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십이연기 해석의 비판적 고찰 : - 철학적 체계를 중심으로 - = The Critical Study on the Paṭiccasamuppāda Interpretations

우동필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십이연기 해석의 비판적 고찰 : - 철학적 체계를 중심으로 - = The Critical Study on the Paṭiccasamuppāda Interpretation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철학,의사심리학,신비학, 심리학
  • 객관
  • 십이연기
  • 연기
  • 오온
  • 중도
  • 초월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88 0

0.0%

' 십이연기 해석의 비판적 고찰 : - 철학적 체계를 중심으로 - = The Critical Study on the Paṭiccasamuppāda Interpretations' 의 참고문헌

  • 「MN9경과 중아함 29경에 나타난 무명과 누의 해석 문제」, 선문화연구 16집
    우동필 선리연구원, , pp. 173-216 [2014]
  • 「초기불교의 연기상의설 재검토」, 한국불교학 14집
    박경준 한국불교학회, , pp. 117-141 [1989]
  • 「초기불교의 실천사상-사회 참여에 대한 교리적 검토」, 한국불교학 제32집
    조준호 한국불교학회, , pp. 238-267 [2002]
  • 「초기불교의 경전에 나타난 사마타빠사나」, 인도철학 제11집
    임승택 인도철학, , pp. 205-234 [2001]
  • 「초기불교에 있어 止 觀」, 한국선학 제1호
    조준호 한국선학회, , pp.321-343 [2000]
  • 「초기 부파불교에서의 비유와 열반」, 인도철학 제28집
    황순일 인도철학회, , pp. 65-84 [2010]
  • 「초기 경전을 어떻게 볼 것인가」, 불교학보 제39집
    황순일 불교문화연구원, , pp. 325-333 [2002]
  • 「육입처와 육근은 동일한가」, 범한철학 17집
    이중표 범한철학회, , pp. 291-311 [1998]
  • 「역관(逆觀)의 십이연기-십이연기와 중도의 관계」, 불교학연구 제44호
    우동필 불교학연구회, pp. 1-33 [2015]
  • 「십이연기에서 오온」, 불교학보 63집
    우동필 불교문화연구원, pp.51-84 [2012]
  • 「십이연기 전개설 비판」, 한국불교학 제72집
    우동필 한국불교학회, , pp. 153-184 [2014]
  • 「순관(純觀, suddha-vipassanā)에 대하여」, 불교학연구 제4호
    김재성 불교학연구회, , pp. 255-282 [2002]
  • 「사마타(止)와 위빠사나(관)의 의미와 쓰임에 대한 일고찰」, 불교학연구, 제12호
    정준영 불교학연구회, , pp. 521-552 [2005]
  • 「두 가지 해탈의 의미에 대한 고찰」, 불교학연구, 제14호
    정준영 불교학연구회, , pp. 61-90 [2006]
  • 「독일 불교학에 있어 문헌학적 연구방법-슈미트하우젠의 경우-」, 불교학보 제39집
    안성두 불교문화연구원, , pp. 335-343 [2002]
  • 「근본불교에서 ‘일체(一切; sabba)’의 의미」,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18권
    이중표 한국교수불자연합회, , pp. 93-122 [2012]
  • 「구사론주(kośakāra) 세친(Vasubandhu)의 번뇌론」, 불교사상과 문화 제4호
    박창환 중앙승가대학교, , pp. 79-157 [2012]
  • 「구사론주 세친(Vasubandhu) 緣起說의 연속과 불연속」, 불교학연구 제38호
    박창환 불교학연구회, , pp. 51-135 [2014]
  • 「十二緣起 전개 과정 연구: 解脫智( āṇa) 기술을 중심으로」
    김홍미 동국대학교 대학원 불교과 박사학위논문, pp. 1-356 [2010]
  • 「初期佛典에 나타난 止觀槪念」, 한국선학 제1호
    김준호 한국선학회, , pp. 285-298 [2000]
  • 「M138경의 anupādā paritassanā 해석 문제」, 한국불교학 제
    우동필 한국불교학회, , pp. 277-302 [2012]
  • 인도철학
    정태혁 서울: 학연사 [1988]
  • 인도철학입문, 고길환 역
    해밀턴 서울: 동문선 [2005]
  • 인도철학사 신장판
    길희성 서울: 민음사 [2000]
  • 인도철학사
    이병욱 서울: 운주사 [2004]
  • 용수의 중관사상, 남수영 역
    나카무라 하지메 용인: 여래 [2010]
  • 예루살렘의 아이히만-악의 평범성에 대한 보고서, 김선옥 역
    아렌트 한나 서울: 한길사 [2006]
  • 열린사회와 그 적들 1, 이한구 역
    포퍼 서울: 민음사 [1998]
  • 연기와 공
    마츠모토 시로 서울: 운주사 [1994]
  • 아함법상의 체계성연구
    고익진 동국대출판부 [1990]
  • 아비달마불교
    권오민 서울: 민족사 [2003]
  • 아비달마구사론 2
    권오민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 [2002]
  • 아비달마구사론 1
    권오민 동국대학교 동국역경원 [2002]
  • 상대주의의 두 얼굴
    노양진 서울: 서광사 [2007]
  • 빠알리한글사전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2005]
  • 빌헬름 딜타이의 탐구작업과 역사적 세계관, 김재철 역
    마르틴 하이데거 서울: 누멘 [2010]
  • 불교와 불교학
    조성택 서울: 돌베개 [2012]
  • 雷虛 金東華 全集 佛敎小論文 論說 13권
    김동화 뇌허불교학술원 [2001]
  • 初期佛敎의 緣起思想
    전재성 한국빠알리성전협회 [1999]
  • 히라카와 아키라, 인도불교의 역사 상, 이호근 역
    서울: 민족사 [1989]
  • 틸만 페터. 초기불교의 이념과 명상. 김성철 역
    서울: 씨아이알 [2009]
  • 테오도르 체르바츠키, 열반의 개념, 연암 종서(瑌庵宗瑞) 역
    서울: 경서원 [1994]
  • 칼루파하나, 불교철학의 역사, 김종욱 역
    D.J 서울: 운주사 [2008]
  • 칼루파하나, 불교철학-역사적 분석, 최유진 역
    서울: 천지 [1992]
  • 중도 체계, 서울: 불광출판사, , 디가니까야
    아함의 이중표 전남대출판부, 2014 [2001]
  • 존 듀이, 철학의 재구성, 이유선 역
    서울: 아카넷 [2010]
  • 역, 우파니샤드 I
    이재숙 서울: 한길사 [1996]
  • 에띠엔 라모뜨, 인도불교사 1, 호진 역
    서울: 시공사 [2006]
  • 붓다고사, 청정도론 1권, 대림 역
    초기불전연구원 [2004]
  • 메이시. 불교와 일반시스템이론. 이중표 역
    조애너 서울: 불교시대사 [2004]
  • 리처드 로티, 철학 그리고 자연의 거울, 박지수 역
    서울: 까치 [1998]
  • 라다크리슈난, 인도철학사 I, 이거룡 역, 서울: 한길사, , 인도철학사 II, 이거룡 역
    서울: 한길사, 1999 [1996]
  • 드 용, 현대불교학 연구사, 강종원 역
    J. W 동국대학교출판부 [2004]
  • 대 림, 인도불교사 2, 호진 역
    서울: 시공사 [2006]
  • 대 림, 맛지마니까야 3권
    초기불전연구원 [2012]
  • 대 림, 맛지마니까야 2권
    초기불전연구원 [2012]
  • 대 림, 맛지마니까야 1권
    초기불전연구원 [2012]
  •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개론
    동국대출판부 [2008]
  • 龍樹, 中論, 김성철 역
    서울: 경서원 [1993]
  • 高崎直道, 불교입문, 홍사성 역
    서울: 우리출판사 [1988]
  • 渡邊文麿, 니꺄야와 아비담마의 철학과 그 전개, 김한상 역
    동국대출판부 [2014]
  • 水野弘元, 불교의 시발역, 동봉 역
    서울: 진영출판사 [1984]
  • 松本文三郎, 宗教と學術, 東京: 丙午出版社, 1906.
  • 松本史朗, 연기와 공-여래장사상은 불교가 아니다, 혜원 역
    서울: 운주사 [1994]
  • 木村泰賢, 원시불교사상론, 박경준 역
    서울: 경서원 [1992]
  • 平川彰, 法と緣起, 東京: 春秋社, 1988.
  • 宇井伯壽, 印度哲學硏究 第二, 東京: 岩波書店, 1965.
  • 宇井伯壽, 佛敎思想硏究, 東京: 岩波, 1943,
  • 和十哲郞, 원시불교의 실천철학, 안승준 역
    서울: 불교시대사 [1993]
  • 前田惠學, 原始佛敎の成立史硏究, 東京: 山喜房佛書林, 1990.
  • 初期佛敎의 緣起思想 硏究
    최봉수 박사학위논문 (동국대학교, pp.1-298) [1989]
  • 初期佛敎에서의 止觀과 四禪
    인 경 보조사상 제16집, 보조사상연구원 , pp. 89-119. [2001]
  • 上山春平 櫻部 建, 아비달마의 哲學-존재의 분석, 정호영 역
    서울: 민족사 [1989]
  • āṇananda, K. Concept and Reality in Early Buddhist Thought, Kandy: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1971.
  • āṇamoli, The Path of Purification, 4th ed. Colombo: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10.
  • āṇamoli and Bodhi, The Middle Length Discourses of Buddha-A Translation of the Majjhima Nikāya, Boston: Wisdom Publication, 1995.
  • ānavīra, Notes on the Dhamma -Clearing The Path, Colombo: Buddhist Cultural Centre, 2001.
  • Walshe, Maurice, The Long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Dīgha Nikāya, Boston: Wisdom Publications, 1987.
  • Walleser, Max. Die philosophische Grundlage des lteren Buddhismus, Heidelberg: C. Winter, 1904.
  • The Foundations of Buddhism
    전재성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98]
  • T.W. Rhys Davids and William Stede, Pali English Dictionary, New Delhi: Asian Educational Services, 2004,
  • Stcherbatsky, Th. Buddhist Logic,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s, 1993.
  • Schumithausen, 「12지 연기형식에 관하여」, 안성두 역, 불교학리뷰 3권
    불교문화연구소, , pp. 163-205 [2008]
  • Schmithausen, Lambert. “On Some Aspects of Descriptions or Theories of ‘Liberating Insight’ and ‘Enlightenment’ in Early Buddhism”, Studien zum Jainismus, K. Bruhn and A. Wezler, eds. 1981.
  • Ronkin, Noa, Early Buddhist Metaphysics: The making of a philoshophical tradition, London: RoutledgeCuron, 2005
  • Rje Tsong Khapa, Ocean of Reasoning-A Great Commentary on Nāgārjuna’s Mūlamadhyamakakārikā, London: Oxford, 2006.
  • Rhys Davids, C. Sākya or Buddhist Origins, London: kegan Paul, 1931.
  • Rahula, Walpola, What the Buddha Taught, Rev. ed. Dehiwala: Buddhist Cultural Centre, 2006.
  • Radhakrishnan, S. The Principal Upaniṣads, London: George Allen & Unwin Ltd, 1957.
  • R. 뿔리간들라, 인도철학, 이지수 역
    서울: 민족사 [1993]
  • Pruden, L. Abhidharmakosa- bhasyam of Vasubandhu II, English translation of Poussin, Louis de la Vall e, Berkeley: Asian Humanities Press, 1988.
  • Pande, Govind Chandra, Studies in the Origins of Buddhism, 4th ed.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2006.
  • P. Deussen, The Philosophy of the Upanishads, Edinburgh: T&T Clark,1906.
  • Olivelle, Patrick, Upaniṣads,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8.
  • Nyanaponika and Bodhi, Aṅguttara Nikāya: Discourses of the Buddha An Anthology Part I, Online Edition, Kandy: Buddhist Publication Society. 2010,
  • Mayeda, Sengaku, ‘The Concept of Avidyā in the Older Upaniṣads,’ Freedom, Progress, and Society: Essays in Honour of Professor K. Satchidananda Murty, ed. R. Balasubramanian and S. Bhattacharyya, New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lishe, 1986,
  • Lusthaus, Dan, Buddhist Phenomenology: A philoshophical investigation of Yogācāra Buddhism and the Ch’eng Wei-shih lun, London: RoutledgeCuron, 2002.
  • Johansson, Rune E. A. 초기불교의 역동적 심리학, 허우성 역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06]
  • James, W. Gair and Karuṇātilake, W. S. A New Course in Reading Pāli: Entering the Word of the Buddha, New Delhi: Motilal Banarsidass Pub. 1998.
  • Hamilton, Sue, Identity and Experience: The constitution of the human being according to early Buddhism, London: LuzacOriental, 1996.
  • Gombrich, Richard F. How Buddhism Began, London: Routledge, 1996.
  • Gombrich, R. F. “Recovering the Buddha’s Message”, The Buddhist Forum, Vol. I, Edited by Tadeusz Skorupski(University of London, 2012.
  • Gethin, Rupert, The Buddhist Path to Awakening, Oxford: Oneworld Publications, 2001.
  • Early Buddhism: A New Approach
    전재성 New york: Routledge [2000]
  • E. 후라오봘르너, 원시불교, 박태섭 역
    서울: 고려원 [1991]
  • Duroiselle, Charles, A Practical Grammar of the Pāli Language, 3nd,Buddha Dharma Education Association, 1997.
  • Cousins, L. S. “Pāli Oral Literature”, Buddhist Studies: Ancient and Modern, ed. P. Denwood and A. Piatigorsky, London: Curzon Press, 1983.
  • Cone, M. A Dictionary of Pāli, London: PTS, 2001.
  • Buddhadatta, A. The Pāli Course II, Dehiwala: Buddhist Cultural Centre,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