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선후기 왕의 권위와 권력의 관계 : 황극개념의 해석을 중심으로

소진형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조선후기 왕의 권위와 권력의 관계 : 황극개념의 해석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정치학(정치와 정부)
  • 권력
  • 권위
  • 도통
  • 심법
  • 왕권
  • 왕통
  • 홍범구주
  • 황극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08 0

0.0%

' 조선후기 왕의 권위와 권력의 관계 : 황극개념의 해석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주자가례의 수용과 보급과정—동전 판본 문제를 중심으로」
    장동우 국학연구 16 [2010]
  • 「논어에 나타난 ‘권도’의 논리구조와 의미─주희와 왕부지의 관점을 중 심으로─」
    이철승 시대와 철학 제 21집 3호 [2010]
  • 「가례 주석서를 통해 본 조선 예학의 전개과정」
    장동우 동양철학 34 [2010]
  • 「한국근대사에 있어서 정조의 통치철학에 관한 연구―그 전통성과 개방성 을 중심으로」
    안재순 성균관대 동양철학과 박사학위논문 [1990]
  • 「팔괘취상설(八卦取象說)과 주역(周易) 성격의 전환」
    정병석 동양철학연구 제79 권 [2014]
  • 「탕평기 군주의 정치사상」. 한국국학진흥원 편. 한국유학사상대계Ⅵ-정치 사상편
    김성윤 한국국학진흥원 [2007]
  • 「주희의 사회․정치적 구상으로서의 “학”―“공리지학”
    민병희 “공허지학”과의 대조 를 중심으로―」동양사학연구 104 [2008]
  • 「주희 태극론에 나타난 우주론과 본체론의 분화와 유통」
    주광호 대동문화연구 제 54집 [2006]
  • 「주역의 현대과학적 조명 : 주역과 양자역학의 비교를 통한 고찰」
    장회익 과학과 철학5 [1994]
  • 「조선후기탕평연구」
    박광용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1994]
  • 「조선후기 정치와 실학」다산과현대 2; 정호훈, 2004, 조선후기 정치 사상연구-17세기 북인계남인을 중심으로-
    김용흠 혜안 [2009]
  • 「조선후기 실학자의 현실 인식과 사회경제개혁론; 담와 홍계희의 사회경제 정책 구상 –양역변통론을 중심으로-」
    이근호 한국실학연구 27 [2014]
  • 「조선후기 상수학의 발전과 변동」
    박권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 「조선후기 권분과 부민의 실태」
    이세영 역사문화연구 34 [2009]
  • 「조선후기 개혁사상의 고찰―정조와 정약용을 중심으로」 한국정치의 재 성찰: 전근대성‧근대성‧탈근대성
    배병삼 한울 [1996]
  • 「조선왕조 준천과정에 나타난 위민 담론 분석」
    조광권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 위논문 [2004]
  • 「조선역학사에서 도상학적 상수학의 수용과 비판─주자의 도서역학과 소 강절의 선천역학을 중심으로─」
    정병석 유교사상문화연구 제 58집 [2014]
  • 「조선 현종조의 사의. 공의 논쟁」
    정만조 한국학논총 14권 [1992]
  • 「조선 숙종조 남계 박세채의 노소중재와 황극탕평론」
    우인수 역사교육학회. 제19권 [1994]
  • 「정조의 주자서 편찬과 그 의의」
    [1999]
  • 「정조의 예학」
    정경희 한국사론 50 [2004]
  • 「정조의 사회통합사상」. 김문식, 노대환, 배우성, 유봉학, 정옥자 공저. 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
    정옥자 돌베개 [1999]
  • 「정조시대 연구 총론」. 김문식, 노대환, 배우성, 유봉학, 정옥자 공저. 정 조시대의 사상과 문화
    정옥자 돌베개 [1999]
  • 「정조대의 역법과 술수학 지식: 「천세력」과 협길통의를 중심으로」
    전용훈 한국 문화54 [2012]
  • 「정조(正祖)에 있어서 왕의 위상과 의미 : 만천명월주인옹자서에 나타 난 리일분수의 개념변화를 중심으로」
    소진형 동양정치사상사 제9권 [2010]
  • 「윤휴의 정치이념과 부국강병책─홍범이해와 정치・사회개혁론을 중심으로 」
    정호훈 민족문화 26 [2003]
  • 「영조대 중반 御製訓書의 간행 양상과 의의 : 『어제대훈』과 『어제상 훈』을 중심으로」
    이근호 장서각 26 [2011]
  • 「영조 후반기(1749~1776) 경연과 영조의 의리론 강화」
    정경희 역사학보 162 [1999]
  • 「영조 전반기(1724~1748) 중앙학계와 영조의 성리학 이해」
    정경희 한국사연구 103 [1998]
  • 「양송 태극론 전개에서 정이 ‘리’론의 위상-태극에서 리로」
    주광호 한국철학논집 제 24집 [2008]
  • 「양란기의 국가재조 문제」
    김준석 한국사연구101 [1999]
  • 「숙종초 을묘복제 논쟁의 사상적 함의」
    이원택 한국사상사학 14 [2000]
  • 「숙종대 소론 변통론의 계통과 탕평론 -명곡(明谷) 최석정(崔錫鼎)을 중 심으로」 한국사상사학 Vol
    김용흠 32 [2009]
  • 「수교집록에 관한 연구」
    조지만 법학연구50-1 [2010]
  • 「성호 이익의 정치개혁론―입법탕평론과 탕평책」
    원재린 민족과 문화 9 [2000]
  • 「보만재 서명응의 생애와 학문」
    장원목 한국사상과 문화 제22집 [2003]
  • 박사
  • 「맹자철학에서 권도의 철학적 해석」철학논집 제 16집
    배종석 상서보전 [2008]
  • 「담와 홍계희의 가계분석」조선시대의 정치와 제도
    정만조 집문당 [2003]
  • 「다산의 고거학에 관한 시론」
    펑린 다산학 6 [2005]
  • 「갑술환국과 숙종」
    이희환 전북사학 11・12 [1989]
  • 「白湖 윤휴의 現實認識과 君權强化論」
    정호훈 학림 제16권 [1994]
  • 「尹鐫의 經學思想과 國家權力强化論」한국사연구
    정호훈 제89권 [1995]
  • 「『범학전편』 에 관한 소고」
    이기동 동양철학연구 제22집 [2000]
  • 「18세기 전반 탕평정치의 추진과 속대전의 편찬」. 오영교 편 조선후기 체제변동과 속대전
    정호훈 혜안 [2005]
  • 「18세기 국왕의 문치사상연구—조종사적의 재인식과 계지술사의 실현—」
    윤정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18세기 "목민서(牧民書)"와 지방통치 -『목민고(牧民攷)』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 Vol
    김용흠 35 [2010]
  • 「18~19세기 ‘민국’ 정치사상의 형성과 전개-조선유교정치사상의 근대적 지향-」
    이태진 한일공동연구 중간발표회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1997]
  • 「18 세기 군주성학론의 심학화」
    유미림 한국정치학회보35-3 [2001]
  • 「17세기 후반 '전향노론' 학자의 사상 : 박세채 김간을 중심으로」
    정경희 역사와 현실 13 [1994]
  • 「17세기 체제 개혁론의 전개와 『주례(周禮)』」
    정호훈 한국실학연구 10 [2005]
  • 「17세기 중후반 禮訟의 전개와 정치지형의 변화 : 예송의 정치사적 파장 과 국왕-붕당 역학관계 변화를 중심으로」
    양선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3]
  • 「17세기 민신 대복 사건에 나타난 종법 인식 : 박세채와 윤전의 논쟁을 중심으로」
    이원택 법사학연구 29 [2004]
  • 論語
  • 조선후기당쟁연구
    이희환 국학자료원 [1995]
  • 조선후기 향촌지배정책 연구
    오영교 혜안 [2001]
  • 조선후기 탕평정치 연구
    김성윤 지식산업사 [1997]
  • 조선후기 지성사
    정옥자 일지사 [1991]
  • 조선후기 중화론과 역사인식
    허태용 아카넷 [2009]
  • 조선후기 조선중화주의사상연구
    정옥자 일지사 [1998]
  • 조선후기 정치사상연구-17세기 북인계남인을 중심으로-
    정호훈 혜안 [2004]
  • 조선후기 왕위계승연구
    이영춘 집문당 [1998]
  • 조선후기 문화운동사
    정옥자 일조각 [1997]
  • 조선후기 낙론계 학풍의 형성과 전개
    조성산 지식산업사 [2007]
  • 조선후기 국토관과 천하관의 변화
    배우성 일지사 [1998]
  •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정조와 경기학인을 중심으로
    김문식 일조각 [1996]
  • 조선중화주의의 성립과 동아시아
    우경섭 유니스토리 [2013]
  • 조선중기 예학사상사 : 예의 시행 예설의 변화 예학의 성립
    고영진 한길사 [1995]
  • 조선중기 국가와 사족
    김성우 역사비평사 [1997]
  • 조선유학과 소강절 철학
    곽신환 예문서원 [2014]
  • 조선왕조 재정시스템의 재발견 : 17∼19세기 지방재정사 연구
    손병규 역사비 평사 [2008]
  • 조선시대 향촌사회사
    정진영 한길사 [1997]
  • 조선 17~18세기 상서 해석의 새로운 경향
    김만일 경인문화사 [2007]
  • 정치가 정조
    박현모 푸른역사 [2001]
  • 정조의 제왕학
    김문식 태학사 [2007]
  • 영조와 정조의 나라
    박광용 푸른역사 [1998]
  • 대동법 조선 최고의 개혁 : 백성은 먹는 것을 하늘로 삼는다
    이정철 역사비평 사 [2010]
  • 霞谷集
  • 近思錄
  • 藥泉集
  • 續明義錄
  • 縹礱乙㡨
  • 範學全編
  • 皇極經世書
  • 白湖全書
  • 渼湖集
  • 洪範皇極內篇
  • 江漢集
  • 正祖御札帖
  • 朱子語類
  • 朱子大全
  • 朝鮮王朝實錄
  • 書經
  • 易學啓蒙
  • 明谷集
  • 明義錄
  • 承政院日記
  • 性理大全
  • 弘齋全書
  • 大學章句
  • 國朝喪禮補編
  • 周易
  • 周易本義
  • 南溪集
  • 保晩齋剩簡
  • 保晚齊叢書
  • 三山齋集
  •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기 사회사 연구반. 조선은 지방을 어떻게 지배했는가
    아 카넷 [2000]
  • 특권문서로 본 조선사회 : 완문(完文)의 문서사회학적 탐색
    김 혁 지식산업사 [2008]
  • 추사 김정희의 상서 금고문론과 위서고증
    김만일 태동고전연구28 [2012]
  • 주희의 극 해석에서 드러난 도덕과 정치의 분리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고 찰
    소진형 한국정치연구24-3 [2015]
  • 조선후기 정치사의 시기구분 문제
    박광용 성심여대논문집 23 [1991]
  • 조선후기 영조초반 법제정비의 성격과 그 지향 : 『신보수교집록』 체재 를 중심으로
    김백철 정신문화연구32-2 [2009]
  • 조선후기 영조대 탕평정치의 이념과 주례
    김백철 한국사론 51 [2005]
  • 조선후기 영조대 백성관의 변화와 ‘민국’
    김백철 한국사연구 138 [2007]
  • 조선후기 숙종대 『수교집록(受敎輯錄)』 편찬과 그 성격 –체재(體裁)분 석을 중심으로-
    김백철 동방학지140 [2007]
  • 조대 『속대전』의 편찬논리와 그 성격
    정호훈 한국문화50 [2010]
  • 정조의 서학관
    안재순 동양철학연구27 [2001]
  • 정조시대의 사상과 문화
  • 정조대 정치체제운영과 개혁정책
    김준혁 동양정치사상사연구 7-1 [2008]
  • 정약용의 『상서』 「태서」편 고증 1 : 「태서」의 분류와 금고문 상서 와 관련하여
    김만일 태동고전연구32 [2014]
  • 유가윤리에서의 도덕적 딜레마 해결방식으로서의 경->권-=선
    박재주 윤리연 구 제 64호 [2007]
  • 연산군대의 군ㆍ신 권력관계와 그 추이
    김돈 역사교육53 [1993]
  • 역학의 새로운 해석
    맹천술 서명응 중앙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87]
  • 보만재 서명응의 선천역학연구
    서근식 한국철학논집 제19집 [2006]
  • 백호 윤휴의 홍범관 연구
    김성윤 역사와 현실 34 [1999]
  • 다산 정약용의 홍범설연구
    김성윤 역사학보 제 170집 [2001]
  • 남계(南溪) 박세채(朴世采)의 변통론(變通論)과 황극탕평론(皇極蕩平論)
    김용흠 동박회지 제143집 [2008]
  • 권에 관한 일고찰-선진 철학을 중심으로-
    고은강 동아시아문화연구 제 52집 [2012]
  • 高懷民 저. 정병석 역. 주역철학의 이해
    문예출판사 [2004]
  • 陳來 저. 이종란, 이상성, 이종상 역. 주희의 철학
    예문서원 [2002]
  • 陳來 저, 안재호 역. 송명성리학
    예문서원 [2009]
  • 王瑞來. 2001. 宋代の皇帝權力と士大夫政治. 汲古書院.
  • 朱熹(1130-1200)에 있어서 形而上學과 經世의 관계 : 太極 개념과 太 極圖의 해석을 중심으로
    민병희 역사문화연구 제28권 [2007]
  • 朱伯崑 저. 김학권・김진근・김연재・주광호・윤석민 역. 역학철학사3
    소명출판 [2012]
  • 宮嶋博史 지음, 노영구 옮김
    양반. 강
  • 吾妻重二. 2004. 朱子學の新硏究 : 近世士大夫の思想史的地平. 創文社.
  • 余英時 저. 이원석 역. 주희의 역사세계상
    글항아리 [2015]
  • 『홍범황극내편』에 나타난 채침의 수본론과 그 세계관 : 송대 상수역학 의 사유지평을 중심으로
    김연재 유교사상연구 제42집 [2010]
  • 『조선후기 정치사상사연구―국가재조론의 대두와 전개―』
    김준석 지식산업사 [2003]
  • 『정조대 탕평정국의 군신의리 연구』
    최성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탕평의 원리와 탕평론」
    김성윤 부산사학 15‧16 합집 [1992]
  • 「조선시기 주자학과 양반정치」
    김준석 『실학사상연구』 17∙18 [2000]
  • 「조선 후기 왕권에 대한 연구(2): 정조 연간의 의리논쟁을 중심으로」
    유미림 동양 정치사상사1-1 [2002]
  • 「정조의 속학 비판과 정학론」
    김호 한국사연구 139 [2007]
  • 「정조의 『대학』 탐구와 새로운 군주론」
    이태진 이회재의 사상과 그 세계, 성대 대동문화연구총서 11 [1992]
  • 「정조―유학적 계몽 절대군주」
    이태진 한국사시민강좌 13 [1993]
  • 「정조 철학사상의 정치적 조명」
    김성윤 부산사학 25․26 합집 [1994]
  • 박사
  • 「영조말(英祖末)~정조(正祖) 초(初)의 정국(政局)과 정치세력(政治勢力) 의 동향(動向) : 영조(英祖) 46년(1770)경~정조(正祖) 원년(元年)(1777)을 중심으로」
    김정자 『조선시대사학회』 제44권 [2008]
  • 「영조대 탕평파의 형성과 벌열화」
    이근호 『조선시대사학보』 제21권 [2002]
  • 「서명응의 생애와 규장각 활동」
    김문식 정신문화연구 제22권 2호 [1999]
  • 「사회경제정책 논의의 정치적 성격」
    배우성 한국역사연구회 17세기 정치사 연 구반. 『조선중기 정치와 정책: 인조~현종시기』 아카넷 [2000]
  • “북송시기 보편 원리의 추구와 사대부의 위상—소옹. 왕안석
    민병희 정이를 중심 으로—“『중국사연구』83 [2013]
  • de Bary. William Theodore 저. 표정훈 역. 중국의 '자유' 전통 : 신유학사상의 새로운 해석
    이산 [1998]
  • Wrong, Dennis, 1994. The problem of order : What Unites and Divides Society. The Free Press.
  • Woodside, Alexander 저 민병희 역. 잃어버린 근대성들 : 중국, 베트남, 한국 그리고 세계사의 위험성
    너머북스 [2012]
  • Wood. Alan T. 1995. Limits To Autocracy: From Sung Neo-Confucianism to a Doctrine of Political Rights. University of Hawaii Press.
  • Weber, Max. Trans. by Hans Gerth. 1958. The Three Types of Legitimate Rule. Berkeley Publications in Society and Institutions, 4-1.
  • Seigel, Jerrod E. 1968. Rhetoric and Philosophy in Renaissance Humanism: The Union of Eloquence and Wisdom, Petrarch to Valla. Princeton University Press.
  • Scott, John ed. 1994. Power: Critical Concepts.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 Palais. James 저. 김범 역. 유교적 경세론과 조선의 제도들 : 유형원과 조선 후 기
    산처럼 [2008]
  • Monod, Paul Kl ber. 1999. The Power of Kings: Monarchy and Religion in Europe 1589~1715. Yale University Press.
  • Levin, Ari Daniel. 2008. Divided by a Common Language : Factional Conflict in late Northern Song China. University of Hawai’i Press.
  • Kuhn, Philip 저, 이영옥 역. 영혼을 훔치는 사람들 : 1768년 중국을 뒤흔든 공포와 광기
    책과함께 [2004]
  • Hymes, Robert P. 1986. Statemen and Gentlemen: The Elite of Fuchou, Chiang-hsi in Northern and Southern Su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enderson. John 저. 문중양 역. 중국의 우주론과 청대의 과학혁명 : 상관적 우 주론의 형성과 발전. 그리고 부정의 역사
    소명출판 [2004]
  • Elman, Benjamin 저. 양휘웅 역.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예문서원 [2004]
  • Bol. Peter K 저. 김영민 역. 역사 속의 성리학
    예문서원 [2010]
  • Birdwhistell. 1982. Transition to Neo-Confucianism: Shao Yung on Knowledge and Symbols of Reality. Stanford University Press.
  • Beetham. David. 1991. The Legitimation of Power. MacMillan.
  • Angle, Stephen C. 2009. Sagehood :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Neo-Confucian Philosophy. Oxford University Press.
  • Alfonso, Isabel, Hugh Kennedy, and Julio Escalona eds. Building Legitimacy : Political Discourses and Forms of Legitimation on Medieval societies. Brill.
  • 18세기 기호남인의 홍범이해-성호 이익과 소남 윤동규를 중심으로-
    김성윤 조선 시대사학보 16 [2003]
  • 18~19세기 노론학자의 홍범이해와 그 정치적 의미-이민곤・황경원・홍석 주를 중심으로-
    김성윤 부산사학 제40・41합집 [2001]
  • 17・8세기 납속책의 실시와 그 성과
    서한교 역사교육논집15 [1990]
  • 17세기 호서예학파의 예학사상 -왕조례(王朝禮)의 인식을 중심으로-
    한기범  한국사상과 문화26 [2004]
  • --------. 1968. Economy and society : an outline of interpretive sociology. New York : Bedminster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