嶺南考古學會. [1996]
  • 宋山里 方壇階段形 積石遺蹟에 대한 檢討
    徐程錫 百濟文化 24, 公州大 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39~54. [1995]
  • 宋山里 方壇階段式 무덤
    趙由典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威勢品으로 본 古新羅社會의 構造
    朴普鉉 慶北大學校 博士學位論文 [1995]
  • 姜仁求, , 내百濟古墳硏究쇄
    一志社 [1977]
  • 大平茂, 2008, 祭祀考古學の硏究, 雄山閣.
  • 大學校 博物館
    한신 내風納土城 Ⅲ쇄-삼화연립 재건축 사업부지에 대한 조사보고- [2003]
  • 大學校 博物館
    한신 내風納土城 Ⅳ쇄-慶堂地區 9號 遺構에 대한 發掘報告- [2004]
  • 大場磐雄, 1971, 葬制の變遷, 古代の日本 2, 角川書店.
  • 大伽倻圈域의 縮小模型鐵製農工具 硏究
    安順川 釜山大學校 碩士學位論文 [1997]
  • 埋葬三祭
    崔鍾圭 晉州 武村Ⅱ-高麗 ․ 朝鮮墓群(2) , 경남고고학연구소 [2004]
  • 土生田純之, 1998, 黃泉國の成立, 學生社.
  • 土壙木棺墓 構造硏究(Ⅰ)
    金亨坤 韓國上古史學報 10, 韓國上古史學會. [1992]
  • 圓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 , 「高敞, 雲谷里百濟窯址發掘報告」, 내高敞
    雅山地區 支石墓 發掘調査報告書쇄 [1984]
  • 圓光大學校 馬韓・百濟文化硏究所 全羅北道
    내益山 五金山城 發掘調査報告書쇄 [1985]
  • 圓光大學校 博物館・百濟文化開發硏究院, , 내益山 熊浦里 百濟古墳群쇄 -1992
    1993年度 發掘調査 [1995]
  • 國防文化財硏究院
    내燕岐 龍湖里遺蹟쇄 [2012]
  • 國立淸州博物館 忠北大學校 博物館
    내淸州 新鳳洞 百濟古墳 發掘調査報告書쇄 [1990]
  • 國立晋州博物館
    『陜川 磻溪堤 古墳群쇄 [1987]
  • 國立文化財硏究所
    내彌勒寺址쇄 [1989]
  • 國立文化財硏究所
    내扶蘇山城쇄發掘調査報告書(1980, 1983~1987)쇄 [1996]
  • 國立文化財硏究所
    내風納土城 Ⅰ쇄-현대연합주택 및 Ⅰ지구 재건축부지- [2001]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 내花枝山쇄
    遺蹟發掘調査報告書 [2002]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 내王宮里쇄
    發掘調査 中間報告 Ⅲ [2001]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扶餘 芝仙里 古墳群쇄 [1991]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扶餘 舊衙里 百濟遺蹟 發掘調査報告書쇄 [1993]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扶蘇山城쇄發掘中間報告書 [1995]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彌勒寺쇄遺蹟發掘調査報告書 Ⅱ [1996]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王宮里쇄發掘調査 中間報告 Ⅱ [1997]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宮南池쇄 [1998]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扶蘇山城쇄 [1999]
  •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
    내扶蘇山城쇄發掘中間報告書 Ⅳ [2000]
  • 國立扶餘博物館
    내松菊里쇄遺蹟發掘調査報告書 Ⅳ [2000]
  • 國立慶州博物館
    『李養璿博士 蒐集文化財쇄 [1986]
  • 國立公州博物館 忠南大學校 博物館
    내大田 月坪洞遺蹟쇄 [1999]
  • 國立公州博物館 (주)현대건설
    내艇止山쇄 [1999]
  • 國立公州博物館
    내天安 花城里 百濟墓쇄 [1991]
  • 國立公州博物館
    내下鳳里 Ⅰ쇄 [1995]
  • 國立全州博物館
    내바다와 祭祀-扶安 竹幕洞 祭祀遺蹟-쇄특별전 도록 [1995]
  • 國立全州博物館
    내扶安 竹幕洞 祭祀遺蹟쇄 [1994]
  • 國立中央博物館
    내法泉里 Ⅰ쇄 [2000]
  • 國立中央博物館
    내法泉里 Ⅱ쇄 [2002]
  • 國家文物局, 2004, 新疆鄯善洋海墓地, 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 嘉耕考古學硏究所
    내泰安 橽山里 遺蹟쇄 [2012]
  • 嘉耕考古學硏究所
    내서천 화산리 수리넘어재 유적쇄 [2013]
  • 商務印書館編輯部等, 1988, 辭源(合訂本), 商務印書館.
  • 和田晴吾, 최영주 譯, , 「古墳文化論」, 내湖南文化財硏究院쇄12
    湖南文化財硏究 院, pp. 57~113 [2012]
  • 周溝土壙墓에 관한 몇가지 問題
    姜仁求 내精神文化硏究쇄17-3, 韓國精神文 化硏究院. [1994]
  • 吉林省文物考古硏究所, 1987, 楡樹老河深, 文物出版社..
  • 吉井秀夫, 1997, 百濟橫穴式石室墳埋葬方式, 立命館大學考古學論集 1, 立命 館大學考古學論集刊行會
  • 吉井秀夫, 1995, 百濟の木棺-橫穴式石室墳出土例を中心として, 立命館文學 542, 立命館大學人文學會.
  • 吉井秀夫, 1991, 朝鮮半島錦江下流域の三國時代墓制, 史林 74-1.
  • 可樂洞 百濟 古墳 第 1, 2號墳 發掘調査 略報
    尹世英 내考古學쇄 [1974]
  • 古屋紀之, 2007, 古墳の成立と葬送祭祀, 雄山閣.
  • 古墳에서 엿볼 수 있는 新羅의 葬送儀禮
    金基雄 내新羅文化祭學術發表論文 集-新羅宗敎의 新硏究쇄5, 新羅文化宣揚會 · 慶州市. [1984]
  • 古墳에 副葬된 土器의 一考察
    尹世英 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 1 -考古學編-, 一志社. [1987]
  • 古墳考古學硏究
    尹武炳 學硏文化社 [1992]
  • 古墳 出土 副葬品 硏究
    尹世英 高麗大學校 民族文化硏究所 [1988]
  • 古代의 氷庫와 喪葬禮
    金吉植 『韓國考古學報』47, 韓國考古學會. [2002]
  • 原三國後期~百濟初期漢江中 下流域의 墓制와 地域集團 硏究
    車胤煥 용 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南朝의 喪禮 硏究
    張寅成 『百濟硏究』 3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49~160. [2000]
  • 南朝文化와 百濟
    周裕興 古代 東亞世亞와 百濟 , 서경문화사, pp. 239~251 [2003]
  • 北武藏古代文化硏究會編, 1933, 古墳時代の祭祀-祭祀關係の遺跡と遺物, 第2回東 日本埋臟文化材硏究會, 東日本埋臟文化材硏究會.
  • 冠飾
    尹世英 百濟武寧王陵 , 忠淸南道․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1991]
  • 公州師範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내公山城쇄 [1982]
  • 公州師範大學校 博物館
    내公山城 百濟 推定王宮址 發掘調査報告書쇄 [1987]
  • 公州大學校博物館 百濟文化開發硏究院
    내論山 矛村里 百濟古墳群 發掘調査報 告書 -1992年度 發掘調査쇄 [1993]
  • 公州大學校博物館 百濟文化開發硏究院
    내論山 矛村里 百濟古墳群 發掘調査報 告書(Ⅱ) -1993年度 發掘調査쇄 [1994]
  • 公州大學校 博物館 百濟文化開發硏究院
    내홍성 성호리 百濟古墳群 發掘調査報 告書 -1989年度 發掘調査-쇄 [1991]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公山城地域 發掘調査報告書쇄 [1990]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公山城 建物址쇄 [1992]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九龍寺址쇄 [1995]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汾江 楮石里 古墳群쇄 [1997]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公州 山儀里 遺蹟쇄 [1999]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龍院里 古墳群쇄 [2000]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公州 山儀里 古墳群쇄 [2002]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塩倉里 古墳群쇄 [2003]
  • 公州大學校 博物館
    내응암리 古墳群쇄 [2008]
  • 公州 宋山里 古墳 發掘調査 槪報
    尹根一 文化財 21, 국립문화재연구소 [1988]
  • 儀禮, 記念物, 그리고 個人墓의 발전
    李盛周 湖西考古學 26, 湖西考古學 會, pp.74~109 [2012]
  • 保寧 九龍里 百濟古墳과 出土遺物
    安承周 百濟文化 10, 公州師範大學附 設 百濟文化硏究所 [1977]
  • 井之口章次編, 1979, 葬送儀禮, 葬送墓制硏究集成 第2卷, 名著出版.
  • 二重葬制와人間의精神性
    全京秀 韓相福 『韓國文化人類學』2, 한국문化人 類學會, pp. 74~86. [1961]
  • 久保哲三, 1984, モガリと古墳, 季刊考古學 9.
  • 中西部地方 百濟 甕棺墓
    李南奭 역사와 역사교육 3,4합집, 웅진사학회. [1999]
  • 中西部地域 百濟 竪穴式 石槨墓 硏究
    金榮國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0]
  • 中西部地域 橫口式 石槨墓 變遷 硏究 -百濟 泗沘期 ~ 統一新羅時代 를 中心으로-
    朴有貞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 中西部地域 墳丘墓의 檢討
    李南奭 『先史와 古代』35, 한국고대학회. [2011]
  • 中央文化財硏究院
    내淸州 山南3地區 宅地開發事業地區 內 淸州 山南洞 墳墓遺蹟쇄 [2006]
  • 中央文化財硏究院
    내安城 瑞雲-安城間道路 擴鋪裝 工事敷地 內 安城道基洞遺蹟쇄 [2008]
  • 中央文化財硏究院
    내仁川 經濟自由區域 永宗地區 永宗하늘都市 內(1區域)仁川 雲西洞遺蹟 Ⅰ쇄 [2010]
  • 中央文化財硏究院
    내仁川 經濟自由區域 永宗地區 永宗하늘都市內(3區域) 仁川 中山洞 遺蹟쇄 [2011]
  • 中央文化財硏究院
    내論山 院北里遺蹟쇄 [2001]
  • 中國正史 百濟傳 硏究
    兪元載 學硏文化社 [1993]
  • 中國墓制가 武寧王陵에 미친 影響의 木棺 -風水地理的 要素-
    姜仁求 내百 濟硏究쇄10,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1979]
  • 中國喪禮考-禮記中心
    李聖愛 韓國文化硏究院論叢 50, 梨花女子大學校 韓國文化硏究院, pp.31~124. [1991]
  • 中原文化財硏究院
    내沃川 醫療機器 電子農工團地 造成敷地 內 文化遺蹟發掘 調査 沃川 加豊里Ⅱ 遺蹟쇄 [2011]
  • 上井久義編, 1979, 墓の歷史, 葬送墓制硏究集成 第5卷, 名著出版.
  • 三韓의 木棺墓에 대하여- 嶺南地方出土 資料를 中心으로
    李柱憲 古文化 44,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4]
  • 三韓 早期墓의 禮制
    崔鍾圭 考古學探究 창간호, 考古學探究會 [2007]
  • 三江文化財硏究院
    내平澤 東倉里遺蹟쇄 [2011]
  • 三國時代 律令의 考古學的 硏究
    山本孝文 서경문화사 [2006]
  • 『장례의 역사』
    박태호 서해문집 [2006]
  • 『유교의 사상과 의례』
    금장태 예문서원 [2000]
  •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상설전시도록 [2010]
  • 『공산성 성안마을 내 유적 제5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공주대학교박물관 [2012]
  • 『공산성 성안마을 내 유적 제4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공주대학교박물관 [2011]
  • 『고대 한국인의 생사관』
    나희라 지식산업사 [2007]
  • 『高句麗 古墳壁畵의 世界』
    전호태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한국 고대의 새〔鳥〕관념과 祭儀」
    권오영 『역사와현실』 32, 한국역사연구회 [1999]
  • 「정지산 유적의 성격에 대한 검토」
    이남석 『정지산』, 국립공주박물관 [1999]
  • 「백제횡혈식 묘제의 구조형식연구」
    이남석 내百濟文化』 22, 公州大學校 百濟 文化연구소 [1992]
  • 「백제의 장례풍습」
    이한상 『百濟의 文化와 生活』 百濟文化史大系 12, 충청남 도역사문화연구원, pp.448~470 [2007]
  • 「백제의 對中交涉의 전개와 그 성격」
    권오영 『古代 東亞細亞와 三韓 三國 의 交涉』, 복천박물관, pp.1~18 [2002]
  • 「백제와 중국의 무역도자」
    成正鏞 『백제연구』 38,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2003]
  • 「백제묘제의 전개에서 본 무령왕릉」
    이남석 『백제문화』31, 공주대학교 백제 문화연구소 [2002]
  • 「무령왕릉 출토 목관 부속구 -새로 확인된 시상을 중심으로-」
    윤태영 『무령 왕릉을 격물하다』, 국립공주박물관 [2011]
  • 「무령왕릉 지석을 통해 본 백제인의 생사관」
    장인성 『百濟硏究』 27, 忠南大 學校 百濟硏究所 [1997]
  • 「무덤연구의 새로운시각」
    권오영 내무덤연구의 새로운 시각쇄제51회 전국역 사학대회 발표자료집, 한국고고학회, pp.5~14 [2008]
  • 「묘제의 변천으로 본 한성기 백제의 지방 재편 과정」
    박순발 『한국고대사연 구』48, 한국고대사학회 [2007]
  • 「남경 및 주변지역 六朝 대형 전실묘의 築造工程에 대한 일고찰」
    조윤재 내考 古學探究쇄3, 고고학탐구회 [2008]
  • 「고구려 횡혈식석실분의 매장프로세스」
    권오영 『횡혈식석실분의 수용과 고구 려 사회의 변화』, 동북아역사재단, pp.12~65 [2009]
  • 「長江流域 漢․ 六朝時期 塼室墓의 四隅券進式 天頂部에 대한 고찰」
    조윤재 『百濟硏究』 52, 忠南大學校 百濟硏究所, pp.1~28 [2010]
  • 「百濟 石室墳群內 埋納遺構의 檢討 : 公州 汾江 古墳群 資料의 檢 討」, 내古文化쇄50
    이남석 한국대학박물관협회 [1997]
  • 「喪葬制를 중심으로 본 武寧王陵과 南朝墓의 비교」
    권오영 『百濟文化』 31, 公州大學校 百濟文化硏究所, pp.51~64 [2002]
  • 「公州 艇止山遺蹟의 編年과 性格」
    이한상 『백제의 왕실제사유적 정지산 학술 발표대회 요지문』, 국립공주박물관 [1998]
  • 「4~5세기 百濟의 地方支配」
    성정용 『한국고대사연구』 24, 한국고대사학회 [2001]
  • 3~4세기 중서부지역의 목관(곽)묘 연구 -경기 남부와 충청지역을 중 심으로-
    이미선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