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정순태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전돌봄계획
  • 사전의료의향서
  • 생명윤리
  • 연명 의료
  • 용납가능한 죽음
  • 웰다잉
  • 존엄한 죽음
  • 죽음의 질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67 0

0.0%

' 연명의료결정제도의 개선 및 활용성 제고 방안 : 호스피스 완화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Efficient Utilization of the Life-Sustaining Treatment Decision System' 의 참고문헌

  • 환자의 최선의 이익(best interest)에 관한 연구: 로널드 드워킨의 생명 이해를 중심으로, 생명윤리정책연구, 3(3), pp.289-309
    최지윤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9]
  • 호스피스의 현재와 미래, 간호학 탐구, 8(2)
    이원희 연세대학교 간호정책연구소, pp.9-31 [1999]
  • 호스피스 철학
    백승균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8]
  • 호스피스 완화의학
    최윤선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0]
  •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형법적 연구
    신현호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호스피스 완화의료 현황과 발전방향
    윤영호 의료정책포럼, 10(4),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pp.39-44 [2012]
  • 호스피스 완료의료 및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의 쟁점: 호스피스 완화의료를 중심으로
    서이종 생명윤리포럼, 5(1),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2016]
  • 호스피스
    조유향 서울: 현문사 [1991]
  • 박사
    형법적 측면에서의 안락사 및 존엄사에 관한 연구
    박정일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87]
  • 형법상 존엄사 안락사에 관한 연구
    유현경 단국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천주교 상장예식과 한국전통상장례에 나타난 죽음의 이해
    황영삼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한국죽음학회, 죽음맞이: 인간의 죽음, 그리고... 죽어감
    서울: 모시는사람들 [2013]
  • 한국의 심폐소생술 금지(Do-Not-Resuscitate, DNR) 결정에 대한 통합적 고찰,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4(2)
    김상희 이원희 한국의료윤리학회, pp.171-184 [2011]
  • 한국보건사회연구원b
    년도 노인실태조사, 2015 [2014]
  • 한국보건사회연구원a
    보건복지정책 현안과 정책과제, 2015 [2014]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우리나라의 건강수명 산출
    보건복지 ISSUE & FORCUS, 247 [2014]
  • 한국 상 장례에 나타난 유족의 사별슬픔에 관한 연구
    최청자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프랑크 쉬르마허, 장혜경 역, 고령사회 : 다가올 미래에 대비하라
    서울: 나무생각, 2011 [2018]
  • 품위 있는 죽음과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일반국민들의 태도,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7(1)
  • 펜윅 엘리자베스 펜윅, 정명진 역, 죽음의 기술
    피터 서울: 구글북스 [2008]
  • 통계청
    년 한국의 사회지표, 2015 [2014]
  • 통계청
    년 출생사망통계, 2016 [2015]
  • 큉‧발터 옌스, 원당희 역, 안락사 논쟁의 새 지평: 생의 마지막 선택,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하여
    한스 서울: 세창미디어 [2010]
  • 케이티 버틀러, 전미영 역, 죽음을 원할 자유: 현대의학에 빼앗긴 죽을 권리를 찾아서
    서울: 명랑한 지성 [2014]
  • 치료중단과 안락사
    이상용 서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 청년의사
    http://www.docdocdoc.co.kr/134602
  • 죽음학 개론
    최준식 서울: 모시는 사람들 [2013]
  • 죽음의 의료화 인간의 존엄을 짓밟다
    최영순 서울: 프레시안 [2015]
  • 죽음을 준비하는 건강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제언
    서혜경 한국노년학 연구, 1, 한국노년학회, pp.11-17 [1992]
  • 죽음위기에 대한 목회상담
    이창복 성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죽음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임종 위기자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방법
    천정근 합동신학대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죽음에 관한 자기결정권과 존엄사, 미국헌법연구, 24(1)
    김은철 김태일 미국헌법학회, pp.97-124 [2013]
  • 좋은 죽음의 개념분석, 호스피스 논집, 10
    라정란 박재순 이경주 홍정아 황경혜 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교육연구소, pp.23-39 [2006]
  • 좋은 죽음에 대한 노인들의 인식, 가정의학회지, 23(6)
    박일환 유선미 윤홍주 정유석 한나영 한국가정의학회, pp.769-777 [2002]
  • 존엄사에 대한 임상 의사들의 경험 연구
    신영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존엄사 법제화의 쟁점과 과제, 이슈와 논쟁
    조규범 국회입법조사처 [2012]
  • 입법학 입문
    박영도 세종: 한국법제연구원 [2009]
  • 박사
    임종자와 유가족을 위한 목회적 돌봄
    송정석 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사
  • 일반인의 사전의료의향 및 심폐소생술 금지에 대한 윤리적 인식과 태도 조사연구, 정신간호학회지, 23(2)
    강경자 주세진 한국정신간호학회, pp.113-123 [2014]
  • 일 종합병원 외래환자와 보호자의 사전의료의향서에 대한 지식, 인식 및 태도
    이선화 관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인공호흡기제거 청구사건 판결의 형사법적 시사점
    이인영 비교형사법연구, 11(1), 한국비교형사법학회, pp.409-460 [2009]
  • 이제는 준비된 죽음을 생각할 때다: 사전의료의향서 법제화의 필요성, 철학과 현실, 94
    이순성 철학문화연구소, pp.104-110 [2012]
  • 의사책임 및 의사법의 발전에 관한 최근의 동향, 인권과 정의, 180
    김민중 한국변호사협회, pp.135-147 [1991]
  • 의사의 치료중단과 환자의 자기결정권
    김혁돈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의사의 설명의무위반과 손해배상 책임
    신은주 판례월보, 292 [1995]
  • 의사들 죽음을 말하다
    김건열 유은실 정현채 서울: 북성재 [2014]
  • 의료형법
    이상돈 파주: 법문사 [1998]
  • 의료현장에서의 임종환자 연명치료의 결정, 생명윤리포럼, 5(1)
    국가생명정책연구원 [2016]
  • 응급의료에서 심폐소생술에 관한 결정
    김아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웰빙과 웰다잉에 대한 사회복지적 접근의 탐색적 연구, 법정리뷰, 30(1)
    이민홍 동의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pp.121-134 [2013]
  • 웰다잉의 이해와 실천
    조원규 서울: 책과 나무 [2015]
  • 우리나라 일부병원의 환자, 보호자, 의료진의 연명치료 중지관련 의사결정에 관한 태도 연구
    고윤석 권복규 김현철 배현아 서상연 안경진 윤영호 최경석 허대석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3, 한국의료윤리학회, pp.1-16 [2010]
  • 오트쿠베르튀르, 김성희 역, 안락사를 합법화 해야 할까?
    미셸 서울: 민음인 [2014]
  • 영국의 생애말기 돌봄 전략(전자자료)
    정은선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4]
  •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회b
    연명의료 환자결정권 제도화를 위한 인프라구축방안공청회 [2013]
  • 연세대학교 의료법윤리학연구회a,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합리적 제도화 방안 연구
    보건복지부 [2013]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기준에 관한 고찰, 성균관법학, 22(3호)
    김웅선 박광민 성균관대학교법학연구, pp.77-102 [2010]
  • 연명치료중단의 기준에 관한 법적 논의의 쟁점과 과제, 형사법연구, 22(1)
    한국형사법학회, pp.23-44 [2010]
  • 연명치료중단의 기준과 절차, 대법원 , 선고 2009다 17147 판결이 가지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형사법연구, 21(2)
    이석배 한국형사법학회, pp.147-170, 2009 [2009]
  •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법제화 방향 및 기준에 대한 소고, 한양법학, 24(3)
    장욱 한양법학회, pp.321-350 [2013]
  • 박사
    연명치료중단에 관한 연구: 환자의 의사표시를 중심으로
    최수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연명치료중단 결정에서 의학적 무의미함,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3(2)
    김진경 한국의료윤리학회, pp.123-136 [2010]
  • 연명치료 중지에 관한 법원판결과 제도화에 관련된 문제들, 대한의사협회지, 55(12)
    김장한 대한의사협회, pp.1178-1187 [2012]
  • 연명치료 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형사정책, 26(1)
    김성규 한국형사정책학회, pp.137-159 [2014]
  •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환자 측 사전의료지시서의 법적 효력에 대한 연구, 연세의료 과학 기술과 법, 3(2)
    고명환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pp.1-39 [2012]
  • 연명치료 법제화의 한계와 문제점, 인격주의 생명윤리, 4(2)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pp.59-85 [2014]
  • 연명의료중단에 있어서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연구, 형사정책연구, 30
    이석배 이원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pp.1-158 [2010]
  • 연명의료계획서(POLST)
    무의미한 연명의료결정 제도화 관련공청회 [2013]
  • 연명의료결정에 관한 법률의 특징에 관한 비교법적 검토, 생명윤리포럼, 5(1)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2016]
  • 연명의료 결정을 위한 지침
    고수진 김신미 김진실 임종기 서울: 정담미디어 [2015]
  • 연명의료 결정에 대한 법 제정과 현실, 인격주의 생명윤리, 4(2)
    김중곤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pp.35-57 [2014]
  •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안의 배경과 향후 과제: 연명의료결정 제도화 마련을 위한 특별위원회 활동경과를 중심으로, 의료정책 포럼, 11(3)
    김명희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pp.8-19 [2013]
  • 연명의료 결정 제도화에 대한 윤리적 성찰, 인격주의 생명윤리, 14(1)
    가톨릭생명윤리연구소 [2014]
  • 역, 품위 있게 평화롭게 세상과 이별하는 방법
    모리츠 준코 최경순 서울: 창해 [2014]
  • 역, 죽음 앞의 인간
    고선일 아리에스 필립 서울: 새물결 [2004]
  • 역, 기술의학윤리
    요나스 이유택 한스 서울: 솔 [2005]
  • 언어의 이해
    김종현 파주: 태학사 [2010]
  • 언어사회학 서설
    이병혁 서울: 까치 [1986]
  • 야마가타 켄지, 김수호 역, 인간답게 죽는다는 것
    파주: 군자출판사 [2006]
  • 알폰스 데켄, 오진탁 역, 죽음을 어떻게 맞이할 것인가
    파주: 궁리 [2009]
  • 알빈 에저, 원당희 역, 법학자의 입장에서 본 안락사의 가능성과 한계, 안락사 논쟁의 새 지평: 생의 마지막 선택, 품위 있는 죽음을 위하여
    서울: 세창미디어 [2010]
  • 안락사의 윤리적 문제: 의사조력자살을 중심으로, 철학탐구, 21
    이종원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pp.155-187 [2007]
  • 안락사: 정의·분류 그리고 윤리적 정당화
    김상득 손명세 생명윤리, 1, 한국생명윤리학회, pp.97-111 [2001]
  • 안락사 내지 치료중단과 불법행위 책임
    김천수 의료법학, 6(1), 대한의료법학회, pp.13-44 [2005]
  • 실존주의 상담에서의 죽음의 의미와 상담 교육적 기능에 관한 연구
    김대동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 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 문제점 및 과제, 이슈와 논점
    이만우 국회입법조사처 [2013]
  • 소극적 안락사 무엇이 문제인가
    노영상 서울: 예영 커뮤니케이션 [2007]
  • 셀리 케이건, 박세연 역, DEATH(죽음이란 무엇인가?)
    서울: 엘도라도 [2014]
  • 세계법제정보
    http://world.moleg.go.kr/World/WesternEurope/FR/law/38527?astSeq=0
  • 성인의 Advance Directive(AD-생명연장술) 사전선택에 대한 태도 연구, 한국의료윤리학회지, 4(2)
    김순이 김신미 이미애 한국의료윤리학회, pp.231-244 [2001]
  • 서울대학교
    http://www.snuh.org/pub/snuh/sub02/sub01/1177938_3957.jsp
  • 생명의료윤리
    구영모 파주: 동녘 [2010]
  • 생명윤리정책연구센터
    연명치료 중단 조사연구보고서 [2010]
  • 생명윤리정책연구센터
    연명치료 중지 및 사전의료의향서 조사연구보고서 [2011]
  • 생명윤리와 안락사
    문국진 서울: 여문각 [1982]
  • 생명윤리와 법
    권복규 김현철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 생명권에 대한 자기결정권과 국가의 보호의무: 회생 불가능한 연명치료 환자의 생명을 중심으로, 법학연구, 38
    김종세 한국법학회, pp.1-20 [2010]
  • 삶과 죽음: 권리인가 의무인가
    서울: 육법사 [2006]
  • 사회복지학사전
    이철수 파주: 혜민 북스 [2013]
  • 사회복지정책론
    김경우 파주: 나남출판 [2008]
  • 사회복지정책론
    손병덕 서울: 학지사 [2012]
  • 사전의료지시서의 한계, 의료법학, 11(2)
    오세혁 정화성 대한의료법학회, pp.239-274 [2010]
  • 사전의료지시[서]에 대한 성인의 인식과 태도, 기본간호학회지, 17(4)
    김수현 기본간호학회, pp.450-459 [2010]
  • 사전의료결정제도의 국내외 현황, 한국의료윤리학회지, 13(3)
    김신미 김현숙 홍영선 한국의료윤리학회, pp.193-204 [2010]
  • 사전연명의료의향서와 국립기관에서의 관리, 생명윤리포럼, 5(1)
    노연홍 국가생명윤리정책연구원 [2016]
  • 사망자의 생애말기 진료비 양상: 건강보험 자료를 이용한 접근, 보건행정학회지, 22(1)
    신현철 최미영 최병호 한국보건행정학회, pp.29-48 [2012]
  • 불교의 임종지도에 관한 연구
    정순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불교 상 장례의 의미와 전개
    정각 불교신문 [2007]
  • 보라시오, 김영하 역, 스스로 선택하는 죽음: 존엄사의 의미와 그 실현 가능성
    도메니코 지안 파주: 동녘사이언스 [2015]
  • 보건복지부b
    말기암환자 완화의료 전문기관 지정 및 지원 사업 안내 [2015]
  • 보건복지부a, 완화의료 건강보험적용: 요양급여비용 및 실무안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15]
  • 보건복지부
    생명윤리안전과 보도자료 [2010]
  • 보건복지부
    호스피스 완화의료 기관이용 현황 [2014]
  • 보건복지부
    연명치료관련 의사결정의 정당한 절차와 기준에 대한 지침 개발 [2005]
  • 법학자의 관점에서 본 연명의료의 환자결정권 보장과 제도화 방안, 의료정책 포럼, 11(3)
    한국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pp.33-39 [2013]
  • 법철학의 문제들
    박은정 서울: 박영사 [2007]
  • 법적논증의 기초
    김성룡 대구: 경북대학교 출판부 [2006]
  • 법률행위능력과 의사능력제도에 관한 비판적 검토, 민사법학, 45
    이진기 한국민사법학회, pp.257-289 [2009]
  • 법과 의사, 동아법학, 22
    허일태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pp.213-234 [1997]
  • 배우자 사별 노인의 대처 자원, 배우자 죽음의 질이 사별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4(3)
    손의성 홍세희 한국인간발달학회, pp.65-86 [2007]
  • 바람직한 연명의료 결정의 방향과 과제(전자자료)
    유재중 유재중의원실 천주교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2014]
  •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 용어의 통일, 사회적 합의를 위한 토론회 원고
    노태헌 한국보건의료연구원 주최 토론회, pp.46-48 [2009]
  • 매일경제사전
    http://dic.mk.co.kr
  • 매기 컬러넌, 이기동 역, 마지막 여행
    서울: 도서출판 프리뷰 [2013]
  • 매경이코노미
    1686호 [2012]
  • 말기환자의 재택 임종에 관한 탐색
    박재영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말기환자의 연명치료중단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도, 한국의료윤리학회지, 7(2)
    김효심 박연옥 유문숙 장봉희 조유숙 한국의료윤리학회, pp.198-216 [2004]
  • 말기환자에 대한 연명치료 유보와 임종자의 존엄성
    홍석영 과학사상, 1, 범양사, pp.73-89 [2004]
  • 말기암환자 완화의료정책 현황
    장윤정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15(4), pp.183-187 [2012]
  • 말기 노쇠 환자의 삶의 질을 고려한 적정진료에 대한 연구
    김도경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로빈 길, 김승호 역, 교회 안락사를 말하다: 존엄한 죽음인가 살인인가
    서울: 한국장로교출판사 [2011]
  • 로널드 드워킨, 박경신 김지미 공역, 생명의 지배영역: 낙태, 안락사, 그리고 개인의 자유
    서울: 이화여대 생명의료법연구소 [2008]
  • 동아출판사, 두산백과사전
    서울: 동아출판사 [2010]
  • 독일과 오스트리아에서의 사전진료지시, 사전의료지시서의 현실적 논의와 윤리적 성찰
    신동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개원기념 학술 심포지움 [2008]
  • 데 리더, 이수영 역, 우리는 어떻게 죽고 싶은가?
    미하일 서울: 학고재 [2011]
  • 대한의사회
    의사윤리강령 [1997]
  •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대한병원협회 연명치료중지에 관한 지침 제정특별위원회, 연명치료중지에 관한 지침
    대한의사협회 대한의학회 대한병원협회 [2009]
  • 대한응급의학회, 응급의학
    파주: 군자출판사 [2011]
  • 뇌사 인정과 관련 문제에 대한 일고, 강원법학, 12
    김동림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pp.355-357 [2000]
  • 노인이 인지하는 좋은 죽음 의미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
    권금주 김미혜 임연옥 한국사회복지학회, pp.195-213 [2004]
  • 박사
    노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
    이명숙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노인의 죽음준비와 죽음불안에 관한 연구
    이영순 원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노인의 바람직한 죽음과 사별가족애도 상담, 한국죽음학회 2회 학술대회원고
    고양곤 한국사회복지간호사회 [2005]
  • 노인복지학
    장인협 최성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7]
  • 노인복지론: 고령사회 대비를 위한 노인복지 정책 고찰
    김귀환 나직균 서울: 동문사 [2010]
  • 노인과 죽음, 고령사회의 이해
    정병은 한림대학교 고령사회연구소, 서울: 소화 [2010]
  • 노인과 성인이 인식하는 ‘좋은 죽음’에 대한 연구, 한국노년학, 23
    김순이 김신미 이윤정 한국노년학회, pp.95-110 [2003]
  • 노년학
    김태현 파주: 교문사 [2007]
  • 나는 한국에서 죽기 싫다
    서울: 엘도라도 [2014]
  • 권고안에 대한 윤리적 평가와 바람직한 연명의료 결정의 방향
    정재우 의료정책포럼, 11(3),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pp.27-32 [2013]
  • 국민건강보험공단
    http://www. nhimc.or.kr/hospice
  • 국립암센터, 호스피스 완화의료에 대한 정의
    고양: 국립암센터 [2011]
  • 관무량수경에 나타난 위기극복상담과 정토구제, 정토학연구, 2
    김말환 한국정토학회, pp.177-200 [1999]
  •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완화의료 수가 제도화에 따른 완화의료 활성화 방안 및 바람직한 완화의료기관 모형개발
    보건복지부 [2011]
  • 거버넌스관점에서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의 문제점과 합리화 방안에 관한 고찰, 강원법학, 5
    전수영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pp.517-547 [2015]
  • 가톨릭대학교 호스피스 교육연구소, 호스피스 완화간호
    파주: 군자출판사 [2006]
  • 新법학통론
    최완진 서울: 세창출판사 [2014]
  • 『존엄사』
    김건열 서울: 최신의학사 [2005]
  • 『사회복지학 개론』
    조흥식 파주: 광문각 [2008]
  • 『사회복지정책론』
    남기민 파주: 양서원 [2015]
  • 『마지막 선물』
    오진탁 서울: 세종서적 [2007]
  • 박사
  • “좋은 죽음에 대한 의사의 개념과 교육”
    유상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3]
  • http://blog
    허대석 naver.com/dsheokr/10168602743 [2013]
  • b, 생명의 시작과 죽음: 윤리논쟁과 법의식
    서울: 삼우사 [2009]
  • b,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을 위한 사회적 합의안 제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09]
  • a, 환자의 자기결정권과 사전의료지시서
    허대석 대한의사협회지 [2009]
  • Yang L. Sakamoto N. Marui E., A study of home deaths in Japan from 1951 to 2002, BMC Palliat Care, 5(2), 2006.
  • Tom L. Beaucham and James F. Childress, Principles of Biomedical Eth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 The Debate of the Age Health and Care Study Group, The future of health and care of older people: The best is yet to come, Age Concern, 1999.
  • Schneiderman LJ,Still saving the life of ethics. Hastings Cent Rep, 20(6), pp.22-24, 1990.
  • Ruth Macklin, dignity is a useless concept, British Medical Journal, (327), pp.1419-1420, 2003.
  • Robert Wood Johnson, Foundation, Last Acts Coalition. Means to a Better End: A Report on Dying in America Today, November 2002.
  • Robert J. Kastenbaum, Death, Society and Human Experience. 7th ed. Allyn and Bacon, 2001.
  • NHPCO, NHPCO Facts and Figures: Hospice Care in America, 2012 Edition, 2012.
  • Lacey Debra, Nursing home Social Worker Skill and End-of-Life Planning, Social Work in Health care, 2009.
  • John K. David, Precedent autonomy and end-of-life care, in The Oxford Handbook of Bioethics ed by Steinbock, Bonni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 Izumi S. Nagae H. Sakurai C. Imamura E, Defining end-of-life care from perspectives of nursing ethics, Nurs Ethics. 19(5), pp.608-618, 2012.
  • Gomes B, Higginson IJ, Where people die(1974-2030): past trends, future projections and implications for care. Palliat Med, 22(1), pp.33-41, 2008.
  • Gibson MC Gutmanis I Clarke Hetal, Staff opinions about the components of a good death in long-term care. Int J Palliat Nurs. 14(8), pp.374-381, 2008.
  • Frrow Greaney Johnson Jost Schwartz, Health Law, West Grop, 2000.
  • Forero R. McDonnell G. Gallego B. McCarthy S. Mohsin M. Shanley Cetal, A Literature Review on Care at the End-of-Life in the Emergency Department, Emerg Med Int. 2012.
  • Field, M. J., Cassel, C. K., Approaching death: improving care at the end of life, Health progress, 92(1), Institude of Medicine, pp.882-1577, 2001.
  • Elisabeth k bler Ross, On Death and Dying, New York: Simon & Schuter, 2003.
  • Ebersole, P. Hess, P., Toward Healthy Aging: Human Need & Nursing Response, St. Louis, Mo.: Mosby/Elsevier, 2010.
  • Daniel Callahan, Death and the Research Imperativ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00.
  • Connor Stephen, Hospice and Palliative Care: The Essential Guide (2nd.), CRC Press, 2009.
  • 1차 진료에서의 호스피스, 가정의학회지, 19(11)
    배현정 한국가정의학회, pp.968-970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