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에 따른 한국 해군의 대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public of Korea Navy’s Strategy for Dealing with the Maritime Security Threats against the East Asia Region

신강석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에 따른 한국 해군의 대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public of Korea Navy’s Strategy for Dealing with the Maritime Security Threats against the East Asia Reg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해군
  • 주변국
  • 해군력
  • 해양분쟁
  • 해양안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83 0

0.0%

'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에 따른 한국 해군의 대비방안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public of Korea Navy’s Strategy for Dealing with the Maritime Security Threats against the East Asia Region' 의 참고문헌

  • 년 9월 21일 [2012]
  • 년 3월 7일 [2016]
  • 환경 TV 뉴스, 동아시아 지역 신규 원전건설 세계 1위…원전 폐쇄는 꼴찌
    년 3월 12일 [2015]
  • 헤럴드경제,“이어도 넘보는 중국....정찰기 출현 6년 새 5배 증가”
    년 9월 15일 [2015]
  • 해양안보 협력의 국제적 발전추세와 해군의 역할 확대
    이 근 『Strategy 21』, 통권29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 해군본부, 『해군기본교리』
    (대전 : 해군본부) [2007]
  • 합동참모본부, 『합동 연합 군사용어사전』
    (서울 : 합동참모본부) [2010]
  • 한중일 안보협력의 여건과 향후 발전방향
    박창권 『국방정책연구』, 제31권 제2호, 통권 제108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5/2016.『2013~14년/2014~15년/2015~16년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4]
  • 한국일보,“북한 SLBM 시험발사 계속 이어질 것”
    년 7월 11일 [2016]
  • 한국의 해상교통로에 대한 초국가적 위협의 분석 및 향후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백병선 『국가전략』, 제16권 3호, (서울 :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0]
  • 한국의 안보 변화 위협에 대한 전망
    백병선 윤종준 『국제문제연구』, 제15권 4호, (서울 :국가안보전략연구원) [2015]
  • 틸 저, 『아시아의 해군력 팽창 군비경쟁의 서막 인가?』
    임경한 제프리 최종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 틸 저, 「21세기 해양력」
    배형수 제프리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 코나스넷,“북한 해군력 증강과 위협”
    년 2월 14일 [2015]
  • 중앙일보,“중국 군함 첫 센카쿠 진입…”
    년 6월 9일 [2016]
  • 조선일보
    년 5월 2일 [2012]
  • 일본 외교청서에서 또 "독도는 일본 땅" 주장
    년 4월 15일 [2016]
  • 일본 또다시‘독도는 일본땅’..영문사이트도 개설“
    년 4월 15일 [2016]
  • 일 방위백서에 독도는 일본 땅 11년째 도발”
    년, 7월 22일 [2015]
  • 인민일보,“시진핑, 남중국해 제도는 예로부터 중국의 고유땅” 년 10월 19일 조선닷컴, 시진핑‘진주 목걸이’外交전략, 아베의‘안보다이아몬드’와 충돌”
    2014년 9월 17일 [2015]
  • 육군사관학교, 『국가안보론』
    (서울 : 박영사) [2001]
  • 육군 군사연구소, 『세계의 지역분쟁 사례집 III』
    (대전 : 육군본부) [2012]
  • 연합뉴스,“中 남중국해 영유권 패소…미 중, 新냉전 패권다툼 격랑속으로”
    년 7월 12일 [2016]
  • 연합뉴스
    년 10월 1일 [2010]
  • 역, 기꾸지 히로시 저, 『전략기초이론』
    (서울 : 국방대학교) [1993]
  • 역, 고르시코프 저, 『국가의 해양력(The Sea Power of the State)』
    임인수 (서울 : 책세상) [1999]
  • 아시아투데이,“해군 병력 4000여명 충원 시급하다”
    년 3월 26일 [2014]
  • 아시아경제, 해군함정 '늘지만' 해군병력은 '그대로'
    년 3월 7일 [2014]
  • 세계일보,“대북 방어작전 위주 벗어나 동북아 해양갈등 대비해야”
    년 11월 7일 [2012]
  • 서울신문, 中,“남중국해 방공식별구역 선포 준비”
    년 6월 2일 [2016]
  • 비군사적 위협에 대한 평가와 정책적 대응방향 연구 (정책연구보고서 02 –1829)
    문광건 엄태암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2]
  • 문화일보,“미국의 국가함대 개념, 한 해군-해경 협력 시사점 될 것‘
    년 9월 19일 [2015]
  • 머니위크,“원유 천연가스 묻힌 대륙붕 7광구.. 13년후에는 일본땅 될 가능성”
    년 5월 25일 [2016]
  • 매일경제,“중, 남중국해 전투기 16대 배치”
    년 4월 4일 [2016]
  • 동아일보, 한-중, 이어도 놓고 ‘EEZ 신경전’
    년 7월 28일 [2011]
  • 동아시아 해양안보의 현황과 다자간 해양협력방안
    박영준 『JPI 정책포럼』, (제주 : 제주평화연구원) [2012]
  • 동북아 역사재단, 『대일 강화조약 자료집』
    (서울 : 동북아 역사재단) [2006]
  • 대륙국가의 해군력 건설 요인에 관한 연구 : 소련(러시아)․중국 사례비교
    김정현 (서울 : 연세대학교) [2004]
  • 뉴스타운,“중국
    남중국해 파라셀 제도에 미사일 8기 배치”년 2월 17일 [2016]
  • 뉴스,“군 경 유엔사, 한강하구서 불법조업 중국어선 합동 단속”
    포커스 년 6월 10일 [2016]
  • 뉴데일리, 국정원, "년 광명성 3호보다 성능 다소 개선"
    2015년 2월 7일 [2012]
  • 5월 4일 [2016]
  • 네이버뉴스,‘국회입법조사처, 일본 신안보법 쟁점정리’
    년 10월 16일 [2015]
  • 남사군도 영토분쟁과 중국의 대응
    이정태 『선주논총』, 제5집, (구미 : 금오공대 선주문화연구소) [2002]
  • 국제 해양안보 협력체계의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이상진 정상만 『해양연구논총』, 42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11]
  • 국방일보,“이지스함 추가 건조 F-X 사업 조기 추진 필요”
    년 10월 24일 [2013]
  • 국방부, 『정예화된 선진강군』
    (서울 : 국방부) [2013]
  • 국방대학교, 『안보관계용어집』
    (서울 : 국방대학교) [2005]
  • 국방기술품질원. 『국방과학기술용어사전』
    (서울 : 국방기술품질원) [2011]
  • 국민일보,“북한 SLBM, 년쯤 실질적 위협”
    2016년 4월 26일 [2020]
  • 경향신문
    년 2월 18일 [2010]
  • 경북매일
    년 5월 3일 [2006]
  • 『해양자원과 활용』
    박인태 (서울 : 학문사) [1997]
  • 『해군비전 2030(Navy vision 2030)』
    (대전 : 해군본부) [2012]
  • 『해군군사용어사전』
    (대전 : 해군본부) [2013]
  • 『합동군사기본교리』
    (서울 : 합동참모본부) [2014]
  • 『한국과 바다의 국제법』
    김영구 (서울 : 효성출판사) [1999]
  • 『한․일간 독도 영유권 논쟁의 역사와 그 쟁점』
    신용하 2002년(사) 4월회․ 독도학회 공동심포지엄 발제문 [2002]
  • 『창조국방, 국방발전의 새로운 길』
    (서울 : 국방부) [2015]
  • 『일본의 역사왜곡 21가지』
    송영심 (서울 : 산호와 진주) [2005]
  • 『시사상식사전』
    박문각 (서울 : 박문각 출판사) [2014]
  • 『바다와 국가의 정책』
    이경호 정승진 (서울 : 학현사) [2001]
  • 『동아시아 해양분쟁』
    김종두 (서울 : 문영사) [1997]
  • 『동아시아 주요 해양분쟁과 중국의 군사력』
    김태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5]
  • 『동아시아 국제관계와 영토분쟁』
    유철종 (서울 : 삼우사) [2007]
  • 『독도논문 번역선 2』
    권오엽 (서울 : 다다미디어) [2005]
  • 『국제법』
    김정건 (서울 : 박영사) [1990]
  • 『국제법 Ⅱ』
    류병화 (서울 : 법문사) [2000]
  • 『국제 현실정치의 바다전략』
    반길주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5]
  • 『국방백서』
    (서울 : 국방부) [2014]
  • 『국가안보론』
    이광보 (인천 : 진영사) [2010]
  • 『21세기 해양력을 위한 협력전략』
    (대전 : 해군본부) [2015]
  • “해양자원, 국가성장의 방향을 바꾸다”
    양희철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2015]
  • “해양영토 분쟁과 독도 영유권에 관한 연구”
    최병학 『지방정부연구』, 제 14권 제2호, (서울 : 한국지방정부학회) [2010]
  • “해양안보 위협확산에 따른 한국해군의 역할 확대 방안”
    박창권 『STRA TEGY 21』, 통권 31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 “해양과학의 보고, 이어도”
    심재설 『이어도, 지금 우리에게 무엇인가』, 국회 정책토론회 발표논문집 [2007]
  • “해상테러 및 해상강도”
    고명석 『해양의 국제법과 정치』, 한국해로연구회(편), (서울 : 도서출판 오름) [2011]
  • “해상교통로의 국가 경제적 영향에 관한 계량적 분석”
    정삼만 『해양연구 논총』, 41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09]
  • “해군창설 70주년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년 11월 10일 [2015]
  • “해군, 제12회 국제해양력 심포지움 부산서 개최”
    년 10월 19일 [2015]
  • “해군 해경간 상호 운용성 증진 세미나 개회사”
    이서항 『해군 해경간 상호 운용성 증진 세미나 발표논문집』, (대전 : 해군본부) [2015]
  • “한반도 주변수역의 해양경계선 획정에 관한 연구”
    김현수 「해양 연구 논총」, 제19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1997]
  • “한반도 안보환경변화와 국방정책의 발전방향”
    이근석 (경기 : 인하대학교) [2004]
  • “한국해군이 지향할 해양전략”
    김정현 『전투발전연구』, 제16호, (대전 : 해군본부) [2009]
  • “한국해군의 해상교통로 보호방안”
    김덕기 제1회 해양전략 심포지움,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4]
  • “한국 국방정책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김용환 (대전 : 한남대학교) [2013]
  • “한 중 일 해양분쟁 심화요인과 그 함의에 관한 연구”
    강희각 (대전 : 한남대학교) [2013]
  • “한 중 간 이어도해 영유권 분쟁에 관한 지리학적 고찰”
    송성대 『대한지리학회지』, 제45권 제3호, (서울 : 대한지리학회) [2010]
  • “필리핀의 중국 상대 남중국해 분쟁 중재재판소 회부문제”
    박영길 『독도연구저널』, Vol. 21 (부산 :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13]
  • “치명적 위협 북한 SLBM에 대비하라”
    문근식 『통일한국』, 통권 제386호, (서울 : 평화문제연구소) [2016]
  • “최근 일본의 방위력 증강 동향과 안보적 시사점 : 해상자위대 전력을 중심으로”
    허성필 『주간국방논단』, 제1497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4]
  • “중국이 주장하는 남중국해 ‘9단선’의 합법성 검토”
    정갑용 『독도연구』, 제16호, (대구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4]
  • “중국의 해양영토분쟁이 대한민국 안보에 미치는 영향”
    김정현 박광융 『해양연구논총』, 제44집, (진해 : 해군사관학교) [2013]
  • “중국의 해양세력화와 한국의 해양안보”
    강량 임수환 『세계지역연구 논총』, 26집 3호, (서울 : 한국세계지역학회) [2008]
  • “중국의 동아시아 전략과 남중국해 분쟁”
    변창구 『한국 동북아논총』, 71호, (서울 : 한국동북아 학회) [2014]
  • “중국의 국가정체성 진화와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변화”
    이지용 『국제 관계연구』, 제19권 통권 36호, (서울 : 일민국제관계연구원) [2014]
  • “중국군 30만명 감축의 전략적 함의”
    김주환 『국회보 10월호』, (서울 : 국회사무처) [2015]
  • “중 CADIZ 설정과 한국의 KADIZ 확대에 따른 과제”
    정철호 『정세와 정책통권』, 215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14]
  • “조어도 영유권 분쟁과 중 일관계 : 에너지 안보와 민족주의 측면”
    이홍표 『STRATEGY 21』, 제15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5]
  • “조어대(센카쿠열도)의 영유권 분쟁과 당사국간 법리에 관한 연구”
    김진욱 양희철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6 no.3, (안산 : 한국해양과 학기술원) [2014]
  • “정전협정 60년 NLL과 서북도서”
    제성호 『STRATEGY 21』, 통권 31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 “정부의 동북아 평화협력구상과 해양을 통한 이행방안,”
    양희철 (사)해양환경 안전학회 추계 학술발표회, (목포 : 목포해양대학교) [2015]
  • “잠수함 증강 다시 수면 위로,”
    년 1월 9일 [2012]
  • “일본의 해양전략 평가와 전망”
    김기주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4]
  • “일본의 독도 인식을 중심으로”
    곽진오 『독도와 한 일 관계』, (서울 : 지식산업사) [2010]
  • “일본과 인접국 간의 해양자원 확보 및 영토분쟁”
    손기섭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6]
  • “일본, 탄도 대함미사일 동시 요격하도록 이지스함 개량”
    년 6월 14일 [2015]
  • “일본 방위백서 독도 영유권 주장”
    동아닷컴 년 7월 21일 [2015]
  • “일본 교과서 검정 논란 일지”
    년 3월 18일 [2016]
  • “이어도 해양영토 분쟁과 한국의 대응”
    김강녕 『전투발전연구』, 제22호, (대전 : 해군본부) [2015]
  • “이어도 분쟁의 가능성과 대응방안 : 중국의 민족주의적 접근을 중심으로”
    고경민 『국제문제연구』, Vol.14 No. 2, (서울 : 국가안보전략 연구소) [2014]
  • 박사
  • “우리나라 해앙방제체계 개편방안”
    목진용 해양환경안전학회 추계 학술표회 자료, (목포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9]
  • “역내 해양협력 및 신뢰증진을 위한 한국 해군의 기여방안”
    박영준 『STRATEGY 21』, 통권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 “양분화된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질서와 해군력의 역할,『21 세기 정치학회 회보』, 21권 1호
    배진석 이승렬 (서울 : 21세기 정치학회) [2011]
  • “양분화 이론으로 본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질서와 해군력의 역할”
    배진석 (부산 : 동아대학교) [2011]
  • “아 태지역 해양문제와 지역안보”
    이서항 『정책연구시리즈』, (서울 : 외교안보연구원) [1999]
  • “설득이론을 통한 해군력의 정치적 사용에 관한 고찰”
    양정승 『Strategy 21』, 통권 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 “서해북방한계선(NLL)의 법적성격에 관한 연구”
    김호춘 『정보 보안 논문지』, (경기 : 한국융합 보안학회) [2013]
  • “북한의 해양 비대칭 전력과 한국의 해양안보”
    박성용 『정치정보연구』, 제14권 2호, (서울 : 한국 정치정보학회) [2011]
  • “북한의 군사위협 평가와 전망”
    임인수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4]
  • “북한 핵위협 현실화를 고려한 군사전략 발전방향”
    박창권 『주간국방논단』, 제1586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 “북방한계선(NLL)의 법적성격과 유효성”
    제성호 『제9회 충성대 학술세미나』, (영천 : 육군 3사관학교) [2004]
  • “북극해 항로개발의 현황과 과제”
    정태권 제7회 세계해양포럼 [2013]
  • “북극항로 시대 해군의 역할과 해군력 발전에 관한 연구”
    백성호 『STRATEGY 21』, 통권 35호 ,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3]
  • “변화하는 동북아 해양안보환경과 한국안보의 방향”
    박성용 『동북아 국제 정세와 한반도 통일문제』, (광주 : 전남대학교 세계한상문화연구단) [2010]
  • “미군, B-52 폭격기 인공섬 주변 상공 비행…中 경고에도 비행지속”
    년 11월 13일 [2015]
  • “미국의 아시아 중시 전략에 따른 동아시아 해양안보환경 전망,『동북아연구』, 제28권 2호
    임경한 (광주 : 조선대학)
  • “미국의 동아시아 해군력 변동현황 분석”
    이춘근 『동아시아의 해양분쟁과 해군력 증강현황』,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1998]
  • “미국 아시아 태평양 해양안보 전략의 주요 내용과 시사점”
    박창권 『주간국방논단』, 제1594호,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15]
  • “미 중간 신해양 경쟁과 우리나라의 해양안보정책”
    구민교 『주요 국제 문제 분석』, No. 2013-30, (서울 : 외교안보연구소) [2013]
  • “미 일-중, ARF서 '남중국해 인공섬' 놓고 연일 격돌”
    년 8월 7일 [2015]
  • “동아시아의 해양안보 위협요인과 한국의 대비과제”
    신강석 『사회과학연구』, 18호, (서울 : 숭실대 사회과학연구소) [2015]
  • “동아시아공동체 추진과 민족주의 극복방안”
    배기찬 이남주 『동아시아 공동체 논의의 현황과 전망』, (서울 : 동북아역사재단) [2009]
  • “동아시아 해양안보 현안과 시사점”
    박창권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 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4]
  • “동아시아 해양분쟁과 지역 평화 구축의길 ”
    이서항 『옥포지』, 105호, (서울 : 해군사관학교 총동창회) [2016]
  • 박사
  • “동아시아 해로안보와 해군의 역할”
    이서항 『STRATEGY 21』,통권 25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0]
  • “동아시아 지역의 해양영토 분쟁 : 배경 및 현황”
    배진수 『Strategy 21』, 12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03]
  • “동아시아 미 중 해양패권 분석”
    차도회 (대전 : 한남대학교) [2012]
  • “동북아지역 해양영토분쟁과 한국의 해양안보”
    최병학 『해양전략』, 제 154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12]
  • “동북아의 해양분쟁과 한국의 안보”
    김강녕 『군사논단』, 제29호, (서울 : 한국군사학회) [2001]
  • “동북아시아 지역에서의 해양영토 분쟁의 배경 및 현황 : 동해, 서해 및 일 러간 해양분쟁”
    배진수 『Strategy 21』,Vol 6, No. 2, (서울 : 한국해양 전략연구소) [2012]
  • “동북아시아 도서영유권 분쟁의 법적 쟁점 및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김진욱 (목포 : 목포대학교출판부) [2013]
  • “동북아 해양안보환경의 변화와 한국해군의 대응전략”
    조한길 『해군대학연구논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04]
  • “동북아 세력경쟁질서와 해양변수 연구”
    정임재 (경기 : 경기대학교) [2014]
  • “동남아‧서남아․오세아니아의 전략적 딜레마와 해군력 현대화”
    윤석준 『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4]
  • “독도 이어도 해양영토 분쟁과 한국의 복합대응”
    고봉준 『한국정치연구』, 제22집 제1호, (서울 :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2013]
  • “독-이어도 수호 전략함대 10년 내 만든다”
    년 8월 31일 [2012]
  • “도서영유권 분쟁과 한국의 독도 대응전략”
    김만수 (서울 : 고려대학교) [2009]
  • “대한민국 해양전략과 해군력 선진화 방향”
    전창빈 (서울 : 서울벤처대학원 대학교) [2012]
  • “다차원적 해양안보 위협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
    김기주 손경호 『국제 문제연구』, 통권49호, (서울 : 국가안보전략 연구소) [2013]
  • “남중국해의 파고가 거칠어지고 있다,『국방저널』,통권 제436호
    이장훈 (서울 : 국방홍보원) [2010]
  • “균형해군 발전론”
    강영오 『STRATEGY 21』, Vol. 14, No. 1,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1) [2011]
  • “국제판례상 실효적 지배의 개념과 독도에 관한 고찰”
    이용희 『Ocean and Polar Research』, vol.35 no.4, (안산 :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013]
  • “국가의 해양주권 수호를 위한 한국해군의 전력건설 방향”
    신인균 『STRATEGY 21』, 통권 제30호, (서울 : 한국해양전략연구소) [2012]
  • “국가안보 차원에서 본 기후변화와 한국 해군의 대응”
    심경욱 (해군작전사 발표자료) [2013]
  • “국가비상사태 대비 해군전력 증강방안”
    조영주 『현 안보환경과 평가와 한국 해군력 발전방향』, 제17회 함상토론회, (대전 : 해군본부) [2016]
  • “공존기/통일기 주변국 해군력 발전전망 및 평가(정책연구보고서 03-1975)
    허성필 (서울 : 한국국방연구원) [2003]
  • “공세적 현실주의의 군사적 재해석을 통한 한국형 기동함대 적기 전력화에 관한 연구”
    안병준 (대전 : 한남대학교) [2015]
  • “공격적 현실주의 시각에서 바라본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 해양안보 경쟁전 망과 함의”
    임경한 『해양전략』, 제149호, (대전 : 합동군사대학) [2011]
  • “강대국 및 약소국 해양전략사상과 한국의 해군전략”
    박창희 『국가전략』, 통권 제62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12]
  • “美, 남중국해 인근에 中 견제용 공군기지”
    년 3월 22일 [2016]
  • “美 中 세력충돌, 위험 속 기회동맹 전략외교
    년 9월 26일 [2012]
  • “NLL과 북 주장 해상경계선”
    년 6월 24일 [2013]
  • “21세기 일본의 해양질서 구상과 해양정책,”
    박영준 『외교안보연구』, 제8 권 제1호, (서울 : 외교안보연구소) [2012]
  • “ 중국 ADIZ의 국제법적 해석과 동북아 안보에서의 함의 ”
    양희철 『국제법학회 논총』, 제59권 4호, (서울 : 대한국제법학회) [2014]
  • ‘미국과 중국의 동아시아 해양전략과 한국의 해양안보’『세종정책연구』, 2012-B
    정철호 (서울 : 세종연구소) [2012]
  • ‘韓경제…대외의존도 13분기 연속 100% 초과’
    년 7월 5일 [2014]
  • http://www.recaap.org
    (아시아 해적 퇴치 협정)
  • http://www.navy.mil.kr.(해군본부)
  • http://www.mof.go.kr(해양수산부).
  • http://www.mod.go.jp/msdf/formal/english
    (일본 해상자위대)
  • http://www.kr.people.com.cn
    (중국 인민일보 한국어 인민망)
  • http://www.kita.net/bluecap/search/search.jsp.(한국무역협회)
  • http://www.fmprc.gov.cn
    (중국 외교부)
  • http://www.eia.gov/countries/analysis briefs/South China Sea/south china_ sea. pdf
    (미국 에너지 정보청)
  • http://www.dokdo.mofa.go.kr
    (외교부 독도)
  • http://www.defense.gov
    (미국 국방부)
  • http://www.clearing.mod.go,jp
    (일본 방위성)
  • http://www.c7f.navy.mil
    (미국 해군 7함대)
  • http://ko.wikipedia.org/wiki/Spratly.(위키백과)
  • You Ji, 2001.“The Evolution of China’s Maritime Combat Doctrines and Models” : 1949-2001, Institute of Defense and Strategic Studies, May.
  • Toshi Yoshihara and James Holems, 2005.“Command of the Sea with Chinese Characteristics”Orbis, vol. 49, no.4, Fall.
  • The U.S. Joint Chiefs of Staff, 2015. The National Militar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5, June
  • Robyn Lim, 2005. The Geopolitics of East Asia (Abingdon : Routledge)
  • Peter Dutton, Robert Ross and Oystein Tunsjo (eds), 2015. Twenty-First Century Seapower, Cooperation and Conflict at Sea (London : Routledge)
  • Michael Pugh, 1994. “Sea Power, Security and Peacekeeping after the Cold War”, Maritime Security and Peacekeeping (Manchester University Press)
  • M. Taylor Fravel, 2012.“Maritime Security in the South China Sea and the Competition over Maritime Right”in Patrick M. Cronin, Cooperation from Strength, The United States, China and the South China Sea, (Center for New American Security, January)
  • Ken Booth, 1975. Navies and Foreign Policy (New York : Homles & Meire Publish)
  • Keerstin Vignard, Editor’s note, UNDIR disarmament forum : maritime security, (two 2010)
  • KBS TV
    년, 2월 7일 [2016]
  • Julian S. Corbett, 1981. Some Principles of M aritime Strategy, (London : Longmans, Green and Co)
  • Jane’s Fighting Ships, 2005-2006, 2010-2011, 2011-2012, 2012-2013, 2013-2014.
  • James Kraska and Raul Pedrozo, 2013. International Maritime Security Law, (Leiden Boston : Martinus NIJHOFF)
  • James E. Dougherty and Robert L. Pfaltzgraff, 1990. Contending Theories of International Relations ,(New York : Harper & Row)
  • Geoffrey Till, 1982. Maritime Strategy and Nuclear Age (London : The Macmillan Press LTD)
  • Eric Grove, 1994. The Future of Sea Power (London : Routledge, Manchester : Manchester University Press)
  • Department of the Navy, 1994. Forward From the Sea, (Washington, D. C.: USGPO), Sujit Dutta
  • Department of Defence, 2015. Asia-Pacific Maritime Security Strategy (Washington D. C. : Department of Defence)
  • David Baldwin, 1997.“The Concept of Security”, in Review of International Studies, Vol, 23
  • Chris Rahman, 2009. Concept of Maritime Security : A Strategic perspective on alternative vision for good order and security at sea, with policy implication for New Zealand (Center for Strategic : Victoria University of Wellington)
  • CNB 뉴스
    년 12월 18일 [2015]
  • C. R. Mitchell, 1981. The Structure of International Conflict (London : Macmillan)
  • Bruce Stokes, 2010.“China’s New Red Line at Sea”, National Journal, 3 July
  • Bernard D. Cole, 2001. The Great Wall at Sea (annapolis, MD : Naval Institute Press)
  • Amy Chang and John Dotson, 2012. Indigenous Weapons Development in China’s Military Modernization (Washington D.C.:US-China Economic and Security Review Commission)
  • A. Wolfers, 1952.“National Security an Ambitious Symbol”, Political Science Quarterly, Vol.23, No.1
  • 21세기 동북아 해양전략
    박남태 (서울 : 북코리아) [2015]
  • --------------------, 2012. Sustaining U.S. Global Leadership : Priorities for 21st Century Defense, January
  • -------, 1991. New Thinking about Strategy and International Security (London : Harper Collins Academic,1991)
  • ----, 2006. You Ji,“China’s Naval Strategy and Transformation”Lawrence W. Prabhakar, Joshua H. Ho and Sam Bateman(eds.), The Evolving Maritime Balance of Power in the Asia-Pacific (2006)
  • - ----, “한국의 해양강국과 포괄적 해양전략 발전”,『2013~2014 동아시아 해양안보 정세와 전망』
    (서울 : 한국해양전략 연구소)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