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숲유치원 일과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의사결정 과정 및 유형 분석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ildrens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Types in the Forest Kindergarten Daily Activities

김학선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숲유치원 일과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의사결정 과정 및 유형 분석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ildrens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Types in the Forest Kindergarten Daily Activitie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매일형 숲유치원
  • 유아숲체험원
  • 의사결정
  • 의사결정과정
  • 의사결정유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80 0

0.0%

' 숲유치원 일과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의사결정 과정 및 유형 분석 = A Qualitative Study on the Childrens Decision-Making Processes and Types in the Forest Kindergarten Daily Activities' 의 참고문헌

  • 현대의 사회과 교육
    차경수 서울: 학문사 [2004]
  • 한국형 숲유치원 모형개발을 위한 기초연구.한국형숲학교 모형개발과 발전방향
    신지연 이소영 이신영 정민정 2014 숲학교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125-160 [2014]
  • 한국 최초 숲유치원 교육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김은숙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 초등학생의 의사결정 과정 분석, 박사학위 논문
    배진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9]
  • 청소년복지론
    남미애 홍봉선 서울: 양서원 [2000]
  • 창의적 문제 해결과 의사결정 - 전략적 의사 결정을 중심으로
    김상수 서울: 명경사 [2005]
  • 참여권을 존중한 유아의 실외놀이 경험
    곽정인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8),467-494 [2014]
  • 질적연구방법론Ⅰ:Bricoleur(2판)
    김영천 파주: 아카데미프레스 [2012]
  • 질적 연구 : 방법과 사례
    조용환 서울: 교육과학사 [1999]
  • 직업관련 그림책을 활용한 역할놀이가 유아의 진로의식 및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박선화 최미숙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333-355 [2014]
  • 지속가능발전의 관점에서 본 숲유아교육, 박사학위 논문
    이경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3]
  • 자유선택활동에서 유아의 선택의 의미
    양옥승 유아교육연구, 23(3), 131-152 [2003]
  • 자연물 주제중심통합 유아 숲체험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효과. 박사학위논문
    서영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4]
  • 자연 친화적 유아교육의 모델 독일의 숲 유치원
    이명환 서울: 교육아카데미 [2007]
  • 임상간호사회환자분류제도에 기초한 적정 간호인력산정
    국어대사전 서울: 금성출판사 [1991]
  • 인천수목원 자연체험프로그램 카페
    http://cafe.daum.net/incheoneco [2015]
  • 인간의 자아실현
    정범모 서울: 나남출판사 [2000]
  • 이제는 숲유치원이다 : 숲과 아이들의 만남
    임재택 (사)한국숲유치원협회 국제세미나 자료집 [2010]
  • 의사결정의 실천을 강화시키는 요소에 관한 고찰
    장영호 시민교육연구, 39(4),91-113 [2007]
  • 유치원 숲활동이 유아들이 정서 및 사회적 경험에 주는 교육적 함의에대한 해석학적 이해. 박사학위논문
    안필자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4]
  • 유아의 외로움과 자아존중감, 또래유능성, 어머니 양육태도와의 관계,박사학위 논문
    이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1]
  • 유아의 언어능력에 따른 또래 간 요구전략 및 반응기술, 석사학위 논문
    김성은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기질, 사회적지지, 의사결정력간의 구조적 관계. 박사학위 논문
    임경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2]
  • 유아의 도덕적, 사회-관습적, 개인적 상황에 개념과 사회적 상호작용.박사학위 논문
    부성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 유아용 권리교육 프로그램
    이양희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자료집, 49-73 [1999]
  • 유아를 위한 친사회적 행동지도
    Beaty, Janice J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01]
  • 유아를 위한 자율적 규칙 조절 집단게임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 논문
    김희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6]
  • 유아를 위한 놀이의 이론과 실제
    이숙재 창지사: 서울 [2012]
  • 유아들의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협동과 경쟁
    김희태 한국유아교육학회,28(2), 243-269 [2008]
  •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가 경험하는 하루일과에 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
    이경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9]
  • 영재의 리더십 육성을 위한 기초연구및 프로그램 개발 2, 리더십 검사도구의 타당성 및 신뢰성 분석
  • 연세대학교 교육철학연구회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Ⅱ
    서울: 교육과학사 [2001]
  • 에밀
    Rousseau, Jacques 서울: 범우사 [1987]
  • 어머니의 언어유형과 유아의 의사결정행동과의 관계, 석사학위 논문
    강정자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과 또래관계 관리전략이 유아의 서번트 리더십에미치는 영향, 박사학위 논문
    전혜경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5]
  • 숲의 세계
    강미희 이도형 이헌호 경북: 영남대학출판부 [2011]
  • 숲의 사회학
    신원섭 서울: 따님 [2003]
  • 숲유치원의 한국적 적용: 숲유치원 도입을 위한 국내 유아교육기관의대응전략. 제 2 회 숲유치원 국내세미나 자료집
    곽노의 산림청. 13-26 [2010]
  • 숲유치원 국내 도입의 문제점 및 전망
    이명환 숲유치원국제세미나 2009 학술자료집. 187~207 [2009]
  • 박사
    숲에서의 유아 놀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최수경 영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3]
  • 숲에서의 놀이를 통한 유아 미술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안명숙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4]
  • 숲에서의 교육이 유아의 친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은숙 열린유아교육연구, 18(4), 205-229 [2013]
  • 숲산책반 유아의 숲 경험이 갖는 교육적 효과, 박사학위 논문
    최경숙 인천대학교대학원 [2015]
  • 숲놀이그룹 유아들의 사회적 유능감 변화과정 탐색, 박사학위 논문
    진경금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5]
  • 숲 활동이 유아의 다중지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박신자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2]
  • 숲 체험을 통한 조직캠프 집단상담이 아동의 학교적응과 친구관계에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김지혜 영남대학교 대학원 [2004]
  • 숲 유아교육기관의 자연적 공간에서의 놀이활동 탐색
    김경희 나귀옥 유아교육연구, 32(6), 139-165 [2012]
  • 생태맹 극복을 위한 도시림의 활용. 탁광일(편). 숲과 자연교육
    신원섭 서울:수문출판사 [1998]
  • 생명과 환경의 수수께끼
    조홍섭 서울: 고즈윈 [2005]
  • 산림청 홈페이지
    http://www.forest.go.kr [2015]
  • 산림청 숲 속 유치원 프로그램 개발 및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정책연구용역결과보고서 [2008]
  • 산림교육활성화 방안
    전범권 2012 숲유치원 국제세미나 학술집, 5~25 [2012]
  • 사회과의 의사결정 모형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사학위 논문
    송충진 강원대학교대학원 [2013]
  • 브레인라이팅 의사결정 모형 개발
    고은희 박형준 시민교육연구, 34(20), 123-148 [2002]
  • 법제처
    http://www.moleg.go.kr [2015]
  • 만 5세반 유아의 자유선택활동시 의사결정 상황과 반응
    이성희 한국유아교육 보육행정연구, 13(2), 277-298 [2009]
  • 만 5세 유아의 가정환경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 및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서 유아의 의사결정력 매개효과
    우덕례 미래유아교육학회지, 21(1), 139-162 [2014]
  • 독일의 숲유치원과 한국의 숲유치원 비교연구
    이명환 홀리스틱교육연구, 16(3),67-85 [2012]
  • 놀이 계획-실행-평가 활동에서의 유아의 의사결정력: 혼합연구방법론의 적용
    황윤세 열린유아교육연구, 18(1), 19-39 [2013]
  • 녹색교육 숲유치원
    김은숙 이명환 서울: 교육아카데미 [2010]
  • 국어국문학회 새로 나온 국어대사전
    경기: 민중서림 [2001]
  •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부 3-5 세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 [2013]
  • 교사용 유아 의사결정력 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박사학위 논문
    박지영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2]
  • 『질적연구방법론』
    김영천 서울: 문음사 [2006]
  • ″사회과 의사결정학습의 문제점과 공공성 모형의 함의″
    장영호 시민교육연구,38(2), 137-160 [2006]
  • Woolever, R. M. & Scott, K. P. (1988). Active learning in social studies promotingcognitive and social growth, Glenview: Scott, Foresman and Company.
  • Whitman, T. L. (1990). Self-regulation and mental retardation. AmericanJournal on Mental Retardation. 94(4), 347-362.
  • Walsh(eds.), Reading for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education, N.Y.: MacmillanPublishing Co, Inc.
  • Vickerius, M. & Sanberg, A. (2006). The significance of play and the environment aroundplay.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6(2), 207-217.
  • UNICEF. (2000). Young people in changing societies. Italy: Florence.
  • Tversky, A. & Kahneman, D. (1981). The framing of decisions and the psychology ofchoice. Science, 185, 1124-1131.
  • Thompson, W. C., Aspinall, P. & Montarzino, A. (2008). The childhood factor: Adultsvisits to green places and the significance of childhood experience. Environment andBehavior, 40(1), 111-143.
  •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 (2000). Teaching for successful intelligence: Toincrease student learing and achievement. Arlington Heights, IL: Skylight ProfessionalDevelopment.
  • Spradely, J. P. (2006). Metode etnografi (Ethnographic methods) (M. Z. Elizabeth, Trans.). Yogyakarta: Tiara Wacana.
  • Spradely, J. P. (1980). Participant observation.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 Simon, H. A. (1960). The new science of managenmant decision. NY: Harper & Row.
  • Shore, Z. (2009). Blunder. Bloomsbury, USA.
  • Seitz, M. & Hallwachs, U. (1996). Montessori oder Waldorf, Kosel, Munchen, 96-98.
  • Scott, S. G. & Bruce, R. A. (1995). Decision-making style: The development and assessmentof a new measur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5(5), 818-831.
  • Schede, H-G. (2000). Der Waldkindergarten auf einen Blick, M?nchen: Kosel Verlag, 7-77.
  • Sandhof, K. (1998). Mit Kinder in der Welt, Okotopia Verlag, Munster, 17-22.
  • Rowe, A. J. & Boulgarides, J. D. (1992). Managerial decision making: A guide to successfulbusiness decisions. New York: McMillan.
  • Rohrbaugh, C. C. & Shanteau, J. (1999). Context, process, and experience: Research on appliedjudgment and decision making. In F. T. Eurso (Eds.), Handbook of applied cognition(pp.115-140). NY: John Wiley.
  • Reason, J. (1990). Human err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 Osborne, A. F. (1990). Resilient Children: A longitudinal study of high achieving sociallydisadvantaged children.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62(1), 23-47.
  • Miklitz, I. (2005). Der Waldkindergarten, Dimensionen eines padagogischen Ansatzes, BeltzVerlag, Weinheim und Basel.
  • Mellers, B. A., Ordonez, L. D. & Birnbaum, M. H. (1992). A change-of-process theory forcontextual effects and preference reversals in risky decision making. Organizational Behaviorand Humam Decision Processes, 52, 331-369.
  • Meier, D. R. & SiSk-Hilton, S. (2013). Nature education with young children: Integratinginquiry and practice. NY: Rourtledge.
  • MeFOT 기반 숲 체험활동과 자유 숲체험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과학적탐구능력에 미치는 효과, 박사학위 논문
    김미옥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4]
  • Massialas, B. & Hurst, J. (1978). Social studies in a new era: The elementary school as alaboratory. New York: Longman.
  • Louv, R. (2005). Last child in the woods. Chapel Hill: Algonquin Books.
  • Kaltsounis, T. (1974). Swing toward decision making, In John Jarolimek and Huber M.
  • Joseph. B. C. Sharing nature with children. CA: Dawn Publications. 장상욱 역. (2002). 아이들과 함께 나누는 자연체험 1, 2
    서울: 우리교육 [1998]
  • John Dewey 의 經驗과 反省的 思考에 관한 고찰, 석사학위 논문
    김천수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1994]
  • Hurst, J., Kinney, M. & Weiss, S. (1983). The decision making process. Theory andResearch in Social Studies 11(3), 17-43.
  • Hendrick, J. (2000). The whole child. Columbus. Ohio: Charles Merrill.
  • Harren, A. V. (1984). Assessment for career decision making. Los Angeles: Western PsychologicalServices.
  • Graue, M. E. & Walsh, D. J. (1998). Studying children in context: Theories, methods, andethics, Sage Publications.
  • Glesne, C. & Peshkin, P. (1992).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NewYork, NY: Longman.
  • Gelatt, H. B. et al. (1973). Decisions and outcomes: A leader's guide. New York: CollegeEntrance Examination Board. Excerpts reprinted with permission of the College Board.
  • Etzioni, A. (1968). The active society: A theory of societal and political processes, NY:Free Press.
  • Ellen, R. (Ed.). (1984). Ethnographic research: A guide to general conduct. London.
  • Dinklage, L. B. (1968). Decision strategies of adolescents. Unpublisheddoctoral dissertation. 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Education.
  • Dewey,J.(1938).Experienceandeducation.New York:CollierBooks.
  • Dewey, J. (1996). In L. A. Hickman (Ed.), The collected works of John Dewey: Theelectronic edition. Charlottesville, VA: Intelex Corporation.
  • Decker, C. A. & Decker, J. R. (1984). Planning and administering early childhoodprogram. (3rd ed.). Columbus: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 Cre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Approaches. 질적연구방법론(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원서 1998 출판) [2015]
  • Corbett, B. (1979). A garden of children. Mississauga, Ontario: The Frobel Foundation.
  • Cherryholmes, C. H. (1980). Social knowledge and citizenship education:Two views of truth and criticism. Curriculum Inquiry, 10(2),115-141.
  • Campbell, J. P. (1977). On the nature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Goodman, P.S.,Pennings, J. M. & Associates. New perspectives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anFrancisco: Jossey-Bass., pp. 13-55.
  • Bogdan, R. C. & Biklen, S. K. (2006).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to theories and methods(5th ed.). Allyn & Bacon.
  • Bickel, K. (2001). Der Waldkindergarten, Norden Media, o.О., 11-68.
  • Becoming qualitative researchers: an introduction, 3rd ed. 질적 연구자되기(안혜준 역)
    Glesne, C. 서울: 아카데미 프레스(원서 2006 출판) [2008]
  • Beaty, J. J. (1995). Coverting conflicts in preschool. Harcourt Brace College Publishers.
  • Beach, L. R. & Mitchell, T. R. (1990). Image theory: A behavioral theory ofdecisions in organizations. In B. M. Staw & L. L. Cummings (Eds.),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r (Vol. 12). Greenwich, CT: JAI.
  • Allen, R. F. (2000). Civic education and the decision-making process, The Social Studies,1, 5-8.
  •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지속가능발전 교육 방향탐색
    남영숙 지승현 환경교육, 29(1), 62-72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