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 A Study on Korean Modality as a Grammatical Category

손혜옥 2016년
'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 A Study on Korean Modality as a Grammatical Catego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715.01
  • deonticmodality
  • dynamicmodality
  • epistemic modality
  • event modality
  • evidentialmodality
  • modality
  • modality marker
  • mood
  • propositional modality
  • sentence type
  • tense
  • 동적양태
  • 명제양태
  • 문장 유형
  • 사건양태
  • 서법
  • 시제
  • 양태
  • 양태 표지
  • 의무 양태
  • 인식 양태
  • 증거양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04 0

0.0%

' 한국어 양태 범주 연구 = A Study on Korean Modality as a Grammatical Category' 의 참고문헌

  • 회상문의 인칭제약과 책임성, 『국어학』10
    김영희 국어학회, 37-80 [1981]
  • 혼성어의 인지적 의미분석, 『언어과학연구』13
    임지룡 언어과학회, 191-214 [1996]
  • 현대국어의 서법체계에 대한 연구, 『국어연구』15
    고영근 (『국어 형태론 연 구』에 다시 실림.) [1965]
  • 현대국어 어미 ‘-느-’의 범주와 변화
    임동훈 『국어학』59, 3-44 [2010]
  • 박사
  • 현대 국어의 양상 연구, 『국어연구』56
    안명철 국어연구회 [1983]
  • 현대 국어에서의 ‘-더-’의 범주적 위상-종결형 ‘-더라’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40
    손혜옥 한국어의미학회, 71-110 [2013]
  • 한국어의 증거성 범주에 관한 연구
    정인아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 한국어의 인식론적 범주와 관련한 몇 문제, 『국어학』66
    박재연 국어학회 [2013]
  • 한국어의 양태 표현
    이기갑 『담화인지언어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67-83 [2006]
  • 한국어의 서법과 양태 체계, 《한국어 의미학》 26
    임동훈 한국어의미학회, 211-249 [2008]
  • 한국어의 문장 유형과 용법
    임동훈 『국어학』60, 국어학회, 321-359. [2011]
  • 한국어의 구어와 말뭉치, 『한국어교육』 24-3
    서상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71-107 [2013]
  • 한국어 화행에서 공손성의 실현 양상, 『한국어학』62
    김서형 한국어학회, 123-143 [2013]
  • 한국어 추측표현의 의미 차이에 관한연구. 국어학 35
    김동욱 국어학회, 171-197 [2000]
  • 한국어 추측 표현의 통사, 의미 연구
    안주호 『새국어 교육』68, 97-121 [2004]
  • 한국어 조사 ‘만’과 ‘도’의 의미론
    임동훈 『조선학보』25 [2006]
  • 한국어 공손현상과 ‘-겠-’의 화용론, 『국어학』26
    전혜영 국어학회, 125-146 [1995]
  • 한국어 공손표현의 의미, 『한국어의미학』15
    전혜영 한국어의미학회, 71-91 [2004]
  • 통사론과 통사 단위
    임동훈 『어학연구』31-1, 87-138 [1995]
  • 지각동사 ‘보다’의 경험과 추정, 『연세어문학』19
    우형식 연세대학교 국어국 문학회, 31-52 [1986]
  • 증거표지와 정보의 출원
    김경애 『한경대학교 논문집』33, 51-58 [2002]
  • 종결어미와 보조용언의 통합구문에 대한 재검토, 『관악어문연구』24
    박재연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55-182 [1999]
  • 인식양태와 증거성, 『한국어학』44
    송재목 한국어학회, 27-53 [2009]
  • 인식 시제인가, 인식양태인가
    한동완 『형태론』 6-1, 137-150 [2004]
  • 언어행위에 있어서의 양상구조, 남기심(공편), 『현대국어문법』
    이정민 계명 대출판부 [1973]
  • 언어와 추정, 『국어학』6
    이기용 국어학회. 29-64 [1978]
  • 안맺음씨끝 ‘-더-’의 의미 기능에 대하여: 유형론적 관점에서, 『국어 학』32
    송재목 국어학회. 135-169 [1998]
  • 서법과 양태, 『문법 연구와 자료』
    장경희 태학사 [1998]
  • 서법(mood) 구현 형식에 대한 일고찰: 서법 범주의 수용과 전개를 중 심으로, 『한국학논집』40
    민경모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417-451 [2010]
  • 상대 시제에 대하여
    이익섭 『관악어문연구』3, 367-376 [1978]
  • 반말체의 등급과 반말체 어미의 발달에 대하여, 『언어학』30
    고광모 한국언 어학회, 3-27 [2001]
  • 모습의 ‘-겠-’과 바탕의 ‘-을것’, 『관악어문연구』13-1
    김규철 서울대국어국 문학과, 1-23 [1988]
  • 명령문의 간접 화행, 《한국어 의미학》8
    이준희 한국어의미학회, 279-290 [2001]
  • 다시 {-더-}를 찾아서, 『국어학』23
    임홍빈 국어학회, 255-323 [1993]
  • 국어의 양태 체계 확립을 위한 시론
    이선웅 『관악어문연구』26, 317-339 [1999]
  • 국어 양태의 화․청자 지향성과 주어 지향성, 『국어학』40
    박재연 국어학회, 249-275 [2003]
  • 국어 양태 체계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의미학』12
    임동훈 한국어의미학 회, 127-153 [2003]
  • 국어 시제 형태소의 의미 - 회상 형태소 ‘-더-’를 중심으로-, 『한 글』169
    김차균 한글학회, 263-334 [1980]
  • 국어 문법의 탐구Ⅰ
    남기심 태학사 [1996]
  •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 구어 말뭉치 설계의 몇 가지 조건, 『언어정보와 사전편찬』 14~16합집
    김형정 서상규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5-29 [2005]
  • 경기 지역의 청자 경어법 어미에 대하여-의문법을 중심으로, 『방언』 8
    이승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5]
  • 간접화행과 대화적 함축, 『국어학』18
    김태자 국어학회, 131-152 [1989]
  • 박사
    『현대 한국어 혼성어 연구』
    이찬영 연세대 석사학위 논문 [2016]
  • 『한국어의 텍스트장르, 문체, 유형』
  • 『한국어 양태 보조사 연구』
    함병호 동국대 석사학위 논문 [2011]
  • 『한국어 시제 범주 연구』
    문숙영 태학사 [2009]
  • 『한국어 보문 구성 양태 표현에 대한 연구』
    문병열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 사학위 논문 [2007]
  • 『한국어 문법 교수 방안 연구: 추측표현을 중심으로』
    이미혜 이화여대 박사 학위 논문 [2004]
  • 『통사적 결합과 논항 구조』
    박진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4]
  • 박사
  • 『양태 표현의 ‘모양이다’ 구문 연구』
    김정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1997]
  • 『시제, 상, 서법』
    이남순 월인 [1996]
  • 『수정증보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 출판원 [1996]
  • 박사
    『선어말어미 ‘-더-’의 의미 기능 연구』
    강계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13]
  • 『말뭉치 기반 구어 문법 통합 문법 기술 2-명사 와 명사구』
    김민국 배진영 손혜옥 최정도 Ⅰ․Ⅱ, 박이정 [2014]
  • 『국어형태론 연구』
    고영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국어학』
    허웅 샘문화사 [1983]
  • 『국어정보학 입문』
    서상규 한영균 태학사 [1999]
  • 『국어문법의 시제문제에 관한 연구』, 탑출판사. (『국어 문법의 탐구 Ⅰ』
    남기심 에 다시 실림) [1978]
  • 『국어 시상체계의 통시적 변화에 대한 연구』
    최동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 사학위논문 [1995]
  • 박사
  • 《현대국어의 양태범주 연구》
    장경희 탑출판사 [1985]
  • 《우리말본》
    최현배(1937/1971) 탑문화사(1937/1955) [1937]
  • “한국어에서 증거성이나 의외성의 의미성분을 포함하는 문법요소”
    박진호 『언어와 정보 사회』15,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1-25. [2011]
  • “증거성과 주어제약의 유형론:한국어, 몽골어, 티벳어를 예로 들어”
    송재목 『형태론』9-1, 1-23 [2007]
  • “연결어미와 양태 : 이유, 조건, 양보의 연결어미를 중심으로”
    박재연 『한국어 의미학』30, 한국어의미학회, 119-141. [2009]
  • “시제, 상, 양태”
    박진호 『국어학』60, 국어학회, 289-322. [2011]
  • ‘ㄹ 것’에 관하여: ‘-겠-’과 대비를 중심으로, 『국어학』6
    서정수 국어학회. 85-110 [1978]
  • ‘-더-’의 의미에 대한 관견
    유동석 『관악어문연구』6, 205-226 [1981]
  • ‘-겠-’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의 발달, 『국어학』39
    고광모 국어학회, 27-48 [2002]
  • ‘-겠-’의 용법과 그 역사적 해석. 국어학 37
    임동훈 국어학회, 115-147 [2001]
  • ‘-겠-’과 ‘-을 것이-’의 의미 비교, 『선청어문』7-1
    성기철 서울대 국어교육 과, 201-210 [1976]
  • ‘-겠-’과 ‘-을 것이-’의 용법, 『겨레어문학』15
    고창운 건국대국어국문학연 구회, 595-614 [1991]
  • ‘-것 같-’의 화용 의미, 텍스트언어학 10
    이한규 텍스트언어학회, 269-291 [2001]
  • {-나보다/-ㄹ 모양이다/-ㄹ 것 같다/-ㄹ 것 같다/-ㄹ 것이다/-겠다}의 의미기능, 『말』23/24
    전나영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 169-198 [1999]
  • [확연] [당연] [개연]의 양태 표지 연구, 『한국어학』 16
    강소영 한국어학 회, 217-236 [2002]
  • Sadock, J. M. & Zwicky, A. M. (1985), Speech act distinctions in syntax, In T. Shopen (ed),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Vol.Ⅰ, Cambridge University Press.
  • Retrospection in Korean, 『어학연구』11-1
    손호민 서울대 어학연구소, 87-103 [1975]
  • Portner, P.(2009), Mod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 Palmer, F. R.(2001), Mood and Modality(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uyts, J.(2009), The ‘one-commitment-per-clause’ principle and the cognitive status of qualificational categories, Linguistics 47-1, 141-171.
  • Nuyts, J.(2006), Modality: Overview and linguistic issues, In W. Frawley eds., 29-45.
  • Nuyts, J.(2001), Epistemic Modality, Language and Conceptualization,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Nuyts, J. and Vonk, Wietske(1999), Epistemic modality and focus in Dutch, Linguistics 37, 699-737.
  • Mushin, I.(2001), Evidentiality and Epistemological stance: Narrative Retelling, Journal of Pragmatics 33, 1361-1390.
  • Lyons, J.(1977), Semantics 2,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e, H. S. (1991), Tense, Aspect, and Modality: a Discourse-Pragmatic Analysis of Verbal Affixes in Korean from a Typological Perspective,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Los Angels.
  • Knapp, P. & Watkins M.(2005), Genre, Text, Grammar: Technologies for teaching and assessing writing, UNSW Press.
  • Kim, J. W. (2012), Korean Evidentials in Discourse, Doctor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 Ippolito, M.(2004), Imperfect Modality, Gu ron Jacqueline & Lecarme Jacqueline edited. (2004), The Syntax of Time, MIT Press, 359-387.
  • Huddleston, R. & Pullum, G. K.(2002), The Cambridge Grammar of the English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uang, Y.(2007), Pragmatics, Oxford University Press.
  • Horn, L.(1989), A natural History of Negation, The University Chicago Press.
  • Horn, L.(1984), Toward a New Taxonomy for Pragmatics Inference: Q-based and R-based Implicature, Meaning, Form, and Use in Context: Linguistic Applications ed. Schiffrin, D., Georgetown University Press.
  • Hopper, P. J. & Traugott, E. C.(2003), Grammaticalization(second edit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Grice, H. P.(1975). Logic and Conversation, Syntax and Semantics 3: Speech Acts, ed. Cole, P. & Morgan, J. NY: Academic Press.
  • Giv n, T.(2001), Syntax: An introduction Vol.Ⅱ, John Benjamins.
  • Frawley, W. eds.(2006), The Expression of Modality, Mouton de Grruyter.
  • Foley, W. A. & van Valin, R. Jr.(1984), Functional syntax and universal gramm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Fleck, D. W.(2007), Evidentiality and Double Tenses in Matese, Language 83-3.
  • Fillmore(1968), The Case for Case, in Bach & Harms eds. (1968), 1-88.
  • Ferguson(1994), Dialect, register, and genre: working assumptions about conventionalization, In Biber, D.& Finegan, E..
  • Faller, M.(2002). Semantics and Pragmatics of Evidentials in Cuzco Quechua. PhD thesis, Stanford, CA:Stanford Univeristy.
  • Evidentials in Korean, 『언어학』17-2
    송경안 대한언어학회, 1-20 [2009]
  • Depraetere, I.(2012), Time in sentences with modal verbs, Binnick, Robert, I. edited (2012), The Oxford Handbook of Tense and Aspect, Oxford University Press, 1020-1046.
  • Delancey, S.(1986), The mirative and evidentiality, Journal of Pragmatics33, 369-382.
  • DeLancey, S.(1997), Mirativity: The grammatical marking of unexpected information, Linguistic Typology 1, 33-52.
  • De Haan, F.(2012), Evidentiality and Mirativity, Robert, I. edited (2012), The Oxford Handbook of Tense and Aspect, Oxford University Press, 1020-1046.
  • De Haan, F.(2006), Typological approaches to modality, In W. Frawley eds.,
  • Comrie, B.(1985), Tens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mrie, B.(1976), Aspe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oates, J (1983), The Semantics of Modal Auxiliaries, Croom Helm.
  • Chung, K. S.(2005). Space in tense: The Interaction of Tense, Aspect, Evidentiality and Speech Act in Korean, Doctoral Dissertation, Simon Fraser University.
  • Chapman, S. (2011), Pragmatics, Palgrave macmillan.
  • Chafe, W. & J. Nichida eds.(1986), Evidentiality: The Linguistic Coding of Epistemology,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 Bybee, J. & Perkins, R. & Pagliuca, W.(1994), The Evolution of Grammar: Tense, Aspect, and Modality in the Language of the World,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Bybee J.(1985), Morphology: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meaning and for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Brown, P. and Levinson, S. C.(1987), Politeness: some universals in language us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iber, D.& Finegan, E.(1994), Sociolinguistic perspective on register, Oxford University Press.
  • Biber, D. & Conard, S. & Rappen, R. (1998), Corpus Linguis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iber et. al. (1999), Longman Grammar of Spoken and Written English, Longman.
  • Barnes, J.(1984), Evidentials in Tuyuca Verb, International Journal of American Linguistics 50, 255-271.
  • Bach, E. & R. T. Harms eds. (1968),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Holt, Rinehart and Winston.
  • Austin, J.L.(1962), How to do things with words, Oxford University Press.
  • Aitchison, J.(1994), Words in mind: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 lexicon, Blackwell.
  • Aikhenvald, A. Y.(2012), The essence of mirativity, Linguistic Typology 16, 435-485.
  • Aikhenvald, A. Y.(2004), Evidentiality, Oxford University Press.
  • <주어 지향적 양태’와 관련한 몇 문제>
    박재연 『한국어학』44, 한국어학회, 1-25.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