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위계문화가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건설 산업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 of Hierarchical Culture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relevanc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곽상태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위계문화가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건설 산업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 of Hierarchical Culture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relevanc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위계문화
  • 이직의도
  • 임파워먼트
  • 자기결정력
  • 조직몰입
  • 조직유효성
  • 직무성취도
  • 책임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545 0

0.0%

' 위계문화가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비교연구-건설 산업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Impact of Hierarchical Culture o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th relevance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의 참고문헌

  • 호텔기업의 조직문화와 임파워먼트가 조직유효성 및 서비스품질에 미치는 영향
    김광수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44-49 [2003]
  • 조직문화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국공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비교 연구
    김막래 광운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0]
  • 조직문화가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금수 한국기업경영학회, 기업경영연구 제16집 [2002]
  •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한 교사의 직무성취도 영향요인 분석
    이재덕 허은정 KCI등재 [2008]
  • 『한국 건설문화의 특성 및 혁신 방향』
    윤영선 연구보고서 한국건설산업연구소, pp. 122-124 [2008]
  • 「지방공기업의 조직문화와 조직환경 요인이 성과관리 효과성 에 미치는 영향연구:서울시 자치구 산하 10개 시설관리공단을 대상 으로」
    안춘윤 건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조직행동론」
    김선봉 서울: 박영사 [2001]
  • “호텔조직구성원의 임파워먼트가 직무성취도, 조직몰입,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철우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0]
  • “호텔레스토랑 지배인의 리더십이 종사원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장상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논문 [2002]
  • “호텔기업의 리더십 유형이 종사원의 임파워먼트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용필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 “한국기업의 경영체계와 조직문화 및 조직성과에 관한연구”
    김복동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카리스마적 리더십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유영기 서울벤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카리스마적 리더 행동이 부하의 수용도와 성과에 미치는 영향”
    양동운 전남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지방 공공 기업에서 조직의 효율성에 대한 조직 문화의 영향 분석-수도권 지하철 공사 케이스”
    이정주 지방 정부 연구 학회 [2006]
  • “조직문화유형이 임파워먼트 및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연구”
    하성호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9]
  • “조직문화유형이 연봉제도입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정석래 호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 “조직구성원의 역량제고를 위한 임파워먼트 과정에 관한 연구”
    김우택 서강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 “임파워먼트와 기업문화-자율과 혁신의 기업문화”
    박원우 삼성 정신문화연구소 [1995]
  • “서비스업에서의 임파워먼트가 서비스품질성과 미치는 영향에관한연구”
    김계수 품질혁신, 제1권제1호 [2000]
  • “보안 조직의 조직 문화, 조직 역량 강화 및 임파워먼트 사이의 관계”
    김찬선 한국 융합보안 학회 논문 [2014]
  • “리더의 의사소통 방식이 집단극화 및 정보 표집 편향에 미치는 영향”
    소원현 -한국의 수직적 위계질서 중심문화에 대한 고찰을 중심으로, KCI등재 [2010]
  • Zammunto & O’Conner, “Gaining Advanced Manufacturing Technologies Benefits: The Role of Organization Design and Cultur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7,(1992), p.717.
  • Wagner, J.A & J.R Hollenbeck. Management of Organnizational Behavior, Prentice-Hall,(1992), p.254.
  • T. W. Malone, “The Future of Work: How the New Order of Business Will Shape Your Organization, Your Management Style, and Your Life”, Boston, Mass.: Harvard Business School,(2004)
  • Spreitzer, “An Empirical Test of a Comprehensive Model of Interpersonal Empowerment in the Workplace”,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23,(1995), pp.1442-1485
  • Quinn, R. E. /M. R. McGrath,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 of Cultuer: A Competing Value Perspective” in P. J. Frost et als.(eds.),Organizational Culture(SAGE,1985)
  • Peter, T. J., & Waterman R. H,m In search of excellence : Lessons from America, Bestrun companies, New York :Harper & Row,(1982), p.34.
  • Peter G. Northouse의 리더십이론과 실제(6판)
    김남현 [2014]
  • Peter G. Northouse, Leadership Theory and Practice,(2014)
  • O’Reilly.C. A. Chatman, J. & Caldwell, D. F. “people and Organizational Culture”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4,(1991), pp.498-499
  • Ouchi, W. G, Theory Z: How American Business can meet the Japanese Challenge, Reading Mass: Addison-Wesley Publishing,(1981), pp.123-132, p.311
  • Locke, E. A. “Satisfiers and Dissatisfiers Among White Collar and Blue Collar Employee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1976), pp.1302-1307
  • Kilmann, R. H. “Getting Control the Corporate Culture” Managina, Vol.2,(1982), pp.11-17. Kirkman, B. L., & Rosen, B., “powering Up Teams”, Organizational Dynamics, Winter,(2000), pp.48-66
  • Julia C. Naranjo‐Valencia, Daniel Jim nez & Raquel Sanz Valle, "Innovation or Imitation? The Role of Organizational Culture", Management Decision, Vol. 49 Iss 1,(2011), pp.55–72,
  • House, R. J. “Power and Personality in complex Organ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10,(1998), pp.305-357
  • Harrison, “Understanding Your Organizational Culture,” Harvard Business, Review, May-June(1972), pp.119-128
  • Edgar, H. Schein. Organization Culture and Leadership: A Dynamic view, Jossey-bass Frank, F. &Hal Pickle. “Components of Effectiveness in Small Organiz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13,(1968), pp.289-304
  • E. H. Schein, “Coming to New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Sloan Management Review, vol.25,(1984)
  • Deal, and Kenndy, Corporate Culture : The Rite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ading Mass; Addison-Wesley Publishing Co,(1982), pp.13-15.
  • Davis, S. M. Management Corporate Culture, Cambridge, Mass : Ballinger Publishing Co,(1984), p.2
  • Conger & Kanungo, “The Empowerment Process: Integrating Theory and Practic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13,(1988), p.474
  • Chow, C. W. Harrison, G. L. Mckinnon, J. L. & Wu, A., pp.347-360
  • Chebat, Jean-Charles, Kallias. P, “The Impact of Empowerment on Customer Contact Employees’ Role in Service Organization” Journal of Service Research, Vol.3(1),Aug.(2000), pp.66-81
  • C. W. Chow, G. L. Harrison & J. L. Mckinnon, & A. Wu, p.347-360.
  • Burke, W. Leadership As Empowering Others, Srivasta(ED).(1986), pp.45-47
  • Beaty, R. C. &C. E. Schmier, Personnel Administration: An Experimental Skill-Builing Approach, 2nded, Addison-Wesley Publish CO.(1981), p.392
  • Baron. Reuben M. and A.Kenny(1986),"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ategic and Staistical Conc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pp.1173-1182
  • Alderfer, C,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w York: The Free Press,72, p.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