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초등과학영재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내적경험과 창의적 성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Experiences in Daily Life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이남주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초등과학영재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내적경험과 창의적 성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Experiences in Daily Life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학교 조직과 운영,특별한 교육
  • 과학교육
  • 내적 경험
  • 몰입
  • 영재
  • 영재교육
  • 일상
  • 정서
  • 창의성
  • 창의적 성향
  • 초등과학교육
  • 초등과학영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084 0

0.0%

' 초등과학영재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내적경험과 창의적 성향의 관계 = The Relationship of Internal Experiences in Daily Life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lementary Science Gifted Students' 의 참고문헌

  • 박사
    한국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1970-2006
    김태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7]
  • 학습몰입의 구조; 척도, 성격, 조건, 관여
    석임복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표준국어대사전DB(2015)
    국립국어원,http://stdweb2.korean.go.kr/search/List_dic.jsp [2015]
  • 초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론적 신념에 다른 과학 개념변화 과정
    원정애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초등학생 영재 판별을 위한 창의성 검사 개발 연구
    신문승 한국교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초등학교에서의 영재교육의 실제
    강충열 영재교육연구,7(2),93-131 [1997]
  •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일상에서 나타나는 몰입과 창의 성에 대한 연구
    백성혜 이남주 한국과학교육학회지,34(2),147-153 [2014]
  • 초등과학영재학생들의 삶에서 나타나는 정서와 몰입에 대한 질적 탐구
    백성혜 이남주 교원연구,30(1),253-172 [2014]
  • 초등과학영재와 일반 학생의 유전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유형
    이길재 주희영 교원교육,27(4),223-241 [2011]
  • 초등과학영재교육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 조사
    백성혜 교원교육, 23(2),195-208 [2007]
  • 창의적 인성 검사 개발
    河周賢 교육심리연구,14(2),187-210 [2000]
  • 창의성 교육, 그 이론과 실제
    김춘일 교육과학사 [1999]
  • 질적 연구방법으로서의 면담 (박혜준,이승연,역)서울: 학지사
    Seidman,I. (원저 1997출판) [2009]
  • 정서적 균형과 삶의 질.한국심리학회춘계심포지움
    조은경 주제:삶의 질의 심리학 [1995]
  • 정상학습 프로그램이 몰입수준 향상에 미치는 효과.박사학위 논문
    이기택 한국교원대학교 [2001]
  • 일상의 재해석에 관한 표현연구
    진정미 이화여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인성 및 창의성 신장 방안
    강충열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2001]
  • 인생을 바꾸는 자기혁명-몰입
    황농문 서울:랜덤 하우스 [2007]
  • 영재들은 행복한가?
    김영미 한기순 영재교육연구,18(3),519-542 [2008]
  • 영재교육학 원론
    박성익 서울 교육과학사 [2003]
  • 영재교육 진흥법http://www
    law.go.kr/lsInfoP.do?lsiSeq=136623&efYd=20 130323#0000(검색일 2013.11.11) [2013]
  • 수업에 몰입하는 아동의 경험과 교사의 수업행동 특성에 관한 연구 : 초등 과학수업을 중심으로
    임현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생활시간 연구를 위한 측정도구의 비교:경헙표집법과 시간일지
    정재기 조사연구,9(4),43-68 [2008]
  • 생각 사용설명서
    전현수 서울:불광 [2012]
  • 미국의 영재교육.구자억 외(편).동서양 주요국가들의 영재교육
    박성익 서울:문음사 [2002]
  • 문화에술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 인식과 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신은주 이영선 한국마케팅저널,12(4),27-54 [2011]
  • 무용수업의 과정과 결과로서 즐거움 자원의 탐색
    박중길 이숙재 최효진 한국체육학회지 :인문 사회과학편.48(4),409-424 [2009]
  • “ESM을 통해 본 대학생의 주관적 삶의 질-정서,인지적,효율성,만족도 측면에서”
  • flow :몰입,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
    Csikzentmihalyi,M. 한울림 [2011]
  • VanTassel-Baska, J.(1988).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gifted learners.Boston:AllynandBacon.
  • Urban,K.K.(1995).Creativity-A componentapproachmodel.A paper presentedatthe11thWorldConferenceontheEducationforthe GiftedandTalented.HongKong:July31-August4,1995.
  • Sternberg,R.J.,& lubart,T.Y.(1995).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inacultureof conformity.NY:FreePress.
  • Staffan Bjὅrk & Jussi Holopainen.(2004). Patterns In Game Design. CharlesRiverMedia..
  • Shin, N.(2006). Online learner’s “flow”experience: An empirical study. BritishJournalofEducationalTechnology,37,705-720.
  • Seidman,I.(1998).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NY:Teachers CollegePress.
  • Robinson, J.(1985).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iaries Versus Alternative Time use M easures.” In T.Juster and F.P.stafford. Time,Goods,and well-being.Ann Arbor,MI:The university of michigansurreyResearchCenter,InstituteForSocialResearch.
  • RobertJ.Sternberg.,ElenaL.Grigorenko& JeromeL.Singer. 창의성:그 잠재력의 실현을 위하여 (임웅 역)서울:학지사
    (원저 2004출판) [2009]
  • Renzulli,J.S.(1986).Thethree-ringconceptionofgiftedness:A developmentalmodelforcreativeproductivity.InR.J.Sternberg& J.E. Davidson(Eds.),Conceptionsofgiftedness(pp.53-92).New York: CambridgeUniversityPress.
  • Pekrun,R.(2006).Thecontrol-valuetheoryofachievementemotions: Assumptions,corollaries,andimplicationsforeducationalresearchand practice.EducationalPsychologyReview,18(4),315-341.
  • Patton, M. Q. (1989). Qualitative evaluation methods. (10th printing). Beverly Hills, CA: Sage.
  • Okun,M.A.(1987).Lifesatisfaction.InG.L.MaddixEd.),Encyelopedia ofaging (pp.399-401).NY:Springer.
  • Newland,T.E(1976).Gifted in SocioeducationalPerspective.Englewood Cliffs.N,J:PrenticeHall.Inc.
  • Massimoni,F.& Carli,M.(1988).The systematic assessmentofflow indaily experience.In M Csikszentmihalyi & I.Csikszentmihalyi (Eds.), Optimal Experience: Psychological Studies of Flow in Consciousness(pp.266-287). NY:CambridgeUniversityPress.
  • Massimini, F., & Carli, M.(1986). Selezione psicologica e flusso di coscienza. In F.Massimini,& P.Inghilleri (Eds.),L'esperienza quotidian(pp.65-84).Milan: FrancoAngeli.
  • Maslow,A.H.(1971).Thefartherreachesofhumannature.NY:Pinguin.
  • Maslow,A.(1959).Creativityinself-actualizingpeople.InAnderson,H.H.(Eds.). Creativityand it'scultivation(pp.83-95).NY:HarperandRow.
  • Marland,S.,Jr.(1972).Educationofthegiftedandtalented.(Reportto the Congress of the United States by the U.S. Commissioner of Education).Washington,DC:U.S.GovernmentPrintingOffice.
  • Konradt,U.,Filip,R.,& Hoffmann,S.(2003).Flow experienceand positiveaffectduringhypermedialearning.BritishJournalofEducational Technology,34(3),309-327.
  • JosephS.Renzulli.,LindaH.Smith.,AlanJ.White.,CarolynM.Callahan., RobertK.Hartman& KarenL.Westberg.영재아 행동특성 평정 척도.[이미순역]
    박학사 [2007]
  • Hektner,J.M.,Schmidt,J.A.,& Csiszentmihalyi,M.(2007).Experience sampling method:Measuringthequalityofeverydaylife.CA : Sage Publications.
  • Hektner, J. M., Schmidt, J. A., & Csikszentmihalyi, M. (2007). Experience sampling method: Measuring the quality of everyday life. CA: Sage Publications.
  • Ghani,J.A.,& Deshpande,S.P.(1994)."Task Characteristics and the Experience of OptimalFlow in Human-Computer Interaction," The journalpfPsychology,128(4),381-391
  • Flow:미치도록 행복한 나를 만난다.[최인수 역]. 서울 :한울림
    Csikszentmihalyi,M. (원본출간년도:1990) [2004]
  • Csikzentmihalyi,M.(1997).Finding Flow:ThePsychologyofEngagement withEverydayLife.NY:BasicBooks.
  • Csikzentmihalyi,M.(1996).Optimalexperience:Psychologicalstudies of flow inconsciousness.NY:CambrigeUniversityPress.
  • Csikzentmihalyi,M.(1975).Beyondboredom andanxiety.SanFrancisco: Jossey-Bass.
  • Csikszentmihalyi,M.(1990).Flow:The psychology ofoptimalexperience. NY:HarperandRow.Co.
  • Ciskszentmihalyi, M. & Schneider, B. (2000). Becaming Adult: How teenagerspreparefortheworldofwork.NY:BasicBooks.
  • Caroll,J,B.(1978).Personality & learning theory: The structure of personalityinitsenvironment(Vol.1).NY:Springer-Verlag.
  • Agarwal, R.(2000). Time Flies When You're Having Fun: Cognitive Absorption and Beliefs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Usage. ManagementInformationSystem Quarterly,24(3),665-6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