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분리막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질소 인 저감 및 클로렐라 배양 공정 개발 = Studies on the Reduc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Animal Manure Using Membrane and the Development of Chlorella Cultivation Process

최찬섭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분리막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질소 인 저감 및 클로렐라 배양 공정 개발 = Studies on the Reduc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Animal Manure Using Membrane and the Development of Chlorella Cultivation Proces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가축분뇨
  • 미세조류
  • 분리막
  • 질소
  • 클로렐라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59 0

0.0%

' 분리막을 이용한 가축분뇨의 질소 인 저감 및 클로렐라 배양 공정 개발 = Studies on the Reduc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the Animal Manure Using Membrane and the Development of Chlorella Cultivation Process' 의 참고문헌

  • 환경부 가축분뇨 발생 원단위 고시 [2008]
  • 환경부 수질오염 총량관리 기술 지침 [2012]
  • 환경부 가축분뇨 처리통계 [2013]
  • 한국막학회, , 막분리의 기초
    한국막학회, pp.1-28 [1998]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가축 사육두수총량제의 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2004]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양분총량제 도입방안 연구 [2015]
  •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조류(Algae)를 이용한 인처리기법 타당성 연구 [2009]
  • 퇴액비 자원화기술
    곽정훈 제15회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학술발표 특별세션 [2010]
  • 통계청,016
    국가통계포털_가축동향,http://kosis.kr/ups/ups_01List01.jsp?pubcode=SD
  • 통계청
    가축동향조사 [2015]
  • 축분 액비의 고액분리에 있어서 분리막의 투과특성
    이명규 차기철 황명구 한국축산시설 환경학회, 제 6권, 제3호, 175-184 [2000]
  • 중공사분리막을이용한미세조류배양액의농축에관한연구
    나 리 석사학위논문, 명지대 학교 [2014]
  • 자유아카데미
    막분리 [2001]
  • 양돈폐수 처리를 위한 나노여과 회전판형 분리막 모듈의 특성 연구, 연세대학교
    최찬섭 박사학위논문 [2003]
  • 양돈 폐수의 막여과 과정중 막힘현상의 원인규명, 충남대학교
    임항식 석사학위논문 [1997]
  • 슬러리 양돈분뇨의 효율적 처리 방안, 아주대학교
    박성균 박사학위논문 [2000]
  • 세라믹 담체에 의한 수질정화
    최성용 수질환경보전학회, 6권 1호 [1990]
  • 산발효를 연계한 MBR에서의 축산폐수처리, 연세대학교
    신정훈 석사학위논문 [2000]
  • 분말 활성탄을 첨가한 막결합형 생물반응조를 이용한 양돈폐수의 처리, 아주대학교
    이기공 석사학위논문 [2001]
  • 미세조류를 이용한 축산분뇨처리장 방류수의 고도처리 성능평가
    김병석 남귀숙 엄한용 이의행 이인호 제3회 Korea CCS Conference [2013]
  • 미세조류 수질개선 및 신재생 에너지 생산 방향 연구
    김충재 이원학 강원발전연구원 [2013]
  • 목편칩 살수여상시스템을 이용한 농촌생활오수 처리
    김광식 상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2]
  • 막분리공정을 이용한 분뇨처리장 방류수의 고도처리, 제주대학교
    김승건 석사학위논문 [1998]
  • 농촌폐기물 처리상황과 재자원화 과제
    홍지영 한국농공학회지 32 (2): 19-23 [1990]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별 시비처방 기준 [2010]
  • 농촌진흥청
    가축분뇨의 처리 체계별 경제성 연구-1999년도 연구사업보고서 [2000]
  • 농촌진흥청
    시설재배지 염류집적원인 및 대책 [2001]
  • 농촌진흥청
    시설재배지의 염류집적과 해결방안 [2008]
  • 농촌진흥청
    가축분뇨 퇴ㆍ액비 이용기술 매뉴얼 [2010]
  • 농촌진흥청
    논토양원예기술 [2014]
  • 농촌지역 축산분뇨처리장 방류수를 이용한 미세조류 배양성능 및 CO2 저감 분석
    김병석 남귀숙 배요섭 엄한용 이의행 제3회 Korea CCS Conference [2013]
  • 농림축산식품부
    중장기 가축분뇨 자원화 대책 [2013]
  • 농림축산식품부
    농림식품축산부 주요통계 농림축산식품주요통계, 2014 [2014]
  • 농림수산식품부, 한국농어촌공사
    농업생산기반정비통계연보 [2012]
  • 농림부, 환경부
    가축분뇨 관리ㆍ이용종합대책 [2004]
  • 년 가축분뇨처리통계
    환경부 2014 [2012]
  • 급속 액상 부숙 기술을 이용한 양돈분뇨의 연속처리
    이명규 이원일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 제 6권 제 3호, 169~174 [2000]
  • 국립농업과학원, , 클로렐라 배양방법 및 농업적 활용
    농업진흥청 유기농기술서-17 [2015]
  • 국내 토착미생물을 이용한 생물비료의 개발, 강원대학교
    임광순 석사학위논문 [2010]
  • 가축슬러리의 액상 콤포스트화 시스템
    홍지영 NICEM 연구보고서 [1996]
  • 가축분뇨의 액비화 기술과 이용방안
    류종원 가축분뇨 자원화에 관한 국제심포지움 [1995]
  • 가축분뇨(액비)의 제조와 이용, 축산분뇨처리시책 및 기술교육, 농림부
    박백균 정이근 축협중앙회, pp61~108 [2000]
  • 가축분뇨 양분부하량 및 부하계수 산정, 강원대학교
    유병구 석사학위논문 [2015]
  • 가축분뇨 액비이용의 활성화 방안
    정광용 환경친화형 가축분뇨 처리 기술 심포지엄, p.85~102 [1998]
  • Stephenson T, A. Mann, J. Upton, 1993, “The small footprint wastewater treatment process.”, Chemistry & Industry, 19(Jury), pp.533-536
  • Sohn, S. M., K. S. Oh, and H. S. Lee. 1995. Effects of shading and nitrogen fertilization on yield and accumulation of NO₃⁻ in edible parts of Chinese cabbage. J. Kor. Soc. Soil Sci. Fert. 28(2): 154-159.
  • Smolen, M. D., D. E. Storm, D. Peel, and P. Kenkel, 1994, Mass balance analysis of nutrient flow through feed and waste in the livestock industry in the southern plains., p.168-174., In D.E Storm and K.G.Casey (2d.), Proc. of the Great Plains
  • Slurry 돈사 이용 농가 분뇨처리 방법 조사, 94 축산분뇨처리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동물자원연구센터
    박치호 축산기술연구소, 113-145 [1995]
  • Pulz O., Gross W., 2004, Valuable products from biotechnology of microalgae, Applied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65: 635-648
  • Park, S.H., Oh, I.H., Yoo, S.A., Choi, C.W., 1998, Characterization of an extracellular floculating substance produced by a planktonic cyanobacterium, Anabaena sp., Biotechnol Lett 20: 643-646
  • Park B. K., J. S. Lee, N. J. Cho., and K. Y. Jung. 2001. Effect of liquid pig manure on growth of rice and infiltration water quality. J. Korean Soc. Soil Sci. Fert. 34 : 153~157
  • Nielsen, P. H., A. Jahn, R. Palmgren, 1997, “Conceptual model for production and composition of exopolymers in biofilm.”, Wat. Sci. Tech.,36(1), pp. 11-19
  • Loosdrecht, M. C. M., E. Eikelboom, A. Gjaltema_, A. Mulder Tihhuis, J.J. Heijnen, 1995, “Biofilm structures”., Wat. Sci. Tech, 32(8), pp. 35-44
  • Lanyon, L. E., and D. B. Beegle., 1989, The role of on-farm nutrient balance assessments in an integrated approach on nutrient management., J. Soil Water Consery, 44:164-168
  • Klausner S., 1995, Nutrient management planning., p.383-392. In K Steele(ed.) Animal waste and the land-water interface, Lewis Publ., New York
  • Kim, S. C. 2004. The treatment of food anaerobic digestion leachate by photosynthetic bactetia. Ph. D. thesis. Mokpo Nat'l Univ.
  • Kim, C.J., Ahn, C.Y., Oh, H.M. Lee, Y.K., Jung, Y.H., 2010. “Adsorption of turbid materials by the cyanobacterium Phormidium parchydematicum”, J. Appl. Phycol, 22: 181-186
  • Jeong, K. H., T. I. Kim, K. C. Choi, J. D. Han, and W. H. Kim. 1997. Changes of compost properties during aerobic composting of poultry manure. Kor. H. Anim. Sci. 39(6):731-738
  • Iwai, S; Y. Oshino; and T. Tsukada, 1990, “Design and operation of small wastewater treatment plants by the microbial film process.”, Water Science and Technology, Vol. 22, No.3 ~ 4, pp. 139-144
  • Inbar, Y., Y. Chen, and Y. Hadar. 1990. Humic substances formed during the composting of organic matter. Soil Sci. Soc Amer. J.54:1316-1323.
  • Hwang, S. W., J. K. Sung, B. K. Kang, C. S. Lee, S. G. Yun, T. W. Kim, and K. C. Eom. 2004. Polyamine biosynthesis in red pepper and chinese cabbage by the application of liquid pig manure. Kor. J. Soil Sci. Fert. 37(3):171-176
  • Hong, J. H., and J. D. Chung. 2005. Effect of broth of purple photosynthetic bacteria on garbage. J. Kor. Soc. of Waste Management. 22(2): 113-119
  • Gilmour J. T., A. Mauromoustakos, P. M. Gale and R. J. Norman. 1998. Kinetics of crop residue decomposition : variability among crops and years. Soil Sci. Soc. Am. J. 62 : 750~755
  • Gao Chao, SUN Bo and ZHANG Tao-Lin., 2006, Sustainable Nutrient Management in Chinese Agriculture : Challenges and Perspecive, Soil Science Society of China, 16(2):253-263
  • Eliot, E. 1997. The Science of Composting. Technomic Publishing Co., Lancaster, PA, USA
  • Chistensen D. R., P. L. McCarty, 1975, “Multi-process biological treatment model.”, J. Water Pollution Control Federation 47, pp.2652-2664
  • Bar-Or, Y., Shilo, M., 1987, Characterization of macromolecular flocculants produced by Phormidium sp. strain J-1 and by Anabaenopsis circularis PCC 6720, Appl Environ Microbiol 53: 2226-2230
  • Animal Waste Conf. on Confined Animal Production and Water Quality : Balancing Animal Production and the Environ., Denver. 19-21 Oct, 1994, Great Planins Publ., 151. Natlcattlemen’s Assoc., Englewood, 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