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李奎報 漢詩의 內面意識 硏究

이희영 2016년
논문상세정보
' 李奎報 漢詩의 內面意識 硏究'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고려중기
  • 관인
  • 내면의식
  • 이규보
  • 한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47 0

0.0%

' 李奎報 漢詩의 內面意識 硏究' 의 참고문헌

  • 󰡔李奎報 詩語 索引󰡕
    김경수 이회문화사 [2000]
  • 󰡔李奎報 詞의 硏究󰡕
    백정희 한국학술정보 [2011]
  • 󰡔한시의 세계󰡕
    심경호 문학동네 [2006]
  • 󰡔한국명가한시선󰡕1
    송준호 문헌과해석사 [1999]
  • 󰡔한국 도교의 기원과 역사󰡕
    정재서 이화여대 출판부 [2008]
  • 󰡔표준국어대사전󰡕
    http://stdweb2.korean.go.kr(국립국어원)
  • 󰡔중국시가예술연구󰡕하, 박종혁 외 4인 공역
    원행패 아세아문화사 [1994]
  • 󰡔중국 시가의 이미지󰡕, 임준철 역
    천즈어 한길사 [2013]
  • 󰡔중국 고전 시, 계보의 시학󰡕, 심경호 옮김
    가와이 고죠 이회 [2005]
  • 󰡔조선중기 한시 의상 연구󰡕
    임준철 일지사 [2010]
  • 󰡔전란의 시대󰡕
    임용한 혜안 [2008]
  • 󰡔장자강의󰡕
    전호근 동녘 [2015]
  • 󰡔이규보 작품집 : 동명왕의 노래󰡕1
    이규보 김상훈·류희정 옮김, 보리 [2005]
  • 󰡔옛 문인들의 붓 끝에 오르내린 고려시󰡕2
    김동욱 월인 [2006]
  • 󰡔여몽전쟁과 강화도성연구󰡕
    윤용혁 혜안 [2011]
  • 󰡔신편 고려시대사󰡕
    박용운 일지사 [2008]
  • 󰡔생활인 이규보󰡕
    김용선 일조각 [2013]
  • 󰡔보한집󰡕에 보인 최자의 주기론, 󰡔시화학󰡕3 4
    이향배 동방시화학회 [2001]
  • 󰡔백운 이규보 시의 연구󰡕
    이동철 국학자료원 [1994]
  • 󰡔몽골제국과 고려󰡕
    김호동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5]
  • 󰡔맹호연시연구󰡕
    이남종 서울대학교출판부 [2007]
  • 󰡔두보배율연구󰡕
    강민호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2014]
  • 󰡔동인시화󰡕, 박성규 역주
    서거정 집문당 [1998]
  • 󰡔도교와 문학 그리고 상상력󰡕
    정재서 푸른숲 [2000]
  • 󰡔국역 동국이상국집󰡕1~7, 민족문화추진회 역
    이규보 민족문화추진회 [1978]
  • 󰡔국역 고려사절요󰡕1~5
    金宗瑞 민족문화추진회편 [1968]
  • 󰡔고려후기 사대부 작가론󰡕
    김동욱 박이정 [2004]
  • 󰡔고려후기 사대부 문학의 연구󰡕
    김동욱 상명여대 출판부 [1991]
  • 󰡔고려후기 사대부 문학 연구󰡕
    박성규 고려대 출판부 [2003]
  • 󰡔고려중기 문학연구󰡕
    손정인 문창사 [1998]
  • 󰡔고려중기 문학론󰡕
    심호택 계명대학교국학연구원 [1991]
  • 󰡔고려의 과거제도󰡕
    허흥식 일조각 [2005]
  • 󰡔고려시대의 국가와 지방사회󰡕
    채웅석 서울대 출판부 [2002]
  • 󰡔고려시대 역사문학연구󰡕
    손정인 역락 [2009]
  • 󰡔고려시대 관계관직 연구󰡕
    박용운 고려대 출판부 [2001]
  • 󰡔고려사󰡕선거지 역주󰡕
    박용운 경인문화사 [2012]
  • 󰡔고려문학 미의식 연구󰡕
    채미화 박이정 [1995]
  • 󰡔고려무신정권 연구󰡕
    민병하 성균관대 출판부 [1990]
  • 󰡔고려 후기 한문학과 지식인󰡕
    김승룡 지식을만드는지식 [2013]
  • 󰡔고려 무인정권기 문사 연구󰡕
    황병성 경인문화사 [2008]
  • 󰡔韓非子󰡕, 󰡔欽定四庫全書󰡕
  • 󰡔韓國文集叢刊󰡕
    http://db.itkc.or.kr(한국고전번역원)
  • 󰡔詩傳󰡕
    학민문화사 [1990]
  • 󰡔西河集󰡕, 󰡔韓國文集叢刊󰡕권2
    林 椿 민족문화추진회 [1988]
  • 󰡔漢詩の講義󰡕
    石川忠九 대수관서점 [2002]
  • 󰡔梅湖遺稿󰡕, 󰡔韓國文集叢刊󰡕권2
    陳 澕 민족문화추진회 [1988]
  • 󰡔東文選󰡕
    徐居正 민족문화추진회 [1999]
  • 󰡔東國李相國集󰡕상 하
    李奎報 조선고서간행회 [1913]
  • 󰡔東國李相國後集󰡕1권~12권, 󰡔韓國文集叢刊󰡕2
    李奎報 민족문화추진회 [1988]
  • 󰡔東國李相國全集󰡕1권~41권, 󰡔韓國文集叢刊󰡕1~2
    李奎報 민족문화추진회 [1988]
  • 󰡔大東詩選󰡕
    張志淵 아세아문화사 [2007]
  • 󰡔列子󰡕, 󰡔欽定四庫全書󰡕
  • 󰡔丁茶山論語古今注原義總括考徵󰡕
    김언종 台北 : 學海出版社 [1987]
  • 󰡔CD-ROM 文淵閣四庫全書 電子版󰡕, 迪志文化出版有限公司, 2000.
  • 「󰡔보한집󰡕의 비평문학적 성격」, 󰡔진단학보󰡕65
    전형대 진단학회 [1988]
  • 「󰡔보한집󰡕에 나타난 최자의 인문정신과 비평의식」, 󰡔한문학논집󰡕16
    김승룡 근역한문학회 [1998]
  • 「󰡔보한집󰡕에 나타난 최자의 의식내용」, 󰡔진단학보󰡕65
    박창희 진단학회 [1988]
  • 「󰡔보한집󰡕 고 : 특히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어문논집󰡕1
    박성규 민족어문학회 [1977]
  • 「󰡔동국이상국집󰡕에 나타난 고려시대상과 이규보」, 󰡔진단학보󰡕83호
    박종기 진단학회 [1997]
  • 「「동명왕편」의 기술성의 성격과 의미」, 󰡔한민족어문학󰡕57
    손정인 한민족어문학회 [2010]
  • 「李奎報의 「開元天寶詠史詩西十三首」 硏究」, 󰡔열상고전연구󰡕5
    유재일 열상고전연구회 [1992]
  • 「李奎報의 본질에 대한 연구 (Ⅲ)」, 󰡔역사문화연구󰡕3
    박창희 한국외대 역사문화연구소 [1990]
  • 「李奎報의 본질에 대한 연구 (II) : 그의 40代이후의 의식의 변용에 대하여」, �역사문화연구󰡕2
    박창희 한국외대 역사문화연구소 [1989]
  • 「李奎報의 미학사상」, 󰡔민족문화연구󰡕47
    정우봉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7]
  • 「李奎報의 辭賦文學 補Ⅱ」, 󰡔한국어문교육󰡕8
    김성수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2000]
  • 「李奎報의 辭賦文學 補Ⅰ」, 󰡔한국어문교육󰡕7
    김성수 한국언어문학교육학회 [1999]
  • 「李奎報의 詩精神에 관한 考察」, 󰡔개신어문연구󰡕2
    신용대 개신어문학회 [1982]
  • 「李奎報의 詠物詩의 題材와 內容」, 󰡔한민족어문학󰡕12
    손정인 한민족어문학회 [1985]
  • 「李奎報의 禪詩硏究」
    박완식 우석대 석사논문 [1993]
  • 「李奎報의 疾病에 대한 意識과 문학적 표현」, 󰡔동방한문학󰡕40
    강민구 동방한문학회 [2009]
  • 「李奎報의 晩唐文學觀」, 󰡔동북아 문화연구󰡕14
    김창경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 「李奎報의 思惟樣式」, 󰡔한국학논집󰡕15
    심호택 계명대학교한국학연구소 [1988]
  • 「李奎報의 初唐詩 認識」, 󰡔중국어문논총󰡕36
    김창경 중국어문연구회 [2008]
  • 「李奎報와 陶淵明 詩의 비교문학적 고찰」, 󰡔동방한문학󰡕35
    김주순 동방한문학회 [2008]
  • 「李奎報對魏晉文人的認識」, 󰡔동북아 문화연구󰡕16
    김창경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08]
  • 「李奎報 致仕期 詩의 慾望 硏究」
    이민재 창원대 석사논문 [2011]
  • 「李奎報 硏究」
    유재영 󰡔논문집󰡕12, 원광대학교 [1978]
  • 「李奎報 年譜 硏究」(4), 󰡔한자한문연구󰡕
    박성규 고려대학교 한자한문연구소 [2006]
  • 「李仁老와 李奎報 漢詩의 對比 고찰」, 󰡔어문연구󰡕32
    윤인현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4]
  • 「한중문인의 자연관 비교연구 : 이규보와 도연명을 중심으로」, 󰡔중국어문논총󰡕42
    김창경 중국어문연구회 [2009]
  • 「한국 한문학의 연구 현황과 과제 : 이규보 연보연구」, 󰡔한국한문학연구󰡕34
    박성규 한국한문학회 [2004]
  • 「파한집 보한집의 시학적 연구」, 󰡔국어국문학󰡕113
    국어국문학회 [1995]
  • 「최자의 󰡔보한집󰡕 저술동기」, 󰡔진단학보󰡕65
    김당택 진단학회 [1998]
  • 「최자의 의식과 󰡔보한집󰡕의 성격」, 󰡔대동한문학󰡕2
    심호택 대동한문학회 [1989]
  • 「최자의 문학이론 : 여조산문학 소고」, 󰡔국어교육󰡕23~25합병호
    이상익 한국국어연구회 [1975]
  • 「최자 시론연구」, 󰡔인문논총󰡕2
    윤석산 한양대 인문과학대학 [1981]
  • 「최씨정권의 보한집 편간 의도에 대하여」, 󰡔한국학논집󰡕,13
    이종문 계명대 한국학연구소 [1988]
  • 「자연시의 의미와 한국에서의 전개 양상」, 󰡔동방한문학󰡕33집
    남재철 동방한문학회 [2007]
  • 「임춘론 : 그의 고문숭상과 산문성의 한시를 중심으로」, 󰡔한문학논집󰡕12집
    박성규 근역한문학회 [1994]
  • 「임춘 산문성 한시의 이해」, 󰡔대동한문학󰡕8집
    손정인 대동한문학회 [1996]
  • 「이인로의 고시에 대한 일고」, 󰡔인문과학연구󰡕4
    조세형 서경대 인문과학연구소 [1997]
  • 「이인로와 이규보의 문학관은 다른가?」
    정요일 󰡔한국한문학연구󰡕19, 한국한문학회 [1996]
  • 「이규보의 현실인식과 농민시」, 󰡔대동문화연구󰡕12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1978]
  • 「이규보의 초기시에 나타난 사회비판의식」, 󰡔서강어문󰡕4
    최경환 서강어문학회 [1984]
  • 「이규보의 인천관련 시문과 처세관」
    김 영 󰡔한국한문학연구󰡕23, 한국한문학회 [1999]
  • 「이규보의 시정신과 시세계의 몇 국면」, 󰡔이규보연구󰡕
    최경환 새문사 [1986]
  • 「이규보의 시세계」, 󰡔한국한시작가연구󰡕1
    민병수 한국한시학회 [1995]
  • 「이규보의 시세계」
    민병수 󰡔한국한시작가연구󰡕1, 한국한시학회 [1995]
  • 「이규보의 시세계」
    한국한문학연구󰡕19, 한국한문학회 [1996]
  • 「이규보의 서정시에 나타난 진출의식」, 󰡔국어교육󰡕
    정종대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992]
  • 「이규보의 사례를 통해서 본 최씨 집권기 관제 운영의 실상」
    박용운 󰡔사총󰡕53집 [2001]
  • 「이규보의 불교인식과 불교관계시」, 󰡔한자한문교육󰡕
    주호찬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0
  • 「이규보의 본질에 대한 연구」, 󰡔역사문화연구󰡕
    박창희 한국외대 사학연구소 [1987]
  • 「이규보의 문예이론」
    박희병 󰡔민족문학사연구󰡕10, 민족문학사학회 [1997]
  • 「이규보의 대민관」, 󰡔한국학논집󰡕13
    박성규 계명대 한국학연구원 [1986]
  • 「이규보의 강남 유람 이전 한시 연구」, 󰡔동양고전연구󰡕59
    이희영 동양고전학회 [2015]
  • 「이규보의 道家思想」, 󰡔국문학과 도교󰡕
    박희병 한국고전문학회 [1998]
  • 「이규보의 辭賦文學」, 󰡔한문고전연구󰡕5
    김성수 성신한문학회 [1995]
  • 「이규보의 詩論 : 「白雲小說」을 중심으로」, 󰡔한국문학연구󰡕2
    최운식 한국한문학회 [1997]
  • 「이규보의 新意論과 詩의 특질」, 󰡔한국한문학연구󰡕3 4
    김시업 한국한문학회 [1978]
  • 「이규보의 古詩에 대하여」, 󰡔서울여자대학논문집󰡕12
    김진영 서울여대 [1983]
  • 「이규보의 ‘傳’文學 考察」, 󰡔인문학연구󰡕󰡔35
    최준화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2008]
  • 「이규보의 '화삼백운시' 연구」, 󰡔인문학연구󰡕22
    김경수 중앙대 인문과학연구소 [1994]
  • 「이규보와 임춘 詩에 표현된 靑山의 대비연구」, 󰡔수련어문논집󰡕28
    엄경흠 수련어문학회 [2003]
  • 「이규보 󰡔강남집󰡕연구」, 󰡔우리어문연구󰡕53호
    이희영 우리어문학회 [2015]
  • 「이규보 「개원천보영사시」에 나타난 역사 인식과 형식미」, 󰡔동양한문학연구󰡕15
    김창경 동양한문학회 [2001]
  • 박사
    「이규보 한시의 연구」
    박성규 고려대 박사논문 [1982]
  • 「이규보 제화시를 통한 고려 화조화의 일고찰, 󰡔민족문화연구󰡕53
    이은하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0 [2010]
  • 「이규보 영물시 연구」, 󰡔진단학보󰡕83호
    박성규 진단학회 [1997]
  • 「이규보 연보연구」(3), 󰡔퇴계학연구󰡕19
    박성규 단국대 퇴계학연구소 [2005]
  • 「이규보 연보연구」(2), 󰡔한문교육연구󰡕24
    박성규 한국한문교육학회 [2005]
  • 「이규보 연보 연구」, 󰡔한국한문학연구󰡕34
    박성규 한국한문학회 [2004]
  • 박사
    「이규보 연구」
    진축삼 성균관대 박사논문 [1977]
  • 박사
    「이규보 산문 연구」
    서정화 고려대 박사학위 논문 [2008]
  • 박사
  • 「이규보 문학론에 나타난 패러디적 긴장」, 󰡔국제어문󰡕38
    윤채근 국제어문학회 [2006]
  • 「영웅서사시「東明王」」, 󰡔인문과학󰡕5
    장덕순 연세대 인문과학연구소 [1960]
  • 「영물시 제목의 작품 속 노출 여부에 대한 소고 : 이규보 한시를 중심으로」, �東아시 아古代學󰡕31집
    우현식 동아시아고대학회 [2013]
  • 「여말선초 시화에 나타난 氣의 성격 변화와 그 의미」, 󰡔인문과학논총󰡕31집
    정운채 건국대 인문과학연구소 [1998]
  • 「소식 시에 대한 이규보의 追和詩」, 󰡔중국어문학지󰡕19
    김경동 중국어문학회 [2005]
  • 「백운 이규보 문학에 있어서의 桂陽」, 󰡔한국한문학연구󰡕49
    윤인현 한국한문학회 [2012]
  • 「문답식 산문의 특징에 대한 연구 : 이규보의 문답식 산문을 중심으로」, �동방한문학󰡕50
    우지영 동방한문학회 [2012]
  • 「두보 배율의 성취에 대한 소고」, 󰡔중국어문학󰡕44집
    강민호 영남중국어문학회 [2004]
  • 「고려시대 풍격비평 연구 : 󰡔파한집󰡕과 󰡔보한집󰡕을 중심으로」, 󰡔어문학󰡕83
    정시열 한국어문학회 [2004]
  • 「강남 유람이후 이규보 한시 연구」, 󰡔Journal of Korean Culture󰡕32집
    이희영 한국어문학 국제학술포럼 [2016]
  • 「高麗詩論硏究 : 形式論과 內容論을 主로 하여」, 󰡔어문연구󰡕1
    조종업 충남대학교 어문연구회 [1963]
  • 「高麗朝 詩話批評의 敍述方法 試考 : 東國李相國集과 四大詩話書를 中心으로」, �숭실어문󰡕3
    장홍재 숭실어문학회 [1986]
  • 「高麗前期 致仕制의 運營과 官人의 引年致仕」, 󰡔민족문화연구󰡕58
    이진한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3]
  • 「高麗中期의 民族敍事詩 : 東明王篇과 帝王韻紀의 硏究」
    이우성 󰡔논문집󰡕7, 성균관대 [1962]
  • 「高麗中期 田園詩 硏究」, 󰡔한문교육연구󰡕22
    주경렬 󰡔한국한문교육학회󰡕 [2004]
  • 「白雲小說에 나타난 李奎報의 創作意識과 批評觀」, 󰡔金龜論叢󰡕8
    정인모 동국전문대학 [2001]
  • 「杜牧과 李奎報의 氣意論 比較 硏究」, 󰡔중국어문논총󰡕39
    김창경 중국어문연구회 [2008]
  • 「『동인시화』의 이규보에 대한 논평」, 󰡔시화학󰡕1
    김선기 동방시화학회 [1998]
  • 「「答全履之論文書」에 나타난 李奎報의 문학관」, 󰡔한국고전연구󰡕8
    윤인현 한국고전연구학회 [2002]
  • 葉 燮, 󰡔역주 원시󰡕, 이태형 역
    학고방 [2012]
  • 편, 󰡔李奎報硏究󰡕
    김열규 신동욱 새문사 [1986]
  • 진단학회 편, 󰡔東國李相國全集󰡕
    일조각 [2000]
  • 이규보 의기론의 조비 문기론 수용양상 고찰」
    문승용 󰡔중국학연구󰡕41, 중국학연구회 [2007]
  • 이규보 연보
    김용선 일조각 [2013]
  • 이규보 시문학연구
    김경수 아세아문화사 [1986]
  • 이규보 선집
    김하라 이규보 돌베개 [2011]
  • 에드워드 슐츠, 󰡔무신과 문신󰡕, 김범 옮김
    글항아리 [2014]
  • 국역 매호유고
    변종현 진 화 한국고전번역원 [2013]
  • 국역 고려사
    김종서 정인지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역주, 경인문화사 [2008]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 : 고려무신정권󰡕18
    탐구당 [2013]
  • 고지로, 󰡔요시카와 고지로의 두보강의 : 시절을 슬퍼하여 꽃도 눈물 흘리고󰡕, 조영렬 박종우 옮김
    요시카와 뿌리와이파리 [2009]
  • 고려디새 대외관계사 연구
    김위현 경인문화사 [2004]
  • 고려 무신집권시대 문인지식인층의 현실대응
    金皓東 경인문화사 [2005]
  • 陶淵明, 󰡔陶淵明集󰡕, 󰡔欽定四庫全書󰡕
  • 錢鍾書, 󰡔송시선주󰡕, 이홍진 역
    형설출판사 [1993]
  • 金宗瑞 鄭麟趾 等, 󰡔高麗史󰡕
  • 郭紹虞, 󰡔창랑시화󰡕, 기ᇛ해명 이우정 옮김
    소명출판 [2001]
  • 趙云仡, 󰡔三韓詩龜鑑󰡕, 二友出版社, 1980.
  • 趙 翼, 󰡔구북시화󰡕, 송용준 역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9]
  • 西河集
    임 춘 진성규 일지사 [1984]
  • 補閑集
    박성규 최 자 보고사 [2012]
  • 蘇 軾, 󰡔東坡全集󰡕, 󰡔欽定四庫全書󰡕
  • 范 曄, 󰡔後漢書󰡕, 󰡔欽定四庫全書󰡕
  • 石川忠久, 󰡔漢詩鑑賞事典󰡕, 講談社, 2011.
  • 白居易, 󰡔新譯 白居易詩文選󰡕, 陶敏 魯茜 注譯, 三民書局, 2009.
  • 班 固, 󰡔漢書󰡕, 󰡔欽定四庫全書󰡕
  • 楊 倫, 󰡔두시경전󰡕1~3, 이관성 역, 문진
    섭섭 [2015]
  • 楊 倫, 󰡔杜詩鏡銓󰡕, 上海古籍出版社, 1998.
  • 杜 甫, 󰡔杜甫詩選󰡕, 黑川洋一 編, 岩波書店, 2015.
  • 李時珍, 󰡔本草綱目󰡕, 󰡔欽定四庫全書󰡕
  • 李 白, 󰡔李太白文集󰡕, 󰡔欽定四庫全書󰡕
  • 斯波六郞, 󰡔중국문학 속의 고독감󰡕, 윤수영 역
    동문선 [1992]
  • 房玄齡 褚遂良 等, 󰡔晉書󰡕, 󰡔欽定四庫全書󰡕
  • 左丘明, 󰡔春秋左氏傳󰡕, 󰡔欽定四庫全書󰡕
  • 川合康三, 󰡔杜甫󰡕, 岩波書店, 2012.
  • 崔 瀣, 󰡔東人之文五七󰡕
  • 山本和義, 「南行集とその周辺」, 󰡔詩人と造物 : 蘇軾論考󰡕, 硏文出版, 2002.
  • 小尾郊一, 󰡔중국의 은둔사상󰡕, 윤수영 역
    강원대학교 출판부 [2008]
  • 司馬遷, 󰡔史記󰡕, 󰡔欽定四庫全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