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천상병 문학 연구 : -주체와 타자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terature of Cheon, Sang-Byeong

정유선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천상병 문학 연구 : -주체와 타자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terature of Cheon, Sang-Byeong'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동심
  • 소외
  • 주체
  • 죽음
  • 천상병
  • 타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742 0

0.0%

' 천상병 문학 연구 : -주체와 타자의 관련 양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iterature of Cheon, Sang-Byeong' 의 참고문헌

  • 현대시의 치유시학적 연구 - 김춘수·김수영·천상병의 시를 중심으로 -
    김성리 『한국문학논총』제59집, 한국문학회 [2011]
  • 현대문학비평이론
    홍문표 창조문화사 [2003]
  • 한우리독서문화운동부 교재편집 위원회 편, 「독서자료론, 독서지도 방법론」
    위즈덤북 [2005]
  • 한국현대문학비평사
    김영민 소명출판 [2000]
  • 한국현대문학50년
    유종호 민음사 [1995]
  • 한국문학 주체론
    이재선 서강대출판부 [1989]
  • 한국무속연구
    김태곤 집문당 [1991]
  • 한국 현대시와 모더니즘
    문혜원 신구문화사 [1996]
  • 한국 현대시 연구
    신익호 한국문화사 [1999]
  • 한국 현대문학 비평사
    권영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2]
  • 프로이트와 한국문학
    조두영 일조각 [1999]
  • 프로이트와 라깡, 무의식에로의 초대
    김 석 김영사 [2010]
  • 풍경과 상처
    김 훈 문학동네 [1994]
  • 포스트 모더니즘의 철학과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윤평중 서광사 [1992]
  • 트라우마, 내러티브, 정체성- 20세기 전쟁 기념의 문화사적 연구를 위한 방법론의 모색 -
    전진성 『역사학보』제193집, 역사학회 [2007]
  • 천상병 시의 세계인식 연구
    박 설 청주대 석사논문 [2010]
  • 천상병 문학에 나타난 고향
    박정선 『한민족어문학』제65집, 한민족어문학회 [2013]
  • 차이와 타자
    서동욱 문학과 지성사 [2000]
  • 짜릿한 박하술 맛
    민 영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청산 [1993]
  • 주체는 죽었는가
    강영안 문예출판사 [1996]
  • 주체 개념의 비판
    윤효녕 서울대학교 출판부 [1999]
  • 자아의 연구
    한자경 서광사 [1997]
  • 이미선 역, 『자크 라캉』
    Anika Lemaire 문예출판사 [1994]
  • 우촌 이종익 추모문집간행위원회 편, 『출판과 교육에 바친 열정』
    서울 우촌기념사업회출판부 [1992]
  • 우리시대의 괴짜 천상병과 박봉우
    하인두 『월간중앙』159 [1989]
  • 우리사상연구소 엮음, 『우리말철학사전 3』
    지식산업사 [2003]
  • 에로스와 타나토스
    조용훈 살림 [2005]
  • 언어학
    허웅 샘문화사 [1982]
  • 아름다운 운명
    김 훈 『괜찮다 괜찮다 다 괜찮다』, 강천 [1990]
  • 실존주의 시대
    고 은 『1950년대-폐허의 문학과 인간』, 향연 [1950]
  • 시어론
    홍문표 창조문학사 [1994]
  • 서정주의 신라정신과 남한 문학장
    김익균 동국대 박사논문 [2013]
  • 상황과 인간
    김주연 박문사 [1969]
  • 백 철 외 편, 『현대한국문학전집 1 오영수 박연희』
    신구문화사 [1965]
  • 레비나스의 타자철학
    윤대선 문예출판사 [2009]
  • 라깡의 재탄생
    김상환 창작과 비평사 [2002]
  • 라깡: 재현과 그 불만
    박찬부 문학과 지성사 [2006]
  • 김윤식 역, 『작가론』
    Leon Edel 삼영사 [1983]
  •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백 철 『현대문학』, 현대문학사 [1957]
  • 가정소설연구
    최시한 민음사 [1993]
  • 가라타니 고진, 송태욱 역, 『윤리21』
    사회평론 [2010]
  • 『현대한국문학전집 9 차범석 오유권 추식』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8 이호철』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7 오상원 서기원』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6 이범섬』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5 정한숙 전광용』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4 장용학』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3 손창섭』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2 유주현 강신재』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8 52인 시집』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7 13인 단편집』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6 최인훈』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5 이병구 한남철 남정현 이영우 강용준』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4 최상규 송병수 김동립』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3 하근찬 정연희 한말숙』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2 선우휘 』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1 박경리 이문희 정인영』
    신구문화사 [1965]
  • 『현대한국문학전집 10 곽학송 최일남 박경수 권태용』
    신구문화사 [1965]
  • 『현대시와 비평장르』
    문학과 지성사 [2009]
  • 『한낮의 별빛을 너는 보느냐』
    영언문화사 [1994]
  • 『한국현대문학대사전』
    권영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 『한국의 신화』
    김열규 일조각 [1999]
  • 『한국근대작가론고』
    김윤식 일지사 [1974]
  • 박사
  • 『한국 현대시 형성론』
    김재홍 인하대학교 출판부 [1985]
  • 『하이데거와 실존언어』
    이기상 문예출판사 [1991]
  • 『청교도 신앙 그 기원과 계승자들』
    서문강 생명의말씀사 [2013]
  • 『천상병은 시인이다』
    오상 [1984]
  • 『죽순』, 『처녀지』, 『문예』, 『新作品』, 『전선문학』, 『藝術集團』, 『현대문학』, 『신세대』,『협동』,『현대공론』,『현대시』,『사상계』, 『시문학』, 『문학』, 『여상』, 『월간문학』, 『자유문학』, 『현대시학』, 『女苑』, 『자유공론』,『창작과 비평』, 『詩人』, 『문학사상』, 『한국문학』, 『문예중앙』, 『동서문학』, 『문학정신』, 『외국문학』, 『세계의 문학』,『주간조선』,『상허학보』,『한국 혁명의 방향』
    2. 논문 및 평론강경화, 「년대 비평 인식과 현실화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1998 [1950]
  • 『주막에서 』
    민음사 [1979]
  • 『정지용 연구』
    김학동 민음사, , p.270 [1997]
  • 『장미밭의 전쟁』
    이어녕 문학사상사 [2003]
  • 『임종국 평전』
    정운현 시대의 창 [2006]
  • 『요놈 요놈 요 이쁜 놈!』
    답게 [1991]
  • 『안 읽는 사람들과 사는 세상』
    김선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1]
  •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나는 날』
    미래사 [1991]
  • 『시론』
    송훈 이우출판사 [1988]
  • 『새』
    천상병 조광출판사 [1971]
  • 『살아 있는 과거-한국문학의 어떤 맥락』
    창비 [2015]
  • 『분석심리학』
    이부영 일조각 [1987]
  • 『미학 오디세이』
    진중권 도서출판 새길 [1994]
  • 『문학논쟁집』
    태극출판사 [1976]
  • 『문학과 시대 현실』
    염무웅 창비 [2010]
  • 『라깡의 질서론과 텍스트적 재현』
    김경순 한국학술정보 [2009]
  • 『도적놈 셋이서』
    인의 [1989]
  • 『내 남편 윤이상』
    이수자 상, 창작과 비평사 [1998]
  • 『날개없는 새 짝이 되어』
    목순옥 청산 [1993]
  • 『나는 할아버지다 요놈들아』
    민음사 [1993]
  •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청산 [1993]
  • 『글동네에서 생긴일』
    문학세계사 [1999]
  • 『귀천』
    살림 [1989]
  • 『구름손짓하며는』
    문성당 [1985]
  • 「후설, 데카르트, 라깡의 주체 개념」
    홍준기 『철학사상』14,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2]
  • 「현대시와 서정-낡은 세대와 교체되는 신세대」
    김규동 조선일보, 년 6월 4일자 [1956]
  • 「한국 현대시의 원형 심상 연구」
    김종호 강원대 박사논문 [2006]
  • 「한국 순수시의 서정성 연구-천상병, 박용래 시를 중심으로」
    이경철 동국대 박사논문 [2007]
  • 「평화만 쪼으며 날아가 버린 파랑새」
    천승세 『천상병 전집-시』, 평민사 [1996]
  • 「통일을 위한 문학-분단의 주제론」
    박철희 『자하』2월호, 상명대학교 [1986]
  • 「탈속의 방외인, 노래하다」
    송희복 『우리말글교육』제7집, 우리말글학회 [2005]
  • 「청년문화의 역사와 과제」
    김창남 『문학과학』37호, 문학과학사 [2004]
  • 「천상병이라는 풍경」
    『풍경과 상처』, 문학동네 [1994]
  • 「천상병의 초창기 문학살이 연구」
    한정호 『영주어문』제18집, 영주어문학회 [2009]
  • 「천상병의 저항의식 연구」
    서경숙 『인문과학논문집』제51집, 대전대학교인문과학연구소, , 2 [2014]
  • 「천상병의 시의 모성회귀성 연구」
    문세영 전북대 석사논문 [2003]
  • 「천상병의 시세계」
    조병기 『인문논총』6, 동신대인문과학연구소 [1999]
  • 「천상병의 소릉조 연구」
    김권동 『인문과학연구』제15집, 대구카톨릭대 인문과학연구소 [2011]
  • 「천상병의 비평연구」
    김세령(Kim Se-Ryoung)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39집,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 6 [2008]
  • 「천상병의 무욕과 새」
    최동호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나는 날』, 미래사 [1991]
  • 「천상병의 <새>의 심상 연구」
    이진홍 『대구산업정보대학 논문집』제17집 [2003]
  • 「천상병을 찾아서」
    『괜찮다 괜찮다 다 괜찮다』, 강천 [1990]
  • 「천상병 전기시의 ‘새’와 가난」
    이필규 『북악논총』제18집, 국민대 대학원 [2001]
  • 「천상병 전기시 연구」
    김희정 서강대 석사논문 [2000]
  • 「천상병 씨의 시」
    『주막에서』, 민음사 [1979]
  • 「천상병 시의 초월지향성 연구」
    김영민 건국대 석사논문 [2002]
  • 박사
  • 「천상병 시의 세계인식 연구」
    김지은 경희대 석사논문 [2009]
  • 「천상병 시의 변모양상 연구」
    김지연 숙명대 석사논문 [2010]
  • 「천상병 시의 물 이미지 연구」
    김은정 『신경림의 시인을 찾아서』, 우리교육 [1998]
  • 「천상병 시의 도가적 특성」
    성낙희 『한중인문학 연구』17, 한중인문학회 [2005]
  • 「천상병 시의 공간과 시간」
    이자영 동아대 석사논문 [1997]
  • 「천상병 시연구 :세계인식을 중심으로」
    박지경 조선대 석사논문 [2008]
  • 「천상병 시에 나타난 불안 의식 연구」
    옥가희 경남대 석사논문 [2012]
  • 박사
  • 「천상병 시에 나타난 ‘가난’의 의미와 형식」
    이경수 『천상병 평론』, 답게 [2007]
  • 「천상병 시세계 연구」
    전현미 인천대 석사논문 [2003]
  • 박사
    「천상병 시 연구」
    방수연 창원대 석사논문 [2009]
  • 「천상병 시 연구」
    Ik-ho) 신익호 『한남어문학』제21집, 한남대 한남어문학회 [1996]
  • 「천상병 시 연구」
    박미경 동아대 석사논문 [1997]
  • 「천상병 시 연구」
    박성애 성신여대 석사논문 [2002]
  • 「천상병 시 연구」
    박순득 한남대 석사논문 [2006]
  • 「천상병 시 연구」
    이양섭 경희대 석사논문 [1992]
  • 「천상병 시 연구」
    이은규 한국교원대 석사논문 [2005]
  • 「천상병 시 연구」
    홍금연 강원대 석사논문 [2004]
  • 「천상병 시 연구-시 세계의 변모 양상을 중심으로」
    민경호 서남대 석사논문 [2000]
  • 「천상병 시 연구-동시적인 요소를 중심으로」
    강보미 명지대 석사논문 [2008]
  • 「천상병 시 연구-기독교적 세계를 중심으로」
    강성미 목포대 석사논문 [2006]
  • 「천상병 시 연구-그의 서정 경향에 관한 작품론적 고찰」
    문병욱 『성심어문논집』제22집, 카톨릭대 국어국문학과 [2002]
  • 「천상병 문학과 술 연관성 연구」
    정선희 동국대 석사논문 [2012]
  • 「천상병 문학 연구- -60년대 아비투스의 양상을 중심으로」
    서경숙 대전대박사논문, 2014 [1950]
  • 「죽음의 나르시시즘」
    맹정현 『Jurnal of Lacan & Contemporay Psychoanalysis』Vol. 13 No. 1 [2011]
  • 「정동초대석-40년 만의 귀향, 고(故) 윤이상 부인 이수자여사」
    최영진 주간경향743호, 년 9월 25일자 [2007]
  • 「전쟁과 시와 시인: 김춘수, 천상병, 신동문의 경우: 한국전쟁 시평론」
    이건청 『현대시학』65, 현대시학사 [1974]
  • 「장석주의 ‘한국문단 비사’-시인 천상병」
    장석주 한국경제, 년 6월 2일자 [2002]
  • 「잃어버린 서정, 잃어버린 세계」
    『천상병 전집』, 평민사 [1996]
  • 박사
  • 「유토피아를 향한 노래: 천상병론」
    강외석 『배달말』통권 42호, 배달말학회 [2008]
  • 「유고시집으로 살아 돌아온 천상병」
    정규웅 『글 속 풍경 풍경속 사람들』, 이가서 [2010]
  • 「예술가의 양심과 자유」
    『궁핍한 시대의 시인』, 민음사 [1987]
  • 「아웃사이더의 시학 : 천상병론」
    남기혁 『한국현대시의 비판적 연구』, 도서출판 월인 [2001]
  • 「아무것에도 묶이지 않는 ‘새’」
    박재삼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청산 [1993]
  • 「신태범의 부산문화 야사」
    신태범 국제신문, 년 12월 8일자와 2001년 2월19일자와 3월 1일자 [2000]
  • 「시인 김규태의 인간기행」
    김규태 국제신문, 년 8월 27자와 9월 3일자 [2006]
  • 「시와 시인을 찾아서 3-심온 천상병 편」
    홍용희 『시와시학』가을호, 시와시학사 [1992]
  • 「술고래열전-한국문주사」
    박태순 동아일보, 년 8월 2일자 [1991]
  • 「술, 가난, 그리고 시」
    서수경 『현대문학』, 현대문학사, , 8 [1987]
  • 「순결과 객관의 미학: 천상병 씨의 시」
    김우창 『창작과 비평』, 제14권 제1호,창비, 봄 [1979]
  • 「선생님과 함께 한 십년 세월」
    노광래 『문예운동』겨울호 통권 116호, 문예운동사 [2012]
  • 「서정적 주체 회복을 위하여」
    송기한 『서정시의 본질과 근대성 비판』, 다운샘 [1999]
  • 「서정의 변형」
    이봉래 조선일보, 년 3월 8일자 [1953]
  • 「서정시 이론의 새로운 고찰」
    박현수 『우리 말글』제40집, 우리말글학회 [2007]
  • 「생활과 문학의 핵심」
    김동리 『신천지』신년호 [1948]
  • 「새의 오뇌-천상병의 시」
    김성욱 『시문학』13, 시문학사, , 8 [1972]
  • 「새의 미학-헤르만 헤세와 천상병」
    류진상 『헤세연구』제22집, 한국헤세학회,, 12 [2009]
  • 「새로운 가능성의 시」
    홍기삼 『세계의 문학』13, 민음사, , 9 [1979]
  • 「브람스 현악6중주 제1번의 분석 연구」
    한송이 한양대 석사논문 [2011]
  • 「불」, 동아일보
    천상병 년 12월 17일자 [1956]
  • 「북괴대남공작 사건으로 구속된 시인 천상병」
    정규웅 『글 동네에서 생긴 일』,문학세계사 [1999]
  • 「보헤미안의 미학, 혹은 천진성의 시학」
    이경호 『현대시학』, 현대시학사, ,6 [1993]
  • 「백석의 시에 나타난 음식의 의미연구」
    소래섭 서울대 박사논문 [2008]
  • 「방법과 본질의 상극」
    천상병 세계일보, 년 1월 4일자와 1월 5일자 [1958]
  • 「방랑하는 시인의 혼」
    『시인의 빈손』, 소담출판사 [1994]
  • 「민중언어의 발견-다섯 분의 시를 중심으로」
    조태일 『창작과 비평』, 창비,봄 [1972]
  • 「미친 떠돌이의 투명한 시- 천상병 『새』」
    장영우 『소설의 운명, 소설의 미래』, 새미 [1999]
  • 「뮤즈가 노래한 시 이전의 시 - 천상병론」
    이남호 『녹색을 위한 문학』, 민음사 [1998]
  • 「문학지를 통해 본 문단 비사-50년대 “문예”지 전후」
    조연현 중앙일보, 년 7월 28일자 [1978]
  • 「문단 반세기」
    김병익 (27), 동아일보, 년 5월 23일자 [1973]
  • 「무위와 소멸의 시학-천상병론」
    이민호 『흉포와 와전의 상상력』, 보고사 [2005]
  • 「무욕의 정신과 자유인의 시: 천상병의 시세계」
    『현대시학』34권 2호,현대시학사 [2002]
  • 「무소유 또는 자유인의 초상」
    김재홍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청산 [1993]
  • 「무소유 또는 자유인의 초상」
    김재홍 『한국현대시인비판』, 시와시학사 [1994]
  • 「막걸리만 먹고 사는 시인 천상병」
    정호승 『천상병을 말하다』, 천승세 외, 답게 [2006]
  • 「독설재건」
    천상병 국제신문, 년 11월 14일자 [1963]
  • 「도플갱어-주체의 분열과 복제 그리고 언캐니」
    유현주 『독일언어문학 제49집』,독일언어문학연구회 [2010]
  • 「도박중독증에 대한 정신분석학적 고찰」
    『라깡과 현대정신분석』, 라깡과 현대정신분석학회 [2009]
  • 「누군가의 시 한편」
    김사인 『현대문학』통권 685호, 현대문학, , 10 [2009]
  • 「노장적 사유의 두 가지 모습」
    박남희 『한국시학연구』7권, 한국시학회 [2002]
  • 「년대 한국문학전집의 발간과 문학 정전의 실험 혹은 출판이라는 투기」
    이종호 『상허학보』32집, 상허학회. 2011 [1960]
  • 「년대 신세대론 연구」
    임승빈 『새국어교육』제82호, 한국국어교육학회,2009 [1950]
  • 「날개 꺾인 세대의식와 배반당한 혁명」
    홍기돈 『우리문학연구』제20집, 우리문학회 [2006]
  • 「날개 꺾인 세대의식과 배반당한 혁명」
    『천상병 평론』, 답게 [2007]
  • 「그래 그랬었지, 상병아 」
    신봉승 『나 하늘로 돌아가네』, 청산 [1993]
  • 「귀소의 새/순수의 초상: ‘새’와 ‘물’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천상병 평론』, 고영직 엮음, 도서출판 답게, 구중서, 「천상병의 시의 재평가」
    고봉준 『내일을 여는 작가』통권 33호, 작가회의출판부, 2003 [2007]
  • 「경남문단 그 뒤안길」
    강희근 경남신문, 년 1월 7일자 [2008]
  • 「거지시인이 온다」
    김규동 『실천문학』여름호 [2011]
  • 「가난과 고통을 이겨낸 시의 순결성-천상병 시대에 관한 회고적 단상」
    염무웅 『추모 20주기 천상문학포럼』, , 4, 27 [2013]
  • 박사
  • hauser, Arnold, 김진욱 역, 『예술과 소외』
    종로서적 [1982]
  • Zizek, Slavoj, 주은우 역, 『당신의 징후를 즐겨라:헐리우드 정신분석』
    한나래 [1997]
  • Zizek, Slavoj, 박정수 역, 『How to read』
    웅진 지식 하우스 [2007]
  • Widmer, Peter, 홍준기 역, 『욕망의 전복』
    한울아카데미 [2007]
  • Welzel, Hans, 박은정 역, 『자연법과 실질적 정의』
    삼영사 [2001]
  • Ward, Ivan, 태보영 역, 『공포증』
    이제이북스 [2002]
  • Steiger, Emil, 이유영 외 역, 『시학의 근본개념』
    삼중당 [1978]
  • Spranger, Eduard, 이상오 역, 『삶의 형식들』
    지만지 [2009]
  • Sartre, Jean Paul, 정소성 역, 『존재와 무』, 동서문화사, ,Sartre, Jean Paul, 박정태 역,『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이학사, 2008 [1994]
  • Sartre, Jean Paul, 손우성 역, 『존재와 무』
    삼성출판사 [1990]
  • Sartre, Jean Paul, 방곤 역,『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문예출판사 [1985]
  • Precht, Richard David, 백종유 역, 『나는 누구인가』
    21세기북스 [2008]
  • Philippe, Julien ,홍준기 역, 『노아의 외투』
    한길사 [2000]
  • Levinas, Emmanuel, 서동욱 역, 『존재에서 존재자로』
    민음사 [2003]
  • Levinas, Emmanuel, 김연숙?박한표 역, 『존재와 다르게- 본질의 저편』
    인간사랑 [2010]
  • Levinas, Emmanuel, 김동규 역, 『후설 현상학에서의 직관 이론』
    그린비 [2014]
  • Levinas, Emmanuel, 강영안 역, 『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6]
  • Lescourret, Marie-Anne, 변광배?김모세 역, 『레비나스 평전』』
    살림 [2006]
  • Lacroix, Alexandre, 백선희 역, 『알코올과 예술가』
    마음산책 [2002]
  • Kristva, Julia, 김인환 역, 『시적 언어의 혁명』
    동문선 [2000]
  • Krishnamurti, Jiddu, 권동수 역, 『자기로부터의 혁명』2
    범우사 [1999]
  • Kant, Immanuel, 이석윤 역, 『판단력 비판』
    박영사 [2003]
  • Jr., 황문수 역, 『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Calvin Springer Hall 범우사 [1991]
  • Joffe, Helene, 박종연?박해광 역, 『위험사회와 타자의 논리』
    한울아카데미 [2002]
  • Honneth, Axel, 문성훈, 이현재, 장은주, 하주영 역, 『정의의 타자』
    나남 [2009]
  • Herman, Judith 최현정 역, 『트라우마-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열린책들 [2012]
  • Heidegger, Martin, 신상희 역, 『숲길』
    나남 [2008]
  • Hartmann, Nicolai , 전원배 역, 『미학』
    을유문화사 [1974]
  • Habermas, Jurgen, 이진우 역, 『현대성의 철학적 담론』
    문예출판사 [1994]
  • Giddens, Anthony, 배은경?황정미 역, 『현대사회의 성, 사랑, 에로티시즘』
    새물결 [1996]
  • Gay, Peter, 정영목 역, 『프로이트 II』
    교양인 [2011]
  • Friedrich, Hugo, 장희찬 역, 『현대시의 구조-보들레르에서 20세기까지』
    한길사 [1996]
  • Freud, Sigmund, 홍혜경?임홍빈 역, 『정신분석 강의』
    열린 책들 [2004]
  • Freud, Sigmund, 정장진 역, 『프로이트 전집』14
    열린 책들 [1997]
  • Freud, Sigmund, 윤희기?박찬부 역,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03]
  • Freud, Sigmund, 윤희기 역
    『무의식에 관하여』열린 책들 [1997]
  • Freud, Sigmund, 박찬부 역,『쾌락원칙을 넘어서』
    열린책들 [1998]
  • Freud, Sigmund, 김정일 역,『성욕에 관한 세 편의 에세이』
    열린책들 [2003]
  • Frankl, Viktor Emil, 이시형 역, 『죽음의 수용소에서』
    청아출판사 [2005]
  • Eliade, Mircea, 정진홍 역, 『우주와 역사』
    현대사상사 [1976]
  • Eliade, Mircea, 심재중 역, 『영원회귀의 신화』
    이학사 [2003]
  • Easthope, Antony, 이미선 역, 『무의식』
    한나래 [2000]
  • Dona, Massimo, 김희정 역, 『디오니소스의 철학』
    시그마북스 [2010]
  • Deleuze, Gilles, 이정우 역, 『의미의 논리』
    한길사 [1999]
  • Carl Gustav Jung 편, 이부영 외 역,『인간과 무의식의 상징』
    집문당 [1995]
  • Benner, David, 이만홍 역, 『정신치료와 영적 탐구』
    하나의학사 [2000]
  • Benjamin, Walter, 반성완 역, 『발터 벤야민의 문예이론』
    민음사 [1983]
  • Baxter, Richard, 최치남 역, 『참 목자상』
    생명의말씀사 [2012]
  • Baudrillard, Jean, 하태환 역, 『시뮬라시온』
    민음사 [1994]
  • Bataille, Georges, 조한경 역, 『에로티즘』
    민음사 [1989]
  • 34인, 『천상병을 말하다』
    천승세 답게 [2006]
  • 박사
  • 1950년대
    고 은 민음사 [19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