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스페인어-한국어 아동문학 번역서 출판 경향과 번역 규범 연구

조일아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스페인어-한국어 아동문학 번역서 출판 경향과 번역 규범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문학번역
  • 번역 규범
  • 아동문학
  • 아동문학 번역
  • 출판경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38 0

0.0%

' 스페인어-한국어 아동문학 번역서 출판 경향과 번역 규범 연구' 의 참고문헌

  • 국어국문학자료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 사회학사전
  • 위키페디아
  • 두산백과
  • 교학사 신영한대사전
  • 스페인왕립한림원사전(Real Academia Espa ola)
  • 현 단계 아동문학 장르론에 대한 비판적 고찰-원종찬의 이원 수 장르론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여을환 서울: 청동거 울, pp. 200~230 [2013]
  • 한중 출판콘텐츠 교류 활성화 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이건웅 한국 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13]
  •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 <http://www
    ksla.net>
  • 한국출판의 현황과 번역의 과제.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블로 그
    한기호 [2011]
  • 한국출판의 허와 실
    윤형두 서울: 범우사 [2002]
  • 한국출판은 왜 아동출판에 집착하는가? 이권우, 표정훈, 한기 호, 한미화(편)
    한기호 북페뎀 01-어린이책. pp. 106~114 [2002]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http://www
    kpm21.co.kr/>
  • 한국작품 기획협의회의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김성준 한국도서 관 정보학회지 43(2). pp. 203~225 [2012]
  • 한국의 근대 번역 및 번안 소설사 연구. 박사학위논문. 연세대 학교 대학원
    박진영 서울 [2010]
  • 한국에서의 폴란드 문학 번역의 현황과 출판의 문제점
    최성은 통번역 학연구, 18(2), pp. 145~189 [2014]
  • 한국에서의 중남미 문학 번역 현황. 석사학위논문. 단국대학교 대학원
    고미진 서울 [2002]
  • 한국에서의 스페인 문학 번역 현황
    박효영 지중해지역연구, 17(2), pp. 1~32 [2015]
  • 한국에서의 러시아 민담 번역 현황
    전성희 러시아어 문학연구 논집, 30(0), pp. 91~128 [2009]
  • 한국에 있어서 일본 동화 번역에 관한 연구
    박세은 청 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한국어-아랍어 광조 텍스트 번역 분석에 관한 연구 -문화 관련 어 휘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김재희 서울 [2010]
  • 한국어 관용 표현의 러시아어 번역 전략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서유경 서울 [2011]
  • 한국아동문학의 외국어번역에 있어 자국화와 이국화-『고영이 학교』 영역본 사례 연구
    오미형 동화와번역, 13, pp. 187~211 [2007]
  • 한국 출판 번역 독자들의 번역 평가 규범 연구. 박사학위논문
    이상원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2004]
  • 학교알리미 http://www
    schoolinfo.go.kr/index.jsp>
  • 학교도서관 업무 수행을 위한 사서교사의 정보추구행태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임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0]
  • 학교도서관 사서직원의 직무만족도가 이용자의 서비스품질 인 식 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용형태를 중심으로. 석사 학위논문
    신유정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 출판번역: 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이상원 통번역학연구, 7. pp. 145~157 [2003]
  • 출판 번역 현황에 대한 연구-편집자 면접 조사를 바탕으 로
    이상원 이항 번역학연구, 5(1), pp. 133~144 [2005]
  • 출판 번역 비평과 번역 규범
    이상원 국제회의 통역과 번역, 6(2). pp. 39~57 [2004]
  • 초등학교 중학년 문식성 평가 방향 탐색
    김도남 한국초등국어교육 제 48집, pp. 5~34 [2012]
  • 초등 문학교육 장르 용어의 통시적 고찰.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pp. 310~369
    권혁준 서울: 청동거울 [2013]
  • 청소년소설의 장르 용어 고찰. 한국 아동청소년문학 장르론
    오세란 서울: 청동거울, pp. 284~309 [2013]
  • 지난 10여 년간 동화 아동소설의 흐름과 장르 문제. 한국 아동 청소년 문학장르론
    선안나 청동거울, pp. 177~199 [2013]
  • 지난 10년, 우리 어린이 문학은 무엇을 이야기해 왔나?
    조은숙 제 1 차 독서문화포럼 주제발표 1. pp. 3~14 [2013]
  • 중국어권 아동 청소년소설 한국어 출판번역에서의 재맥락화 양상 -'교육적 기대 규범' 측면에서
    강경이 서울.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통 번역대학원 [2014]
  • 전후 문학장의 재구성과 '번역문학’:을유문화사판 세계문학전집 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최진석 성균관대학교 [2015]
  • 전국학교도서관사서협회 온라인카페 <http://cafe
    daum.net/korea-librarian>
  • 일한 번역에서 나타난 문화소 번역의 실제 -설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혜숙 부산외국어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2009]
  • 이제 본격적인 청소년문학의 깃발을 올리자. 강주헌, 이권우, 최성일, 한기호, 한미화(편)
    최옥미 북페뎀 03-청소년 출판. pp. 98~121 [2003]
  • 유아문학교육
    남규 서정숙 서울: 태영출판사 [2014]
  • 유아문학교육
    이대균 서울: 공동체 [2006]
  • 우리나라 초등학교 도서관의 도서선택에 관한 사례연구. 석사 학위논문
    이지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 온라인교보문고 <http://www
    kyobobook.co.kr>
  • 영한 아동문학 번역의 특성에 관한 연구 -성인대상 번역과의 비 교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성승은 서울 [2010]
  • 영미권의 어린이문학은 어떤 장르를 이야기하는가. 한국 아동 청소년문학 장르론, pp. 372~408
    김서정 서울: 청동거울 [2013]
  • 영 유아용 번역 그림책의 분석. 석사학위논문
    이영신 연세대학교 [2005]
  • 역. 팅카
    김정하 서울: 서광사 [2009]
  • 역. 책을 머리에 어떻게 넣어!
    배상희 서울: 담푸스 [2011]
  • 역. 오늘은 글자 수프 먹는 날
    정미화 서울: 책속물고기 [2014]
  • 역. 여름 동물원
    유혜경 서울: 책빛 [2010]
  • 역. 얘들아, 학교를 부탁해!
    유혜경 서울: 책속물고기 [2010]
  • 역. 안녕, 캐러멜!
    배상희 서울: 김영사 [2006]
  • 역. 세 친구
    김정하 서울: 현암사 [2008]
  • 역. 내 사촌 다운
    유아가다 서울: 한울림 어린이 [2009]
  • 역. 나 좀 그만 놀려!
    김성희 서울: 크레용 하우스 [2010]
  • 어린이책과 출판산업 변동양상- 온란인서점은 어린이책 시장을 어떻게 변화시켰나
    한기호 제 1차 독서문화포럼 주제발표 3. pp. 23~40 [2013]
  • 어린이 책이 빅 셀러가 된 사연- 2000년 이후 어린이책의 변 화. 21세기 한국인은 무슨 책을 읽었나
    한미화 출판전문지 기획회의 200호 기념 특별 기획, pp. 422~427 [2007]
  • 알라딘-온라인서점 <http://www
    aladin.co.kr/home/welcome.aspx>
  • 아르헨티나 번역 지원 프로젝트 “Programa Sur” 소개 사이트
  • 아동출판 30년
    한기호 한국출판마케팅 연구소 블로그 [2008]
  • 아동의 스피치 레벨 운용과 번역자의 개입 양상: 『시마지로 (しまじろう)』에 나타난 연장자와의 일한 회화 번역을 중심으로
    최소영 일본 어교육연구, 32, pp. 241~255 [2015]
  • 아동문학의 한영 번역 전략 연구 -자국화 이국화 관점을 중심 으로. 석사학위논문
    권인경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2]
  • 아동문학의 유머와 문화소 영한번역 전략 비교 연구. 박사학위 논문. 한국외국어대학교 통번역대학원
    이현경 서울 [2014]
  • 아동문학을 통한 인성교육 방안연구-이주홍 동화를 중심으로
    차희정 기전어문학, 17. pp. 403~439 [2005]
  • 아동문학번역에 있어서의 번역전략: 미야자와 겐지 작품을 중 심으로. 석사학위논문
    문성주 부산외국어대학교 [2012]
  • 아동문학가의 탐정소설 창작과 번역 -1920~30년대를 중심으 로. 석사학위논문
    박광규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 아동문학 입문
    이원수 서울: 한길사 [2001]
  • 아동문학 영한번역의 '규범' 연구 -가독성과 가화성을 중심으 로
    신지선 서울. 박사학위논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 아동문학 번역텍스트 분석을 통한 아동개념 고찰. 석사학위논 문
    김윤회 숙명여자대학교 [2010]
  • 아동문학 中韓 번역에서의 문장 형태 연구 : -'용구슬 소동(龍 王鬧海)'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수연 숭실대학교 [2009]
  • 아동문학
    노운서 서울: 양서원 [2010]
  • 아동독자의 읽기 전략과 태도 발달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 문
    임미성 전북대학교대학원 [2011]
  • 아동 문학의 교육적 기능 연구: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를 중심 으로. 석사학위논문
    박미경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 스페인 아동 문학의 역사와 그 비평
    김부자 서어서문연구 제 29호, pp. 211~229 [2003]
  • 소설 『돈키호테』로 살펴본 번역 전략에 따른 독자반응
    김영주 통번 역학연구, 13(1). pp. 1~19 [2009]
  • 세계문학번역서지목록총람, 1895-1987
    김병철 서울: 국학자료원 [2002]
  • 서사텍스트의 개작 양상 연구- "걸리버 여행기”의 아동 수준 개작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은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 사회 문화 시스템과 번역텍스트의 생산 -Toni Morrison의 The Bluest Eye 번역 비교. 석사학위논문
    이한별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 번역출판과 에이전시에 대한 연구
    김진두 김창옥 출판잡지연구, 20(1), pp. 95~113 [2012]
  • 번역의 이론과 실제(개정판)
    이근희 서울: 한국문화사 [2015]
  • 방정환 문학에 나타난 '어린이' 연구
    양민아 울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방문판매법 제정 이후의 아동도서 베스트셀러에 관한 연구. 석 사학위논문
    한은주 경희대학교 언론정보대학원 [2003]
  • 문화체육관광부 국민독서실태조사 보고서 <http://www
    mcst.go.kr/web/s_data/research/researchList.jsp>
  • 문학권력과 번역 -'권장도서목록'이 아동문학 출판번역에 미치 는 영향을 중심으로
    성초림 번역학연구, 14(5). pp. 143~167 [2013]
  • 대한출판문화협회 <http://www
    kpa21.or.kr>
  • 다문화 학습자와 일반 학습자의 읽기 양상에 관한 비교 연구 -초등 학교 중학년을 중심으로
    이슬아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근대 아동 독자의 형성과정 연구
    최윤정 동화와 번역, 25. pp. 275~299 [2013]
  • 그림책을 보고 크는 아이들
    이상금 서울: 사계절 [1998]
  •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http://www
    nlcy.go.kr/index.jsp>
  • 국내외 아동문학상 수상 그림책의 특징에 관한 연구: 2001~2011년 수상작을 중심으로
    유미 덕성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국내 다문화 아동도서의 출판 경향과 내용 양상 분석. 석사학 위논문
    정소영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 교사-부모가 선호하는 테마창작동화에 관한 조사연구. 석사학 위논문
    도향은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 광주신용보증재단 <http://www
    kjsinbo.co.kr>
  • 『홍당무』
    박선희 번역의 과거와 현재: 아동본 번역의 쟁점들. 번역 학연구, 13(2), pp. 65~88 [2012]
  • 『한국출판연감』
    ~2014), 대한출판문화협회 발간 [1963]
  • 『한국출판역사』
    부길만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13]
  •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황미숙 번역본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 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13]
  • 『소학독본』
    이현주 에서 ‘해리포터’ 시리즈까지- 한국 어린이 출판의 작은 역사. 이권우, 표정훈, 한기호, 한미화(편.). 북페뎀 01-어린이책. pp. 138~149 [2002]
  • 「해외도서 번역 출간, 일본 영미권에 편중... 아동도서 제일 많고 판타지 등 대중소설이 강세」
    국민일보, , [2009]
  • 「아동출판 영어권 번역서 편중.. 자성 필요」
    연합뉴스, , [2008]
  • 「사서교사 ‘154 대전진’ 도서관에 볕들다」
    한겨레, , [2005]
  • 「번역에 대한 제도적 관점의 중요성 고찰: ‘제도번역’ 개념을 중심으로」
    강지혜 번역학연구, 13(5). pp. 7~32 [2012]
  • 「김경집의 인문학 속으로- 세계에서 번안물이 가장 많은 나라」
    한경 비즈니 스, , [2014]
  • 「그림책을 통해 전 연령층이 공감하고 위로받았으면」
    조선일보, 제 29295 호, [2015]
  • 「10년간 어린이책 베스트셀러 30... 국내서보다는 번역서가 강세」
    경향신문, , [2014]
  • “어린이 책의 미래는 에 디터십에 달려 있다”
    고대영 박춘옥 이광자 조월례 최옥미 한미화 현장 편집자들이 바라본 어린이 책의 현재와 미래 [2002]
  • lvarez, R. & Carmen- frica Vidal, M. Translation, Power, Subversion. 번역, 권력, 전복. 윤일환 역
    서울: 동인 [2007]
  • Zubizarreta, P. (2005). Tres amigos. Luis Vives.
  • Waddington, C. (1999). Estudio comparativo de diferentes m todos de evaluaci n de traducci n general (ingl s-espa ol). Madrid: Universidad Pontificia Comillas.
  • Vidal Claramonte, M. Carmen- frica (1996). La Cultura como Unidad de Traducci n. In Pragmaling stica, 3-4, 1995-1996, pp. 187~203.
  • Vermeer, H. J. (1989). Skopos and Commission in Translational Action. In Lawrence Venuti (Ed.). (2000). The Translation Studies Reader, London/New York: Routledge, pp. 221~232.
  • Venuti, L. (1998). Strategies of translation. In M. Baker (Ed.) Encyclopedia of Translation Studies, London/New York: Routledge. pp. 240~244.
  • Van Coillie, J. (2006). Character Names in Translation: A Functional Approach. In J. Van Coillie & W. P. Verschueren (Eds.), Children's Literature in Translation, pp. 123~138.
  • Tymoczko, M. (2003). Ideolgy and the Position of the Translator In What Sense is a Translator 'In Between'? In Mar a Calzada P rez (Ed.). (2003). A Propos of Ideology: Translation Studies on Ideolgy - Ideologies in Translation Studies, Manchester: St. Jerome Publishing, pp. 181~201.
  • Translation, Power, Subversion. 번역, 권력, 전복. 윤일환 역
    황미숙 서울: 동인, pp. 85~125 [2007]
  • Translation, Power, Subversion. 번역, 권력, 전복. 윤 일환 역
    Heinemann, W. Viehweger, D. 서울: 동인, pp. 45~84 [2007]
  • Translation and Language: Linguistic Theories Explained. 김도훈 역. (2015). 언어학과 번역
    Fawcett, P. 서울: 한국문화사 [1997]
  • Translating as a Purposeful Activity. 정연일, 주진국 역. 번역행위의 목적성 -기능주의 번역론의 관점
    Nord, C.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 Toury, G. (2000). The nature and role of norms in translation. In Lawrence Venuti (Ed.), The Translation Studies Reader, London/New York: Routledge, pp. 198~211.
  • Toledano Buend a, C. (2001). Traducci n y adecuaci n de la literatura para adultos a un p blico infantil y juvenil. Cuadernos de Investigaci n Filol gica, 27-28, pp. 103~120.
  • Thomson-Wohlgemuth, G. (1998). Children's Literature and its Translation. An Overview. MA Dissertation. University of Surrey.
  • The Scandals of Translation. 임호경 역. (2006). 번역 의 윤리-차이의 미학을 위하여
    Nord, C. 서울: 열린책들 [2006]
  • Textlinguistik: eine Einf hrung. 백설자 역. (2001). 텍스트언어학 입문
    Heinemann, W. Viehweger, D. 서울: 역락 [2001]
  • Tejerina Lobo, I. (2006). Grandes tendencias, autores y obras de la narrativa infantil y juvenil espa ola actual. Biblioteca Virtual Universal. <http://www.biblioteca.org.ar/libros/132663.pdf>.
  • Shuping, R. (2013). Translation as Rewriting. In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 3(18). pp. 55~59.
  • Shavit, Z. (1986). Poetics of Children's Literature. Athens & London: University of Georgia Press.
  • Seong, C. L. (2004). La imagen distorcionada de don Quijote en la literatura infantil coreana: en torno al problema de adaptaci n en la traducci n. In Actas de XI Coloquio Internacional de la Asociaci n de Cervantes. pp. 525~536.
  • Sager, J.C. (1997). Text Types & Translation. In Anna Trosborg (Ed.). (1997). Text Typology and Translation, pp. 25~41.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Rubio, G. (2008). Nano no estudia. Mare Nostrum Comunicaci n.
  • Routledge Encyclopedia of Translation Studies. 한국번 역학회 역, 2009, 라우트리지 번역학 백과사전
    서울: 한신문화사 [1998]
  • Reiss, K. (2000). Translation Criticism - The Potentials and Limitations. Manchester: St. Jerome Publishing.
  • Ram rez, J. A. (2012). La cocina de Toto Murube. Kalandrak. Ediciones Andaluc a.
  • Rabad n, R. (1991). Equivalencia y Traducci n: Problem tica de la equivalencia transl mica ingl s-espa ol. Zamora: Universidad de Le n.
  • Puurtinen, T. (1994). Dynamic style as a parameter of acceptability in traslated children's book. In Snell Hornby, M., Pochhhacker, F., Kaindl, K. (Eds.). Translation Studies: An interdiscipline.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hamins Publishing Company.
  • Polat, A. (2014). Position of the Translation of Snuff in Turkish Literary Polysystem. In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ture Education, 11, pp. 20~33.
  • Pascua Febles, I. (2005). Translationg cultural intertextuality in Children's Literature. Revista Canaria de Estudios Ingleses, 51, Universidad de La Laguna, pp. 121~139.
  • Ordudary, M. (2007). Translation Procedure, Strategies and Methods. In Translation Journal, 11(3). http://www.bokorlang.com/journal/41culture.htm
  • Oittinen. R. (2000). Translating for Children. New York & London: Garland Publishing, Inc.
  • O'Connell, E. (2006). Translating for Children. In G. Lathey (Ed.) The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A Reader,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pp. 15~24.
  • Nergaard, S. (2005) revised (2007). Translation and Power: recent theoretical updates. In Buzzoni, M. & Bampi, M. (Eds.). The Garden of Crossing Paths: The Manipulation and Rewriting of Medieval Texts, Venezia: Libreria Editrice Cafoscarina. pp. 33~43.
  • Narv ez, I. & Valverde-Zambrana, J. (2014). How to translate culture-specific items: a case study of tourist promotion campaign by Turespa a. In The Journal of Specialised Translation, 21. pp. 71~121.
  • Munday, J. (2001)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London/New York: Routledge.
  • Mu oz, Manuel Pe a, 「Corrientes actuales de la literatura infantil」, Ibby Chile, <http://www.ibbychile.cl/joomla16/index.php/articulos-de-interes/11-arti culos-de-interes/117-corrientes-actuales-de-la-literatura-infantil>
  • Moure, G. (2004). Palabras de caramelo. Anaya.
  • Marinetti, C. (2011). Cultural approaches. In Yves Gambier & Luc Van Doorslaer (Eds.), Handbook of Translation Studies. Vol. 2. (pp. 26~30).
  • Literatur f r Kinder und Jugendliche. 아동, 청소년 문학의 서. 김정회 외 역
    Ewers, H. H. 서울: 유로 [2008]
  • Lathey, G. (2005). The Travels of Harry: International Marketing and the Translation of J. K. Rowling's Harry Potter Books. In The Lion and the Unicorn. Vol. 29(2), Maryland: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pp. 141~151.
  • L pez Narv ez, C. (1998). Tinka. Everest.
  • Katan, D. (1999). Translating Cultures. An Introduction for Translators, Interpreters and Mediators. Manchester: St. Jerome Publishing.
  • Introducing Translation Studies. (정연일, 남원준 역). 번역 학 입문 -이론과 적용
    Laviosa, S.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6]
  • Hermans, T. (1985). The Manupulation of Literature: Studies in Literary Translation. London: Croom Helm.
  • Garc a, I. M. (2015). La Aceptabilidad de la Traducci n Cultural en la Literatura para la Infancia: Una propuesta conceptual y metodol gica. In Tonos Digital, Vol. 29., pp. 1~25.
  • Garc a Yerba, V. (1982). Teor a y Pr ctica de la Traducci n. Vol. 1. Madrid: Gredos.
  • Fischer, M. B. (2000). Diferencias culturales reflejadas en al traducci n de la literatura infantil y juvenil. In V. Ruzicka et al. (Eds.). Literatura infantile y juvenile: tendencias actuales en investigaci n, Vigo: Servicio de Publicaci ns da Universidade de Vigo, pp. 149~160.
  • Fern ndez Paz, A. (2005). La escuela de los piratas. Edeb .
  • Even-Zohar, I. (1978), revised (1990). The Position of Translated Literature within the Literary Polysystem. In Lawrence Venuti (Ed.), The Translation Studies Reader, London/New York: Routledge, pp. 192~197.
  • Enid Blyton의 The Twins at ST Clare’s의 독일어 한국어 번역 비교연구. 석사학위논문
    백서연 충북대학교 [2014]
  • Dom nguez P rez, M. (2008). Las traducciones de la literatura infantil y juvenil en el interior de la comunidad interliteraria espec fica espa ola(1940-1980). Tesis Doctoral. Universidad de Santiago de Compostela.
  • Discourse and the Translator. 담화와 번역 가. 최진실, 이미경, 김성옥, 신진원 역
    Hatim, B. Mason, I. 서울: 동인 [2011]
  • Corpus-Based Translation Studies-Theory , Findings, Applications. 코퍼스 기반 번역학-이론, 연구결과, 응용. 안동환 역
    Laviosa, S. 서울: 동인 [2008]
  • Consales, R. (2007). La Literatura Infantil: Explorando la infancia desde sus historias. Universidad de Chile. <http://cifich.uchile.cl/wp-content/uploads/2014/11/LITERATURA-I NFANTIL-Rocio-Consales.pdf>
  • Collados A s, A. & Fern ndez S nchez, M. Manual de Interpretaci n Bilateral. (한원덕, 김상미 역). (2007). 양방향 통역 입 문. 서울: 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서론 [2001]
  • Children's Literature comes of age. 김서정 역. 용의 아이들: 아동문학 이론의 새로운 지평
    Nikolajeva, M. 서울: 문학과 지성사 [1998]
  • Carbayo, P.L. (2008). No es tan f cil ser ni o! Edeb .
  • C rdoba Rosas, I. (1993). El zoo de verano. Edeb .
  • C mara Aguilera, E. (2009). The translation of proper names in children’s literature. Anuario de Investigaci n en literatura infantil y juvenil, 7(1), pp. 47~61.
  • C mara Aguilera, E. & Faber, P. (2014). Distintos enfoques al traducir y su efecto en el receptor. In Revista Espa ola de Ling stica Aplicada 27: 2,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 Publishing Company, pp. 297~322.
  • Bassnett, S. (1997). Text Types and Power Relations. In Anna Trosborg (Ed.). (1997). Text Typology and Translation,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pp. 87~98.
  • Baker, M. (1992). In Other Words: A course book on translation. London: Routledge.
  • Alvstad, C. (2003). Publishing Strategies of Translated Children's Literature in Argentina- A Combined Approach. In Meta, Vol. 48(1-2), pp. 266~275.
  • Alfaya, A. (2015). Down. Edeb .
  • Aksoy, B. (2001). Translation as Rewriting: The Concept and Its Implications on the Emergence of a National Literature. In Translation Journal, Vol 5(3). <http://tranlationjournal.net/journal/17turkey.htm>.
  • Aixel , J. F. (1996). Culture-specific items in translation. In R. lvarez & M. del Carmen- frica Vidal (Eds.), Translation, power, subversion,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pp. 52~78.
  • A Textbook of Translation. Virgilio Moya 역. (1995). Manual de Traducci n
    Newmark, P. Madrid: CATEDRA [1987]
  • 2000년대 일본문학의 국내 번역 출판 양상과 베스트셀러 요인 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김보라 서울 [2012]
  • 1인출판 창업동기와 유지요인에 대한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조정미 서강대학교 [2012]
  • ---------- (1998). Syntax, Readability and Ideology in Children's Literature. In Meta: Translator's Journal, Vol. 43(4), pp. 524~533. <https://www.erudit.org/revue/meta/1998/v43/n4/003879ar.pdf.>
  • --------- (2006). Translation: Ethics, Ideolgy, Action. In The Massachusetts Review, Fall 47(3). pp. 442~461.
  • --------- (2006). Translating Children's Literature: Theoretical Approaches and Empirical Studies. In G. Lathey (Ed.) The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A Reader, Clevedon: Multilingual Matters, pp. 54~64.
  • --------(2009). Translation as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J. Munday (Ed.). The Routledge Companion to Translation Studies, Translate, London/New York: Routledge, pp. 74~92.
  • ------- (2006). Translation of Childreen's Literature. In G. Lathey (Ed.). (2006). The Transl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A reader, pp. 25~40.
  • ------ (1997). A Functional Typology of Translations. In Anna Trosborg (Ed.). Text Typology and Translation, pp. 43~66. Amsterdam/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편). 북페뎀 01-어린이책
    이권우 표정훈 한기호 한미화 서울: 한국 출판마케팅연구소 [2002]
  • (편)
    이권우 표정훈 한기호 한미화 북페뎀 01-어린이책. pp. 82~105
  • '배보다 배꼽' 큰 아동출판시장. 주간동아, 775. 한국출판마케팅 연 구소 블로그
    한기호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