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갈등하는 가족의 치료를 위한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 :유대관계의 새구성과정

최금례 2016년
논문상세정보
' 갈등하는 가족의 치료를 위한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 :유대관계의 새구성과정'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질병
  • 갈등하는 가족치료
  • 상담심리
  • 상징적 상호작용론
  • 유대관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7 0

0.0%

' 갈등하는 가족의 치료를 위한 상징적 상호작용론적 접근 : :유대관계의 새구성과정' 의 참고문헌

  • 한국목회상담학회편.『현대목회상담학자연구』
    서울:도서출판 돌봄 [2011]
  • 여성한국사회연구회.『여성과 한국사회』
    서울:사회문화연구소 [1996]
  • 섹슈얼 트라우마
    정국 서울:도서출판 블루닷 [2012]
  • 미국정신분석학회.『정신분석용어사전』.이재훈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2]
  • 가족갈등의 이론적 고찰
    김종숙 사회복지연구, 한국사회복지연구회, Vol. 10 [1997]
  • 『해석학적 목회상담』
    김용민 대전:엘도론 [2011]
  • 『해석학과 학문과의 대화』
    정기철 서울:(주)문예출판사 [2004]
  • 『피로사회』
    김현경 서울: 문학과 지성사 [2012]
  • 『폴 틸리히의 생애와 사상』
    서울:대한기독교출판사 [1978]
  • 『폴 틸리히』
    김경재 서울:대한기독교 출판사 [1983]
  • 『조직신학 II』
    유장환역. 서울:한들출판사 [2003]
  • 『조직신학 III』
    유장환역. 서울:한들출판사 [2005]
  • 『자기,문화, 그리고 하나님경험』
    서울:크리스찬헤럴드 [2006]
  • 『임상적 클라인:이론과 실제』
    Hinshelwood, D. R. 이재훈.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6]
  • 『인형치료』
    최광현 서울:학지사 [2013]
  • 『여성과 사회』
    윤근섭 서울:문음사 [1997]
  • 『상징,은유 그리고 이야기』
    정기철 서울:(주)문예출판사 [2004]
  • 『사회학이론의 구조』
    Turner, J. H. 김진균역. 서울:한길사 [1983]
  • 『사회심리학』
    전병재 서울:경문사 [1983]
  • 『사회갈등과 이데올로기』
    박재환 서울:도서출판 나남 [1992]
  • 『미드의 사회심리학』
    손장권 이성식 전신현 서울:일신사 [1994]
  • 『목회상담 이론입문』
    안석모 서울:학지사 [2009]
  • 『대상관계와 자아기능』
    김진숙. 서울:학지사 [2008]
  • 『기독상담, 어떻게 다른가요』
    권수영 서울:학지사 [2010]
  • 『갈등관리와 협상전략론』
    천대윤 경기성남:선학사 [2011]
  • 『갈등과 소외』
    박창희 서울:단대출판부 [1989]
  • 『가족치료이론』
    김용태 서울:학지사 [2007]
  • 『가족사회학』
    장상희 조정문 서울:아카넷 [2001]
  • 「예수와 문화」
    최인식 서울:㈜예영커뮤니케이션 [2006]
  • “한국인을 위한 웰빙과 영성: 문화와 주관적 안녕감 연구를 중심으로”
    권수영 신학논단, Vol. 37 [2004]
  • “폴 틸리히의 존재론과 신론연구”
    김순선 호서대연합신학대학원 [2010]
  • “타자의 얼굴과 윤리적 주체성”
    오희천 성결신학연구소, http://sgti.kehc.org
  • “조지 허버트 미드의 정신의 사회적 구성”
    하홍규 철학연구, Vol. 30 [2011]
  • “재혼가족의 가족갈등 사례분석”
    김태한 박태영 한국가정관리학회지, Vol. 28 (4) [2010]
  • “인간존재의 기본구조”
    송기득 『현존』, Vol. 36 [1972]
  • “억압과 정서와의 관계연구”
    권재영 한성열 한국심리학회 92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 “수치심: 사회심리적 관점에서 접근.”
    이희철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008]
  • “소통을 위한 목회상담학적 제언”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 76 [2011]
  •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다른 목소리 FIRO이론,욕구체계이론”
    김미성 신문과방송, Vol. 255 [1992]
  •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의 모형정립:2인 커뮤니케이션을 중심으로”
    박기순 한국사회학, Vol. 21. 겨울호 [1987]
  • “부부의 스트레스 요인이 가족갈등 해결전략에 미치는 영향”
    조준배 강남대학교 박사논문 [2012]
  • “무의식으로 소통하는 투사적 동일시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고찰”
    강혜정 이화여자대학교 박사논문 [2011]
  • “딜타이와 미드의 사회이론”
    양해림 해석학연구 Vol. 27 [2011]
  • “네가 낫고자 하느냐?: 사회폭력과 기독교상담”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2008]
  • “Mead이론에 있어서의 과정과 구조의 문제”
    김석향 이화여자대학원 [1985]
  •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관점에서 본 배구코치의 하부문화특성”
    오상준 수원대학교 대학원 [2005]
  • “21세기 가족과 목회상담:가족갈등과 커뮤니케이션”
    한재희 목회와상담, Vol. 1 [2001]
  • White, Pamela Cooper.『나눔의 지혜』. 문희경역
    서울:도서출판 솔로몬 [2009]
  • Wernet, Andreas. Einfuhrung in die Interpretaionstechnik der Objecttiven Hermeneutik. Wiesbaden: VS Verlag fur Sozialwissenschaften, 2006.
  • Walzer, Michael. Exodus and Revolution, New York: Basic, 1985.
  • Wacquant, Loic. "Toward a Social Praxeology: The Structure and Logic of Bourdiew's Sociolog." in An Invitation to Reflesive Sociology. by Pierre Bourdieu and Loic Wacquan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2.
  • Turner, Victor. Dramas, Fields, and Metaphors: Symbolic Action in Human Societ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74.
  • Tillich, Paul.『조직신학 I』. 유장환역
    서울:한들출판사 [2001]
  • Smith, Philip.『문화이론:사회학적접근』.한국문화사회학회
    서울:(주)이학사 [2008]
  • Smith, Archie. Jr. The Relational Self. Nashville: Abingdon Press, 1982.
  • Schutz, Alfred. "Choosing among Projects of Action." in Colleted Papers. Vol. 1, 1962.
  • Sampson, Edward E. Ego at the Threshold. New York: A Delta Original, 1975.
  • Robinson, Jennifer.『감정, 이성보다 깊은』. 조선우역
    경기성남:북코리아 [2015]
  • Ridley, Matt.『이타적 유전자』. 신좌섭역
    서울:(주)사이언스북스 [2002]
  • Ricoeur, Paul. From Text to Action, translated by Kathleen Blamey and John B. Thompson. Evanston, III: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91.
  • Retzinger, Suzanne M, Vioent Emotions : Shame and Rage in Marital Quarrel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1991.
  • Randolph. Meyers, W. Richard. 『갈등해소와 상담』. 전해룡역
    Lowry, L. 서울:도서출판 두란노 [1996]
  • Plutchik, Robert. 『정서심리학』. 박권생역
    서울:학지사 [2011]
  • Peter 외1인 .『실재의 사회적 구성』. 하홍규역
    Berger, L. 서울:문학과지성사 [2013]
  • Patrick.『환자에게서 배우기』. 김석도역
    Casement, J.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3]
  • Pannenberg, Wolfhart. Anthropology in Theological Perspective, New York:T&T Clark International, 2004.
  • Pagis, Michal. “Embodied Self-reflexivity”, Social Psychology Quarterly, vol. 72, No. 3. 2009.
  • Ogden, Thomas H.『투사적 동일시와 심리치료기법』. 김도애
    류가미역 (경남창원:경남가족상담연구소 [2015]
  • Ogden, Thomas H. Projective Identification and Psychotherapeutic Technique, New York:Jason Aronson, 1982.
  • Nussbaum, Martha. The Fragility of Goodnes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6.
  • Niebuhe, Richard H. 『책임적 자아』.정진홍역
    서울:한국장로교출판사 [2001]
  • Nichols, Michael P. 『Nichols의 가족치료이론과 실제』
    김영애 서울:(주)시그마프레스 [2015]
  • Merleau-Ponty, Maurice. Sense and Non-Sense. translated by Hubert L. Dreyfus and Patricia Allen Dreyfus. Evanston, III: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4.
  • Melchior-Bonnet, Sabin.『거울의 역사』.윤진역
    서울:에코리브르 [2001]
  • Mead, George H. Mind, Self, and Society:From the Standpoint of a Social Behavioris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
  • McNamee, S; Gergen, J. Kenneth. 『심리치료와 사회구성주의』. 김유숙역
    서울:학지사 [2004]
  • Matsueda, Ross L. Reflected Appraisals, Parental Labeling, and Delinquency: Specifying a Symbolic Interactionist Theor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7, 1992.
  • Martin, Bernard. The Existentialist Theology of Paul Tillich . New York: College & University Press, 1963.
  • Louis Cozolino.『정신치료의 신경과학, 사회적인 뇌 치유하기』. 강철민,이영호역
    서울:학지사 [2014]
  • Lester, Andrew.『앵그리 크리스천』.이희철.허영자.홍지희역
    돌봄 [2015]
  • Lester, Andrew. 『희망의 목회상담』.신현복역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3]
  • Leslie. Paivio, C. Sandra. 『심리치료에서 감정을 어떻게 다룰 것인가』. 이흥표역
    Greenberg, S. 서울:학지사 [2008]
  • Klein, Melanie. "Our Adult World and Its Roots in Infancy, " in Envy and Gratitude and Other works, New York: Free Press, 1975.
  • Kierkegaard, Soren. Concluding Unscientific Postscript. translated by David F. Swenson. Completed after his death by Walter Lowrie. Princeton, 1941.
  • John. 『자아와 사회』. 윤인진외
    Hewitt, P. 서울:학지사 [2001]
  • Jennings, Theodore W. 『데리다를 읽는다/바울을 생각한다』. 박성훈
    서울:(주)그린비출판사 [2014]
  • Jennings, Theodore Jr. “Pastoral Theological Methodology,” in Dictionary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ed. Rodney Hunter (Nashville, TN: Abingdon Press, 1990.
  • James, William.『심리학의 원리3』. 정양은역
    서울:아카넷 [2005]
  • Hoffman, Lynn. “A Reflexive Stance for Family Therapy.” in Therapy as Social Construction, ed. Sheila McNamee and Kenneth J. Gerge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992.
  • Hewitt, J. P. Self and Society: A Sympolic Interactionist Social Psychology, Boston: Allyn and Bascon, 1991.
  • Gumley, Andrew. Schwannauer, Matthias. "Ripley's Game: Projective Identification, Emotional Engagement, and the Counselling Psychologist."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8, 2005.
  • Gubrium, Jaber. Holstein, James. 『가족이란 무엇인가? 사회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가족담론』. 최연실외2인
    서울:하우 [2002]
  • Grenz, Stanley J. The Social God and the Relational Self. Westminsster John Knox Press, Louisville, Kentucky, 2001.
  • Gregory.『대상관계 이론과 실제, 자기와 타자』. 김진숙외 2인
    Hamilton, N. 서울:학지사 [2011]
  • Greenson, Ralph R.『정통 전신분석의 기법과 실제』. 이만홍역
    서울:도서출판 하나의학사 [2001]
  • Gordon.『신학방법론』. 기독교통합학문연구소역
    Kaufman, D. 서울:한들출판사 [1999]
  • Giddens, Anthony. 『현대사회학』. 김미숙외 6인역
    서울: (주)을유문화사 [2014]
  • George.『정신.자아.사회』. 나은영역
    Mead, G. 경기파주: 한길사 [2010]
  • Freedman, Jill; Gene Combs, Gene.『이야기치료』. 김유숙외 2인역
    서울:학지사 [2009]
  • Emirbayer, Mustafa. Mische, Ann. "What is agency?",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103(4), 1998.
  • Eliot, Anthony.『자아란 무엇인가』. 김정훈역
    (주)도서출판 삼인:서울 [2007]
  • Ekman, Paul.『얼굴의 심리학』.이민아역
    서울:바다출판사 [2006]
  • Durkheim, Emile. Moral Education: A Study in the Theory and Application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translated by Everett K. Wilson and Herman Schnurer. New York: Free Press. 1961.
  • Dewey, John. Human Nature and Conduct, New York:Modern Library, 1922.
  • Charon, J. M. Symbolic Interactionism,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1992.
  • Charles.『살아있는 인간문서』. 안석모역
    Gerkin, V.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8]
  • Carl. 『칼 로저스의 사람-중심상담』. 오제은역
    Rogers, R. 서울:학지사 [2007]
  • Camic, Charles. "The Matter of Habit".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91, 1986.
  • Calvin.『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김평옥역
    Hall, S. 서울:학일출판사 [1994]
  • Buber, Martin. 『나와 너』. 김천배역
    서울:대한기독교서회 [2007]
  • Bryan.『현대사회이론의 흐름』. 박형신외
    Turner, S. 서울:도서출판 한울 [2010]
  • Blumer, Herbert. 『사회과학의 상징적 교섭론』. 박영신역
    서울:까치학술문고 [1982]
  • Blumer, Herbert G. "Sociological Implications of the Thought of George Herbert Mead",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LXXI, 1966.
  • Blanck, G. & Blanck, R. Ego Psychology II: Psychoanalytic Developmental Psycholog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1979.
  • Benhabib, Seyla. "Judgment and the Moral Foundations of Politics in Hannah Arendt's Thought". Seyla Benhabib, Situating the Self. New York: Routledge, 1992.
  • Bauman, Zygmunt외 1인. 박창호역. 『사회학적으로 생각하기』. 박창호역
    서울:서울경제경영출판사 [2011]
  • Barbalet, Jack. 『감정과 사회학』. 박형신역
    서울:이학사 [2010]
  • Baldwin, J. M. Mental Development in the Child and the Race. Macmillan & Co., 1895.
  • Aristotle, Nicomachean Ethics, translated by Terence Irwin. Indianapolis, Ind.: Hackett, 1985.
  • . The Phenomenology of the Social World. translated by George Walsh and Frederick Lehnert. Evanston, III.: Northwestern University Press. 1967.
  • . Symbolic Interactionism: Perspective and Method.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1969.
  • . "The Need for a Recovery of Philosophy." in The Philosophy of John Dewey, edited by John J. McDermot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1.
  • . "The Logic of Judgments of Practice." in John Deway: Essays on Education and Politics, 1915, edited by Jo Ann Boydston. Carbondale: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85.
  • , The Philosophy of the Presen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2.
  • , The Philosophy of the Act, edi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Charles W. Morris. Chicago Press, 1938.
  • , Mind, self, & society. Chicago: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