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순자 도덕철학의 감정론 = Emotions in Xunzi’s Moral Philosophy

정영수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순자 도덕철학의 감정론 = Emotions in Xunzi’s Moral Philosoph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철학,의사심리학,신비학, 심리학
  • 감정
  • 순자
  • 유학
  • 중국철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450 0

0.0%

' 순자 도덕철학의 감정론 = Emotions in Xunzi’s Moral Philosophy' 의 참고문헌

  • 「순자에서 본 ‘정(情)’의 의미」, 동방학 제32집, , 「순자 윤리학의 이성주의적 특성」
    강지연 동방학 제31집, 2014 [2015]
  • 「논어의 음악론: 음악의 교화 작용과 상보적 예악 개념에 대한 검토」
    유교사상문화연구 제52집 [2013]
  • 「중국 고대유가의 음악을 통한 도덕감정 계발모형 연구: 서곡(序曲): 순자와 예기「악기」의 감정관 분석을 중심으로」
    김명석 동양철학 제38집 [2012]
  • 「중국 고대 감응관 형성」
    김희정 동양철학 제26집 [2006]
  • 「주희의 공과 사」
    권향숙 철학논구 제30집 [2002]
  • 「조선 성리학의 예 교육 심성모델 개발(2)」
    동양철학연구 제39집 [2004]
  • 「전국시대 인성론의 형성과 전개에 관한 연구-유가, 묵가, 법가를 중심으로-」
    장원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5]
  • 「자연적 정과 당위적 정-순자의 성선론에 대한 소고」
    정재상 동양철학 제35집 [2011]
  • 「이제마의 성정론」
    최대우 범한철학 제46집 [2007]
  • 「이성과 감정의 이원론을 넘어」, 고려대 철학연구소, 감정의 인식론적 고찰
    소병일 서울: 한국학술정보 [2014]
  • 「음악과 미학」
    오희숙 서양음악학 제1권 [1998]
  • 「윤리적 인간의 탄생」, 한국철학회 엮음 철학의 눈으로 한국의 오늘을 본다
    김상봉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6]
  • 「유의 논리철학 연구: 순자의 '통류'와 한비의 '지류'를 중심으로」
    이상수 연세대 박사학위논문 [2003]
  • 「유가철학의 감성체계(I)-논어의 인을 중심으로」
    범한철학 제54집 [2009]
  • 「순자의 후천적 도덕성과 심의 작용」
    범한철학 제65집 [2012]
  • 「순자의 예학(禮學) 연구」
    양용환 영남대 박사학위논문 [1995]
  • 「순자의 법사상」
    심재우 법학논집 제29권 [1993]
  • 「순자의 ‘의’의 윤리학적 함의-분, 절, 순리의 관점에서」
    양순자 공자학 제26호 [2014]
  • 「순자에서의 의(義), 리(理), 그리고 존(尊)」
    김도일 동양철학 제35집 [2011]
  • 「순자 성악설의 의미」, 이승환‧이동철 엮음, 중국철학
    이장희 서울: 책세상 [2007]
  • 「순자 사상의 교육적 이해」
    이경표 성신여대 박사학위논문 [2010]
  • 「선진유학의 인간본성론-성자명출을 중심으로」
    범한철학 제57집 [2010]
  • 「서(恕): 도덕적 상상력」, 범한철학 제57집, , 「순자: 날카로운 서(恕)의 차가움」
    이향준 범한철학 제68집, 2013 [2010]
  • 「사회적 인지와 도덕성」
    정우진 동서철학연구 제63호 [2012]
  • 「사회적 인간관에 기초한 순자 철학의 재조명」, 송영배‧신정근 외 지음, 제자백가의 다양한 철학흐름
    김형진 서울: 사회평론 [2009]
  • 「사회규범의 공공성에 관한 법가의 인식(1): 한비자의 ‘인‧의’ 비판을 중심으로」
    이승환 시대와 철학 제14호 [2003]
  • 「사람의 마음을 얻는 정치-예기「중용」과 곽점초간 성자명출의 비교를 중심으로」
    이승률 퇴계학보 제135집 [2014]
  • 「류의 의미와 순자의 수양론」, 송영배‧신정근 외 지음, 제자백가의 다양한 철학흐름
    정단비 서울: 사회평론 [2009]
  • 「논어의 정(情) 개념을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
    동양철학 제29집 [2008]
  • 「공감의 윤리와 도덕규범」
    철학연구 제95권 [2011]
  • 「고대 중국의 악(樂)과 사회 통합성」
    이성원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7]
  • 「겸애와 차등애에 대한 맹자와 이지의 논쟁에 대한 연구」
    동양철학연구 제75집 [2013]
  • 「감정의 지향적 합리성」
    권수현 철학연구 제45집 [2012]
  • 「荀子의 諸子批判에 관한 硏究 : 荀子의 墨子批判을 中心으로」
    조현숙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1998]
  • 「荀子 禮治思想의 社會倫理學的 연구」
    권미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7]
  • 「先秦儒家哲學의 正名思想에 관한 연구 : 孔 孟 筍의 正名論理를 중심으로」
    이경무 전북대 박사학위논문 [1992]
  • 「‘의’ 사상의 기원과 전개-춘추전국시대를 중심으로」
    금종현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1]
  • 「‘수치심’과 ‘용기’-유가의 전통에서 인간다운 삶의 의미에 관하여」
    이찬 철학 연구 제51집 [2015]
  • 王先謙 撰, 荀子集解, 北京: 中華書局, 2010.
  • 李顯彬, 道德哲學之維, 北京: 人民出版社, 2007.
  • 李零, 郭店楚簡校讀記,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7.
  • 李滌生, 荀子集釋, 台北: 學生書局, 1986.
  • 李天虹, 郭店竹簡性自命出硏究, 武漢: 湖北敎育出版社, 2003.
  • 梁濤, 郭店竹簡與思孟學派, 北京: 中國人民大學出版社, 2008.
  • 梁啓雄, 荀子簡釋, 北京: 中華書局, 2010.
  • 제자백가의 사상
    송영배 서울: 현음사 [1994]
  • 제자백가의 다양한 철학흐름
    송영배 신정근 서울: 사회평론 [2009]
  • 이제마의 철학
    최대우 서울: 경인문화사 [2009]
  • 유교사회학의 패러다임과 사회이론
    이영찬 서울: 예문서원 [2008]
  • 유가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이승환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 수치심과 죄책감: 감정론의 한 시도
    임홍빈 서울: 바다 [2013]
  • 물학 심학 실학
    김형효 서울: 청계 [2003]
  • 듀이-경험과 자연
    김동식 울산: 울산대학출판부 [2005]
  • 도덕의 담론
    이진우 서울: 문예출판사 [1997]
  • 감정과 공감의 해석학
    황태연 파주: 청계 [2014]
  • 한국철학회 엮음, 철학의 눈으로 한국의 오늘을 본다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6]
  • 프랑수아 쥴리앙 지음, 허경 옮김, 맹자와 계몽철학자의 대화
    서울: 한울아카데미 [2004]
  • 풍우란 지음, 박성규 옮김, 중국철학사
    서울: 까치 [2009]
  • 찰스 다윈 지음, 김관선 옮김, 인간의 유래(1)
    파주: 한길사 [2006]
  • 지음, 홍희 옮김, 예의 정신
    류수 서울: 동문선 [2002]
  • 지음, 천병돈 옮김, 순자의 철학
    채인후 서울: 예문서원 [2000]
  • 지음, 주자대전 번역연구단 옮김, 주자대전1-13책
    주희 서울: 한국학술정보(주) [2010]
  • 지음, 정인재 역, 중국철학사(고대편)
    노사광 서울: 탐구당 [1986]
  • 지음, 김태환 옮기, 피로사회
    한병철 서울: 문학과지성사 [2012]
  • 지음, 김백희 옮김, 중국철학대강(하)
    장대년 서울: 까치글방 [1998]
  • 지음, 김기현 옮김, 유학과 현대세계
    사중명 서울: 서광사 [1998]
  • 지음, 권덕주 외 옮김, 중국예술정신
    서복관 서울: 동문선 [2000]
  • 주편, 권덕주‧김승심 공역, 중국미학사
    유강기 이택후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1]
  • 장 메종뇌브 지음, 김용민 옮김, 감정
    서울: 한길사 [1999]
  • 원초적 감정과 도덕 감정에 관한 흄의 자연주의: 진화심리학과 사회구성주의 화해
    양선이 근대철학 제3권 [2008]
  • 우치야마 도시히코 지음, 석하고전연구회 옮김, 순자교양강의
    서울: 돌베개 [2013]
  • 욕망과 기 개념으로 접근하는 순자와 여씨춘추의 음악론
    조정은 동양철학 제40집 [2013]
  • 옮김, 순자1-2
    이운구 서울: 한길사 [2002]
  • 옮김, 순자
    김학주 서울: 을유문화사 [2001]
  • 옮김, 묵자
    김학주 서울: 명문당 [2014]
  • 역, 관자
    김필수 서울: 소나무 [2012]
  • 에바 일루즈 지음, 김정아 옮김, 감정 자본주의
    서울: 돌베개 [2010]
  • 에드워드 슬링거랜드 지음, 김동환‧최영호 옮김, 과학과 인문학
    서울: 지호 [2014]
  • 앤거스 그레이엄 지음, 나성 옮김, 도의 논쟁자들
    서울: 새물결 [2001]
  • 아이반호 지음, 신정근 옮김, 유학, 우리 삶의 철학
    필립 서울: 동아시아 [2008]
  • 아우구스티누스 지음, 김희보․강경애 옮김, 고백록
    서울: 동서문화사 [2010]
  • 순자 「악론」의 특징과 영향
    이상은 유교사상문화연구 제44집 [2011]
  • 볼프강 벨슈 지음, 심혜련 역, 미학의 경계를 넘어
    서울: 향연 [2005]
  • 벤자민 슈월츠 지음, 나성 옮김, 중국 고대사상의 세계
    서울: 살림 [1996]
  • 미조구치 유조 지음, 정태섭‧김용천 옮김, 중국의 공과 사
    서울: 신서원 [2004]
  • 미조구치 유조 외 지음, 김석근‧김용천‧박규태 옮김, 중국사상문화사전
    서울: 민족문화문고 [2003]
  • 몽배원 지음, 이상선 역, 중국심성론
    서울: 법인문화사 [1996]
  • 마사 누스바움 지음, 조형준 옮김, 감정의 격동1-3
    서울: 새물결 [2015]
  • 마사 누스바움 지음, 조계언 옮김, 혐오와 수치심
    서울: 민음사 [2015]
  • 리쩌허우 지음, 정병석 옮김, 중국고대사상사론
    서울: 한길사 [2005]
  • 리빙하이 지음, 신정근 옮김, 동아시아 미학
    서울: 동아시아 [2010]
  • 르두 지음, 최준식 옮김, 느끼는 뇌
    조지프 서울: 학지사 [2013]
  • 로저 에임즈 지음, 장원석 역, 동양철학, 그 삶과 창조성
    서울: 유교문화연구소 [2005]
  • 뚜웨이밍 지음, 정용환 옮김, 뚜웨이밍의 유학강의
    성남: 청계 [1999]
  • 딜런 에번스 지음, 임건태 옮김, 감정
    서울: 이소 [2002]
  • 데이비드 웡 지음, 김성동 옮김, 다원론적 상대주의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6]
  • 데이비드 S. 니비슨 지음, 김민철 옮김, 유학의 갈림길
    서울: 철학과현실사 [2006]
  • 다마지오 지음, 임지원 옮김, 스피노자의 뇌
    안토니오 서울: 사시언스북스 [2007]
  • 겸애와 차등애 그리고 유묵(儒墨) 윤리설의 동이(同異)
    문병도 중국학보 41권 [2000]
  • 감정에 대한 인지주의 이론의 경계 짓기: Nussbaum과 de Sousa의 논의를 중심으로
    오 성 철학사상 제30집 [2008]
  • 黃意明, 道始于情: 先秦儒家情感論, 上海: 上海交通大學出版社, 2009.
  • 高正, 荀子版本源流考, 北京: 中華書局, 2010.
  • 韋昭 撰, 國語韋氏解全2冊, 台北: 世界書局, 1975.
  • 鄭玄 注‧孔穎達 疏, 禮記正義全3冊, 李學勤 主編, 十三經注疏(標点本),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9.
  • 鄭淑嬡, 先秦儒家的精神修養, 北京: 人民出版社, 2006.
  • 郭沫若, 十批判書, 北京: 人民出版社, 2012.
  • 郭梨華, 出土文獻與先秦儒道哲學, 臺北: 萬卷樓, 2008.
  • 郭振香, 先秦儒家情論硏究, 合肥: 安徽大學出版社, 2011.
  • 趙岐 注‧孫奭 疏, 孟子注疏, 李學勤 主編, 十三經注疏(標点本),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9.
  • 許維遹 撰, 呂氏春秋集釋全2冊, 北京: 中華書局, 2009.
  • 藤井專英 著(譯解), 荀子上‧下, 新釋漢文大系 6‧7卷, 東京: 明治書院, 1983.
  • 約翰․諾布洛克, 張覺 繹, 荀子全2冊, 長沙: 湖南人民出版社, 1999.
  • 王頴, 荀子倫理思想硏究, 哈爾濱: 黑龍江人民出版社, 2006.
  • 牟宗三, 名家與荀子, 臺北: 學生書局, 1985.
  • 池田知久 著, 曹峰 譯, 池田知久簡帛硏究論集, 北京: 中華書局, 2006.
  • 歐陽禎人, 先秦儒家性情思想硏究, 武漢: 武漢大學出版社, 2007.
  • 楊朝明, 儒家文獻與早期儒學硏究, 濟南: 齊魯書社, 2002.
  • 杜預 注‧孔潁達 疏, 春秋左傳正義全3冊, 李學勤 主編, 十三經注疏(標点本),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9.
  • 杜維明 主編, 思想‧文獻‧歷史: 思孟學派新探,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2008.
  • 朱熹 撰, 四書章句集注, 北京: 中華書局, 2012.
  • 徐復觀, 中國人性論史, 上海: 三聯書店, 2001.
  • 張煥君, 制禮作樂,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10.
  • 康香閣‧梁濤 主編, 荀子思想硏究, 北京: 人民出版社, 2014.
  • 孫希旦 撰, 禮記集解全3冊, 北京: 中華書局, 1998.
  • 唐賢秋, 道德的基石,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2004.
  • 吳毓江, 墨子校注, 北京: 中華書局, 1993.
  • 儲昭華, 明分之道, 北京: 商務印書館, 2007.
  • 傅斯年, 性命古訓辨証, 桂林: 廣西師范大學出版社, 2006.
  • 何晏 注‧邢昺 疏, 論語注疏, 李學勤 主編, 十三經注疏(標点本),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1999.
  • 何寧 撰, 淮南子集釋全3冊, 北京: 中華書局, 1998.
  • 丁原植, 楚簡儒家性情說硏究, 臺北: 萬卷樓, 2002.
  • 박사
  • 박사
    『순자 예사상에 관한 연구』
    황규선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1995]
  • “흄의 도덕 감정론에 나타난 '반성' 개념의 역할과 도덕 감정의 합리성 문제”
    철학 제119집 [2014]
  • “맹자의 도덕적 자기 수양 – 사유능력(思)을 중심으로 - ”
    정영수 범한철학 제48집 [2008]
  • Vincent Shen(ed.), Dao Companion to Classical Confucian Philsophy, New York: Springer, 2014.
  • T.C. Kline Ⅲ, “The Therapy of Desire in Early Confucianism: Xunzi”, Dao: A Journal of Comparative Philosophy Vol. 2, 2006.
  • Stephen C. Angle, Sagehood: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Neo-Confucian Philosoph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 Seok Bongrae, Embodied Moral Psychology and Confucian Philosophy, Lanham: Lexingto Books, 2013.
  • Roger T. Ames & Henry Rosemont, Jr., The analects of Confucius: A Philosophical Translation, New York: The Ballantine Publishing Group, 1998.
  • Robert C. Solomon, “Emotions, Thought, and Feeling: Emotions as Engagements with the World”, Robert C. Solomon(ed.), Thinking about Feel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 Robert C. Solomon(ed.), Thinking about Feel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 Qingping Liu, “Emotionales in Confucianism and Daosim: A New Interpretation”, In Journal of Chinese Philosophy Vol. 38, 2011.
  • Michael Puett, “The Ethics of Responding Properly: The Notion of Qing in Early Chinese Thought”, Halvor Eifring(ed.), Love and Emotions in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Brill: Leiden, 2004.
  • Marks Joel and Roger T. Ames(ed.), Emotions In Asian Thought, Albany: suny, 1995.
  • Kwong-loi Shun, Mencius and Early Chinese Thought,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7.
  • John Knoblock, Xunzi: A Translation and Studay of the Complete Works vol. 1-3,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8.
  • Joel J. Kupperman, “Xunzi: Morality as Psychological Constraint”, T.C.Kline Ⅲ and Philip J. Ivanhoe(ed.), Virtue, Nature, and Moral Agency in the Xunzi, Indianapolis Cambridge: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00.
  • Jesse Prinz, “Embodied Emotions”, Robert C. Solomon(ed.), Thinking about Feel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 Ian. Johnston, The Mozi: a complete translation,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010.
  • Halvor Eifring(ed.), Love and Emotions in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Brill: Leiden, 2004.
  • Eric L. Hutton, Xunzi: The Complete Text, Princeton,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 Eric Hutton, “Does Xunzi Have a Consistent Theory of Human Nature?”, T.C.Kline Ⅲ and Philip J. Ivanhoe(ed.), Virtue, Nature, and Moral Agency in the Xunzi, Indianapolis Cambridge: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00.
  • Donald Munro, The Concept of Man in Early China, Stanford: University Press, 1969.
  • David S., Nivison, “Xunzi and Zhuangzi”, T.C.Kline Ⅲ and Philip J. Ivanhoe(ed.), Virtue, Nature, and Moral Agency in the Xunzi, Indianapolis Cambridge: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00.
  • David B. Wong, “Xunzi on Moral Motivation”, T.C.Kline Ⅲ and Philip J. Ivanhoe(ed.), Virtue, Nature, and Moral Agency in the Xunzi, Indianapolis Cambridge: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00.
  • Curie Vir g, “Early Confucian Perspectives on Emotions”, Vincent Shen(ed.), Dao Companion to Classical Confucian Philsophy, New York: Springer, 2014.
  • Christoph Harbmeier, “The Semantics of qing in Pre-Buddhist Chinese”, Halvor Eifring(ed.), Love and Emotions in Traditional Chinese Literature, Brill: Leiden, 2004.
  • Chad Hansen, “Qing(Emotions) 情 in Pre-Budhist Chinese Thought”, Marks, Joel and T.Ames, Roger(ed.), Emotions In Asian Thought, Albany: suny, 1995.
  • Bryan W. Van Norden, “Mengzi and Xunzi”, T.C.Kline Ⅲ and Philip J. Ivanhoe(ed.), Virtue, Nature, and Moral Agency in the Xunzi, Indianapolis Cambridge: Hackett Publishing Company, 2000.
  • Antonio S. Cua, Human nature, ritual, and history: studies in Xunzi and Chinese philosophy, Washington, D.C.: The Catholic University of America Press, 2005.
  • A. C. Graham, Studies in Chinese Philosophy & Philosophical Literature, Singapore: Institute of East Asian Philosophies,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