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천주교회 지배구조의 형성과 변형 : 교회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검토

김선필 2015년
' 한국천주교회 지배구조의 형성과 변형 : 교회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검토'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clergy
  • ecclesiology
  • korean catholic church
  • laity
  • papacy
  • power
  • relations between the church and the state
  • renewal of the church
  • second vatican council
  • social engagement
  • structure of domination
  • vatican
  • 교황청
  • 교회 쇄신
  • 교회론
  • 권력
  • 사회참여
  • 성직자
  • 정교관계
  • 제2차 바티칸공의회
  • 지배구조
  • 평신도
  • 한국천주교회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41 0

0.0%

' 한국천주교회 지배구조의 형성과 변형 : 교회 쇄신을 위한 사회학적 검토' 의 참고문헌

  • 휘너만, 페터(H nermann, Peter).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신학 주석 1 교 회에 관한 교의 헌장 인류의 빛 . 신정훈 역
    가톨릭대학교출판부 [2015]
  • 후자폐적 경제학 운동과 비판적 실재론
    홍태희 경제와사회74: 284-345 [2007]
  • 후안 마리아(Laboa, Juan Maria). 간추린 평신도의 역사. 김역식 역
    라보아 가톨릭출판사 [2014]
  • 홉스, 토마스(Hobbes, Thomas). 리바이어던. 최공웅․최진원 역
    동서문화 사 [2009]
  • 형법. 법률 제2745호. 1975.03.25
    일부개정 [1975]
  • 현대 사회학. 김미숙․김용학․박길성․송호근․신광영․유홍준․ 정성호 역
    을유문화사 [2009]
  • 행동하는 예수
    메디치 [2014]
  •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장 면 가톨릭출판사 [1999]
  • 한국천주교회와 사회참여 영성: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정신에서 본 새로운 복음화의 과제
    오세일 신학과 철학 22: 115-148 [2013]
  • 한국천주교회사 下
    유홍렬 가톨릭출판사 [1981]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법률문답”
    경향잡지 221: 19 [1911]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편. “거룩한 전례에 관한 헌장 거룩한 공의회 (Sacrosanctum Concilium)”(전례헌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김종수 역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7-72 [2002]
  • 한국천주교주교회의교리주교위원회․한국천주교주교회의사회주교위원회. “황 우석 교수의 배아줄기세포 연구에 대한 가톨릭 교회의 입장
    ” 사목 318: 101-106 [2005]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우리의 사회 신조”
    경향잡지 1193. 1967.06.30.: 521-522 [1967]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회보 156
    2008.12.01 [2008]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회보 147
    2007.06.01 [2007]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회보 139
    2006.02.01 [2006]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회보 138
    2005.12.01 [2005]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회보 122
    2002.12.01 [2002]
  • 한국천주교주교회의 회보 109
    1999.12.01 [1999]
  • 한국천주교주교단. “한국 주교단 사목교서 모자 보건법의 독소를 고발한다!”
    경향잡 지 1260. 1973.02.18.: 14-17 [1973]
  • 한국의 종교운동
    노길명 고려대학교출판부 [2005]
  • 박사
  • 한국갤럽조사연구소
    한국인의 종교 1984-2014 [2015]
  • 한국가톨릭농민회
    한국가톨릭농민회 30년사 [1999]
  • 한국 천주교회 통계(2013.12.31
    현재 [2014]
  • 한국 천주교회 통계 2014.12.31. 현재. 한국천주교평신도사도직단체협의회. 1988
    韓國天主敎平協二十年史 [2015]
  • 한국 천주교회 통계 1996.12.31
    현재 [1998]
  • 한국 천주교의 역사사회학
    한신대학교출판부 [2006]
  • 한국 주교들과 만남: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연설
    2014.08.14 [2014]
  • 한국 시민사회의 성찰
    김호기 아르케 [2007]
  • 박사
  • 한국 근대사와 천주교회
    가톨릭출판사 [2006]
  • 한국 근대 천주교회와 향촌사회
    박찬식 한국교회사연구소 [2007]
  • 한국 교회 사회운동사: 칼빈에게 길을 묻다
    전준봉 사)기독교문서선교회 [2012]
  • 한국 개신교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피에르 부르디외(Bourdieu, P) 사회이론의 종교사회학적 함의-
    김현준 서강대학교석사학위논문 [2009]
  • 하나 되게 하소서(Ut Unum Sint)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95]
  •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박성수 역
    문예출판사 [2006]
  • 프랑스와(Houtart, Francois). 종교사회학: 마르크스주의적 관점. 김 항섭 역
    후타르 한신대학교출판부 [2010]
  • 프란츤, 아우구스트(Franzen, August). 세계 교회사. 최석우 역
    분도출판사 [2001]
  • 풀란차스, 니코스(Poulantzas, Nicos). 국가, 권력, 사회주의. 박병영 역
    백의 [1994]
  • 푸코, 미셸(Foucault, Michel).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2003]
  • 평신도 신학운동 20년, 그 회고와 전망”. 우리시대, 우리신학을 말하 다: 우리신학연구소 창립 20주년 심포지엄&기념식
    성염 우리신학연구소: 6-15 [2014]
  • 평신도 사도직 지도자들과 만남: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연설
    2014.08.16 [2014]
  • 평신도 그리스도인(Christifideles Laici )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6]
  • 편저. 한국가톨릭인권운동사
    한용희 명동천주교회 [1984]
  • 편. 天主敎要理(大間答) 2권. . 1932
    최루수 天主敎要理1권 [1925]
  • 팔십주년(Octogesima Adveniens)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71]
  • 파리 外邦傳敎會宣敎師들의 韓國進出에 대한 프랑스政府의 態度:對韓帝國主義外交政策을 중심으로 (1831~1886)
    홍순호 교회사연구 5: 33-61. [1987]
  • 특별취재반. “다큐멘터리 5共의 言論受難<9> 小社가 大社삼킨 묘한 地方紙 통폐합 ”
    동아일보 1988.11.05 [1988]
  • 토마스 F.․자네트 오데아 아비아드(O'Dea, Thomas F. & Janet O'Dea Aviad). 종교사회학. 박원기 역
    오데아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89]
  • 크레이브, 이안(Craib, Ian). 현대사회이론의 조명: 파슨즈에서 하버마스까지. 김동일 역
    문맥사 [1989]
  • 콩비, 장(Comby, Jean). 세계 교회사 여행 2 근대 현대 편. 노성기 이종혁 역
    가톨릭출판사 [2012]
  • 켈, 메다르트(Kehl, Medard). 교회는 어디로 가고 있는가?-신학적 시대 진단 -. 이종한 역
    분도출판사 [1998]
  • 칼(Marx, Karl). 자본 I
    마르크스 강신준 역. 길 [2008]
  • 카스퍼, 발터(Kasper, Walter). “친교인 교회: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친교 개 념에 대한 성찰”. 신학전망 164
    주락권 역: 172-194 [2009]
  • 청말 서양교회의 내지 부동산 조매권과 교안
    허원 연세대학교박사학위논 문 [1994]
  • 천주교회의 정치적 개입과 교회-국가 갈등: 1970년대 한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김녕 한국정치학회보 29(2): 275-298 [1995]
  • 천주교대구대교구. 천주교 대구대교구 100년사 1911-2011: 은총과 사랑의 자 취
    분도출판사 [2012]
  • 찬미받으소서(Laudato Si')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5]
  • 지상의 평화(Pacem in Terris)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63]
  • 지배받는 지배자: 미국 유학과 한국 엘리트의 탄생
    김종영 돌베개 [2015]
  • 중산층 대형교회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서우석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93]
  • 주교회의 천주교용어위원회. 천주교 용어집(개정판)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14]
  • 주교회의 정관. 2002.02
    14 사도좌 승인 [2002]
  • 주교회의 교회법위원회 역
    교회법전 [1989]
  •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한국 천주교 예비신자 교리서
    한국천주교중앙협 의회 [1999]
  • 주교회의 교리교육위원회 역. 가톨릭교회교리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8]
  • 종교정치의 새로운 쟁점들
    강인철 한신대학교출판부 [2012]
  • 종교시장의 이해
    유광석 다산출판사 [2014]
  • 종교권력과 한국 천주교회
    한신대학교출판부 [2008]
  • 조선후기 천주교사 연구
    조광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8]
  • 박사
  • 제5차 라틴 아메리카 및 카리브해 주교총회 개막식 교황 베네딕토 16세 개막연설(2007.05.13.). 가톨릭뉴스지금여기. http://www.catholicnews.co.kr. 교황 비오 11세(PP. Pius XI). 1926
    Rerum Ecclesiae [2007]
  • 재생산. 이상호 역
    동문선 [2000]
  • 자유의 자각: 그리스도인의 자유와 해방에 관한 훈령(Libertatis Conscientia)
    1986.03.22 [1986]
  • 자유의 의지 자기계발의 의지: 신자유주의 한국사회에서 자기계발하는 주체의 탄생
    서동진 돌배게 [2009]
  • 자비의 얼굴(Misericordiae Vultus)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15]
  • 일제강점하반민족행위진상규명에관한특별법. 법률 제7361호. 2005.01.27
    전부개정 [2005]
  • 인간의 조건. 이진우 역
    한길사 [2002]
  • 익명의 그리스도인
    심상태 성바오로출판사 [1985]
  • 이냐시오, 데 로욜라(Ignatio, de Loyola). 성 이냐시오의 영신수련. 윤양석 역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995]
  • 의사소통행위이론2. 장춘익 역
    나남 [2006]
  • 윤지충 바오로와 동료 순교자 123위 시복 미사: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강론
    2014.08.16 [2014]
  • 우리신학연구소. “가톨릭 여성신학자들과의 대화”
    우리신학 11: 165-183 [2015]
  • 온라인뉴스팀. “박 대통령 “국민 분열 야기하는 일들 용납 않을 것””
    한겨레 . 2013.11.25 [2013]
  • 오마이뉴스. “서울대교구 “9월 1일까지 본당서 떠나라” 촛불사제 전종훈 신부 ‘원치않는 안식년’
    ” 오마이뉴스. 2008.08.21 [2008]
  • 예수회의 적응주의 선교
    김혜경 서강대학교출판부 [2012]
  • 연합뉴스. “천주교정의구현사제단 사학법 찬성 성명(종합)”
    연합뉴스. 2005.12.19 [2005]
  • 역주. 한국 초기 교회에 관한 교황청 자료 모음집
    윤민구 가톨릭출판사 [2000]
  • 역주. 누가 저희를 위로해 주겠습니까?- 황사영 백서
    여진천 기쁜소식 [2009]
  • 에어바허, 위르겐. 프란치스코 교황. 신동환 역
    가톨릭출판사 [2014]
  • 양춘 편저. 사회계층론 서설
    민영사 [2005]
  • 양 냄새 나는 착한 목자가 되세요
    리길재 평화신문 1264. 2014.05.11 [2014]
  • 앤서니․필립 W. 서튼 (Giddens, Anthony & Philip W. Sutton). 사 회학의 핵심 개념들. 김봉석 역
    기든스 동녘 [2015]
  • 앤서니(Giddens, Anthony). 자본주의와 현대사회이론
    기든스 한길사 [2008]
  • 암흑속의 횃불: 7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2권 [1996]
  • 암흑속의 횃불: 7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3권 [1997]
  • 암흑속의 횃불: 7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5권 [1998]
  • 암흑속의 횃불: 7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8권 [2001]
  • 알튀세르, 루이(Althusser, Louis). 마르크스를 위하여. 고길환․이화숙 역
    백의 [1990]
  • 알베리고 외 엮음. 보편 공의회 문헌집 제3권-트렌토 공의회․제1차 바티칸 공의회. 김영국․손희송․이경상 역
    주세페 가톨릭출판사 [2006]
  • 안중근의사자서전
    안중근 사단법인 안중근의사 숭모회 [1990]
  • 신유박해의 분석적 고찰
    조광 교회사연구 1: 41-74 [1977]
  • 식민지시대합덕리의토지소유관계와구합덕본당의농업경영
    김현숙 역사 와 현실 67: 285-316 [2008]
  • 슬픈 예수
    김근수 21세기북스 [2013]
  • 쇠텐스, 클로드(Soetens, Claude). 20세기 중국 가톨릭 교회사. 김정옥 역
    분도출판사 [2008]
  • 소신학교사
    이원순 한국교회사연구소 [2007]
  •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세계주교대의원회의 제2차 총회 문헌: 세계 정의 (Convenientes ex Universo). 1971.11.30 [1971]
  • 성의 역사 1: 지식의 의지. 이규현 역
    나남 [2004]
  • 성령과 악령을 구별하는 법, 겸손
    조규만 서울주보 1996. 천주교서울대교 구: 2 [2015]
  • 샤몽, 샤를. 성 다블뤼 주교의 생애. 정현명 역. 대전가톨릭대학교출판부. 서강대학교사회문제연구소. 1971
    한국가톨릭종교사회조사보고서 제II부 질문지조 사결과. 1971.12.01 [2006]
  • 새천년을 맞는 신앙
    심상태 한국그리스도사상연구소 [2000]
  • 새 세기의 한국천주교회와 신학. 바오로딸. 아도르노, 테오도르 막스 호르크하이머(Adorno
    Theodor & Max Horkheimer) [2005]
  • 사회적 관심(Sollicitudo Rei Socialis)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87]
  • 사회복지지출 추계를 위한 한국종교계의 사회복지시설지원금 실 태조사: 2001-2003(연구보고서)
    고경환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05]
  • 사회단체등록에관한법률. 법률 제621호. 1961.06.12
    제정 [1961]
  • 사토 요시유키(佐藤嘉幸). 신자유주의와 권력: 자기 경영적 주체의 탄생과 소 수자 되기. 김상운 역
    후마니타스 [2014]
  • 사십주년(Quadragesimo Anno)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31]
  • 사립학교법. 법률 제8545호. 2007.07.27
    일부개정 [2007]
  • 사립학교법. 법률 제7802호. 2005.12.29
    일부개정 [2005]
  • 브뤼기에르, 바르텔르미(Brugui re, Barth lemy). 브뤼기에르 주교 여행기
    한국교회사연구소 [2008]
  •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이론과 현실의 비교정치학
  • 벤담, 제레미(Bentham, Jeremy). 파놉티콘. 신건수 역
    책세상 [2007]
  • 베버, 막스(Weber, Max). 儒敎와 道敎. 이상률 역
    문예출판사 [1990]
  • 백주년(Centesimus Annus)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91]
  • 백병선. “제6장 천주교의 교육․사회․문화 활동”. 한국천주교회사5
    한국교 회사연구소 [2014]
  • 민족사와 천주교회
    노길명 한국교회사연구소 [2005]
  • 민족과 함께 쓰는 한국천주교회사 III
    빛두레 [1994]
  • 민족과 함께 쓰는 한국천주교회사 II
    빛두레 [1994]
  • 민족과 함께 쓰는 한국천주교회사 I
    문규현 빛두레 [1994]
  • 민아오스딩. “경문반포”. 경향잡지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337 [1912]
  • 미군정의 종교정책과 기독교의 헤게머니 형성
    박승길 사회과학연구 5. 대구효성카톨릭대학교사회과학연구소 [1998]
  • 뮈텔, 구스타브(Mutel, Gustave). 뮈텔 일기 4
    한국교회사연구소 [1998]
  • 뮈텔 주교의 《서울 대목구 지도서》(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 1923) 연구
    한윤식 교회사연구 37: 41-94 [2011]
  • 문화적 계급지배와 교육불평등 : Pierre Bourdieu 문화재생산이론의 음미
    이건만 교육사회학연구 16(2): 111-139 [2006]
  • 맥과이어, 메레디스 B.(Mcguire, Meredith B.). 종교사회학. 김기대․최종렬 역
    민족사 [1994]
  • 막스 베버 사회학
    전성우 나남 [2013]
  • 막스 베버
    김덕영 [2012]
  • 마키아벨리, 니콜로(Machiavelli, Niccol ). 군주론
    곽차섭 역. 길 [2015]
  • 마리오 반 룬(Mario van Loon). “모든 이의 교회, 진정한 참여 교회”
    우리 신학 5: 160-179 [2007]
  • 마두로, 오토(Maduro, Otto). 사회적 갈등과 종교. 강인철 역
    한국신학연구 소 [1988]
  • 리처, 조지(Ritzer, George). 맥도날드 그리고 맥도날드화. 김종덕 역
    시유 시 [2004]
  • 르네(Dupont, Ren ). “제2차 바티칸 세계공의회 개최 배경과 성격”. 제 2차 바티칸공의회와 한국 천주교회(제2차 바티칸공의회 개최 30주년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두봉 가톨릭정의평화연구소. 1992.09.25 [1992]
  • 루카치, 게오르크(Luk cs, Gy rgy). 역사와 계급의식. 박정호․조만영 역
    거름 [2005]
  • 뢰비, 미카엘(L wy, Michael). 신들의 전쟁: 라틴아메리카의 종교와 정치. 김항섭 역
    그린비 [2012]
  • 런던코뮌
    서영표 이매진 [2009]
  • 러녹스, 페니(Lernoux, Penny). 로마 교황청과 국제정치. 안규남 역
    한국신 학연구소 [1996]
  • 뒤르켐, 에밀(Durkheim, mile). 사회학적 방법의 규칙들. 윤병철․박창호 역
    새물결 [2001]
  • 데이비스, 킹슬리․윌버트 무어(Davis, Kingsley & Wilbert E. Moore). “제2 장 계층현상의 몇 가지 원칙”(Some Principles of Stratification). 사회불평 등 기능론: 사회계급과 계층의 전개(I). 조희연 역
    한국학술정보 [2002]
  • 대한민국헌법. 헌법 제8호. 1972.12.27
    전부개정 [1972]
  • 대한민국정부. 관공서의공휴일에관한건. 대통령령 제124호. 1949.06.06
    제정 [1949]
  • 달레, 샤를르(Dallet, Charles). 한국천주교회사(下). 안응렬 최석우 역주
    한 국교회사연구소 [1981]
  • 단식중인 세월호 유족들 내쫓고 시복식 거행할 수는 없다
    조현 한겨레 . 2014.08.12 [2014]
  • 나의 回想錄: 병인교난에 꽃피는 비화
    노기남 카톨릭출판사 [1969]
  • 꼰칠리움 레지오니스. 레지오 마리애 공인 교본. 대한민국 세나뚜스 역
    가 톨릭출판사 [1996]
  • 기쁨과희망사목연구원. 암흑속의 횃불: 7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6권 [1998]
  • 기쁨과희망사목연구소. 암흑속의 횃불: 7
    80년대 민주화운동의 증언 제1권 [1996]
  • 근․현대 한국가톨릭연구단
    “근․현대 100년속의 가톨릭교회” 평가와 미래 전망을 위한 전문가 조사 보고서 [2003]
  • 그리스도와 구원
    성바오로출판사 [1988]
  • 그리스도교 문명의 역할에 대한 라디오 메시지(Radiomessaggio sulla funzione della civit cristiana)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44]
  • 그리스도 중심의 원리: 지학순 주교의 삶을 통해본 교회의 현실참여의 정당성의 근거
    조현철 신학사상 166: 63-103 [2014]
  • 그랩, 에드워드 G(Grabb, Edward G.). 사회불평등. 양춘 역
    고려대학교출 판부 [2003]
  • 권력의 이중성: 아렌트와 하버마스의 권력개념을 중심으로
    장명학 비폭력 연구 1: 69-95 [2009]
  • 구합덕본당100년사사료집편찬위원회. 구합덕본당100년사자료집
    천주교 구 합덕교회 [1990]
  • 구별짓기上. 최종철 역
    새물결 [2005]
  • 교회-순결한 창녀
    이제민 분도출판사 [1995]
  • 교황청정의평화위원회. 간추린 사회교리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5]
  • 교황청신앙교리성
    자유의 전갈: 해방신학의 일부 측면에 관한 훈령(Libertatis Nuntius). 1984.08.06 [1984]
  • 교황과 나
    메디치 [2014]
  • 교황과 98시간
    김근수 김용운 메디치 [2014]
  • 교황 프란치스코, 자비의 교회. 줄리아노 비지니 엮음. 김정훈 역
    바오로딸 [2014]
  • 교황 프란치스코(PP. Franciscus). 복음의 기쁨(Evangelii Gaudium)
    한국 천주교주교회의 [2014]
  • 교황 요한 바오로 2세(PP. Joaness Paulus II). 노동하는 인간(Laborem Exercens)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81]
  • 교황 요한 23세(PP. Joaness XXIII). 어머니요 스승(Mater et Magista)
    한 국천주교주교회의 [1961]
  • 교황 요한 22세(PP. Joaness XXII). 1318
    Redemptor Noster
  • 교황 비오 12세(PP. Pius XII). 새로운 사태 50주년 기념 라디오 메시지 (Radiomessaggio a commemorazione del 50 della Rerum Novarum)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41]
  • 교황 베네딕토 16세(PP. Beneditus XVI). 하느님은 사랑이십니다(Deus Caritas Est)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6]
  • 교황 베네딕토 15세(PP. Benedictus XV)
    Maximum I llud [1919]
  • 교황 바오로 6세(PP. Paulus VI). Catholicam Christi Ecclesiam. . 1967. 민족들의 발전(Populorum Progressio)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67]
  • 교황 레오 13세(PP. Leo XIII). 새로운 사태(Rerum Novarum). . 1892
    Au Milieu Des Sollicitudes
  • 교황 “인간의 고통 앞에서 중립을 지킬 수는 없습니다"
    정세라 한겨레. 2014.08.19 [2014]
  • 교계제도사
    정진석 가톨릭출판사 [2007]
  • 광기의 역사. 이규현 역
    나남 [2010]
  • 공직자들과 만남: 프란치스코 교황 성하의 연설
    2014.08.14 [2014]
  • 공공성
    하승우 책세상 [2014]
  • 고종조의 조선 천주교와 그 박해-특히 포도청 등록을 소재로 하 여
    石井壽夫 한국천주교회사 논문선집 2 [1977]
  • 박사
    고종조 병인교난 연구
    고흥식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86]
  • 계몽의 변증법. 김유동 역. 문학과지성사. 아렌트, 한나(Arendt, Hannah). 폭력의 세기. 김정한 역
    이후 [1999]
  • 경제와 사회1. 박성환 역
    문학과지성사 [1997]
  • 거룩한 규율법(Sacrae Disciplinae Leges)
    한국천주교주교회의 [1983]
  • 개항기 한국 사회와 천주교회
    장동하 가톨릭출판사 [2005]
  • 강한. “의정부교구, 사회사목과 소통 강화
    ”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4.11.14 [2014]
  • 강원시민사회연구원
    지학순 주교와 민주화 운동 그리고 원주 [2013]
  • 가톨릭청년사
    가톨릭 청년 1947년 9월호 [1947]
  • 가톨릭의 역사. 배국원 역
    한스 큉 을유출판사 [2013]
  • 가톨릭신문사
    가톨릭신문사史 [1988]
  • 가톨릭시보
    가톨릭시보 167. 1956.05.06 [1956]
  • 가톨릭노동사목전국협의회․원곡성당반월노동사목실무대표
    주교회의 상임의 장 김남수 안젤로 주교님께 [1990]
  • 가톨릭과 조선후기 사회변동
    노길명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1988]
  • 가톨릭 신자의 종교의식과 신앙생활
    강인철 박문수 박영대 가톨릭신문 사 [2000]
  • 「敎皇 비오11세와 東洋 宣敎政策」
    김용자 韓國敎會史論文集II. 한국교회사 연구소: 199-220 [1985]
  • ․존 홀(Mann, Michael & John A. Hall). 사라진 권력 살아날 권 력. 김희숙 역
    마이클 생각의길 [2014]
  • ․로이 바캉(Bourdieu, Pierre & Lo c Wacquant). 성찰적 사회학으로의 초대. 이상길 역
    부르디 피에르 그린비 [2015]
  • “ㅣ졍문답반포”
    경향잡지 601: 481-483 [1926]
  • “후쿠시마 사고 4주기를 맞으며”
    유흥식 보도자료.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15.03.12 [2015]
  • “회보”
    편집부 경향잡지 984: 44-45 [1947]
  • “회보”
    편집부 경향잡지 55: 442-456 [1924]
  • “황기二천六백년봉축교황성하로부터축전”
    경향잡지 929: 304 [1940]
  • “현대의 수도생활: 2차 바티칸공의회에서 프란치스코교황까지”
    수도 생활의 은사의 재발견과 전망(2015.12.08). 예수회한국관구: 1-25 [2015]
  • “현대 한국 가톨릭교회의 사회정의 활동과 선교 정책”
    황종렬 한국 근․현 대 100년 속의 가톨릭교회 (하). 가톨릭출판사: 11-45 [2006]
  • “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헌장 기쁨과 희망(Gaudium et Spes)”
    (사목헌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강대인 역. 한국천주교중앙 협의회: 73-176 [2002]
  • “한일합방 이후 한국 가톨릭 지도자들의 국가관 연구”
    나정원 한국 근․현 대 100년 속의 가톨릭교회 (중). 가톨릭출판사: 365-393 [2005]
  • “한눈에 보는 국정원 사태 천주교 시국선언 현황(7보)”
    한수진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13.09.11 [2013]
  • “한국천주교회의 빛과 그림자”
    조현범 당대비평 12: 256-272 [2000]
  • “한국천주교회 통계(2010)발행”
    보도자료. 2011.06.08 [2011]
  • “한국전쟁기 반공이데올로기 강화, 발전에 대한 종교인의 기여”
    강인철 한 국전쟁과 한국사회변동. 풀빛: 182-222 [1992]
  • “한국의 종교인구”
    박영실 조순기 최은영 한국의 인구․주택: 인구주택총 조사 종합보고서. 은기수․황명진․조순기 편. 통계개발원 [2008]
  • “한국에서의 파리외방전교회의 선교방침(1931-1942)”
    배세영 韓國敎會史論 文集I. 한국교회사연구소: 743-767 [1984]
  • “한국사 교회서의 국정화 정책 반대 성명서”
    보도자료. 2015.11.19 [2015]
  • “한국교회의 교회헌장 수용에 대한 신학적 전망”
    윤정현 Memoria et Spes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폐막 5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2015.09.18-19.). 서강 대학교신학연구소: 129-156 [2015]
  • “한국가톨릭의 보수화 바람”
    안영배 월간 말 56: 76-81 [2001]
  • “한국 주교단 만난 교황 “세월호 문제 어떻게 됐나””
    한겨레. 2015.03.10 [2015]
  • “한국 전쟁기 천주교회와 공산 정권-초대 주한 교황사절 번 주교 (Bishop Byrne)를 중심으로”
    최선혜 교회사연구 44: 359-399 [2014]
  • “한국 전쟁과 한국 천주교회”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회사연구소: 599-646 [2000]
  • “한국 교회사와 세계 교회사”
    새벽 92 [1984]
  • “한국 개신교 문화의 형성에 대한 사회사적 고찰(I) -삐에르 부르디외 의 문화사회학 이론의 한국적 적용-”
    최종철 기독교사상 446: 58-74 [1996]
  • “한국 가톨릭의 축일: 八월 十五일을 맞이하여”
    경향잡지 1109: 359-361 [1960]
  • “한․미 외교문서로 본 지학순 주교의 민주화운동”
    장영민 기억과 전망 31: 40-85 [2014]
  • “프란치스코. 교회는 “함께 걷는” 아름다운 삶”
    바티칸방송국. 2015.10.20. http://kr.radiovaticana.va [2015]
  • “프란치스코 교황 선출 1주년 기념 심포지엄…<복음의 기쁨>과 한 국교회”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4.02.18 [2014]
  • “평화의 섬 제주를 염원하며(해군기지 계획과 관련하여)”
    강우일 교구장 담화문. 2007.05.07 [2007]
  • “평신도, 가정평의회 통합”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10.23 [2015]
  • “평신도 운동의 전망: 영성을 중심으로”
    황경훈 우리시대, 우리신학을 말하 다: 우리신학연구소 창립 20주년 심포지엄&기념식. 우리신학연구소: 50-81 [2014]
  • “파리외방전교회”
    韓國가톨릭 文化活動과 敎會史: 誠農崔奭祐神 父古稀紀念. 한국교회사연구소 [1991]
  • “파리 外邦傳敎會의 韓國進出의 意義- 한국진출을 전후한 시기의 국 가와 교회의 관계를 중심으로 -”
    교회사연구 5: 9-31 [1987]
  • “최창현의 삶과 신앙”
    방상근 교회사학 10: 7-38 [2013]
  • “최기식 신부 구속사건”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0.12.08 [2010]
  • “청말 서양교회의 내지 부동산조매․이용권과 교안”
    한국기독교역사 연구소소식 19: 9-15 [1995]
  • “철지난 꿈, 두 교황의 반(反)개혁 프로젝트”
    우리신학 11: 25-45 [2015]
  • “천주교 평신도, 새 추기경에게 “가난한 이들 위한 추기경 되어 달 라”- 가톨릭행동 추기경 청원 서명에 7,576명의 평신도 참여…교황에게 전 달 예정”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4.01.14 [2014]
  • “천주교 사회운동의 전개와 특성”
    한국의 종교와 사회운동. 이학사: 37-68 [2010]
  • “천주교 사제 수도자, 교회사상 최대규모의 4대강 반대 서명”
    가톨 릭뉴스지금여기. 2010.05.15 [2010]
  • “천주공교단인가”
    경향잡지 935: 138 [1941]
  • “질문해답”
    편집부 경향잡지 827: 218 [1936]
  • “지학순 주교 “영혼구제만 애쓰는 교회, 골동품으로 남는다””
    가톨 릭뉴스지금여기. 2013.12.17 [2013]
  • “지금 한국, 조선적 지배체제 여전: 기쁨과희망사목연구원 심포지엄”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11.10 [2015]
  • “중국예식과 그에 대한 서약에 관하야”
    경향잡지 919: 50-53 [1940]
  • “중국에서의 포르투갈 ‘선교 보호권’ 문제 및 조선 대목구 설정에 관 한 연구”
    이영춘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회사연구소: 159-208 [2000]
  • “주문모 신부의 입국과 조선교회”
    한국천주교회사1. 한국교회사연 구소: 311-344 [2009]
  • “주교회의에 건의한다”
    가톨릭시보 573. 1967.06.18 [1967]
  • “주교회의 정의평화위원회 2014년 9월 2일 정기회의 결과”
    보도자 료. 2014.09.03 [2014]
  • “주교회의 상임위원회 2007년 7월 2일 회의 결과”
    보도자료. 2007.07.03 [2007]
  • “주교회의 2014년 춘계 정기총회 결과”
    보도자료. 2014.03.27 [2014]
  • “주교회의 2011년 추계 정기총회 결과”
    보도자료. 2011.10.12 [2011]
  • “주교의 구속과 사제단 결성”
    어수갑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7.01 [2015]
  • “조상 제사 문제와 한국천주교회”
    최기복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회사연 구소: 63-106 [2000]
  • “제6회 가톨릭 환경상 대상에 ‘삼척 핵발전소 유치 백지화 투쟁위원 회’”
    보도자료. 2011.09.26 [2011]
  • “제4장 조선 대목구 설정과 선교사의 입국”
    한국천주교회사2. 한국 교회사연구소: 203-332 [2010]
  • “제4장 순교 복자의 탄생과 교회의 변화”
    한국천주교회사5. 한국 교회사연구소: 277-328 [2014]
  • “제3장 초기 교회의 활동과 교세의 확산”
    한국천주교회사1. 한국교 회사연구소: 255-309 [2009]
  • “제3장 세속화”
    최현종 21세기 종교사회학. 다산출판사: 85-113 [2013]
  • “제2회 가톨릭 환경상 시상식”
    보도자료. 2007.10.05 [2007]
  •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한국 천주교회”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 회사연구소: 647-687 [2000]
  •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 한국 수도 생황의 변화와 쇄신”
    최혜영 가톨릭 신학과사상 55: 217-249 [2006]
  • “제2장 조선 대목구의 분할과 정비”
    한국천주교회사5. 한국교회사 연구소: 65-179 [2014]
  • “제2장 자본의 형태(The Forms of Capital)”
    사회자본 -이론과 쟁 점-. 이충한․김선미 역. 그린 [2007]
  • “제1장 가톨릭교회의 세계 복음화”
    김성태 한국천주교회사1. 한국교회사연 구소: 17-65 [2009]
  • “정평위, ‘4대강 사업’ 반대 의견 밝혀”
    보도자료. 2010.12.17 [2010]
  • “정의평화위원회 2013년 12월 11일 정기총회 결과”
    보도자료. 2013.12.11 [2013]
  • “정양모 신부, 임의 꾐에 넘어가 행복하게 살아온 생애”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11.06.09 [2011]
  • “전국 주교회의 1971년 정기총회 결의 사항”
    경향잡지 1257: 10-13 [1971]
  • “재건국민운동 천주교 서울교구 촉진회 결성”
    가톨릭시보 296. 1961.09.24 [1961]
  • “일치 운동에 관한 교령 일치의 재건(Unitatis Redintegratio)”
    (일치 교령).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김남수 역.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359-386 [2002]
  • “일제하 한국 천주교회의 신사 참배에 대한 연구”
    방상근 민족사와 교회사 . 한국교회사연구소: 567-597 [2000]
  • “일제의 종교 정책과 교회의 대응”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회사연 구소: 539-565 [2000]
  • “일제의 종교 정책과 가톨릭교회”
    김재득 한국 근․현대 100년 속의 가톨릭 교회 (상). 가톨릭출판사: 387-425 [2003]
  • “일제의 기독교정책과 조선전도론(I)”
    윤경로 기독교사상 376: 101-113 [1990]
  • “일제의 기독교정책과 조선전도론(I)”
    기독교사상 377: 107-125 [1990]
  • “인터뷰 9회 공지영 작가-새벽미사는 최고의 은총”
    김근수 가톨릭프레스. 2015.08.12 [2015]
  • “인천성모병원 노사 갈등 악화”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8.24 [2015]
  • “인천, 국제성모병원, 노조에 화살”
    배선영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7.08 [2015]
  • “인내함으로써 영혼을 보존하자”
    경향잡지 1114: 3-4 [1961]
  • “이제민 신부, “성직자들의 의식이 먼저 깨어나야””
    가톨릭뉴스지 금여기. 2012.09.24 [2012]
  • “을해․병자 교난기 천주교도의 분석적 고찰”
    최용규 교회사연구 6: 227-276 [1988]
  • “원주교의마즈막말슴”
    경향잡지 943: 13 [1942]
  • “원주교구 교서에 붙여”
    가톨릭시보 796. 1971.12.19 [1971]
  • “요즘 같은 시대에 사제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박문수 가톨릭뉴스지금 여기. 2010.04.09 [2010]
  • “오카모토 가네하루, 노기남 대주교 센터라니”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8.21 [2015]
  • “오늘의 부조리를 극복하자: 한국 천주교 주교단 공동 교서”
    경향 잡지 1245: 1-7 [1971]
  • “오경환 신부“어려운 사회교리, 성경으로 시작해야””
    문양효숙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12.12.13 [2012]
  • “영육의 각 분야에서 신앙을 실천하라! -한국 천주교 주교단 교서- 한국 천주교회 모든 신자들에게 고함!”
    경향잡지 1125: 6-8 [1961]
  • “염수정 추기경님, 중립을 지키십시오”
    지요하 오마이뉴스. 2014.09.04 [2014]
  • “염수정 추기경 “세월호 아픔 이용해선 안돼””
    연합뉴스. 2014.08.26 [2014]
  • “연길․덕원 소식”
    편집부 경향잡지 987: 90-91 [1947]
  • “여장연 “사회정의 헌신” 다짐”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10.27 [2015]
  • “안중근을 배신한 교회, 참회 없이 칭송만..”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0.03.23 [2010]
  • “아비튀스와 상징폭력의 사회비판이론”
    현택수 문화와 권력. 나남: 101-161 [1998]
  • “신학생 양성의 걸림돌 신학교 기숙생활”
    박영대 갈라진 시대의 기쁜소식 839: 22-25 [2008]
  • “신학교에서 배제되는 평신도 신학자”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4.06.09 [2014]
  • “신부․수녀, “왜 우리가 경찰에 연행됐지요?””
    이승록 제주의소리. 2007.04.13 [2007]
  • “신뢰 잃은 미국 교회”
    민경석 갈라진 시대의 기쁜소식 984: 25-31 [2011]
  • “식민지 시대 천주교의 항일 독립 운동”
    신재홍 민족사와 교회사. 한국교 회사연구소: 509-537 [2000]
  • “숨 가쁜 시대를 살아 온 ‘빛고을의 대부’-윤공희 대주교와의 ‘만남’”
    윤공희 기쁨과희망 15: 106-137 [2015]
  • “세월호 희생자 기억하는 304번의 미사 시작”
    정현진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4.12.03 [2014]
  • “성타(聖打).. 가톨릭 신학생에 몽둥이질 웬 말인가”
    가톨릭프레스. 2015.07.28 [2015]
  • “서울대교구 생명위원회 출범...생명운동 중심으로 역량 집중”
    이연숙 평화 신문 842. 2005.10.16 [2005]
  • “서소문, 역사문화 공원이냐 천주교 성지냐”
    임아영 경향신문. 2014.11.20 [2014]
  • “샤설 텬쥬를샹메(上帝)라혹(天)이라닐름도불가니대뎌셩교회의셔 엄금신연고이라”
    경향잡지 632: 73-76 [1928]
  • “샤설 텬쥬를그져신(神)이라닐름이온당치못”
    경향잡지 631: 47-53 [1928]
  • “샤설 우리교회를 생각하자”
    경향잡지 980: 47-49 [1946]
  • “새로운 복음화를 위한 반성과 쇄신 본당 조직 및 운영의 개선을 위 한 기초적 논의”
    사목 205 [1996]
  • “사회 정의와 노동자의 권익을 옹호한다”
    경향잡지 1200: 4-5 [1968]
  • “사제직의 교의신학적 고찰”
    심상태 가톨릭신학과사상 3: 87-109 [1990]
  • “사제의 권위, 어디에서 오는가?”
    박동호 경향잡지 101(4). 한국천주교중 앙협의회: 47-52 [2009]
  • “사설 순교정신을배우라!”
    경향잡지 914: 513-515 [1939]
  • “부정․부패․특권 규탄 원주 교구의 기도회”
    경향잡지 1244: 1-3 [1971]
  • “본당수녀, 존재 의미는 무엇?: 광주대교구 봉헌생활 토론”
    가톨릭 뉴스지금여기. 2015.11.16 [2015]
  • “본당 사목지표 개발 중 한국가톨릭사목연구소, 4대 헌장 실현 목 적”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11.18 [2015]
  • “병인박해기 신자들의 사회적 배경과 신앙”
    서종태 『민족사와 교회사』. 한 국교회사연구소 [2000]
  • “별보”
    편집부 경향잡지 848: 97-101 [1937]
  • “배아줄기세포 연구는 반 생명 행위.”
    정진석 평화신문 827. 2005.06.19 [2005]
  • “밀양 송전탑 공사 강행 임박에 대한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정의평화 위원회 입장”
    보도자료. 2013.09.29 [2013]
  • “민주화 성지 명동성당이 변했다”
    류세나 매일일보. 2007.11.23 [2007]
  • “미 군정기-장면 정부, 종교 정책 변동과 가톨릭교회-법․제도 및 정 부 개입을 중심으로-”
    한국 근․현대 100년 속의 가톨릭교회 (중). 가톨 릭출판사: 487-521 [2005]
  • “명동성당, 소망교회도 비정규직 줄줄이 해고”
    신승진 정지성 홍여진 뉴스타파 [2015]
  • “레오나르도 보프, 사제에서 평신도로 승격된 카리스마”
    한상봉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08.11.24 [2008]
  • “독재, 산업화, 그리고 민주화와 한국 가톨릭교회”
    한국 근․현대 1000년 속의 가톨릭교회(중). 가톨릭출판사: 307-363 [2005]
  • “독립선포식에 교황축전”
    경향잡지 1002: 140 [1948]
  • “덕원신학교개학”
    경향잡지981: 77 [1946]
  • “덕원, 덕원 위한 주교공문”
    경향잡지 989: 124 [1947]
  • “대한민국 승인을 위한 수석대표 장면의 활동”
    허동현 한국민족운동사연구 61: 337-375 [2005]
  • “대조봉대(大詔奉戴)와교구장취임에제하야”
    경향잡지 943: 12-13 [1942]
  • “대사관 찾아와도 외면하는 교황대사”
    최진 가톨릭프레스. 2015.10.17 [2015]
  • “대구대교구, ‘공의회 학교’ 처음 열어”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7.30 [2015]
  • “대구대교구 설정 100주년, 성령강림사건 발생하려나”
    가톨릭뉴스 지금여기. 2010.08.01 [2010]
  • “담화문”
    경향잡지 1458. 1989.07.27.: 16-17 [1989]
  • “담화문”
    경향잡지 1316: 13 [1977]
  • “다채로운 업적”
    윤형중 한알의 밀이 죽지 않고는: 장면 박사 회고록. 운석 기념회 편저. 가톨릭출판사: 409-420 [1999]
  • “냉담자 생기는 이유.. 사회정의 부르짖으면서 교회 내부는 정의롭지 못한 탓”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2.10.17 [2012]
  • “남조선 모든 감목의 연합교서”
    경향잡지 996: 34-35 [1948]
  • “꽃동네, ‘노기남 센터’ 완공”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8.17 [2015]
  • “김수환 추기경의 웃음과 눈물”
    김지연 연합뉴스. 2009.02.16 [2009]
  • “김수환 추기경도 제주군사기지 반대”
    김봉현 제주의 소리. 2007.06.28 [2007]
  • “긴박한 교회쇄신, 권위주의에서 벗어나기”
    함세웅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0.11.04 [2010]
  • “긔구반포”
    경향잡지 417: 119 [1919]
  • “권력의 아성에서 탈출하는 교회, 대구대교구-대구와 대구대교구, 박 정희와 이효상 그늘에서 이젠 벗어나야”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0.06.30 [2010]
  • “국회의원에 당선된 교우”
    경향잡지 999: 93 [1948]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에가입한경성교구의본년도행사”
    경향잡지 833: 378-380 [1938]
  • “교회의 정비와 발전”
    한국천주교회사3. 한국교회사연구소: 193-247 [2010]
  • “교회에 관한 교의 헌장 인류의 빛(Lumen Gentium)”
    (교회헌장). 제2차 바티칸 공의회 문헌. 강대인 역.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73-176 [2002]
  • “교회쇄신 없는 ‘광화문 시복식’추진, 몰염치하다”
    가톨릭뉴스지금 여기. 2014.03.21 [2014]
  • “교회다움의 상실과 쇄신: 왜곡된 권력과 지배와 순종을 타파하자”
    경향잡지 101(10).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43-48 [2009]
  • “교회는 이윤추구 사업 멈춰야”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12.08 [2015]
  • “교회는 왜 사회 참여를 하였는가?(70~80년대 군사 정권 하에서)”
    종교와 문화 2 [1996]
  • “교회, 새로운 시작이 필요하다. 가톨릭교회의 위기에 대한 신학교수 들의 성명서”
    이승희 기쁜소식 1004 [2012]
  • “교회 지키기 위한 최소한의 행위: 서울대교구 노기남 대주교 친일 관련 이의 공문”
    남정률 평화신문 1035. 2009.09.13 [2009]
  • “교회 쇄신을 위한 근원적 성찰-교회 내의 민주화를 지향하며”
    사 목 132 [1990]
  • “교황청 정평위 토소 주교가 지역 주교로 가는 까닭: 교황의 교황청 개혁정신에 충실하기 위해”
    편집국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1.21 [2015]
  • “교황성하께 상서”
    경향잡지 1003: 155 [1948]
  • “교황문헌의 종류는?”
    박종인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7.01 [2015]
  • “교황, 호화 생활 브라질 대주교와 성추행 책임 멕시코 주교 해임”
    이상호 가톨릭프레스. 2015.07.21 [2015]
  • “교황, 발도파에 사죄: 과거 이단 규정, “비그리스도교적 행위 했 다””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5.06.23 [2015]
  • “교황, 마피아 본거지 찾아 “교회에서 마피아 파문””
    주영재 경향신문. 2014.06.22 [2014]
  • “교황, ‘새 주교 후보자는 군주가 아니라 목자여야…”
    가톨릭뉴스지 금여기. 2013.06.24 [2013]
  •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청의 관료주의 강력 비판”
    가톨릭뉴스지금 여기. 2013.10.07 [2013]
  • “교황 성하께서 이 국회의장에 기사훈장 수여”
    경향잡지1169: 17 [1961]
  • “교황 베네딕토 16세 2월 28일 사임(1)”
    보도자료. 2013.02.11 [2013]
  • “교황 방한 이후 한국 교회의 화두는 ‘가난한 교회’와 ‘복음의 기쁨’”
    보도자료. 2014.10.28 [2014]
  • “교황 권고 <복음의 기쁨>, 한국어판도 인기”
    보도자료. 2014.03.04 [2014]
  • “교우입후보자들”
    경향잡지 998: 75-76 [1948]
  • “교셔”
    편집부 경향잡지 630: 25-26 [1928]
  • “광주항쟁 진상폭로에 앙심 공권력 개입 인상 박창신 신부 테러범 8 년째 못잡아”
    장세환 한겨레. 1988.09.28 [1988]
  • “공의회는 왜 있었는가”
    김수환 사목 2 [1968]
  • “공의회 이후의 한국 교회”
    한국가톨릭대사전 1. 한국교회사연구소 [1994]
  • “공덕종”
    윤선자 교회와 역사 193 [1991]
  • “공공성과 로컬리티의 재구성-공적영역으로서 주민도서관을 중심으로-”
    문재원 하용삼 철학논총 66: 421-451 [2011]
  • “골프장 내놔: 팔공컨트리클럽 소유권 송사 벌이는 매일신문...재단인 대구대교구도 가세”
    송창석 한겨레21 203. 1998.04.16 [1998]
  • “골롬바 투옥사건”. 경향잡지 1290: 49-51. . 1984a. “在韓천주교 선교사의 한국관과 선교 정책”
    최석우 박길진 박사 고희 기 념 한국 근대 종교 사상사. 원광대학교출판국 [1975]
  • “고통 받는 민중, 가톨릭교회는 무엇을 하고 있는가?”
    경동현 종교문화연구 21: 39-62 [2013]
  • “경향신문 폐간!”
    편집부 경향잡지 1095: 193-199 [1959]
  • “경찰, 성당 안에 들어와-인천성모병원 운영하는 인천교구, 경찰은 시설보호요청 받았다며”
    이완규 가톨릭프레스. 2015.08.25 [2015]
  • “경성교구애국행사성적”
    경향잡지 920: 89 [1940]
  • “경문반포”
    경향잡지 259: 337 [1912]
  • “개화기 한국 가톨릭 교회와 국가 간의 관계-한국 교회의 정책, 활동 및 그 결과를 중심으로”
    노길명 가톨릭사회과학연구 4(1): 57-90 [1987]
  • “개항기 천주교회의 선교 정책과 민족 문제”
    신광철 민족사와 교회사. 한 국교회사연구소: 485-507 [2000]
  • “강화도 심도직물 해고투쟁 도운 김수환 추기경”
    김수종 오마이뉴스. 2014.08.19 [2014]
  • “감사미사와 미군환영식”
    경향잡지 978: 26-28 [1946]
  • “가톨릭교회의 재산권 논의: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소유권 모 색”
    김선필 최현 인문학연구 15. 제주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241-275 [2013]
  • “가톨릭 사회교리와 세계화”
    김우선 신학과철학 22: 85-113 [2013]
  • “가톨릭 교회 정치세력화의 문제점-정교분리 담론을 중심으로-”
    박준영 종 교문화연구 10: 77-98 [2008]
  • “飛行機獻納의 好成蹟”
    경향잡지 970: 34 [1944]
  • “韓國天主敎와 로마敎皇廳”
    韓國敎會史論文集I. 한국교회사연구소: 715-741 [1984]
  • “第1共和國과 韓國天主敎會”
    최종고 韓國敎會史論文集I. 한국교회사연구소: 837-865 [1984]
  • “現代韓國天主敎會와 平信徒運動”
    박상진 韓國敎會史論文集I. 한국교회사 연구소: 295-316 [1984]
  • “張勉요한氏國務總理에”
    가톨릭시보 243. 1960.08.28 [1960]
  • “安重根의 義擧와 敎會의 反應”
    교회사연구 9: 97-119 [1994]
  • “「國民總力」반도민중의영광”
    경향잡지 947: 41 [1942]
  • “「國民總力」大望의 徵兵制”
    경향잡지 955: 8 [1943]
  • “‘연평도 발언 논란’ 박창신 신부 강론 전문 살펴보니…”
    박기용 전진식 한겨레 . 2013.11.24 [2014]
  • “‘세계 평화의 섬’ 제주도에 참 평화를!-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정의 평화위원회 성명서-”
    보도자료. 2007.07.03 [2007]
  • “‘가톨릭 (극)우파’와 대한민국수호천주교인모임”
    기쁨과희망 13: 60-77 [2014]
  • “[주교회의 담화문] ‘한국 천주교 주교회의 2014년 추계 정기총회를 마치며’”
    보도자료. 2014.10.30 [2014]
  • “[말글살이] 8월의 크리스마스”
    강재형 한겨레. 2014.08.17 [2014]
  •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 은퇴 사제의 삶과 신앙] 수원교구 김남수 주교 (2)”
    김남수 가톨릭신문 2273. 2001.11.04 [2001]
  • “[다시 태어나도 이 길을 - 은퇴 사제의 삶과 신앙] 서울대교구 백민 관 신부 (1)”
    백민관 가톨릭신문 2285(2002.02.03.) [2002]
  • “Communio로서의 교회”
    임병헌 가톨릭신학과사상 9: 59-98 [1993]
  • “50년간 사제 생활의 회고담 : 나의 사제 생활의 신념과 지침의 이모 저모”
    김정진 사목연구 8: 285-292 [2000]
  • “5.16 군부정권에 대한 교회의 정치적 편입”
    가톨릭뉴스지금여기. 2010.05.28 [2010]
  • “5 16군사혁명과 오늘의 한국 36”
    김윤근 한국장로신문. 2010.12.18 [2010]
  • “4월혁명, 제2공화국, 그리고 한미관계”
    이재봉 제2공화국과 한국 민주주의. 백영철 편. 나남출판 [1996]
  • “200주년 사목회의의 반성과 전망”
    박문수 시대와 민중신학 2: 66-75 [1995]
  • “1983년 교회법전의 사제 양성 규범”
    윤인규 『복음과 문화』8. 137-194 [1997]
  • “1970년대의 한국 기독교 운동”
    김상근 기독교사상 28(11): 32-41 [1984]
  • “1960년대 한국교회, 처음 노동문제 관심-강화 심도직물 사건”
    가 톨릭뉴스지금여기. 2010.07.11 [2010]
  • “1960년대 한국교회, 바티칸공의회를 두고 설왕설래”
    가톨릭뉴스지 금여기. 2010.06.15 [2010]
  • “103위+124위=성숙한 신앙”
    박지순 가톨릭신문 2891. 2014.04.20 [2014]
  • “1. 생명 문제와 4대강 사업에 대한 주교단 입장”
    한국천주교주교회 의 회보 164. 2010.04.01 [2010]
  • “ 바티깐 공의회와 한국교회”
    경향잡지 1179: 1-4 [1966]
  • b. “‘평화의 섬’ 위해 제주교구와 연대키로”
    보도자료. 2007.06.27 [2007]
  • Yinger, J. Milton. 1970. The Scientific Study of Religion. New York: The Macmillan Co.
  • Wright, Eric O.. 1994. Interrogating Inequality: Essays on Class Analysis, Socialism and Marxism. London: Verso.
  • Weber, Max. 1963. The Sociology of Religion. translated by Ephraim Fischoff. Boston: Beacon Press.
  • Vernon, Glenn M. 1962. Sociology of Religion. New York: McGraw-Hill.
  • O'Malley, John. 2008. What Happend at Vatican I I . Belknap Press.
  • Nuzzi, Gianluigi. 2012. Sua Santit . Le carte segrete di Benedetto XVI . Milano: Chiarelettere.
  • Mann, Michael. 1986. The Sources of social power volume I : A history of power from the beginning to A.D. 1760.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Lenski, Gerhard E.. 1966. Power and Privilege: A Theory of Social Stratification. New York: McGraw-Hill.
  • Johnstone, Ronald L. 1975. Religion and Society in Introduction: The Sociology of Religion. Englewood Cliffs. New York: Prentice-Hall.
  • Giddens, Anthony. 1984. The Constitution of Scociety. Cambridge: Polity Press. Huntington, Samuel. 1991. The Third Wave: Democratization in the Twentieth Century. Norman: University of Oklahoma.
  • Fortune Editors. 2014. "The World's 50 Greatest Leaders (2014)". FORTUNE. 2014.03.20. http://fortune.com/
  • DiMaggio, Paul J. & Walter W. Powell. 1983.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147-160.
  • Congar. Yves. 1965. Lay People in the Church: A Study for a Theology of Laity. translated by Donald Attwater. London: Geoffery Chapman.
  • Casanova. Jose. 1994. Public Religions in the Modern World.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Boff, Leonardo. 1986. Church: Charism and Power. New York: Crossroad Publishing Co.
  • Benton, Ted & Ian Craib. 2011. Philosophy of Social Scienc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Social Thought(2nd edition). New York: Palgrave Macmillan.
  • 1989b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55 [1989]
  • 1989a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53 [1989]
  • 1988b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44 [1988]
  • 1988a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45 [1988]
  • 1987b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42 [1987]
  • 1987a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41 [1987]
  • 1986b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38 [1986]
  • 1986a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회보 39 [1986]
  • 1970년대 한국 가톨릭교회의 정의구현운동-사회 참여의 근거로서 그리스도 이해를 중심으로
    박일영 현상과인식 12(3): 9-30 [1988]
  • (齊藤純一). 민주적 공공성. 윤대석․류수연․윤미란 역
    사이토 준이치 이음 [2009]
  • (清水敏行). 한국정치와 시민사회. 백계문 역
    도시유키 시미즈 한울아카데미 [2013]
  • (Habermas, J rgen). 공론장의 구조변동: 부르주아 사회의 한 범주에 관한 연구. 한승완 역
  • (Bourdieu, Pierre).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정일준 역
    부르디 피에르 새 물결 [1997]
  • 2012b. The Sources of Social Power: Volume 4, Globalizations, 1945-2011.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12a. The Sources of Social Power: Volume 3, Global Empires and Revolution, 1890-1945.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11. True and False reform in the Church. translated by Paul Philibert. MN: Liturgical Press.
  • 1993. The Sources of social power volume I I : The Rise of Classes and Nation States, 1760-1914. Lond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 1976. Wirtschaft und Gesellschaft. edited by Johannes Winckelmann. T bingen: J.C.B Mohr.
  • 1968. Economy and Society. New York: Bedminster Press.
  • 1967. From Max Weber: Essays in Sociology. edited by Hans Gerth and Wright Mills. Oxford: Dxford University Press.
  • 1951. Evangelii Praecones.
  • 1943. Mystici Corporis Christ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