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5·18소설과 문혁소설의 비교 연구 :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5·18 and Cultural Revolution Fictions Focusing on Novellas and Short Stories

유인 2016년
논문상세정보
' 5·18소설과 문혁소설의 비교 연구 :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5·18 and Cultural Revolution Fictions Focusing on Novellas and Short Stori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고어, 방언
  • 5.18
  • 문화대혁명
  • 소설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308 0

0.0%

' 5·18소설과 문혁소설의 비교 연구 : 중·단편소설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between 5·18 and Cultural Revolution Fictions Focusing on Novellas and Short Stories' 의 참고문헌

  • 한국사사전편찬회, 『한국근현대사사전』
    가람기획 [1990]
  • 완전한 영혼
    정찬 『한국소설문학대계84』, 동아출판사 [1995]
  • 엮음,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이선영 三知院, [2001]
  • 문화운동 연구를 위하여
    나간채 나간채 외, 『기억 투쟁과 문화운동의 전 개』, 역사비평사 [2004]
  • 모치다 유키오, 「전쟁 책임과 전후 책임」, 타나카 히로시 외, 이규수 옮김, 『기억과 망각』
    삼인 [2005]
  • 루샤오펑, 조미원 박계화 손수영 옮김
    『역사에서 허구로-중국의 서사학』, 길 [2001]
  • 기억과 망각의 '역설적 결합'으로서의 글쓰기
    박은주 최문규 외, 『기억과 망 각』, 책세상 [2003]
  • 광주민중항쟁의 문학적 형상화
    이내관 정문권 『한국언어문학』제66집 [2008]
  • 광주민중항쟁에 대한 소시민적 문학관을 비판한다
    이강은 『5·18민중항쟁 과 문학, 예술』, 5·18 기념재단 [2006]
  • 광주5월민중항쟁 이후의 문학
    고은 『5·18민중항쟁과 문학, 예술』, 5·18 기념재단 [2006]
  • 黄子平, 『幸存者的文学』, 远流出版公司, 1991.
  • 鲁迅,『热风』, 人民文学出版社, 1980.
  • 魏元元,「论先锋作家笔下的“文革”书写」, 南京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2011.
  • 陈晓明, 『表意的焦虑:历史祛魅与当代文学变革』, 中央编译出版社, 2002.
  • 陈慧娟,「近年"文革"题材小说的叙事转变」,『社会科学展现』,吉林省社会科学 院,2005.
  • 陈国凯,『我应该怎么办』, 广州文化出版社, 1990,
  • 阿城, 『阿城小说集』, 中国文学出版社,1999.
  • 金河, 「重逢」,『短篇小说选:1949-1979(八)』, 人民文学出版社,1982.
  • 郝廷增, 苗润华,「“文革”记忆」, 『语文教学通讯』2003年 第11期, 2003.
  • 郑义, 「枫」, <文汇报>
    년2월11일 [1979]
  • 谢维强,「新时期知青小说研究」,华中师范大学,博士学位论文,2005.
  • 许子东, 「寻根文学中的贾平凹和阿城」, 『文艺争鸣』, 2014.
  • 许子东, 「对“文革”的两种抗议姿态-〈上海生死劫〉〈血色黄昏〉」,『读书』, 1985.
  • 許子東, 『為了忘卻的記憶』, 三聯書店,2000.
  • 蓝天、苏丁:「浅析<树王>的深层结构」,『当代文坛』,1986年 第4期.
  • 董之林, 『走出历史的雾霭』, 陕西人民教育出版社, 1991.
  • 肖平, 「墓场与鲜花」,『上海文学』, 上海作家协会, 1978.
  • 老鬼, 『血色黄昏』, 工人出版社,1987.
  • 程蕊, 「文革叙事中的成长小说研究——二十世纪九十年代以来的成长小说」, 南京 师范大学硕士毕业论文, 2013.
  • 程念, 『上海生死劫』, 中外文化出版公司,1979.
  • 秦海林, 「论阿城的“三王”系列小说」, 新疆大学所示研究生学位论文, 2004.
  • 礼平,王斌,「只是当时已惘然—《晚霞消失的时候》与红卫兵往事」.『上海文 化』,2009.
  • 礼平,『晚霞消失的时候』, 时代文艺出版社,1986.
  • 礼平, 「我写 晚霞消失的时候 所思所想」, 『青年文学』, 1982.
  • 王蒙,『蝴蝶』, 远景出版事业公司, 1989.
  • 王德领,「对正统的偏离:反思历史与重建个人精神维度」, 湖南师范大学学报, 2014年第四期, 2014.
  • 沈杏培,「小说中的“文革”」,南京师范大学 博士学位论文,2011.
  • 残雪, 『黄泥街』, 花城出版社, 2013.
  • 樊星,「“文革”记忆」,『文艺评论』,1996.
  • 梁晓声,『这是一片神奇的土地』, 首都师范大学出版社, 2013.
  • 梁晓声,『「今夜有暴风雪」补白』, 『我论,我想,我看-梁晓声答问集』, 群 言出版社, 2003,
  • 梁晓声
    「今夜有暴风雪」, 经济日报出版社, 년4월 [1997]
  • 杨丹丹, 「新时期以来小说中的文革叙事」,吉林大学 博士学位论文, 2010.
  • 李若愚, 「「棋王」在反思中表达“根”的存在」,『青年文学家』2012年 第15 期,2012
  • 李晓鸥, 「美国华文文学文革题材小说研究」,广西师范大学 硕士毕业论文,2010.
  • 李明彦,「真实性话语的建构与新时期文学」,东北师范大学博士学位论文,2012.
  • 李新亮,「“文革”小说中“文革”记忆的转变」,『当代文坛』,四川省作家协会 2011年 第4期, 2011.
  • 朱蕾, 「新时期“先锋小说”中的象征叙事研究」, 宁夏大学硕士毕业论文, 2014.
  • 戴锦华,「残雪:梦魔萦绕的小屋」,『南方文坛』, 2000.
  • 徐洁, 「新时期初期人道主义话语中“个人主义”话语的彰显——论新时期初期的知青 小说」, 『现代语文』, 2012,
  • 张景兰,「先锋小说中的文革叙事」,东南大学学报2006年5月,2006.
  • 屈选、卢珺:「小说创作中新人天观的出现—评《蛤蜊滩》<树王>」,『小说评 论』,1985年 第6期.
  • 寇荣波,「梁晓声知青小说创作模式论」,陕西师范大学 硕士毕业论文,2013.
  • 宗璞, 「我是谁」, 『缤纷的小说世界三』, 花山文艺出版社, 1988.
  • 孟悦, 『历史与叙述』, 陕西人民教育出版社, 1991.
  • 姚晓雷, 「徘徊在少年情怀与中年心事之间的“文革”叙述—关于苏童<河岸>的一种解 读」, 『汉语言文学研究』, 2010.
  • 姚新勇, 「主体的塑造——中国知青文学新论(1977——1995)」, 暨南大学出版 社, 2000.
  • 吴潇, 「当代中国先锋小说文革叙事研究」, 河北大学硕士毕业论文, 2013.
  • 史铁生,『我的遥远的清平湾』, 北京十月文艺出版社, 1985.
  • 刘青峰,『文化大革命:史實與研究』, 中文大學出版社,1996.
  • 刘江, 「论“文革题材”小说的嬗变」, 『广西社会科学』, 1994.
  • 刘昱, 「先锋小说的“文革书写”」, 辽宁大学硕士毕业论文, 2012.
  • 刘小平,「“道”的隐遁与显现」,『阜阳师范学院学报(社会科学版)』2005年第1 期, 2005.
  • 农燕鹏, 「青春 人民 生命」, 广西民族大学研究生硕士论文, 2013
  • 倪文涛,「“革命伦理”与“人道伦理”冲突下的“伤痕小说”创作-论伤痕小说中的背 叛」,南京师范大学 硕士学位论文, 2012.
  • 余华,洪志纲, 「火焰的秘密心脏」, 洪志纲, 『余华研究资料』, 天津人民出 版社, 2007.
  • 余华, 「一九八六年」, 『现实一种』, 上海文艺出版社,2003.
  • 何言宏, 「突围与限禁——“文革”后文学现代性话语的历史起源研究之一」, 『文艺 争鸣』, 2001.
  • 何立伟, 「白色鸟」,『人民文学』, 1984年第10期.
  • 从狂欢到救赎:世纪之交的文革叙事」
    张志忠 『当代作家评텨论』 [2001]
  • 于艳华, 「伤痕文学叙事模式分析」,吉林大学硕士学位论文, 2009.
  • 『한국문학 통사1』
    조동일 지식산업사 [1989]
  • 『얼굴』
    이순원 문학과지성사 [1993]
  • 『씻김굿』
    이경엽 한얼미디어 [2004]
  • 『소설 구조의 이론』
    김천혜 문학과지성사 [1997]
  • 『비교문학』
    윤호병 민음사 [2000]
  • 『문학용어사전』
    Abrams, M.H. 최상규 옮김, 대방출판사 [1985]
  • 『꽃의 연원』
    이미란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 『그리운 남쪽』
    임철우 문학과지성사 [1985]
  • 『5ߵ18과 기억, 그리고 소설』
    심영의 한국문화사 [2009]
  • 『21세기 중국정치』
    서진영 폴리테이아 [2008]
  • 「해명, 그 순결한 말들-정찬론」
    송기섭 『문예운동』, 통권 제65호 [2000]
  • 「춘원과 루쉰에 관한 비교문학적 연구」
    권혁률 인하대학대 국어국문학과 박 사논문 [2008]
  • 「중국 신시기 상흔문학 연구」
    김유정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주변부의 역사 기억과 망각을 위한 제의 –임철우 소설에서 역사적 트 라우마」
    한순미 『한국민족문화』38,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0]
  • 「임철우 소설의 트라우마-광주 서사체」
    공종구 『현대문학이론연구』11, 현 대문학이론학회 [1999]
  • 「오월 소설의 트라우마 유행과 문학적 치유 방안 연구」
    유홍주 『현대문학이 론연구』60,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 「오래 지속될 미래, 단절되지 않는 '광주'의 꿈」
    이성욱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술』, 5 18 기념재단 [2006]
  • 「불일폭포」
    조성기 『한국소설문학대계80』, 동아출판사 [1995]
  • 「방패 뒤에서」
    박원식 『부활의 도시』, 인동 [1990]
  • 「문화대혁명의 성철적 서사와 폭력연구」
    조철웅 목포대학교, 석사하위논문 [2010]
  • 「문혁 종결 후-1982)중국 문단에 대한 고찰」
    이선옥 『중국현대문학』 제22호,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02 [1976]
  • 「망월」
    심상대 『5월문학총서ߵ2』, 문학들 [2012]
  • 「광주체험의 소설적 수용양상」
    신덕룡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술』, 5 18 기념재단 [2006]
  • 박사
    「광주민중항쟁의 소설적 형상화에 대한 일 연구」
    김남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광주민중항쟁과 문학」
    김태현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술』, 5 18 기념 재단 [2006]
  • 「광주 민주 항쟁의 소설화, 미완의 탑」
    방민호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 술』, 5 18 기념재단 [2006]
  • 「「봄날」 이후」
    김형중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술』, 5 18 기념재단 [2006]
  • 「‘5월’의 재구성과 의미화 방식에 대한 연구」
    『민주주의와 인권』제5 권 제1호, 전남대학교 5 18연구소 [2005]
  • 「‘5월 소설’의 증언의식과 서술 전략」
    전성욱 동아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2]
  • 「80년대 소설론」
    황정현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술』, 5 18 기념재단 [2006]
  • 「80년대 문학의 사회사적 의미-광주민중항쟁관련소설을 중심으로」
    장세진 『비평문학』 [1989]
  • 「5월 항쟁의 문학적 재현 양상」
    정명중 『기억투쟁과 문화운동의 전개』, 역사비평사 [2004]
  • 「5ㆍ18의 문학적 형상화에 대한 고찰」
    조영식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 술』, 5 18 기념재단 [2006]
  • 「5.18민중항쟁 소설 연구」
    심영의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5 18과 한국소설」
    차원현 『한국현대문학연구』31, 한국현대문학회, 표인주, 『남도민속문화론』, 민속원, 2002 [2010]
  • 「5 18 민중항쟁과 기억의 서사화-8 90년대 중단편 소설을 중심으로」
    김정숙 『민주주의와 인권』7 [2007]
  • ——————— , 김용재, 이기우 옮김
    『서사론 사전』민지사 [1992]
  • ———, 『텍스트의 안과 밖』
    한국문화사 [2014]
  • Wellek, Rene., 이경수 옮김, 『문학의 이론』
    문예출판사 [1989]
  • Tieghem, Van., 김종원 옮김, 『비교문학』
    예림기획 [1999]
  • Rosen, Stanly., Red Guard Factionalism and the Cultural Revolution in Guangzhou, Westview Press, 1982.
  • Prince, Gerald., 최상규 옮김,『서사학』
    문학과지성사 [1988]
  • Michaud, Yves., 나정원 옮김,『폭력과 정치』
    인간사랑 [1990]
  • Lukacs Georg., 반성완 옮김, 『소설의 이론』
    심설당 [1998]
  • Kenan, Rimmon., 최상규 옮김, 『소설의 시학』
    문학과 지성사 [1988]
  • Herman Judith., 최현정 역, 『트라우마』
    플래닛 [2007]
  • Brooks, Cleanth. & Robert Penn, Warren, 안동림 옮김, 『소설의 분석』
    현 암사 [1986]
  • Bakhtin, Mikhail., 『도스또옙스키 시학』, 김근식 옮김
    정음사 [1988]
  • 5 18 기념재단 엮음, 『5 18민중항쟁과 문학, 예술』
    5 18 기념재단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