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다산 정약용의 종교적 소통에 나타난 실심윤리

김혜련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다산 정약용의 종교적 소통에 나타난 실심윤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철학, 사상
  • 경천
  • 권형
  • 다산 정약용
  • 다산학
  • 목민
  • 불교
  • 신독
  • 신유교
  • 실심윤리
  • 원시유교
  • 이사무애
  • 종교적 소통
  • 지성
  • 천주교
  • 행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962 0

0.0%

' 다산 정약용의 종교적 소통에 나타난 실심윤리' 의 참고문헌

  • 蓮潭大師林下錄(전4권),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히라카와 스케히로(노영희 옮김), , 마테오리치-동서문명교류의 인문학 서사시, 서울
    동아시아 [2002]
  • 한국철학의 맥, 서울
    한자경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8]
  • 한국철학사연구회편, 다산 경학의 현대적 이해, 서울
    심산 [2004]
  • 한국의 사상가 10人 : 다산 정약용, 서울
    윤사순 예문서원 [2005]
  • 한국실학의 집대성 : 정약용, 서울
    금장태 성균관대출판부 [1999]
  • 퇴계의 향내적 철학과 다산의 향외적 철학의 비교
    장승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5]
  • 진경시대, 서울
    정병삼 돌베개 [1998]
  • 주희의 불교비판과 공부론 연구
    김미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주희에서 정약용으로, 서울
    한형조 세계사 [1996]
  • 주자의 선불교비판 연구, 서울
    윤영해 민족사 [2000]
  • 주자의 불교비판 연구
    윤영해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주자사상연구회 편, 조선의 주자학과 실학, 서울
    혜안 [2009]
  • 종교란 무엇인가, 서울
    오강남 김영사 [2012]
  • 조선후기의 서학과 척사론 연구, 서울
    차기진 한국교회사연구소 [2002]
  • 조선후기 사학사 연구
    조성을 한울, 서울 [2004]
  •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경기도 성남
    김용태 신구문화사 [2010]
  • 조선후기 경학사상연구 : 정조와 경기학인을 중심으로, 서울
    김문식 일조각 [1996]
  • 조선 후기 지식인의 대외인식, 서울
    김문식 새문사 [2009]
  • 조선 후기 유학과 서학 : 교류와 갈등, 서울
    금장태 서울대출판부 [2003]
  • 조선 유학의 거장들, 서울
    한형조 ㈜문학동네 [2008]
  • 정조와 정조시대, 서울
    김인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1]
  • 정약용의 철학 : 주희와 마테오리치를 넘어 새로운 체계로, 서울
    백민정 이학사 [2007]
  • 정약용의 수양론 연구
    임부연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정약용의 문제들, 서울
    김영식 혜안 [2014]
  • 정약용과 실천의 철학, 서울
    장승구 서광사 [2001]
  • 정약용과 교안
    조성을 한국실학연구, 25 [2013]
  • 정약용 사상 속의 과학기술 : 유가 전통, 실용성, 과학기술, 서울
    김영식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6]
  • 정다산의 􋺷논어􋺸해석에 관한 연구 : 􋺷논어고금주􋺸를 중심으로
    김영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4]
  • 정다산 연구의 현황, 서울
    한우근 민음사 [1985]
  • 원효와 다산의 철학사상 비교
    방 인 한국불교사연구, 6 [2015]
  • 울리히 벡(홍찬숙 역), , 자기만의 신, 서울
    도서출판 길 [2013]
  • 외, “다산, 주자학 그리고 서학
    금장태 ” 다산학, 2 [2000]
  • 역사학회편(김경현 ∙ 오수창외), 정조와 18세기, 서울
    푸른역사 [2014]
  • 엠마누엘 레비나스(김연숙 ∙ 박한표), , 존재와 다르게, 경기도 고양시
    인간사랑 [2010]
  • 실학의 철학적 특성, 서울
    윤사순 나남 [2008]
  • 실학의 철학, 서울
    윤사순 예문서원 [1997]
  • 실학담론에 대한 지식사회학적 고찰: 근대성 개념을 중심으로
    이태훈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4]
  • 실천적 이론가 정약용, 서울
    금장태 이끌리오 [2005]
  • 성호학파의 서학인식과 척사론
    차기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박사학위논문 [1995]
  • 성호 이익 연구, 서울
    최석기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사랑의 무늬 [2012]
  • 서학에 대한 한국실학의 반응, 서울
    최동희 고려대학교출판부 [1988]
  •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서울
    한자경 예문서원 [2010]
  • 베이커(김세윤), , 조선후기 유교와 천주교의 대립, 서울
    도날드 일조각 [1997]
  • 범해 찬(김윤세 역), , 동사열전, 서울
    광제원 [1992]
  • 반계 유형원 연구, 서울
    문석윤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 사랑의 무늬 [2013]
  • 마테오리치(송영배 역), , 교우론 외, 서울
    서울대출판부 [2000]
  • 마테오 리치와 주희, 그리고 정약용, 서울
    김선희 심산 [2012]
  • 루돌프 옷토(길희성 역), , 성스러움의 의미, 서울
    분도출판사 [1987]
  • 라이몬 파니카, 경기도 성남
    한승홍 북코리아 [2011]
  • 동서철학의 교섭과 동서양 사유방식의 차이, 서울
    송영배 논형 [2004]
  • 도루 ∙ 아라카와 이쿠오(이수정), , 일본 근대철학사, 서울
    미야카와 생각의 나무 [2001]
  • 다산학술문화재단, 定本 與猶堂全書(全37冊), 서울
    사암 [2013]
  • 다산의 실학적 인간학, 광주
    장복동 전남대 출판부 [2002]
  • 다산의 성기호설적 인간이해에 대한 연구
    최대우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9]
  • 다산의 상제사상 연구: 그의 􋺷중용􋺸 해석을 중심으로
    김영일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다산의 사상과 그 현대적 의의, 경기도 성남
    김형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8]
  • 다산의 교육사상연구 : 천주교와의 접촉을 중심으로
    전도응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 다산실학탐구, 서울
    금장태 소학사 [2001]
  • 다산과 혜장의 교유와 두 개의 􋺷見月帖􋺸
    정 민 동아시아문화연구, 43 [2008]
  • 다산 정약용의 의례 이론, 서울
    박종천 신구문화사 [2008]
  • 다산 정약용의 서학사상, 서울
    김옥희 다섯수레 [1997]
  • 다산 정약용 평전, 서울
    박석무 민음사 [2014]
  • 박사
    다산 인성론의 교육적 의미
    김경태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다산 윤리사상의 인간학적 특징
    장복동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1]
  • 다산 윤리사상 연구, 서울
    장승희 경인문화사 [2005]
  • 다산 경학사상 연구, 서울
    이을호 을유문화사 [1973]
  • 니시다 기타로 ∙ 다카하시 스스무(최박광), , 선의 연구 : 퇴계 경철학, 서울
    동서문화사 [2009]
  • 논어의 주석과 해석학, 서울
    김영호 문사철 [2010]
  • 黎靖德 편(허탁⦁이요성 역주), , 朱子語類(1-4), 경기 성남
    청계 [2000]
  • 雲峯大智, 雲峯禪師心性論, 한국불교전서 9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6]
  • 試論茶山的考據學
    彭林 다산학, 6 [2005]
  • 覺岸, 東師列傳,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茶山四書經學硏究
    鄭一均 一志社, 서울 [2000]
  • 茶山 四書學硏究, 서울
    정병련 경인문화사 [1994]
  • 與猶堂全書(全21冊), 서울
    정약용 아름출판사 [1995]
  • 與猶堂全書(全20冊), 서울
    정약용 민족문화문고 [2001]
  • 禪門四辨漫語,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法集別行錄節要科目幷入私記,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東茶頌,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朱熹(陳榮捷 역주), , 近思錄詳註集評, 臺北
    學生書局 [1983]
  • 有一, 都序科目幷入私記,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意恂, 茶神傳,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惠藏, 兒菴遺集,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性理學 受容期 佛敎 批判과 政治 ∙ 思想的 變容-鄭道傳과 權近을 중심으로, 서울
    이정주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07]
  • 實心實學 개념의 역사적 사명
    小川晴久 한국실학연구, 18 [2009]
  • 孫尙揚(1992), 明末天主敎與儒學的交流和衝突, 臺北, 文津出版社.
  • 大東禪敎考를 통해본 정약용의 古代佛敎史 인식
    정선여 한국불교사학, 38 [2011]
  • 休靜, 三家龜鑑(전3권), 한국불교전서 7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6]
  • 亘璇, 禪文手鏡,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丁若鏞, 大東禪敎考, 한국불교전서 10책, 서울
    동국대출판부 [1989]
  • ⦁혜장(이두희 외 옮김), , 연담대사임하록⦁아암유집, 서울
    유일 동경역경원 [2002]
  • “􋺷상서 대우모􋺸의 16자 위작 문제-다산과 18-19세기 한중 학자들과의 논쟁을 중심으로,”
    장병한 한문학연구, 23 [1999]
  • “􋺷天主實義􋺸의 上帝와 丁茶山의 上帝觀,”
    오재환 한국사상과 문화 75 [2014]
  • “􋺷四書評􋺸의 眞僞 논쟁과 이탁오의 경학,”
    이영호 양명학, 25 [2010]
  • “蓮潭有一의 心性論 연구,”
    김진현 한국불교학, 52 [2008]
  • “蓮潭 有一의 漢詩 고찰 : 詩的 형상화의 개방성을 중심으로,”
    김석태 한국시가문화연구, 11 [2003]
  • “蓮潭 有一의 敎學的 佛敎詩,”
    김석태 한국시가문화연구, 15 [2005]
  • “한국 儒 ․ 佛 관계사 연구와 윌프레드 캔트웰 스미스의 종교 이해,”
    오지섭 종교연구, 30 [2003]
  • “퇴계 이황의 心學的 理學이 다산 정약용의 道德論 형성에 미친 영향,”
    이광호 한국실학연구, 12 [2006]
  • “초의의 禪과 茶의 사상적 연관성 고찰,”
    정영희 한국불교학, 54 [2009]
  • “천, 상제, 리 : 조선유학과 천주실의,”
    김선희 한국실학연구, 20 [2010]
  • “중용의 체제와 道의 기본구조 : 茶山과 荻生徂徠의 􋺷중용􋺸 해석,”
    금장태 동아문화, 40 [2002]
  • “조선후기 천주교 수용의 학술적 의미 고찰 : 다산 정약용과 신서파 ․ 공서파를 중심으로,”
    손흥철 다산학, 9 [2006]
  • “조선후기 불교사 찬술과 􋺷대동선교고􋺸,”
    오경후 한국사상과 문화 35 [2006]
  • “조선후기 儒者의 불교관,”
    김용조 경상대논문집, 22-2 [1983]
  • “조선유학의 理개념에 나타난 종교적 성격 연구 : 退溪의 理發에서 茶山의 上帝까지,”
    김형찬 철학연구, 39 [2010]
  • “조선양명학의 實心實學과 조선 후기 實學 : 爲堂 鄭寅普의 陽明學觀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중심으로,”
    한정길 한국실학연구, 28 [2014]
  • “조선 후기 한국과 일본의 상호인식,”
    하우봉 한국사상사학, 27 [2005]
  • “정약용의 사상에 나타난 西學과 儒學의 만남과 갈등 : 자유주의 수용의 前史,”
    안의순 정치사상연구, 2 [2000]
  • “정약용의 불교사상 비판론,”
    이영경 유교사상문화연구, 49 [2012]
  • “정약용과 천주교의 관계 : Daveluy의 비망록을 중심으로,”
    최석우 다산학보, 5 [1983]
  • “정약용과 오교 소라이의 경학사상 비교,”
    하우봉 다산학, 3 [2002]
  • “정약용과 다자이 슌다이의 논어 해석 비교연구,”
    하우봉 다산학, 22 [2013]
  • “정약용 철학과 성리학적 리기관의 해체 : 天主實義와의 영향관계를 중심으로,”
    송영배 철학사상, 13 [2001]
  • “정약용 사상과 학문의 실용주의적 성격,”
    김영식 다산학, 21 [2012]
  • “정약용 마음론의 구조와 쟁점 : 주희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임부연 종교학연구 [2001]
  • “정다산의 과학기술사상,”
    김영호 동양학, 19 [1989]
  • “인간적 학문 : 스미스 종교학과 인문학의 미래,”
    길희성 종교연구, 13 [1997]
  • “이퇴계의 철학사상이 정다산의 경학사상의 형성에 미친 영향에 관한 고찰,”
    이광호 퇴계학보, 90 [1996]
  • “유교 지식인의 공관념과 공공의식 : 이익 정약용 심대윤의 경우,”
    백민정 동방학지, 160 [2012]
  • “유교 윤리의 근거로서의 종교성 : 􋺷論語􋺸를 중심으로,”
    김상래 동서철학연구, 57 [2010]
  • “우익 지욱과 다산 정약용의 탈주자학적 논어 이해,”
    김혜련 한국선학회, 41 [2015]
  • “오규 소라이(荻生徂徠)와 다산 정약용의 실학관 비교,”
    이용수 한국실학연구, 22, 109-145 [2011]
  • “영명으로서의 인간 : 성학추술을 통해 본 정약용의 인간론,”
    김선희 동양철학연구, 60 [2009]
  • “불교의 禪思想과 茶道精神에 관한 硏究,”
    권혁란 한국선학, 24 [2009]
  • “마테오 리치와 다산 정약용의 철학의 거리 : 다산의 지적 배경을 통해 본 􋺷천주실의􋺸의 쟁점들,”
    백민정 교회사 연구, 39 [2012]
  • “레비나스 他者倫理의 先秦儒家的 理解”
    김연숙 유교사상연구 14 [2000]
  • “도덕 교과서에 나타난 전통 윤리의 문제점,”
    김대용 윤리연구, 78 [2009]
  • “다산학 연구의 최근 동향, 철학,”
    장동우 다산과 현대, 2 [2009]
  • “다산의 􋺷논어􋺸 해석에서 天命과 人格의 실현,”
    금장태 종교와 문화, 11 [2005]
  • “다산의 장기 유배기 시에 함축된 내면의식의 제 양상,”
    김봉남 한국한문학연구, 38 [2006]
  • “다산의 인성론,”
    성태용 철학연구, 14 [1979]
  • “다산의 양명학론,”
    김영우 다산과 현대, 8 [2015]
  • “다산의 불교관,”
    정종구 다산학보, 1 [1978]
  • “다산의 心개념과 마테오 릿치의 영혼론,”
    금장태 종교와 문화, 8 [2002]
  • “다산은 천주교인이다에 대한 반론,”
    김상홍 한문학연구, 13 [1990]
  • “다산에 있어서의 天과 上帝,”
    정순우 다산학, 9 [2006]
  • “다산과 西學 : 조선 주자학의 연속과 단절,”
    한형조 다산학, 2 [2001]
  • “다산 철학에 있어 계시 없는 상제,”
    성태용 다산학, 5 [2004]
  • “다산 정약용의 철학,”
    최해숙 동양철학연구, 29 [2002]
  • “다산 정약용의 윤리사상연구 : 주자의 윤리사상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장승구 한국철학논집, 21 [2007]
  • “다산 정약용의 윤리론에서 최종 결정권은 어디에 있는가? : 이성과 감정 사이에서,”
    유교사상문화연구, 62 [2015]
  • “다산 정약용의 선악에 대한 이해와 행 개념: 윤리적 차원과 종교적 차원의 중첩,”
    이숙희 다산학, 24 [2014]
  • “다산 정약용의 강진유배기 스님과의 交歡,”
    정종석 간송문화, 50 [1997]
  • “다산 정약용의 性嗜好說과 그 논거분석,”
    손흥철 다산학, 4 [2003]
  • “다산 정약용의 心經論 : 􋺷心經密驗􋺸을 중심으로,”
    정일균 사회와 역사, 73 [2007]
  • “다산 정약용의 ‘仁’자 해석,”
    함영대 다산과 현대, 3 [2010]
  • “다산 역학의 두 차원 : 종교성과 윤리성,”
    김영우 다산과 현대, 1 [2008]
  • “다산 교육론의 두 과녁 : 聖人과 上帝,”
    정순우 다산학, 18 [2011]
  • “다산 경학의 탈주자학적 세계관,”
    금장태 다산학, 1 [2000]
  • “다산 天개념과 천인관계론,”
    금장태 철학, 25 [1986]
  • “김정희의 불교인식과 선학논변,”
    금장태 종교와 문화, 14 [2008]
  • “공직윤리 정립을 위한 茶山 상제천의 현대적 적용,”
    송기호 윤리연구, 77 [2010]
  • “공동체주의의 도덕교육적 원리,”
    김규환 초등도덕교육, 2 [2006]
  • “草衣意恂의 생애와 茶道思想,”
    김영두 원광인체과학회지, 9 [2008]
  • “草衣意恂의 茶道哲學과 韓國思想의 特徵,”
    최영성 한국철학논집, 43 [2014]
  • “茶山철학과 天主實義의 패러다임 비교연구,”
    송영배 한국실학연구, 2 [2000]
  • “茶山의 상제에 대한 인식과 인간 이해,”
    최정묵 철학논총, 75 [2014]
  • “茶山의 天人相關에 관한 一考 : 上帝의 上帝權과 人間의 自主之權을 中心으로,”
    이희평 한국철학논집, 3 [1993]
  • “茶山 丁若鏞의 倫理思想에 관한 연구 : ‘道德的 自律性’을 중심으로,”
    장영희 동양철학연구, 19 [2005]
  • “茶山 丁若鏞의 康津流配期 스님과의 交歡,”
    정석종 동양학, 27 [1997]
  • “眞景時代 불교의 진흥,”
    정병삼 간송문화, 50 [1986]
  • “栗谷의 經世論과 疏通의 精神,”
    손흥철 율곡사상연구, 27 [2013]
  • “東茶頌에 나타난 다도정신에 관한 연구,”
    정경환 민족사상, 7(2) [2013]
  • “朱熹의 불교관에 나타난 儒佛修行論의 경계,”
    김미영 불교학연구, 창간호 [2000]
  • “朝鮮 後期의 實心實學에 관하여,”
    한예원 한자한문교육, 21 [2008]
  • “明齋 尹拯의 實心 ∙ 實學으로 본 公共幸福,”
    손흥철 남명학, 19 [2014]
  • “平常心과 實心의 소통윤리,”
    김용환 윤리교육연구, 16 [2003]
  • “天人合一의 性理學的 特性과 意味,”
    손흥철 동서철학연구, 23 [2002]
  • “天主實義의 내용과 그 의미,”
    송영배 철학사상, 5 [1995]
  • “利馬竇에 대한 조선후기 지식인들의 이해와 태도,”
    구만옥 한국실학연구, 20 [2010]
  • “丁茶山의 性說의 經學的 考察,”
    김영호 동방문화연구, 31 [1996]
  • “丁若鏞의 􋺷小學枝言􋺸 ∙ 􋺷心經密驗􋺸에 관한 硏究,”
    서근식 한국철학논집, 23 [2008]
  • “丁若鏞의 經學思想과 經世論,”
    김문식 한국학보, 78 [1995]
  • “丁若鏞의 善惡論,”
    이영경 유교사상문화연구, 47 [2012]
  • “E. Levinas 타자윤리에서 윤리적 소통에 관한 연구 ; 얼굴 ․ 만남 ․ 대화”
    김연숙 국민윤리연구 44 [2000]
  • “19세기 전반 노론계 불교인식의 정치적 성격,”
    조성산 한국사상사학, 13 [1992]
  • “17세기(明末) 마테오 리치(利瑪竇)의 중국전교와 유교관-그의 행적, 저술 그리고 유교관을 중심으로,”
    송영배 철학사상, 3 [1993]
  • “16세기 전반 전라도 지역 불교계의 동향,”
    손성필 호남불교의 재발견 : 2015 학술대회자료집, 전남대 호남불교문화연구소 [2015]
  • “16-17세기 朝鮮禪의 확립에 미친 유불교섭의 영향과 그 의의,”
    김방룡 동서철학연구, 59 [2011]
  • Raimon Panikkar(2014), Mysticism and Spirituality, Marynoll, New York
  • M. 엘리아데(이은봉), , 성(聖)과 속(俗), 경기도 파주
    한길사 [2014]
  • Donald Baker, “Shamans, Catholics, and Chong Yagyong : Tasan’s Defence of the ritual Hegemony of the Confucian State
    ” 다산학, 15 [2009]
  • Donald Baker, “Practical Ethics and Practical Learning Tasan’s Approach to Moral Cultivation
    ” 한국실학연구, 18 [2009]
  • D. Lancashire & Hu Kuo-chen(trans.)(1985), The True Meaning of the Lord of Heaven, Ricci Institute for Chinese Studices.
  • Cawley, “Traces of Same whthin the Other : Uncovering Tasan’s Christo-Confucianology
    Kevin N. ” 다산학, 24 [2014]
  • 16세기 조선의 불서간행
    손성필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 (전주대 호남학연구소 역), , 心經密驗 ; 與猶堂全書 권4, 국역여유당전서 권1, 전주
    정약용 전주대학교출판부 [1986]
  • (전주대 호남학연구소 역), , 中庸講義 ; 與猶堂全書 권4, 국역여유당전서 권1, 전주
    정약용 전주대학교출판부 [1986]
  • (전주대 호남학연구소 역), , 中庸自箴 ; 與猶堂全書 권4, 국역여유당전서 권1, 전주
    정약용 전주대학교출판부 [1986]
  • (장춘익), , 의사소통 행위이론 1, 서울
  • (이지형 역주), , 孟子要義 ; 與猶堂全書 권4, 국역 다산 맹자요의, 서울
    정약용 현대 실학사 [1986]
  • (이종수 옮김), , 운봉선사심성론, 서울
    동국대출판부 [2011]
  • (이광호 역주), , 근사록집해, 서울
    아카넷 [2004]
  • (송영배 외 공역), , 천주실의, 서울
    서울대출판부 [1999]
  • (성백효 역주), , 맹자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1]
  • (성백효 역주), , 대학 ∙ 중용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0]
  • (성백효 역주), , 논어집주, 서울
    전통문화연구회 [1990]
  • (박일봉 역저), , 牧民心書, 서울
    정약용 육문사 [2012]
  • (박석무 역주), , 茶山 散文選, 경기도 파주시
    정약용 창비 [2014]
  • (김중섭 ∙ 김호), , 다산의 사서학 : 동아시아의 관점에서, 서울
    차이전펑 너머북스 [2015]
  • (김영욱 옮김), 선문사변만어, 서울
    초의의순 동국대출판부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