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구분에 따른 과학사와 무용사의 연관성 연구

김은정 2016년
논문상세정보
'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구분에 따른 과학사와 무용사의 연관성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반 경영
  • 과학사
  • 무용사
  • 토마스 쿤
  • 패러다임 구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71 0

0.0%

' 토마스 쿤의 패러다임구분에 따른 과학사와 무용사의 연관성 연구' 의 참고문헌

  • 프로이트 심리학 입문(유상우 역)(중판). 서울 : 홍신문화 사
    Hall, C. S. (원서출판 1961) [2009]
  • 역사 속의 춤
    조앤카트 (김말복 역).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 부.(원서출판 1993) [1998]
  • 브리태니커 www
    britannica.co.kr/
  • 도서 https://books
    구글 google.co.kr/
  • 과학기술과 예술의 만남
    임경순 한국과학사학회지, 33(1), pp.161-191 [2011]
  • 『호세 리몽 테크닉』
    Lewis, D. (이정희 역). 서울 : 보진재출판사. (원서출판 1984) [1987]
  • 『현대무용 안무론』
    Humphrey, D. (송린 역). 서울 : 현대미학사(원 서출판 1958) [2012]
  • 『플럭서스』
    Block, R. (1판 3쇄)(전경희 역). 서울 : 열화당.(원서출 판 1983) [1995]
  • 『포스트 모던 댄스』
    Banes, S. (박명숙 역)(2판). 서울 : 삼신각.(원 서출판 1987) [1994]
  • 『쿤의 과학학명의 구조 해제』
    Preston, J. (박영태 역). 파주 : 서광 사.(원서출판, 2008) [2011]
  • 박사
    『컨템포러리댄스에 나타난 포스트모던댄스의 미적 특성과 기능』
    정은주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논문 [2012]
  • 『춤의 여신, 마사 그레함』
    Graham, M. (정명진 역). 서울 : 한국언 론자료간행회.(원서출판 1991) [1998]
  • 『춤의 언어』
    Wigman M. (윤계정 역). 서울 : 현대미학사.(원서출 판, 1963) [1994]
  • 『접촉즉흥에 의한 즉흥무용의 이해』
    Novack, C. J. (서진은 역). 서 울 : 금광.(원서출판 1990) [2000]
  • 『이사도라 덩컨의 무용에세이』
    Duncan I. (최혁순 역). 서울: 범우 사.(원서출판 1905) [2006]
  • 『움직임 표현 기하학』
    Dalby, J. Newlove, J. (신상미 역). 서울 : 대한미디어.(원서출판, 2004) [2006]
  • 『우주를 뒤흔든 7가지 과학혁명』
    Anderson B. D. Spielberg, N. (이충호 역)(1판 2쇄), 서울 : 새길 아카데미.(원서출판 1987) [2012]
  • 『에너지, 힘, 물질 : 19세기의 물리학』
    Harman, P. (김동원 김재영 역). 서울 : 성우.(원서출판 1982) [2000]
  • 『아폴로의 천사들 : 발레의 역사』
    Homans, J. (정은지 역). 서울 : 까치글방.(원서출판 2010) [2014]
  • 『서양과학사상사』
    Henry, J. (노태복 역). 서울 : 책과 함께.(원서출 판 2012) [2013]
  • 『서양 춤예술의 역사』
    Au S. (김채현 역). 서울 : 이론과 실천.(원 서출판 1988) [1990]
  • 『사상사 속의 과학』
    Hiroshige, T. Itoh, S. Murakami, Y. (남도현 역). 서울 : 다우.(원서출판 2002) [2003]
  • 『발레의 기초이론과 실기』
    Blasis, C. (김순정 역). 서울 : 씨네스 트.(원서출판 1820) [2010]
  • 『발레 현대무용』
    Anderson, J. (서진은 허영일 역). 서울 : 삶과 꿈. (원서출판 1994) [1996]
  • 『미국 현대무용가들』
    Maynard, O. (정옥조 역). 서울 : 솔.(원서출 판 1965) [1996]
  • 『물리학의 역사와 철학』
    Cushing, J. T. (송진웅 역)(1판 3쇄). 서울 : ㈜북스힐.(원서출판 1998) [2013]
  • 『문화와 예술의 사회사 4』
    Hauser, A. (백낙청 역)(1판 32쇄). 서 울: 창비.(원처출판 1951) [2013]
  • 『무용의 역사 II』
    Preauhommeau, G. (양선희 역). 서울 : 삼신각. (원서출판 1989) [1992]
  • 『무용수 그리고 그 무용 머스커닝 햄』
    Cunningham, M. Lesschaeve J. (장정윤 역). 서울 : 교학사.(원서출판 1985) [1997]
  • 『무용보의 역사와 실제』
    Guest, A. H. (김말복 조은숙 역). 서울 : 예전사.(원서출판 1998) [2001]
  • 『무용 예술의 이해』
    김말복 (1판 2쇄).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 『몸과 움직임 읽기』. 서울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신중섭 (1992). 『포퍼와 현대의 과학철학』
    김재리 신상미 파주 : 서광사 [2010]
  • 『동작분석과 표현』
    Laban R. Ullmann, L. (신상미 역). 서울 : 금 광.(원서출판 1980) [1993]
  • 『그림으로 보는 발레역사』
    Clark, M. Crisp, C. (김학자 역). 서울 : 도서출판 금광.(원서출판 1973) [1997]
  • 『과학혁명의 구조』
    Kuhn, T. (1962)(4판 4쇄)(김명자, 홍성욱 역). 서 울 : 까치.(원서출판 2012) [2014]
  • 『과학철학 : 과학의 역사 의존성』. 서울 : 철학과 현실사. 이찬주 (2008). 『춤예술과 미학』
    이상하 서울 : 금광 [2004]
  • 『과학의 적, 과학의 순교자; 갈릴레오』
    White, M. (김명남 역). 서 울 : ㈜사이언스북스.(원서출판 2007) [2009]
  • 『거울의 양면과 같은 발레예술과 과학』
    Paskevska, A. (신정희 역). 서울 : 금광.(원서출판, 1991) [2000]
  • 『17세기 궁중발레』
    Christout, M. (도정임). 서울 : 삼신각.(원서출 판 1987) [1990]
  • 「에너지대안을 찾아서」
    이필렬 서울 : 창작과비평사 [1999]
  • 박사
  • “코페르니쿠스 연구 : 사상의 기원과 과학사에서의 위치”
    임진용 경 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간행 논문 [2012]
  • “예술 전공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수업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변화의 특성”
    김희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미 간행 논문 [2011]
  • 박사
  • “미국의 초기 포스트모던댄스에 나타난 미니멀리즘에 대한 연구”
    엄성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논문 [1995]
  • “무용학의 융복합적 접근”
    박명숙 태혜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2), pp.605-615 [2012]
  • “르네상스 무용 예술 양식에 대한 연구 : 이태리와 프랑스를 중심으로”
    박경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논문 [1993]
  • “루돌프 라반, Rudolf Laban ‘움직임 공간’의 안무학적 특성- 공간조화,Space Harmony 이론을 중심으로”
    김재리 무용역사기록학, 31, pp.21-43 [2013]
  • “디자인에 있어서 카오스 이론과의 연관성과 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조윤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미간행 논문 [1997]
  • “과학기술과 19세기 음악의 시 청각적 변화”
    손민정 미학 예술학 연 구, 43, pp.124-154 [2015]
  • “ 17-18세기 유럽 바로크 댄스와 생물역학이 몸 움직임을 표 현하기 위해 사용한 어법(語法)간 상호연관성이 드러내는 사상적 배 경에 관한 고찰”
    김수인 무용예술학연구, 34, pp.29-60 [2011]
  • ‘합리주의의 과학철학,’(박영태 편저)『과학철학 : 흐름과 쟁 점, 그리고 확장』(3rd ed.)(pp
    신중섭 77-99) 파주 : 창비 [2014]
  • ‘제4강 과학사회학의 최근경향,’(한양대학교 과학철학교육위원 회 편)『인문사회계 학생을 위한 과학기술의 철학적 이해』(5판)
    홍성욱 서 울 : 한양대학교출판부, pp.72-90 [2010]
  • ‘이언 해킹의 서론’ (Kuhn, T.)『과학혁명의 구조』 (1962)(4판 4쇄)(김명자, 홍성욱 역). 서울 : 까치
    Hacking, I. (원서출판 2012), pp.7-50 [2014]
  • ‘역자 후기’(Block, R.)『플럭서스』(1판 3쇄)
    전경희 서울 : 열화당. pp.77-80 [1995]
  • ‘역자 해설’ (Kuhn, T.)『과학혁명의 구조』(1962)(4판 4쇄)(김명자, 홍성욱 역). 서울 : 까치
    김명자 홍성욱 (원서출판 2012), pp.342-351 [2014]
  • ‘역사주의 과학철학자 쿤,’(박영태 편저)『과학철학 : 흐름과 쟁점, 그리고 확장』(3rd ed.)(pp
    정병훈 100-130) 파주 : 창비 [2014]
  • ‘양자역학의 철학,’(박영태 편저)『과학철학 : 흐름과 쟁점, 그 리고 확장』(3rd ed.)(pp
    김유신 274-306) 파주 : 창비 [2014]
  • ‘아인슈타인의 상대론적 시간과 공간 개념,’(박영태 편저) 『과학철학 : 흐름과 쟁점, 그리고 확장』(3rd ed.)(pp
    김국태 249-273) 파주 : 창비 [2014]
  • ‘무용연구의 역사적 관점,’(Adshead-Lansdale, J., Layson, J., ed.)『무용사 연구』(김정수, 조승미, 황규자 역). 서울 : 도서출판 금광
    Layson, J. (원서출판 1994) [2013]
  • ‘논리실증주의,’(박영태 편저)『과학철학 : 흐름과 쟁점, 그리 고 확장』(3rd ed.)(pp
    박은진 61-76) 파주 : 창비 [2014]
  • ‘논리, 역사, 사회 : 과학철학의 변모,’(박영태 편저)『과학철 학 : 흐름과 쟁점, 그리고 확장』(3rd ed.)(pp
    송상용 479-495) 파주 : 창비 [2014]
  • ‘근대 과학철학,’(박영태 편저)『과학철학 : 흐름과 쟁점, 그 리고 확장』(3rd ed.)(pp
    김국태 15-60) 파주 : 창비 [2014]
  • Weaver, J. (1721). 『Anatomical and Mechanical Lectures Upon Dancin g』. Coenhill : Black Ball.
  • Vaughan, D. (1994). 『Merce Cunningham : Fifty years』. Philip Morris Co. Inc.
  • Unknown (May 1 1904). ‘Loie Fuller Introduces New Radium Dance,’ Los Angeles Herald, 215, p.10.
  • Thompson, P. S. (1910). 『Life of William Thomson Baron Kelvin of Largs』. New York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Pritchard, J. (2001). Excelsior: Document I Saggi/Document and Essay. The Journal of Society for Dance Research, 19(1), pp.108-115.
  • Preston-Dunlop, V. (1998).『Dance Words』(2nd ed.). Amsterdam: Harwood Academic Publishers.
  • Paskevska, A. (2004). 『Both Sides of the Mirror : The Science and Art of Ballet』(2nd. Ed.). NJ : Princeton Book Company.
  • Parkinson. G. (2004). Surrealism and Quantum Mechanics : Dispersal and Fragmentation in Art, Life, and Physics. Science in Context, 17(4), pp.557-577.
  • Parkinson, G. (2008). 『Surrealims, art and modern science : relativity, quantum mechanics, epistemology』. New Haven and London : Yale University Press.
  • Noverre, J-G. 『노베르의 편지』(육완순 역). 서울 : 도서출판 금 광
    (원서출판, 1804, 1930) [1987]
  • Noverre, J-G. (1804).『Lettres sur la danse et les ballet et les arts』(2nd ed.). St. Petersbourge : Schnoor.
  • Noverre, J-G. (1760). 『Lettres sur la danse et les ballet』. Lyon : Chez Aim Delaroche, ImprimeurLibraire du Gouvernement & de laVille.
  • Mozingo, A. K. (2010). Beyond the Gymnasium:Educating the Middle Class Bodies in Classical Germany, and: Rudolf Laban: The Dancer of the Crystal(review), Dance Research Journal, 42(2), pp.119-122.
  • McCaw, D. (2012).『Laban Sourcebook』. New York : Routledge.
  • Maletic, V. (2011). 『Approaches to Semiotics : Body - Space - Expression : The Development of Rudolf Laban's Movement and Dance Concepts』. Berlin : Walter de Gruyter.
  • MacLachlan J. 『지동설과 코페르니쿠스』(이무현 역). 서울 : 바다출판사
    Gingerich, O. (원서출판 2005) [2006]
  • Lustig H., Shepherd-Barr K. (2002). Science as Theater: From physics to biology, science is offering playwrights innovative ways of exploring the intersections of science, history, Art and modern life, 90(6), pp.550-555.
  • Laurenti, J-N. (1994). ‘Feuillet`s Thinking,’ (Louppe L., ed.)『Traces of Dance』(Holmes, B.,, Trans.)(pp.81-109). Paris : Dis Voir.
  • Laban R., Ullmann, L.(1976). 『Choreutics』. London : Macdonald & Evans Ltd..
  • Laban R.(1975). 『Laban`s Principle of Dance and Movement Notation』. London : MacDolnald & Evans LTD..
  • Laban R. Ullmann, L.(1980). 『The Mastery of Movement』(4th ed.). Plymouth : Macdonald & Evans Ltd..
  • L'Uomo fisico, intellettuale e morale, opera di Carlo de Blasis, adorna di figure e di tavole in rame
  • Kuhn. S. T. (1985). 『The Copernican Revolution』(1957)(2nd ed.). London : Harvard University Press.
  • Kerstein, L. (1984). 『Four Centuries of Ballet : Fifty Masterworks』. New York : Dover Publications, Inc.
  • Hawkins E. (1992). 『The Body is a Clear Place : And other Statements on Dance』. Princeton : Princeton Book Company.
  • Harris-Warrick, R., Marsh, G. C. (2005). 『Musical Theater』.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Harris, C. (1999). ‘The Influence of The Alexander Technique On Modern Dance Aestheics.’ Performance Journal, 19, pp.18-19.
  • Hammond, N. S. (2006). The French Style and Period. Dance Chronicle, 29(3), pp.302-316.
  • Hammond, N. S. (1995). Ballet`s Technical Heritage: The Grammaire of L opold Adice.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Dance Research, 13(1), pp.33-58.
  • Hammond, N. S. (1984). Clues to Ballet`s Technical History from the Early Nineteenth-Century Ballet Lesson. The Journal of the Society for Dance Research, 3(1), pp.53-66.
  • Guest, I. F. (1966). The Romantic Ballet in Paris. Princeton : Princeton Book Co.
  • Guest, A. H. (1990). Dance Notation. Perspecta, 26, pp.203-214.
  • Gallini, G. (1762). 『Treatise on the Art of Dancing』. London.
  • Fuller, L.(1913) 『Fifteen Years of a Dancer's Life』(France, A., Trans.). London : Herbert Jenkin Ltd.(1908)
  • Feuillet, A. R. (1706). 『Art of Dancing』(Weaver, J., Trans.). London : Black Fryar.(1701)
  • Feuillet, A. R. (1701). 『Chor graphie, ou L'art de d crire la dance』(2nd ed.). Paris : Chez l'auteur et chez Michel Brunet.
  • Fairfax, E. (2003). 『The Styles of Eighteenth-Century Ballet』. Lanham : Scarecrow Press, Inc.
  • Erick Hawkins Technique의 특성과 교육적 가치
    최상철 ( Sang Cheul Choe ) 한국무 용교육학회지, 16(1), pp.115-128 [2005]
  • Eddy, M. (2009). A brief history of somatic practices and danc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field of somatic education and its relationship to dance. Journal of Dance and Somatic Practice, 1, pp.5-27.
  • Dorris, G. (2000). Two Ballet Sensations :Excelsior and th Ballet of the Nuns. Dance Chronicle, 23(3), pp.329-337.
  • Despr aux, J.- . (n.d.). 『L`art de la danse』. Unpublished.(Homans
    /2014 재인용) [2010]
  • Despr aux, J.- . (n.d.). 『L`art de la danse』. Unpublished.
  • Dell, C. (1995). 『a primer for Movement description』(2nd ed. 5th Print). New York : Dance Notation Bureau, Inc.(1970).
  • D rr, E. (2007). 『Rudolf Laban : The Dancer of the Crystal』. MD : Scarecrow Press.
  • Current, R. L., Current, M. E. (1997). 『Loie Fuller, Goddess of Light』. Boston : Northeastern University Press.
  • Copeland, R. (2004). 『Merce Cunningham』. New York, London : Routledge.
  • Cohen, S. J. (1990).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Danc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 Cohen, J. S., (1992). 『Dance as a Theater Art』(2nd ed.). Princeton : A Dance Horizons Book Princeton Book Company.
  • Coffman, E. (2002). Woman in Motion: Loie Fuller and the “Interpenetration” of Art and Science. Camera Obscura, 17(1), pp.73-105.
  • Clarke, M., Vaughan, D. (1977). 『The Encyclopedia of dance & ballet』 England : Pitman.
  • Chujoy, A., Manchester, P. W. (1967). 『The dance encyclopedia』. New York : Simon and Schuster.
  • Brandstetter, G. (2005). The Code of Terpsichore The Dance Theory of Carlo Blasis: Mechanics as the Martix of Grace*, TOPOI 24(1), pp.67-79.
  • Blasis, C. (1976). 『The Code of Terpsichore』(Barton R, trans.)(2nd ed.). New York : Dance Horizons.(1928).
  • Blasis, C. (1830). 『The Code of Terpsichore』(Barton R, trans.)(2nd ed.). New York : Dance Horizons.(1928).
  • Berson, J. (2009). Rudolf Laban: The Dancer of the Crystal(review). The Drama Review 53(1), pp.159-160.
  • Beaumont, W. C. (1930). 『Letters on Dancing and Ballets』. London : C. W; Beaumont.
  • Bartenieff I., Lewis, D. (2002). 『Body Movement : Coping with the Environment』. New York : Routledge.
  • Archives Nationales, Biblioth que Nationale, (1988). 『Danseurs et Ballets de l`Opera de Paris』. France : Archives Nationales.
  • Arbeau T. (1589). 『Orch sographie』. D. Gu niot.
  • (Lecturer) Feb. 14). Insight, Ballet Evolved - At the court of Louis XIV.[Lecture] London: Royal Opera House
    Hageli, U. (from : https://www.youtube.com/watch?v=LDtpDlCf94g&index=8&list=PLFEuShF vJzBww3lVbFABGB0HbIxNQ2TiA) (방문일 : 2015. 10. 10.) [2014]
  • (1859). 『Th orie de la gymnastique de la danse th trale』. impr. de N. Chaix. (Homans
    Leopold, A. /2014 재인용) [2010]
  • (1857). 『L'Uomo fisico, intellettuale e morale, opera di Carlo de Blasis, adorna di figure e di tavole in rame』. tipogr. Guglielmini.(Homans
    Blasis, C. /2014 재인용)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