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다문화 관점으로 본 문화예술교육 효과 :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안지언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다문화 관점으로 본 문화예술교육 효과 :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다문화 사회
  • 다문화 청소년
  • 문화 충격
  • 문화다양성
  • 문화예술교육
  • 사회 통합
  • 새터민(북한이탈)청소년
  • 제3국 출생 북한이탈(새터민)청소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44 0

0.0%

' 다문화 관점으로 본 문화예술교육 효과 : 북한이탈 및 중도입국 청소년 집단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한국의 이주노동자 운동: 우리 시대의 소수자 운동”▒서울: 이학사▒설동훈▒
    [2005]
  •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4 소년원 학교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연 구”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아르떼) [2014]
  • 한국 다문화사회의 형성 . “ 요인과 통합 정책”, 중앙대학교 국가정 책연구소
    강휘원 국가정책연구 [2006]
  • 크로싱 탈북자 및 새터민에 . “ - 대한 심리적 이해와 상담 개입 ; 사례 를 통해 살펴본 탈북청소년의 심리적 이해”, 한국심리학회
    금명자 연차학술발표대 회 논문집 [2008]
  • 코디 최. “20세기 문화지형도”
    서울: 컬쳐그라퍼 [2010]
  • 제 차 다문화가족 정책 12 위원회, ‘다문화가족 자녀 지원 종합대책’
    심포지움 년 3월 9일 [2016]
  • 정경은 김윤나 양돈규. “문화예술교육 효과성 연구- 교 정시설소년원학교를 중심으로”
    유제민 임영식 서울: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1]
  • 유네스코 아시아 태평양 국제 이해 교육원 엮음.『다문화사회의 이해』
    파주: 도서출판 동녘 [2008]
  • 외국인 노동자 문제의 배경
    설동훈 『실천문학』. 74(2): 220-230 [2004]
  • 여성가족부. “제2차 다문화가족지원 기본계획”
    서울: 여성가족부 [2012]
  • 여성가족부. “다문화가족정책 개선방안”
    서울: 여성가족부 [2014]
  • 숙명여자대학교 다문화통합연구소. “문화예술을 활용한 다문화프로그램 실 태조사 연구”
    서울: 문화체육관광부 [2012]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 [1994]
  • 사회자본 : 이론과 쟁점
    배영 유석춘 장미혜 정병은 서울: 도서 출판 그린 [2006]
  •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심리적 적응: 문화적응의 상호주의를 향하여
    김은경 허석재 『(시대의 논리)민족연구』. 41: 97-120 [2010]
  • 법무부 출입국 외국인정책본부. “2014 출입국 외국인정책통계연보”
    서 울: 법무부 [2014]
  • 문화적 다양성과 사회복지
    김정진 이기영 최명민 최현미 서울: 학지 사 [2009]
  • 문화예술교육을 받은 다문화가정
    김지연 「 2세의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심리적 특성의 관계에 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책 산업대학원 국내석사학위 논문 [2013]
  • 문화다양성 이해와 증진을 위한 박물관의 비교문화 전시 연구
    홍경아 동덕여 자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2]
  • 디지털 시대의 문화자본과 불평등
    서우석 이호영 『문화정책논총』. 23: 69-95 [2010]
  • 동덕여자대학교 다문화인재양성사업단(김춘경), ‘다문화사회 예술융합교육의 필요 성과 효과에 관한 세미나’
    년 2월 15일 [2016]
  • 독일의 교육통합의 기본방향과 Joerg Ziegenspeck. 문제점, 독일 뤼네부르크대학교 교수
    연도미상
  • 독일교육통합의 기본방향과 문제점, 제 2차 국제학술회의, 민 족정체성과 남북한 청소년
    Poeggeler, F. 한국청소년연구원 [1992]
  • 대한민국에사는 탈북자(새터민)들의 적응실태
    김영만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5]
  • 박사
  • 다문화 인식론의 . “ 형성과 특징 고찰”
    이종일 『사회과교육연구』. 20(2): 91-108 [2013]
  • 교육인류학과 질적 연구
    조용환 『교육인류학연구』. 15(2): 1-21 [2012]
  • 경기교육청북부청. “2014년 다문화교육기본계획”
    경기: 경기교육청 [2014]
  • 『편견 문화 교육』
    오성주 서울: 다산글방 [2002]
  •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한국에서의 다문화주의』
    오경석 서울: 한울아카데 미 [2007]
  • 『시뮬라크르의 시대 : 들뢰즈와 사건의 철학』
    이정우 서울: 거름 [1999]
  • 『다문화사회와 타자이해』
    이종일 파주: 교육과학사 [2014]
  • 박사
  • 「지역문화 공간으로서 예술촌 연구: 민들레 연극마을과 다자와코 예술 촌 사례를 중심으로」
    안지언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박사
  • 박사
    「다문화자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프로그램 기획 연구」
    정선재 전남대학교 문 화전문대학원 국내석사학위논문 [2011]
  • 「다문화사회 이주민에 대한 문화예술교육 효과 분석연구」
    조준형 추계예술대 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09]
  • 「다문화사회 아동을 위한 합창무용교육 프로그램」
    안비화 숙명여자대학교 일 반대학원 국내박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한국 사람들이 가지는 가치가 소수 집단에 대한 편견적 태도에 미 치는 영향”
    김혜숙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91-104 [2007]
  • “통독전 동 서독간 청소년교류가 남북청년 교류에 주는 시사점”
    권이종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5]
  • “코메리칸 자녀교육”
    권상길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2009]
  • “초등학교 다문화교육의 현황 및 지향점”
    김인 『초등교육연구』. 22(2). 23-42 [2009]
  • “청년심리학”
    장희숙 서울: 장승 [1993]
  • “이민 정책과 다문화주의: 정부의 다문화정책 평가”
    이혜경 서울: 한국 사회학회 동북아시대 위원회 [2007]
  • “새터민 청소년의 현주소 및 정착지원 방안모색”
    권이종 사단법인 세계 평화청년연합 [2006]
  • “새터민 청소년 교육지원을 위한 법 제도보완 방안”
    권이종 서울: 통 일부, (사)한국청소년연합 [2008]
  • “사회적 망과 사회적 지지이론”
    장승옥 『사회과학논총』. 15: 293-312 [1996]
  •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적 적응방안연구”
    박영정 서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2011]
  • “북한이탈주민의 국내정착을 위한 행정지원체계의 연구”
    박하진 한국정 책학회 2003년 동계학술대회. 한국정책과학학회 [2003]
  • “북한이탈주민 정착실태와 과제”
    박윤숙 한국사회학회 2010 후기 사회학 대회. 한국사회학회 [2010]
  • “북한이탈주민 사회적응 프로그램 모형 개발”
    강구섭 『민족발전 연구』. 3: 87-121 [1999]
  • “문화예술 체험활동 ‘국경없는마을 RPG' 참여 곧으학생의 다 문화 경험에 관한 연구”
    김영순 전영은 『문화예술교육연구』. 8(2): 55-77
  • “다민족 다문화 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정책패러다임구축(Ⅱ): 다문화사회로의 이행을 위한 문화정책 현황과 발전방향”
    김이선 서울: 한국여성정 책연구원 [2008]
  • “다문화가족관련연도별 통계”
    여성가족부. 2015 [2015]
  • “다문화가정의 자녀교육 실태조사”
    조영달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10]
  • “다문화 사회의 성격과 다문화 교육의 방향”
    박채형 『학습자중심교과교 육연구』. 12(1). 141-159 [2012]
  • “다문화 교육의 현황과 과제”
    안경식 서울: 학지사 [2008]
  • “남북청소년교류의 이해와 교류방안- 동북아시대의 체육․청소년 분 야 교류협력 활성화 방안“
    권이종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체육 청소년분과위원회 제37차 회의자료 [2003]
  • “군문화예술 활동 효과분석”
    김세훈 『예술경영연구』. 28: 233-255 [2013]
  • “2016년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교육부 (2016.3.9.) [2016]
  • “2015년 다문화 학생 교육지원 계획 발표”
    교육부 (2015.3.17.) [2015]
  • “2013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연구”
    전기택 서울: 여성가족부 [2013]
  • “103인의 현대사상: 20세기를 움직인 사상의 모험가들”
    김우창 서울: 민음사 [1999]
  • kamilicka, will. Multicultural Citizenship : 장동진 외 옮김(2010). “다문화주 의 시민권”
    파주: 동명사 [2007]
  • kamilicka, will. (2008). Multicultural Odyssesys: Navigating the new international politics of diversti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Young (2002). Brain waves, Pictures Sorts and branding moment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42(4), 42-53.
  • Yin. R. K (2006). Case study methods In. J. Green. G. Camilli&P.Elmore(Eds.), Handbook of complementray methods in education research(3rd ed,. pp.111-122).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 Witvliet, C. V. O., & Vrana, S. R. (1995). Psychophysiological responses as indices of affective dimensions. Psychophysiology, 32(5).
  • Triandis, H. C. (1971). Attitude and Attitude Change. New York: John Willy & Son.
  • Teplin, L., Abram, K., McClelland, Dulcan, G., & Mericle, A. (2002). Psychiatric Disorders in Youth in Juvenile Detent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2).
  • Sumner, William G. (1966). The Folkways. New York : Routledge.
  • Sandra M. Walsh, Sue Radcliffe, Lynnette C. Castillo, Adarsh M. Kumar,, & Dawn M. Broschard (2007). A Pilot Study to Test the Effects od Art-Making Classes for Family Caregivers of Patients with Cancer. Online Exclusive Forum, 34(1).
  • Robert Morrison MacIver.(1917). Community.
  • Ravaja, N. (2004). Contributions of psychophysiology to media research: Review and recommendations. Media Psychology, 6(2), 193-235.
  • Myrian V. Thoma., Roberto La Marca., Rebecca Bronnimann., Linda Finkel., Ulrike Ehlert., Urs M. Nater., (2013). The Effect of Music on the Human Stress Response. PLOS ONE, 8(8), 1-12.
  • M.. ,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Van Manen Canada: THE University of Western Ontario 신경림 안규남 역 Press. (1994),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 구방법론”, 서울: 동녘 [1990]
  • Lacey, N 2000, Narrative and Genre, p. 65, Palgrave, New York Lisetti, C. L., & Nasoz, F. (2004). Using noninvasive wearable computers to recognize human emotions from physiological signals. EURASIP Journal on Applied Signal Processing, 11, 1672-1682.
  • Kumiko Toyoshiman, Hajime Fukui, & Kiyoto Kuda (2011). Piano playing reduces stress more than other creative art activities. International Journal of Music Education, 29(3), 257-264.
  • Kirschnaum C. & Hellhammer DH. (1989). Salivary cortiso in psychobiological research an overview. Neuropsychobiology, 22, 150-169.
  • Kathleen K., Patty W. B., Leonard B., Audrey Zucker-L., Ann H. N., Lawrence W. F., & Rosemary, E. B. (2011). Salivary Cortisol Levels in Students Challenged with a Testing Stressor. Clinical Laboratory Science, 24(4), 221-227.
  • Kalvero Ober(1954), ‘Culture Shock’, ‘presented to the women’s club of rio de janeiro, brazil, August 3,
  • K.Y.Au, (2000). Intra-cultural variation as another construct of international management: a study based on secondary data of 42 countries. Journal of International Management, 6, 217-238.
  • Julia Romananowska, Gerry Larsson, Maria Eriksson, Britt-Maj Wikstrom, Hugo Westerlund, & Tores Theorell (2009). Health Effects on Leaders and Co-workers of an Art-Based Leadership Development Program. Psychotherapy and Psychosomatic, 80, 78-87.
  • Huebner-Funk, Sibylle, European Youth facing European Integration, in : Direccao dos Servicios de Educacao Juventude (Ed.),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Symposium on Asian Youth. Macau 2000, pp.121-128.
  • Huebner-Funk, Sibylle, Deutsche Einheit, deutscher Staat und deutsche Jugend: Katarakte eines gebrochenen Loyalitaetsdramas, in : Gotschlich, Helga/Schulze, Edeltraud (Eds), Deutsche Teilung-deutsche Wiedervereinigung. Jugend und Jugendpolitik im Umbrunch der Systeme. Berlin1996, pp.15-33.
  • Huebner-Funk, S.(1996). Deutsche Einheit, deutscher Staat und deutsche Jugend: Katarakter einers gebrochenen Loyalitaetsdreamas, in Gotisch, H./ Schulz, E.(Eds.), Deutsche Teilung - deutsche Wiedervereinigung . Jugend und Jugendpolitik im Umbruchder Systeme. Berlin .S15-33
  • Harnett, J,(2012). Reducing Discrepancies between Teachers Espoused Theories and Theories-in-Use: An Action Research Model of Reflictive Professional Developmnet, Educational Action Reserach, 20(3): 267-384
  • Gunter Kreutz, Stephan Bongard, Sonja Rohrmann, Volker Hodapp, & Dorothee Grebe (2003). Effects of Choir Singing or Listening on Secretory Immunoglobulin A, Cortisol, and Emotional State. Journal of Behavioral Medivine, 27(6), 623-635.
  • Gunnar, M. R., Bruce, J., & Hickman, S.E. (2001). Salvary cortisol response to stress in children, Adv Psychosem Med, 22, 52-60.
  • Guetzkow, J. (2002. How the arts impact communities: an introduction to the lietrature an arts impact studies, 1rinceton 6niversity.)
  • Granger, D.A., Schwartz, E. B., Booth, A., & Arentz, M. (1999). Salivary testosterone determination in studies of child health and development, Horm Behav, 35, 18-27.
  • Gilcher-Holter, Ingrid. Die 68er Bewegung. 정대성 옮김(2006). “68운동: 독 일 서유럽 미국”
    파주: 들녘 [2003]
  • Gibson, E.L., Chcckley, S., Papadopoulos, A., Poon, L., Daley, S., & Wardle, J. (1999). Increased salivary cortisol reliably induced by a protein-rich midday meal. Psychosom Med, 61, 214-224.
  • Friedebug, v. Ludvig(1992). Bildungsreform in Deutschland. Suhrkamp.
  • Fraser, Ronald. 1968: A Studenet Generation in Revolt. 안효상 옮김 (2014). “1968년의 목소리”
    서울: 박종철 출판사 [1999]
  • Field, T., Martinez, A., Nawrocki, T., Pickens, J., Fox, N., & Schanberg, S. (1998). Music Shifts Frontal EEG in Depressed Adolescents. Adolescence, 33, 109-16.
  • Creswell 지음,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옮김. “질적연구 방법론 5가지접근”
    John W. 서울: 학지사 [2010]
  • Claudia Maria Sousa, Mario Goncalves, Jorge Machado, Thomas Efferth, Tobias Greten, Petra Froeschen, & Henry J. Greten (2012). Effects of qigong on performance-related anxiety and physiological stress function in transverse flute music school children: a feasibility study. Journal of Chinese Integrative Medicine, 10(8), 858-865.
  • Brisban, 참고: 성열관, ‘산업, 정부
    고등교육에서의 실행연구를 위한 심포 지움’, 1989 [2006]
  • Bridget E. Hatfield, Linda L. Hestenes, Victoria L. Kintner-Duffy, Marion O’Brien. (2013). Classroom Emotional Support predicts differences in preschool children’s cortisol and alpha-amylase level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28, 347-356.
  • Bokhoven1, I. V., Van Goozen., S. H., van Engeland., H., Schaal, B., Arseneault, L., Se guin, J.R., Nagin, D. S., Vitaro, F., & Tremblay, R. E. (2005). Salvary cortisol and aggression in a population-based longitudinal study of adolescent males. Journal of Neural Transmission, 112, 1083-1096.
  • Bohnenkamp, Edith(1973). Ein Jahr Orientierungsstufe in Niedersachsen, in: Schulversuche und Schulreform, 31-124. Hannover, Darmstadt, Berlin.
  • Blythe A. Corbett, Joan R. Gunther, Dan Comind, Jenifer Price, Niles Ryan, David Simon, Clayton W. Schupp, & Taylor Rios (2011). Brief Report: Theatre as Therapy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Autism Dev Disorder, 41, 505-511.
  • Bennet, Christine. Multicultur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김옥순 외 옮김. (2009). “다문화 교육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007]
  • Bannett, C. I.(1990).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ion, Massachusetts: Allyn and Bacon.
  • Banks, j. A.(2002). An Introduc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 BKJ, BMBF, OECD, European Commission(2002), ‘Developing Competencies in Cultural Education’
  • Action Reserach: A Guide for the Theacher Researcher, New York: Prentice Hall. 강성우 외 역(2005). “교사를 위한 실행연구”
    Mills, G. 서울: 우 리교육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