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남북관계발전을 위한 남북기본합의서의 실효성 확보 방안 연구

이석범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이석범
    • 기타서명 (A)Study on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the Agreement on Reconciliation, Non-aggression and Exchanges and Cooperation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 (the Basic Agreement of Inter-Kore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Korea Relations
    • 형태사항 xiii, 247 p.: 26 cm: 삽화
    • 일반주기 지도교수 : 박정원, 참고문헌: p. 216-244
    • 학위논문사항 2016. 8,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북한법전공, 학위논문(박사)-
    • DDC 23, 349.516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6
    • 발행사항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9)
' 남북관계발전을 위한 남북기본합의서의 실효성 확보 방안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각국법 및 예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 0

0.0%

' 남북관계발전을 위한 남북기본합의서의 실효성 확보 방안 연구' 의 참고문헌

  • 년 5월 29일 [2013]
  • 년 12월 17일 및 27일 [1991]
  • 헌재 선고 99헌가 13(부정수표단속법 제2조 제2항 위헌제청) [2001]
  • 헌재 선고 2002헌가1(병역법 제88조 제1항 제1호 위헌제청 양심적 병역거부) [2004]
  • 헌재 선고 89헌가113 결정 [1990]
  • 헌재 선고 97헌바23(강제노역금지) [1998]
  • 헌재 선고 98헌마425(준법서약서 위헌확인) [2002]
  • 헌재 선고 89헌마240 결정 [1997]
  • 헌재 선고 95헌바3 결정 [1995]
  • 헌재 선고 2003헌바114 결정 [2005]
  • 년 1월 1일 [1992]
  • 헌재 선고 92헌바48 결정 [1993]
  • 노컷뉴스 년 5월 29일 [2013]
  • 현대 한국의 사상 흐름
    윤건차 장화역 서울: 도서출판 당대 [2000]
  • 헌법재판연구원,『통일과 법, 현재와 미래』
    통일심포지엄 [2014]
  • 한용희 역, 『Foundation of Democracy』
    Hans Kelsen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81]
  • 한반도평화포럼,『잃어버린 5년, 다시 포용정책이다』
    서울: 도서출판 삼인 [2012]
  • 한독국제회의,『내적 통합: 독일과 한국의 공동 도전과제』
    콘라드 아데나워재단 외 [2013]
  • 한국정치학회,『한반도 평화통일, 어떻게 만들 것인가? 제네바합의 이후 23년의 교훈과 과제』
    한국정치학회 국제학술회의, 2014. 10. 10 [2014]
  • 한국일보
    년 6월 27일, 6월 30일 [1998]
  • 한국공법학회 외, 『차기 정부의 공법적 과제』
    년 공동학술대회, 2012. 10. 27 [2012]
  • 폴 슈메이커, 조효재 역,『진보와 보수의 12가지 이념』
    서울: 후마니타스 [2011]
  • 평화와 통일을 여는 사람들,『평화누리 통일누리』
    통권 제152호 [2016]
  • 평화‧통일연구소,『한반도 평화 협정』
    파주: 도서출판 한돌 [2010]
  • 편,『평화논총』제1권 제2호
    임동원 년 가을‧겨울호 [1997]
  • 통일평화연구소,『남북기본합의서 발효 17주년 대토론회 남북간 합의-역사적 조망과 이행과제』
    서울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9]
  • 통일의 과정과 통일합의서에 관한 연구
    조재현(Cho, Jae-Hyun) 『동아법학』제66호, 동아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 통일원 남북대화사무국 편,『남북대화』
    통권 제47호∼제56호
  • 통일연구원 http://www
    kinu.or.kr
  • 통일연구원
    『유엔 인권이사회 북한인권 조사위원회 보고서』, 2014. 7 [2014]
  • 통일언론
    년 10월 12일 [2010]
  • 통일법제 데이터베이스 http://www
    unilaw.go.kr
  • 최신 북한법령집
    장명봉 북한법연구회, , 2013, 2015 [2011]
  • 찰스 암스토롱, 김연철‧이정우 역,『북조선 탄생』
    파주: 서해문집 [2006]
  • 지구촌평화연구소,『WHY 통일?』
    서울: 도서출판 태봉 [2014]
  • 중앙일보
    년 5월 7일 [2016]
  • 주해, 『백범일지』개정판 28쇄
    김구 도진순 파주: 도서출판 돌베개 [2007]
  • 조선일보
    년 2월 26일 [1998]
  • 조선일보
    년 5월 9일 [2016]
  • 조선신보
    년 1월 30일 [2009]
  • 조선국가와 법의 력사
    리재도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5]
  • 제3회 한반도포럼 학술회의,『김정일 이후 시대의 한반도』
    한반도 포럼 외 [2012]
  • 제159회 국회(정기회)외무통일위원회,『년도 국정감사 요구자료 Ⅳ -정대철의원-』
    통일원, 1992 [1992]
  • 제159회 국회(정기회)외무통일위원회,『년도 국정감사 요구자료 Ⅲ -이부영의원-』
    통일원, 1992 [1992]
  • 유타 림바흐 저, 정남철 역,『독일연방헌법재판소』
    Jutta Limbach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7]
  • 역,『오만한 제국』
    이아정 하워드 서울: 도서출판 당대 [2000]
  • 역,『두개의 한국』
    오버도프 이종길 고양: 도서출판 길산 [2003]
  • 역,『김정일의 통일전략』
    김영철 윤영무 서울: 살림터 [2004]
  • 역, 『김정일 최후의 도박』
    오영환 요이치 후나바시 서울: 중앙일보시사미디어 [2007]
  • 에이미 추아, 이순희 역,『제국의 미래』
    서울: 비아북 [2008]
  • 에곤 바, 박경서‧오영옥 역,『독일 통일의 주역, 빌리 브란트를 기억하다』
    서울: 북로컴퍼니 [2014]
  • 애쓰모글루 외, 최완규 역,『국가는 왜 실패하는가』
    대런 서울: 시공사 [2013]
  •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통일로드맵과 통일준비위원회의 단계적 역할과 정책과제』
    제57회 아사연 학술시민포럼 [2014]
  • 심헌섭 역, "Geltung und Wirksamkeit des Rechts", aus: Hans Kelsens stete Aktualitat, Wien, ,『법학』제44권 제4호
    Hans Kelsen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3. 12 [2003]
  • 서울고등법원 제7특별부 97구 18402
    북한주민접촉신청사건불허처분취소 청구사건 판결
  • 서동만,『북조선사회주의체제성립사』
    서울: 선인 [2005]
  • 샌델, 이창신 역,『정의란 무엇인가』
    마이클 파주: 김영사 [2010]
  • 사회주의헌법학
    량창일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82]
  • 사회주의법무생활을 강화할데 대하여
    김정일 평양: 조선중앙년감 [1983]
  • 빅터 D.차, 문순보 역,『적대적 제휴』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04]
  • 브루스 커밍스, 김동노 역, 『한국 현대사 (7쇄)』
    파주: ㈜창비 [2006]
  • 북한인권정보센터,『북한인권백서』
    서울: 북한인권정보센타, 2013. 8. 31 [2013]
  • 북한법제연구센타,『통일법제 인프라구축을 위한 입법과제』
    국민대학교 [2012]
  • 북한법연구회, 『북한법 연구』
    통권 제12, 13, 14, 15, 16호
  • 북한 중앙방송
    년 4월 9일 [1992]
  • 북과 남이 힘을 합쳐 나라의 평화와 통일의 길을 열어나가자
    김일성 󰡔조선중앙년감 1993󰡕, 북남고위급 쌍방대표단 성원들과 한 담화, 1992년 2월 20일. [1993]
  • 법치주의에 입각한 납북관계의 정립,『통일과 법률』제4호
    한명관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0]
  • 법제처, 『남북법제개선연구보고서』
    서울: 법제처 [2003]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통일위원회,『통일과 법률Ⅰ』
    서울: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2001]
  •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 모임
    『한국 인권보고서』, 2014. 12. 8 [2014]
  • 리하르트 슈뢰더, 최기식‧정환희 역,『독일통일에 관하여 잘못 알고 있는 것들』
    서울: 법무부 [2014]
  • 리프킨, 이원기 역,『유러피언 드림』
    제레미 서울: 민음사 [2005]
  • 리차드 오버리, 류한수 역,『스탈린과 히틀러의 전쟁』
    서울: 도서출판 지식의 풍경 [2003]
  • 로동신문
    년 10월 19일 [1990]
  • 동․서독기본조약에 관한 서독 연방헌법재판소의 결정문 (1973. 7. 31)
    최창동 『분단국가의 법적 지위』, 법률행정연구원 [1996]
  • 독일통일의 국제법적 조명
    이장희 허영 『독일 통일의 법적 조명』, 서울: 박영사 [1994]
  • 대법원 98두14525 북한주민접촉신청불허처분취소 청구사건 판결, 선고 2000도2536, 2003. 5. 13. 선고 2003도604, 2004. 11. 12
    2004도4044 판결 [2000]
  • 니콜라스 에버스타트, 주명갑 역,『한반도 통일로 가는 길』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1994]
  • 남북합의문서의 법적 쟁점과 정책 과제
    이장희 서울: 도서출판 아시아 사회과학연구원 [2007]
  • 남북정상회담 준비기획단
    『남북정상회담 합의 해설자료』, 2007. 10. 4 [2007]
  • 남북기본합의서와 헌법
    許銓 『법학연구』제5권,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993]
  • 권경휘 역, “켈젠의 근본규범이론”
    Joshep Ratz 『법철학연구』제15권 제1호 [2012]
  • 국회법제실 외,『통일헌법의 바람직한 미래상』
    제헌63주년 기념 공동학술대회 논문집 [2011]
  • 국회,『남북관계의 진단과 해법』
    국회정책세미나 [2013]
  • 국회 http://www
    assembly.go.kr
  • 국제조약의 성립요건
    림동춘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 법학』, 제49권 제3호 [2003]
  • 국가인권위원회
    『북한 주민인권실태조사』, 2008. 12 [2008]
  • 국가안보전략연구원‧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북한의 7차 당대회 평가 및 향후 전망』
    공동학술회의 [2016]
  • 국가안보전략연구소,『남북정상회담 평가와 대북정책 추진방향』
    국가안보전략연구소, 2007. 10. 8 [2007]
  • 국가비상대책협의회 10·4 공동선언의 위헌성 토론회 발제문
    강경선 『국가비상대책협의회 10·4 공동선언의 위헌성 토론회』, 국가비상대책협의회 [2007]
  • 국가법령정보센타 http://www
    law.go.kr
  • 과거청산통합연구원,『한반도 통일을 위한 ‘과거청산’의 의의와 과제』
    과거청산통합연구원 세미나, 2016. 5. 3 [2016]
  • 계희열 역, 『헌법의 기초이론』
    K. Hesse 서울: 박영사 [2001]
  • 『황장엽 회고록』
    (3판), 서울: 시대정신 [2010]
  • 『헌법학원론』
    정종섭 파주: 법문사 [2006]
  • 『헌법학개론』
    김철수 박영사, 서울 [2007]
  • 『헌법학(7판)』
    성낙인 파주: 법문사 [2007]
  • 『햇볕정책을 넘어 평화로 통일로』
    서울: 평화재단 [2006]
  • 『해방전후사의 인식Ⅱ』
    송건호 서울: 한길사 [1985]
  • 『해방전후사의 인식Ⅰ』
    송건호 2판, 서울: 한길사 [1980]
  • 『해방일기 1』
    김기협 서울: 너머북스 [2011]
  • 『한반도안보조약관련 조약의 법적 재조명』
    이장희 서울: 백산서당 [2004]
  • 『한반도, 다시 평화와 공존의 시대로』
    4 남북정상선언 5주년토론회 [2012]
  • 『한반도 평화체제』
    조성렬 파주: 도서출판 푸른나무 [2007]
  • 『한반도 평화조약의 체결』
    서울: 국제법출판사 [1994]
  • 『한반도 평화와 군비통제』
    한용섭 서울: 박영사 [2003]
  • 『한반도 신뢰의 길을 찾는다』
    임강택 서울: 도서출판 선인 [2013]
  • 『한반도 생존전략 -중립화-』
    강종일 서울: 해맞이미디어 [2014]
  • 『한국전쟁-끝나지 않은 전쟁, 끝나야 할 전쟁』
    박태균 서울: 책과함께 [2005]
  • 『한국전쟁-38선』
    정병호 파주: 도서출판 돌베개 [2006]
  • 『한국 정치의 이념과 사상』
    강정인 서울: ㈜후마니타스 [2009]
  • 『한국 인권보고서』
    2015. 12. 7 [2015]
  • 『한국 근현대 민족해방 운동사』
    이재화 서울: 백산서당 [1988]
  • 『피스메이커』
    임동원 서울: 중앙북스 [2008]
  • 『판례로 보는 남북한 관계』
    이효원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2]
  • 『통일속보』
    제98-6호 [1998]
  • 『통일법제 인프라구축을 위한 입법 과제』
    한국법제연구원 [2012]
  • 『통일법제 인프라 확충을 위한 쟁점과 과제』
    서울대학교 헌법‧통일법센타 학술대회 [2012]
  • 『통일법무기본자료(북한법제)』
    [2008]
  • 『통일백서』
    2001. 2 [2001]
  • 『통일백서』
    [1993]
  • 『통일국가의 헌법질서 구축방안』
    서울대학교 헌법‧통일법센타 학술대회 [2011]
  • 『통일과정 및 통일 이후의 헌법재판소의 기능과 역할』
    헌법재판소 [2011]
  • 『통일과 법률』
    통권 제1〜16호
  • 『통계에 나타난 독일통일 20년』
    [2009]
  • 『탈냉전기 남북관계와 미국이 역할』
    정문헌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1]
  • 『칼날 위의 평화』
    이종석 고양: 도서출한 개마고원 [2014]
  • 『체제 만들기』
    백낙청 파주: ㈜창비, 2012 [2013]
  • 『지속가능한 대북정책의 모색』
    국회입법조사처 외 [2013]
  • 『주한미군』
    김일영 조성렬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03]
  • 『주간북한동향』
    제377호, ~4. 10 [1998]
  • 『조선반도평화보장문제』
    엄국현 평양: 평양출판사 [2006]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헌법 년 9월 8일』
    평양: 조선최고인민회의상임위원회 출판과, 1948. 11. 15 [1948]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제정사』
    홍극표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6]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법규집(대외경제부문)』
    평양: 법률출판사 [2012]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가시회제도』
    한석봉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4]
  • 『제8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1992]
  • 『제7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1992]
  • 『제6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1992]
  • 『제5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1991]
  • 『제4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1991]
  • 『제3차 동북아 안보 심포지엄–동북아 정세와 안보 리더쉽 -』
    세계일보 [2012]
  • 『제3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1990]
  • 『제2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1990]
  • 『제1차 남북고위급회담 회의록』
    국토통일원 [1990]
  • 『제156회 국회 외무통일위원회 회의록』
    제10호, 년 12월 16일(월) [1991]
  • 『정치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3]
  • 『정치법률연구』
    1호〜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1]
  • 『정치법률연구』
    1호〜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2]
  • 『정치법률연구』
    1호〜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3]
  • 『정치법률연구』
    1호〜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4]
  • 『정치법률연구』
    1호〜4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5]
  • 『정전을 넘어 평화로』
    15 남북정상회담 13주년 기념 학술회의 및 기념회의 [2013]
  • 『전쟁과 사회』
    파주: 도서출판 돌베개 [2004]
  • 『인간중심 철학원론』
    황장엽 서울: 시대정신 [2009]
  • 『위대한 김정일동지의 사상리론』
    법학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3]
  • 『우리 역사 최전선』
    박노자 허동현 서울: 도서출판 푸른역사 [2004]
  • 『역사 앞에서』
    김성칠 파주: ㈜창비 [2007]
  • 『신편 국제법』
    김정건 서울: 박영사 [2004]
  • 『신고헌법해의』
    유진오 서울: 일조각 [1957]
  • 『서해평화협력특별지대 구축 실행방안 연구』
    사단법인 한반도평화포럼 [2011]
  • 『분단극복의 경험과 한반도 통일 1』
    김국신 서울: 도서출판 한울 [1994]
  • 『분단국의 통일과정에서 무엇을 배우고 준비할 것인가』
    평화재단 [2010]
  • 『분단국가의 통일과 헌법-독일과 예멘의 통일사례와 헌법자료』
    3판(보정판), 서울: 국민대학교 출판부 [2001]
  • 『분단국가의 통일과 미래』
    백범김구선생기념사업회 [2012]
  • 『북한인권백서』
    서울: 북한인권정보센터, 2015. 8. 13 [2015]
  • 『북한인권백서(영문판)』
    [2014]
  • 『북한인권백서(국문판)』
    대한변호사협회 [2014]
  • 『북한인권개선을 위한 서울국제심포지엄』
    국가인권위원회 외 [2013]
  • 『북한의 역사 만들기』
    도명희 서울: 도서출판 푸른역사 [2003]
  • 『북한의 김정일 체제하에서의 정비된 주요 법령』
    한국법제연구원 [2012]
  • 『북한법의 체계적 고찰(Ⅲ)』
    [1997]
  • 『북한법의 체계적 고찰(Ⅱ)』
    [1993]
  • 『북한법의 체계적 고찰(Ⅰ)』
    [1992]
  • 『북한법령집(상) (하)』
    [2008]
  • 『법학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71]
  • 『법정증언』
    이재봉 파주: 도서출한 들녁 [2015]
  • 『법률로 본 독일통일』
    [1995]
  • 『바른 역사를 위한 증언 2』
    박철언 서울: 랜덤하우스중앙 [2005]
  • 『미국의 엔진, 전쟁과 시장』
    김동춘 파주: ㈜창비 [2004]
  • 『미국과 중국의 새로운 리더쉽 등장과 한반도』
    [2013]
  • 『동아시아와 유렵, 평화를 향한 동행』
    4 남북정상선언 8주년 국제심포지엄 및 기념식 [2015]
  • 박사
  • 『독일통일의 정치: 한반도에 주는 교훈』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2010]
  • 『독일통일의 과정과 교훈』
    염돈재 평화문제연구소 [2010]
  • 『독일통일관계법 연구(Ⅱ)』
    법제자료 제161집 [1992]
  • 『독일통일관계법 연구(Ⅰ)』
    법제자료 제156집 [1991]
  • 『독일통일 20년과 한반도 통일』
    [2010]
  • 『독일통일 20년과 한반도 통일 전망』
    [2010]
  • 『독일통일 20년: 법제통합, 인구이동, 통일비용과 시사점』
    [2010]
  • 『독일의 자유민주주의 수호노력과 그 시사점』
    평화문제연구소 [2012]
  • 『독일 통일을 함께 경험한 그들의 이야기』
    콘라드 아데나워재단 [2014]
  • 『독일 통일 세미나』
    주독일대사관 [2010]
  • 『독일 법률‧사법통합 개관』
    법무자료 제165집 [1992]
  • 『대한민국의 기원』
    이정식 서울: 일조각 [2006]
  • 『다시 한반도의 길을 묻다』
    임동원 서울: 도서출판 삼인 [2010]
  • 박사
  • 『남북한관계와 헌법』
    도회근 울산대학교 출판부 [2009]
  • 『남북한관계론』
    심지연 파주: 도서출판 한울 [2009]
  • 『남북한관계론』
    이시형 정현수 고양: 도서출판 인간사랑 [2009]
  • 『남북한 합의문건 총람』
    국가정보원 [2005]
  • 『남북한 특수관계론』
    서울: 도서출판 한울 [1995]
  • 『남북한 통일헌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대학원 [1996]
  • 『남북한 분단해소의 법논리』
    장기붕 [1972]
  • 『남북한 법제정비방안 연구』
    [1999]
  • 『남북한 관계론』
    제성호 서울: 집문당 [2010]
  • 『남북한 관계개선의 원인에 관한 체계론적 분석』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1999]
  • 『남북법제 분과』
    제2회 아시아법제포럼 [2012]
  • 『남북법령 연구』
    [2013]
  • 『남북대화 사료집 회의록편』
    제1권∼제20권
  • 『남북기본합의서를 둘러 싼 협상과정연구』
    박형준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8]
  • 『남북기본합의서 채택의 의미와 대북정책의 방향』
    [2009]
  • 『남북기본합의서 요론』
    김명기 서울: 내외문제연구소 [1992]
  • 박사
    『남북기본조약체결에 관한 연구』
    김성오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1994]
  • 『남북교류협력에 따른 법제의 정비방향에 관한 연구』
    이주영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원대학교 [2001]
  • 『남북교류협력법제 개선에 관한 연구-중국․대만 교류법제의 비교를 중심으로』
    최명길 박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4]
  • 『남북교류협력 법제연구(Ⅴ)』
    [2013]
  • 『남북교류협력 법제연구(Ⅱ)』
    [2007]
  • 『남북교류의 규범체계』
    이효원 서울: 경인문화사 [2006]
  • 『남북관계의 경로의존과 구성-7․4 남북공동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 채택까지 남북회담 분석』
    배광복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2008]
  • 『남북관계연표 〜2011년』
    2011. 12 [1948]
  • 『남북고위급회담 남북기본합의서 및 분야별 부속합의서 타결과정』
    통일원 [1992]
  • 『남북경협법률아카데미 강의자료집』
    남북경협 제1기〜제8기, 2015 [2007]
  • 『남북 당국간 대화의 복원과 평화체제 구축』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2010]
  •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
    제57권 1호〜4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11]
  •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
    제58권 1호〜4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12]
  •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
    제59권 1호〜4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13]
  •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
    제60권 1호〜4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14]
  •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
    제61권 1호〜4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15]
  • 『김일성저작집』
    제43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 『국제법상 남북기본합의서 법적 구속력에 관한 연구』
    엄승재 석사학위논문, 외국대학교 [1999]
  • 『국가와 법의 리론(법학부용)』
    김억락 (3판),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91]
  • 『국가연합 사례연구』
    장명봉 국토통일원 [1986]
  • 『국가보안법연구 2』
    박원순 서울: 역사비평사 [1992]
  • 『과거청산통합연구원 총서 1: 과거청산과 통합』
    윤여상 서울: 과거청산통합연구원 [2013]
  • 『계간북한동향』
    민족통일연구원 [1997]
  • 『「한반도신뢰프로세스」해설서』
    통일부 [2013]
  • 『‘빨갱이’의 탄생』
    김득중 서울: 선인 [2009]
  • 박사
    『‘단계적 연방국가론’에 입각한 통일헌법 연구』
    최양근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대학원 북한학과 [2011]
  • 『7판 국제법론』
    김대순 서울: 삼영사 [2002]
  • 『6. 15. 공동선언 10주년: 남북관계와 한반도』
    국제고려학회 서울지회 제7차 전국학술대회 [2010]
  • 『6 15남북공동선언의 이행과 새 남북관계정립을 위한 법적 과제』
    박정원 법제처 [2000]
  • 『6 15 남북공동선언의 이행에 따른 국내법적 문제점과 정비방안』
    이윤구 석사학위논문, 국민대학교 [2000]
  • 『21세기의 한반도 구상』
    파주: ㈜창비 [2004]
  • 『21세기 한반도 백년대계』
    하영선 서울: 풀빛 [2004]
  • 《우리 민족끼리》는 과학적이며 혁명적인 조국통일의 기본리념
    전경선 『정치법률연구』, 1호,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11]
  • 《국가의 역할》
    장하준 서울: 도서출판 부키 [2006]
  • “헬싱키 프로세스의 초기 조건과 동북아 다자안보협력”
    홍기준 『통일문제연구』통권 제52호, 평화문제연구소, 년 하반기 [2009]
  • “헌법재판소의 남북기본합의서를 공동성명․신사협정이라고 본 이유 비판”
    『법조』통권 539호, 법조협회 [2001]
  • “헌법상 통일관련조항의 주요 쟁점과 개정문제”
    『서울국제법연구』11권 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04]
  • “한반도 평화체제의 건설: 쟁점 과제 전망;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동북아 다자간 안보협력전략”
    박건영 『한국과 국제정치』통권52호(제22권 1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6]
  • “한반도 평화체제와 한미동맹”
    『통일과 평화』제2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소 [2009]
  • “한반도 평화체제와 한 미동맹.”
    이상현 『한국과 국제정치』통권52호(제22권 1호), 경남대학교 극동문제연구소 [2006]
  •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에 관한 단계적 접근”
    조성렬 『통일과 평화』4집 1호, 서울대학교 통일평화연구원 [2012]
  • “한반도 평화체제 구상: 10대 쟁점”
    서보혁 『코리아연구원 참고자료 제10-01호』, 코리아 연구원 [2010]
  • “한반도 종전선언과 평화체제 수립의 국제법적 함의”
    이근관 『서울대학교 법학』제49권 제2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이론적 접근 및 국제화방안”
    박인휘 『통일정책연구』 제22권 1호, 통일연구원 [2013]
  •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구성, 인식, 접근방식”
    정성임 『통일정책연구』제22권 2호, 통일연구원 [2013]
  •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통일접근 방법론적 위상”
    강광식 『통일문제연구』제1권4호, 평화문제연구소 [1989]
  •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법적 구조에 관한 고찰”
    『통일문제연구』제1권4호, 평화문제연구소 [1989]
  •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에 대한 북한의 평가”
    강인덕 『통일문제연구』제1권4호, 평화문제연구소 [1989]
  • “한국헌법과 통일의 법적 문제”
    나인균 『헌법논총』제6집, 헌법재판소 [1995]
  • “평화통일관련 입법에 대한 헌법적 평가”
    최윤철 『통일의 공법적 문제』, 한국공법학회 제157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2010]
  • “통일지향적 새 남북관계 정립을 위한 공법적 과제”
    홍준형 『법제연구』제19호, 한국법제연구원 [1992]
  • “통일전 동서독과 남북한의 법적 관계 고찰”
    李永鎭 『법학연구』제6권, 충북대학교 법학연구소 [1994]
  • “통일의 공법적 문제”
    『한국공법학회 제157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한국공법학회 [2010]
  • “통일을 향한 동서독의 접근이 남북한의 교류에 주는 시사”
    신용철 『통일문제연구』제2권 제1호(통권 제5호), 평화문제연구소 [1990]
  • “통일법제 연구 현황과 향후 과제”
    『통일과 법률』통권 제1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봄호 [2012]
  • “통일로드맵과 통일준비위원회의 단계적 역할과 정책과제”
    『제57회 아사연 학술시민포럼』, 아시아사회과학연구원 [2014]
  • “통일과정에서의 남북한 특수관계 원용을 위한 법적․정치적 과제”
    『통일과 법률』통권 21호, 봄호 [2015]
  • “통일 및 관련 법제의 쟁점과 전망”
    『법제연구』제35호, 한국법제연구원 [2008]
  • “주체의 사회주의헌법리론”
    『조선사회과학학술집 93 법학편, 법학연구론문집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10]
  • “주체의 법리론(제2판)”
    심형일 『조선사회과학학술집 38 법학편, 법학연구론문집 2』,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10]
  • “조약체결에 대한 국회의 사후동의”
    정인섭 『서울국제법연구』제9권 제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02]
  •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
    『서울국제법연구』제15권 제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08]
  • “조약의 체결 비준에 관한 국회의 동의”
    정진석 『서울국제법연구』11권 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04]
  • “조약의 국내법적 효력에 관한 판례와 학설의 검토”
    정인섭 『서울국제법연구』제22권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15]
  • “조약의 국내법적 효력”
    이상철 『법제연구』16호, 한국법제연구원 [1999]
  • “조국통일 5대 방침에 대하여”
    󰡔김일성저작선집󰡕 제6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73]
  • “잠정적 특수관계의 성격과 남북한 평화조약 체결을 위한 법적 조건”
    李庸中(Yong-Joong LEE) 『국제법학회논총』제48권 제1호(통권 제95호), 대한국제법학회 [2003]
  • “입법사항에 관한 조약의 체결․비준에 대한 국회의 동의권”
    도경옥 『서울국제법연구』제20권 제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2013]
  • “유엔가입문제에 대한 남북한의 갈등”
    박치영 『통일문제연구』제2권 제4호, 평화문제연구소. , 겨울 [1990]
  • “유럽안보협력회의(CSCE)와 유럽안보협력기구(OSCE): 유럽의 안보협력 정책”
    기스만 요아힘 한스 『FES-Information-Series -09』, 함부르크대학 평화연구 및 안보정책 연구소, 2003. 11 [2003]
  • “우리나라 사회주의헌법서문의 독창성”
    백성일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 법학』, 제58권 1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12]
  • “영토조항에 대한 규범적 평가”
    이부하 『통일정책연구』15권 1호, 통일연구원 [2006]
  • “역대정부의 대북정책과 통일관련 국민적 합의 도출 방안”
    김병기 『통일과 법률』통권 제1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봄호 [2010]
  • “역대 정부와 이명박 정부의 평화통일정책에 관한 비교와 이에 대한 헌법적 평가”
    정영화 『통일의 공법적 문제』, 한국공법학회 제157회 국제학술대회자료집 [2010]
  • “양안 교류협력이 남북관게에 주는 함의: ECFA와 관련하여”
    전병곤 『통일정책연구』제21권 1호, 통일연구원 [2012]
  • “사회주의법치국가건설에 대한 주체의 리론”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제51권 1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05]
  • “사회주의법제정의 합법칙성”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 제43권 4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97]
  • “사회주의법제사업의 본질과 기본내용”
    진유현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 제43권 4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1997]
  • “사회주의법무생활을 강화하는 것은 선군시대 혁명과 건설의 중요한 요구”
    김경현 『김일성종합대학학보: 력사‧법학』제55권 2호, 평양: 김일성종합대학출판사 [2009]
  • “분단국문제 있어서의 UN의 기능”
    박치영 『통일문제연구』제3권 제3호, 평화문제연구소, , 가을 [1991]
  • “북한의 최근 법제 동향과 전망”
    『통일과 법률』통권 제1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봄호 [2012]
  • “북한의 조약체결 당사자 능력인정에 따른 법적 문제 연구”
    李長熙(Jang Hee LEE) 『인도법논총』통권 제16호,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1996]
  • “북한의 사회주의 법치국가 건설론과 법제 정비 동향”
    박정원 『동북아법연구』제5권 제1호, 전북대학교 동북아법연구소 [2011]
  • “북한의 법적 지위”
    양영희 『통일사법정책연구(1)』, 서울: 법원행정처 [2006]
  • “북한의 년 개정헌법의 특징과 평가”
    『헌법학연구』제15권 제4호, 한국헌법학회, 2009. 12 [2009]
  • “북한의 내부변화와 통일전략 전망”
    󰡔국방논집󰡕 제18호, 한국국방연구원, 년 여름 [1992]
  • “북한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 분석을 통한 남한의 연합제안의 비교접근”
    윤황 『통일문제연구』통권 제41호, 평화문제연구소, 년 상반기호 [2000]
  • “북한과의 평화체제 구축방안”
    김용훈 『법학연구』제22권 제1호, 충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 “북한 통일방안 변천에 관한 연구”
    이완범 『통일정책』, 통일부 [2001]
  • “부속합의서 발효와 남북한관계 변화 전망”
    정용길 『통일문제연구』제4권 제4호(통권 제16호), 평화문제연구소 [1992]
  • “법적으로 본 남북관계의 위상”
    제성호 『통일정책연구』제24권 1호, 통일연구원 [2015]
  • “법의 효력과 근본규범.”
    변종필 『안암법학』제5권, 안암법학회 [1997]
  • “법 체제를 통한 한반도 평화연구”
    최철영 『성균관법학』제17권 제3호, 성균관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05]
  •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정책추진방향”
    박영호 『통일정책연구』제22권 1호, 통일연구원 [2013]
  • “민족화해를 위한 법제도적 정비의 문제”
    이장희 『외법논집』제8집,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 “동서독 사이에 체결된 조약의 법적 성격과 효력”
    『헌법과 통일법』제3호, 서울대학교 헌법‧통일법센타 [2013]
  • “동서독 기본조약에 대한 연구”
    『대한국제법학회논총』, 대한국제법학회 [1992]
  • “동서독 기본조약에 나타난 「인간적 고통경감」의 의미”
    李長熙 『인도법논총』통권 제13호, 대한적십자사 인도법연구소 [1993]
  • “동서독 기본조약 판결”
    장영수 『판례연구 8』,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소 [1995]
  • “동북아 안보질서와 한반도 평화구조에 대한 관련국 입장”
    이수형 『JPI-한국국제정치학회 공동학술세미나』, 제주평화연구원 [2009]
  • “동 서독통일 관련 독일연방헌법재판소의 판례분석”
    박종보 『독일통일관련 연방헌법재판소의 판례 및 기본법개정에 관한 연구』, 헌법재판소 [1996]
  • “독일통일과 헌법문제”
    張明奉 『법학논총』제5집,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1993]
  • “독일통일과 한반도 통일정책”
    姜錫勝 金成允 『정책과학연구』6권, 단국대학교 정책과학연구소 [1994]
  • “독일통일과 기본법의 개정”
    김효진 『헌법학연구』제4권 제2호, 한국헌법학회 [1998]
  • “독일의 분단과 통일과정에서의 법적 논의”
    김현식 『서강법학』제8권,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6]
  • “독일국가연합(Deutsches Bund : 1815-1866)에 관한 국제법적 분석”
    『국제법학회논총』제38권 제1호, 대한국제법학회 [1993]
  • “독일 통일과정과 UN”
    이장희 『통일문제연구』제3권 제3호, 평화문제연구소, 년 가을 [1991]
  • “다자안보협력체제의 개념과 현실: 집단아보, 공동안보, 협력안보를 중심으로”
    신범식 『jpi정책포럼세미나』, 제주평화연구원 [2015]
  • “남한의「연합제안」과 북한의「낮은 단계의 연방제안」의 비교 - 통일방안의 대안 모색과 법적 과제”
    『법제연구』제19호, 한국법제연구원 [1992]
  • “남북합의서의 헌법적 쟁점과 과제”
    박정원 『헌법학연구』제19권 제4호, 한국헌법학회 [2013]
  • “남북합의서의 체결절차 연구”
    김광길 『통일과 법률』통권 16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겨울호 [2013]
  • “남북합의서의 실천보장방안”
    손학규 『국회보』, 국회 [1992]
  • “남북합의서의 법제화방안”
    『남북합의서 법제화방안 토론회』국회의원 이미경 주최, 통일부 [2007]
  • “남북합의서의 법제화 방안 연구”
    정일영 『법과 정책』제18집 제1호, 제주대학교 법과정책연구소 [2012]
  • “남북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법제화 방안”
    한명섭 『통일과 법률』통권 제5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2011]
  • “남북합의서와 관련된 제반 법문제 - 특히「특수관계」의 의미를 중심으로”
    최대권 『법학』제34권 제3․4호(93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993]
  • “남북합의서와 관련된 법적 문제”
    김성주 『통일사법정책연구』, 서울: 법원행정처 [1995]
  • “남북합의서에 대한 국내법적 효력부여문제“,『법조』통권571호
    법조협회 [2004]
  • “남북합의서에 대한 국내법적 효력부여 문제”
    『법조』통권 제571호, 법조협회 [2004]
  • “남북한간 특수관계의 법적 성격에 관한 일고찰”
    金昇大 『법조』, 제44권 제3호(통권462호), 법조협회 [1995]
  • “남북한 협의․이행기구의 과제와 전망”
    이서항 『통일문제연구』제4권 제4호(통권 제16호), 평화문제연구소 [1992]
  • “남북한 헌법질서와 한반도 통일논의”
    張明奉 『사회과학연구』제8권, 동국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00]
  • “남북한 헌법상의 통일관련조항 비교연구”
    김병묵 『경희법학』제29권 제1호,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1994]
  • “남북한 합의법제 방식에 의한 남북교류협력법제 구축 방안”
    이찬호 『남북법제연구보고서』, 법제처, 2012 [2012]
  • “남북한 특수관계의 의미”
    이주현 『남북교류와 관련한 법적 문제점(1)』, 서울: 법원행정처 [2002]
  • “남북한 특수관계와 그 운영방안”
    『외법논집』제7집,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1999]
  • “남북한 유엔가입과 국제법적 과제-남북한 기본조약의 틀 모색”
    『법과 사회』제5호, 법과사회이론학회 [1992]
  • “남북한 기본관계 정립을 위한 법적 대응”
    『남북한의 유엔가입과 한반도통일문제에 관한 공법적 대응』, 한국공법학회 [1991]
  • “남북한 교류의 국제법적 고찰”
    김정건 『국제법논총』제37권 1호, 세계국제법협회 한국지회 [1991]
  • “남북한 교류에 있어 법적 문제에 관한 연구”
    권영호 『동아시아연구논총』제11권 제1호, 제주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2000]
  • “남북한 UN가입과 한국통일의 법적 문제”
    유병화 『통일문제연구』, 제3권 제3호, 평화문제연구소, 년 가을 [1991]
  • “남북연합제안과 낮은 단계의 연방제안”
    장명봉 『서강법학』제4권,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00]
  • “남북대화의 가능조건과 제약조건의 분석: 7․4 남북공성명과 남북기본합의서 사례를 중심으로”
    정해구 『통일문제연구』제10권 제2호, 평화문제연구소 [1998]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질”
    金明基 『법학논총』제6권,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1993]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
    이근관 『일감법학』제4권,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1999]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에 관한 비판론적 검토”
    박정원 이석범 『법학논총』제24권 제1호,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에 관한 고찰”
    허태수 『국회입법조사월보 1, 2』,국회 [1993]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정치적 의의”
    정세현 『통일문제연구』제4권 1호, 평화문제연구소 [1992]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실천방안”
    李長熙(Jang Hie LEE) 『국제법학회논총』제43권, 대한국제법학회 [1998]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
    『국제문제』통권 제260호, 외무부 정보국 [1992]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
    유병화 『법학논집』제27집,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2]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 - 서울고등법원 97구18402판결선고)을 중심으로”
    『서울국제법연구』제5권 제2호, 서울국제법연구원, 1998 [1998]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 - 민변의 북한주민접촉신청관련 대법원 판결 분석(대법원 제2부 선고 98두14525판결)”
    『국제판례연구』제1집, 박영사, 1999 [1999]
  • “남북기본합의서의 규범적 의미와 그 적용에 관한 일고찰”
    박정원 이석범 『법학논총』제25권 제2호,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 “남북기본합의서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방안”
    『한반도 평화정착의 현황과 전망』, 통일연구원 학술회의 총서 03-01 [2003]
  • “남북기본합의서와 동서독조약 비교: ‘분단국갈등관리론’ 모델의 적용”
    박정진 『국제정치논총』제53집 2호, 한국국제정치학회 [2013]
  • “남북기본합의서에 대한 북한의 입장”
    김갑식 『통일정책연구』제20권 1호, 통일연구원 [2011]
  • “남북기본합의서에 관한 법적 재조명”
    박용현 『한국동북아논총』제18집, 한국동북아학회 [2001]
  • “남북기본합의서를 통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방안”
    이장희(Lee Jang-Hie) 『외법논집』제20집, 한국외국어대학교 법학연구소 [2005]
  • “남북기본합의서: 의의와 평가”
    정규섭 『통일정책연구』제20권 1호, 통일연구원 [2011]
  • “남북기본합의서, 무엇이 문제인가”
    이동복 『통일』, 민족통일중앙협의회 [1992]
  • “남북기본합의서 후의 남북한관계와 평화체제”
    안병준 『통일문제연구』제4권 제1호, 평화문제연구소 [1992]
  • “남북기본합의서 체제의 평가와 유산”
    박종철 『남북기본합의서 20년, 역사적 의미의 재조명』, 통일연구원 [2012]
  • “남북기본합의서 채택과정과 북한의 정책결정구조”
    金容浩 『사회과학과 정책연구』제15권 제2호, 서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3]
  • “남북기본합의서 이행의 문제점과 극복방안”
    김연각 『통일문제연구』제10권 제1호, 평화문제연구소 [1998]
  • “남북기본합의서 이행에 따른 남북교류협력 법령의 보완발전 방향”
    박윤흔 『법학』제34권 제1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993]
  • “남북기본합의서 및 남북경협합의서의 법적 성격에 대한 고찰”
    금창섭 이상훈 『남북법제개선연구보고서』, 서울: 법제처 [2003]
  • “남북기본합의서 무효라는 서울고등법원의 냉전의식”
    『말』, 월간 말 [1998]
  • “남북교류협력의 활성화를 위한 기본원칙과 법적․제도적 개선방안”
    최승환 『서울국제법연구』제1권 제1호, 서울국제법연구원 [1994]
  • “남북교류협력의 제도적 안정성에 관한 연구 - 남북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을 중심으로”
    안득기 『통일문제연구』통권 제59호, 평화문제연구소 [2013]
  • “남북관계의 전략적 상호작용과 남북기본합의서 이행”
    박영자 『통일정책연구』제20권 제1호, 통일연구원 [2011]
  • “남북관계발전기본법(안)에 대한 고찰”
    『국제법학회논총』제48권 제3호, 대한국제법학회 [2003]
  • “남북관계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한 선언-주요 내용과 의미”
    백종천 『세종정책연구』제5권 제1호, 세종연구소 [2009]
  • “남북관계 법제의 발전과 한계”
    도회근 『헌법학연구』제14권 제3호, 한국헌법학회 [2008]
  • “남북고위급회담과 북한의 협상전략”
    임동원 『북한의 협상전략과 남북한 관계』, 서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1997]
  • “남북경제협력활성화를 위한 법제정비방안”
    신현윤 『저스티스』통권 제106호, 한국법학원 [2008]
  • “남북간 합의-역사적 조망과 이행과제”
    고유환 『남북기본합의서 발효 제17주년 대토론회 자료집』,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9]
  • “남북간 세부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실효성확보방안”
    諸成鎬 『국제법평론』통권 제3호, 대한국제법학회 [1994]
  • “남북 합의 이행과 당국간 대화의 발전 방향”
    정성장 『흥민논평』통권 41호, 흥사단 민족통일운동본부 [2012]
  • “남북 4대 합의문에 대한 검토”
    유욱 『통일과 법률』통권 16호, 법무부 통일법무과, 겨울호 [2013]
  • “기본합의서의 법적 성격과 효력”
    『국제법학회논총』제37권 제1호, 대한국제법학회 [1992]
  • “국제조약체결에 있어서 국회동의제도에 관한 고찰”
    정갑용 『경희법학』제44권 제1호, 경희법학연구소 [2009]
  • “국제인권조약의 국내 적용과 문제점”
    오승진 『국제법학회논총』제56권 제2호(통권 제121권), 대한국제법학회 [2011]
  • “국제인권법과 헌법재판”
    이명웅 『저스티스』통권 제83호, 한국법학원 [2005]
  • “국제연합 가입후 대한민국의 법적 지위”
    『통일문제연구』제3권 제2호, 평화문제연구소, 여름 [1991]
  • “국제법의 법원(法源)으로서 ‘년 남북기본합의서’의 성격”
    류병운 『홍익법학』제13권 제4호,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1992]
  • “국제법의 국내법적 도입에 관한 이론-변형이론․수용이론․집행이론-”
    『입법조사연구』통권 제234호, 국회도서관 입법조사분석실 [1995]
  • “국제법과 국내법의 관계에 관한 소고 : 97헌바65 결정을 보면서”
    김대순 『헌법판례연구』제3집, 한국헌법판례연구학회 [2003]
  • “국가연합(Confederation)에 관한 연구”
    『국제법학회논총』제33권 2호, 대한국제법학회 [1988]
  • “「남북관계발전에 관한 법률」에 따른 남북합의서의 발효절차에 관한 사례연구 및 개선방안에 관한 고찰”
    김계홍 『법제』통권 제603호, 법제처 [2008]
  • “「남북관계발전기본법」의 제정의미와 향후 과제”
    지봉도 『극동문제』통권 제309호, 극동문제연구소 [2004]
  • “「남북관계발전기본법 제정방향」”
    『남북관계 법․제도, 그 현황과 대안』,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대한변호사협회 [2004]
  • “「남북관계 발전에 관한 법률」의 분석과 평가”
    이규창 『법조』제55권 제8호, 법조협회 [2006]
  • “UN동시가입 이후의 남북한관계”
    최호중 『통일문제연구』제3권 제3호, 평화문제연구소, 가을 [1991]
  • “UN가입에 의한 북한승인과 통일논리”
    김명기 『통일문제연구』제4권 제1호, 평화문제연구소, 봄 [1992]
  • “Helsinki 「인권규정」이 분단국가에 주는 의미”
    이장희 『통일문제연구』제1권 제3호, 평화문제연구소, 가을 [1989]
  • “6자회담과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성병욱 『통일전략』제4권 제2호, 한국통일전략학회 [2004]
  • “6 15남북공동선언이행에 따른 경제교류협력의 법적 과제”
    박정원 『법제연구』제19호, 한국법제연구원 [2000]
  • “6 15남북공동선언과 후속문서의 법적 성격과 효력”
    제성호 『저스티스』 제34권 제2호, 한국법학원 [2001]
  • “6 15 공동선언의 법적 성격과 효력”
    박기갑 『6 15 공동성선언과 국제법』, 대한국제법학회 제5차 학술세미나 [2000]
  • ‘조선반도의 평화를 위한 군축제안’, 중앙인민위원회 최고인민회의, 정무원 연합회의 채택
    년 5월 31일 [1990]
  •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위한 포괄적인 평화보장대책에 관하여’ 로동신문
    년 11월 8일 [1988]
  • Weidenfeld, Werner/Korte, Karl-Rudolf (Hrsg.), Handbuch zur deutschen Einheit, Bundeszentrale f r Politische Bildung, 1996.
  • Rogner, K. M.: Der Verfassungsenttwurf des Zentralen Runden Tisches der DDR, Berlin, 1993.
  • Lehmann, Hans Georg: Deutschland Chronik 1945 bis 1995, Schriftenreihe, Bd. 332, Bundeszentrale f r Politische Bildung, 1996.
  • L. Oppenheim, International Law, 8th ed., Vol. Ⅰ, London: Longmans, 1955.
  • Jarras, Hans D./Pieroth, Bodo: GG: Grundgesetz f r die Bundesrepublik Deutschland, 3. Aufl., M nchen, 1995.
  • G nter Schmid, Die Deutschlandpolitik der Regierung, Brandt/Scheel , tuduv Verlags-Gesellschaft, 1975.
  • Dieter Blumenwitz The Legal Status of the Devided Nations, 최창동 역,『분단국가의 법적 지위』
    법률행정연구원 [1996]
  • Currie, David P., The Constitution of the Federal Republic of Germany, Chicago Univ. Press, 1994.
  • Bundesministerium des Innern unter Mitwirkung des Bundesarchives (Hrsg.), Dokumentes des Deutschlandpolitik: Deutsche Einheit, M nchen, 1998.
  • Blank, Michael/Fangmann, Helmut/Hammer, Ulrich: Gruundgesetz Basiskommentar mit der aktuellen Verfassungsreform, 2. Aufl., K ln, 1996.
  • BVerfGE 36, 1(8ff
    ) 위헌 심판청구이유
  • BVerfGE 36, 1(354ff
    ) 연방헌법재판소의 판시 요지(합헌해석의 의미)
  • BVerfGE 36, 1(24ff
    ) 연방헌법재판소의 판시 요지(개별적 내용)
  • BVerfGE 36, 1(20ff
    ) 연방헌법재판소의 판시 요지(포괄적 내용)
  • BVerfGE 36, 1(15ff
    ) 연방헌법재판소의 판시 요지
  • BVerfGE 36, 1(13ff
    ) 연방헌법재판소의 입장
  • BVerfGE 36, 1(10ff
    ) 위헌 심판청구이유
  • BVerfGE 35, 257(구두변론 거친 결정: Urteil
    가처분신청 기각 결정) [1973]
  • BVerfGE 35, 193(구두변론 없는 결정: Beschulβ
    가처분신청 기각 결정) [1973]
  • 1950년대의 인식
    진덕규 서울: 한길사 [19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