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김현승 시의 내재적 치유성 연구

박경자 2016년
논문상세정보
' 김현승 시의 내재적 치유성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기독교 시
  • 김현승
  • 문학치유
  • 시치유
  • 심층심리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6 0

0.0%

' 김현승 시의 내재적 치유성 연구' 의 참고문헌

  • 劉勰(최동호 역), 『文心雕龍』
    민음사 [1997]
  • 盧天命과 金顯承의 詩에 나타난 孤獨意識 比較硏究
    은혜로 숙명여대 [1990]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기독교 의식
    박이도 경희대 [1984]
  • 중국철학회,『현대의 위기 동양철학의 모색』
    예문서원 [1997]
  • 중국철학연구회,『동양의 자연과 종교의 이해』
    형설출판사 [1992]
  • 역,『論語』
    황병국 범우사 [1990]
  • 역,『詩經』
    조두현 혜원출판사 [1993]
  • 역,『大學』
    김학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5]
  • 박사
  • 문학치료에서 상징의 치유 메커니즘
    배영의 경북대 [2008]
  • 독일 문학의 현상
    金光珍 문학세계사 [1987]
  • 다형 김현승시인 기념사업회,『다형 김현승의 삶과 문화』
    한림 [2015]
  • 다형 김현승시인 기념사업회,『다형 김현승연구 박사학위 논문 선집』
    한림 [2011]
  • 다형 김현승시인 기념사업회,『다형 김현승 전집』
    한림 [2011]
  • 다케시, (이경덕 역),『주술의 사상』
  • 꿈의 세계를 통해 본 통합적 문학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연구
    고희선 경북대 [2008]
  • 김현승-한국 시인연구 10
    이운룡 문학세계사 [1993]
  • 기독교 사상
    김광식 종로서적 [1986]
  • 郭沫, (임효섭, 황선재 역),『李白과 杜甫』
    까치 [1996]
  • 西谷, (정병조 역),『종교란 무엇인가』
    대원정사 [1993]
  • 東京大 中國哲學 硏究室, (조경란 역),『中國思想史』
    동녘 [1993]
  • 周勳初 외 (중국학연구회 역),『중국문학비평사』
    이론과 실천 [1994]
  • 入矢義高 (辛奎卓 역),『禪과 문학』
    장경각 [1993]
  • 任繼愈(권덕주 역),『儒家와 道家』
    동아출판사 [1993]
  • 任繼愈 (전택원 역),『中國哲學史』
    까치 [1990]
  • 中村元(김지견 역),『중국인의 사유방법』
    까치 [1990]
  • 『현실과 극기』
    오규원 문학과 지성사 [1978]
  • 『행복한 책 읽기』
    김현 문학과 지성사 [1996]
  • 『한국문학과 기독교』
    박배식 성서교재간행사 [2002]
  • 『한국문학과 기독교』
    조신권 연세대학교 출판부 [1983]
  • 『한국 기독교 시인론』
    최규창 대한 기독교서회 [1984]
  • 『키에르케고르 연구』
    표재명 지성의 샘 [1998]
  • 『중국시론』
    차주환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4]
  • 『종교심리학』
    Mary Jo Meadow /Richard D.Kahoe, (최준식 역) [1994]
  • 『정신 분석의 기본 원리』
    Alain Vanier(김연권 역) [1999]
  • 『절대고독』
    김현승 자유문학사 [1987]
  • 『자아를 잃어버린 현대인』
    Rllo May (白尙昌 역) [1992]
  • 『이야기치료』
    양유성 학지사 [2010]
  • 『옹호자의 노래』
    김현승 신명문화사 [1963]
  • 『민중시대의 문학』
    염무웅 창작과 비평사 [1979]
  • 『라이너 마리아 릴케』
    조두환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4]
  • 『독서 토론과 문학 치유』
    박경자 역락 [2006]
  • 『내 마음은 나뭇가지』,『종로서적』
    김현승 [1988]
  • 『김현승 전집 1』
    김현승 시인사 [1985]
  • 『김현승 시초』
    김현승 문학사상사 [1957]
  • 『그림자』
    홍성완 한길사 [1999]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한국사전연구사 [2014]
  • 『구약 신약 성서개설』
    C. Westermann(방석종/ 박창건 역) [1994]
  • 『견고한 고독』
    김현승 관동출판사 [1968]
  • 「한국시에 나타난 기독교적 영향」
    김상업 단국대 [1975]
  • 「한국 현대시의 주지성 연구」
    한영옥 성균관대 [1991]
  • 「한국 현대시의 기독교 사상」
    박태욱 고려대 [1977]
  •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치유성 연구」
    권성훈 경기대 [2010]
  • 「한국 현대 기독교 시 연구」
    강신주 숙명여대 [1991]
  • 「한국 기독교시 연구」
    이운룡 조선대 [1988]
  • 박사
  • 「치유를 위한 창의적 시 읽기 방법론 연구」
    양효주 동국대 [2014]
  • 「종합문예지『신문학』연구」
    백수인 『韓國言語文學』第95輯 [2016]
  • 박사
  • 「신앙과 고독의 분리 문제」,『한국 현대시론 비판』, 일지사, 김우창,「김현승의 시-세 편의 소론」,『지상의 척도』민음사, 1981.김종철,「견고한 것들의 의미」
    김윤식 『시와 역사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78 [1986]
  • 「신. 인간. 민족의 탐구」
    이성부 『현대문학』 [1975]
  • 「시의 정신치유능력, 그 실제와 전망」,『시로 여는 세상』, 가을호. 이인복,「김현승의 회의주의」,『한국문학과 기독교 사상』, 우신사, 1987.장백일,「원죄를 끌고가는 고독」
    이은봉 『현대문학』, 1969. 5 [2011]
  • 「시와 종교적 상상력」
    권영진 『숭실어문 제2집』, 숭실대 [1985]
  • 「시와 고독, 현대시의 이해와 체험」
    박두진 일조각 [1976]
  • 「문학의 내재적 치유력과 문학치료」
    변학수 『치유의 문학』 [2005]
  • 「마음치유에 禪詩가 미치는 영향」
    채형식 동방대 [2014]
  • 「다형문학 연구」
    송재소 서울대 [1984]
  • 「다형 김현승의 삶과 문학」
    소재영 숭실어문 12집 [1995]
  • 박사
  • 박사
  • 「눈물과 고독의 정결함」
    최동호 『불확정 시대의 문학』, 문학과 지성사 [1987]
  • 「김현승의 릴케 수용 연구」
    김지현 고려대 [2006]
  • 「김현승의 견고한 고독」
    정재완 『한국 대표시평설』, 문학세계사 [1988]
  • 「김현승의 <절대고독>」
    이기반 『한국현대시작품연구』, 학문사 [1992]
  • 「김현승의 <눈물>」,『한국현대시작품연구」
    홍문표 학문사 [1992]
  • 「김현승시 연구」
    김병선 전북대 [1982]
  • 「김현승시 연구-초월의지를 중심으로」
    안수환 명지대 [1990]
  • 「김현승론」
    천상병 『시문학』 [1973]
  • 「김현승 연구」
    김영수 안동대 [2000]
  • 「김현승 연구- 기본정신과 시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조태일 경희대 [1984]
  • 「김현승 시정신 연구」
    조태일 경희대 [1991]
  • 「김현승 시인의 고독」, 수필문학, 윤여탁,「신이 될 수 없는 인간의 고독」
    원형갑 『한양어문연구 13집』,1995 [1975]
  • 「김현승 시의식 연구」
    기진오 『전농어문연구 6집』 [1994]
  • 「김현승 시의 주술성 연구」
    박경자 『동북아문화연구 45집』,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5]
  • 「김현승 시의 종교 연구」
    윤관식 전남대 [2004]
  • 박사
  • 「김현승 시의 상징체계 연구」
    김인섭 숭실대 [1994]
  • 박사
  • 「김현승 시의 상상력 연구」
    정숙인 조선대 [2013]
  • 「김현승 시의 분석적 연구」
    유성호 연세대 [1997]
  • 「김현승 시와 기독교적인 실존」
    김희보 『한국문학과 기독교』, 현대시사상사 [1979]
  • 「김현승 시연구」
    박몽구 한양대 [2011]
  • 「김현승 시에 나타난 전이적 상상력 연구」
    김옥성 서울대 [2000]
  • 「김현승 시에 나타난 어휘연구」
    김삼순 전북대 [1999]
  • 「김현승 시 연구」
    문덕수 『시문학』, 월호 [1984]
  • 박사
  • 「김현승 시 연구」
    권영진 고려대 [1980]
  • 「김현승 시 연구-초월의지를 중심으로
    안혁수 명지대 [1988]
  • 박사
  • 「기독교와 한국 현대시」, 한남대 출판부, 오규원,「비극적 종교의식과 고독」
    신익호 『현실과 극기』, 문학과 지성사, 1978 [1988]
  • 「莊子의 哲學治癒 性格에 관한 硏究」
    이영희 강원대 [2016]
  • jung/E. H. Erikson(이부영/조대경 역),『현대의 신화 아이덴티티』
    C. G 삼성출판사 [1992]
  • jung, (정영목 역),『사람과 상징』
    C. G 까치 [1995]
  • jung, (이윤기 옮김),『인간과 상징』
    C. G 열린책들 [2000]
  • jung, (설영환 역),『무의식 분석』
    C. G 선영사 [1990]
  • Sigmund Freud , (정성호 역),『정신분석 입문』
    오늘 [1991]
  • S ren Aabye Kierkegaard, (손재준 역),『죽음에 이르는 병』
    삼성출판사 [1983]
  • R. M Rilke, (윤동하 역),『고독』
    태학당 [1997]
  • Menninger (설영환 옮김),『인간의 마음-무엇이 문제인가?』
    C. A 선영사 [1993]
  • Karen horney, (이태승 역),『자기분석』
    민지사 [1995]
  • Hall/V.J. Nordby, (설영환 역),『융 심리학 해설』
    C. S 선영사 [1989]
  • H. Marcuset/ E. Fromm, (오태환 역),『프로이트 심리학 비판』
    선영사 [1991]
  • H. G Creel, (이성규 역),『孔子』
    지식산업사 [1994]
  • Bede Griffiths(정창역 역),『동양정신과 서양 정신의 결혼』
    깊이와 넓이 [1991]
  • Augustinus Aurelius(지명관 역),『고백록』
    양우당 [1998]
  • Augustinus Aurelius(지경자 역),『고백록』
    홍신문화사 [1987]
  • Augustinus Aurelius( 金平玉 역),『참회록』
    범우사 [1991]
  • Anika Lemaire(이미선 역),『자크 라캉』
    문예출판사 [1994]
  • Aniella jaffe(이부영 역),『융의 回想, 꿈 그리고 思想』
    집문당 [1996]
  • Andre breton(황현산 역),『초현실주의 선언』
    미메시스 [2012]
  • Alfred Adler/H. Ogler, (설영환 역) ,『아들러 심리학 해설』
    선영사 [1990]
  • Alain de Botton 외, (김한영 역),『영혼의 미술관』
    문학동네 [2014]
  • A. Eysteinson(임옥희 역),『모더니즘 문학론』
    현대미학사 [1996]
  • (황문수 역),『實存哲學』
    Fritz Heinemann 문예출판사 [1990]
  • (한용환/강덕화 역),『서사란 무엇인가』
    Mieke Bal 문예출판사 [1999]
  • (최현 역),『융 심리학 입문』
    C. S. Hall 범우사 [1986]
  • (최용철 역),『인간 본성에 관한 10가지 청학적 성찰』
    Roger Trigg 자작나무 [1996]
  • (최소영 외 옮김),『시(詩) 치료』
    John Fox 시그마프레스 [2005]
  • (최소영 외 옮김),『시(詩) 치료- 한 번도 소리 내어 울지 못한 그대에게』
    John Fox 아시아 [2013]
  • (조대경 역),『프로이트』
    Richard Wollheim 민음사 [1995]
  • (정현 역),『신화론』
    Roland Barthes 현대미학사 [1995]
  • (정태연 역),『심리학 용어 사전』
    D. A. Stat 끌라오 [1999]
  • (정장진 역),『창조적인 작가와 몽상』
    Sigmund Freud 열린책들 [1996]
  • (임홍빈/홍혜경 역),『새로운 정신분석 강의』
    Sigmund Freud 열린책들 [1996]
  • (임철규 역)
    Northrop Frye 『비평의 해부 한길사 [2000]
  • (이학 역),『키에르케고르』
    Water Lourie 청목서적 [1988]
  • (이재원 역),『히스테리 연구』
    Sigmund Freud 사랑의학교 [1995]
  • (이규현 역),『프로이트와 문학의 이해』
    Max Milner 문학과 지성사 [1997]
  • (이가림 역),『물과 꿈』
    Gaston Bachelard 문예출판사 [1980]
  • (안인길 역),『도이치문학의 역사』
    Heint Stolte 신구문화사 [1994]
  • (서미석 역),『그리스 로마 신화』
    Michael Grant 현대지성사 [1999]
  • (박찬수 외 역),『마음의 이론』
    Stephen Priest 고려원 [1994]
  • (김혜련 역),『상상과 표현』
    R. G. Collingwood 고려원 [1996]
  • (김현희 외 공역),『시치료 이론과 실제』
    Nicholas Mazza 학지사 [2005]
  • (김정일 역),『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Sigmund Freud 열린책들 [1996]
  • (김기태 역),『꿈의 해석』
    Sigmund Freud 선영사 [1989]
  • (강두식 역),『릴케』
    H. E. Holthusen 기린원 [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