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 용설화 연구 : 전승집단의 수용양상을 중심으로 한 고찰

박다원 2016년
논문상세정보
' 한국 용설화 연구 : 전승집단의 수용양상을 중심으로 한 고찰'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민간집단
  • 설화
  • 승려집단
  • 지배집단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86 0

0.0%

' 한국 용설화 연구 : 전승집단의 수용양상을 중심으로 한 고찰' 의 참고문헌

  • 李恩奉, 韓國古代宗敎思想, 集文堂, 1984.
  • 柳增善, 龍神思想과 說話文學, 語文學, 通卷11號
    韓國語文學會 [1964]
  • 龍說話에 關한 一考察
    한순화 梨花女子大學校敎育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78]
  • 龍思想의 韓國文學的受容樣相
    李惠和 高麗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88]
  • 金烈圭, 龍女傳承과 再生主旨, 國文學論集
    檀國大學校國語國文學科 [1970]
  • 金鎭煥, 龍神思想에 관한 考察, 동국사상 제18집
    동국대학교 불교학회 [1985]
  • 金鍾雨, 佛敎의 ‘龍’觀念과 處龍歌, 睡蓮 7輯
    釜山女子大學校 [1972]
  • 金煐泰, 新羅佛敎에 있어서의 龍神思想, 佛敎學報 11輯
    東國大學校佛敎文化硏究所 [1974]
  • 龍사상과 한국고전문학
    이혜화 깊은샘 [1993]
  • 한국의 설화
    김화경 지식산업사 [2002]
  • 한국문학통사 1
    조동일 지식산업사 [2005]
  • 한국 용설화의 역사적 전개
    이동철 민속원 [2005]
  • 한국 신화의 원류
    지식산업사 [2005]
  • 처음 읽는 부여사
    송호정 사계절 [2015]
  • 이야기 치료와 이야기의 세계
    고미영 청목출판사 [2004]
  • 용, 그 신화와 문화-한국편
    서영대 송화섭 민속원 [2002]
  • 신라시가의 연구
    윤영옥 형설출판사 [1980]
  • 삼국유사의 설화를 통해 본 <토착-외래>의 관계유형 , 국어교육 134
    박진태 한국어교육학회 [2011]
  • 삼국유사 설화 속의 龍
    지역과역사 27 [2010]
  • 구조에서 감성으로
    김성도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3]
  • 高麗史
  • 三國遺事에 나타난 龍神說話硏究所載‘龍’傳承硏究, 강남어문 7
    천소은 강남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2]
  • 三國遺事 所載山神關聯記事와 그 性格에 대한 一考察, 종교와문화 9
    하정룡 서울대학교 종교문제연구소 [2003]
  • 三國遺事 所載‘龍’傳承硏究-敍述構造와 變貌樣相을 중심으로-
    金文泰 成均館大學校博士學位論文 [1990]
  • 헌화가의 심층 , 새국어교육 33
    강등학 한국국어교육학회 [1981]
  • 박사
    한국설화에서 용신신앙의 수용 양상과 의미 연구
    이동철 한양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불교 속의 산신신앙 연구-삼국유사에 나타난 산신신앙을 중심으로-, 한국불교사연구 3
    한국불교사연구소 [2013]
  • 한국문화상징사전편찬위원회. 한국문화상징사전
    동아출판사 [1992]
  • 전남 용설화 연구
    한정훈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일리아데 ․ 강응섭 옮김
    미르치아 신화 ․ 꿈 ․ 신비, 숨 [2002]
  • 신라의 건국신화와 국가제의 , 한국사학보 55
    채미하 고려사학회 [2014]
  • 신라 황룡사의 창건과 진흥왕의 왕권 강화 , 한국고대사연구 72
    최선자 한국고대사학회 [2013]
  • 신라 호국용신의 실상과 변모-삼국유사 소수 설화를 중심으로- , 牛岩斯黎 8
    정상진 부산외국어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7]
  • 신라 하대의 불교와 정치 , 동양정치사상사 7
    박희택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 신라 말 고려 초의 사회변동과 불교 , 내일을 여는 역사 17
    김남윤 내일을 여는 역사 [2004]
  • 승천하는 용(龍)설화의 통과의례적 의미 , 인문논총 34
    조성담 경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 수로부인 설화의 의미 , 한민족문화연구 18
    한민족문화학회 [2006]
  • 선덕여왕(善德女王) 대 <풍요(風謠)>의 불교정치적 의미, 우리文學硏究39
    김명준 우리문학회 [2013]
  • 문학적 제재로서의 용(龍)의 변용(變容) , 국어국문학 100호
    김대숙 국어국문학회 [1988]
  • 龍神創寺說話의 형성과 의미
    이준곤 口碑文學硏究 3 [1996]
  • 黃浿江, 新羅佛敎說話硏究, 一志社, 1975.
  • 韓國龍說話의 起源과 象徵的意味硏究
    邊榮錫 高麗大學校敎育大學院碩士學位論文 [1987]
  • 韓國龍說話硏究
    정은주 全南大學校碩士學位論文 [1993]
  • 韓國說話의 原始宗敎思想硏究
    朴湧植 一志社 [1984]
  • 韓國神話와 原初意識
    全圭泰 二友出版社 [1985]
  • 韓國巫敎의 歷史와 構造
    柳東植 延世出版部 [1978]
  • 韓中龍傳承의 政治宗敎的比較硏究
    高福升 慶熙大學校大學院박사학위논문 [2014]
  • 陳壽, 三國志
  • 金惠婉, 新羅下代의 彌勒信仰, 成大士林 8
    成均館大學校史學會 [1992]
  • 金富軾, 三國史記
  • 都珖淳, 韓國道敎의 史的硏究, 도교학연구 7
    한국도교학회 [1991]
  • 趙現鐘, 韓國初期稻作文化硏究, 全南大學校碩士學位論文, 2008.
  • 趙奭來, 李朝小說에 介入된 龍설화 , 語文學 通卷27號
    韓國語文學會 [1972]
  • 護國龍說話의 傳承樣相과 神人關係, 韓國民俗學 13輯
    임재해 韓國民俗學硏究會 [1980]
  • 說話學綱要
    曺喜雄 새문사 [1989]
  • 許愼, 說文解字
  • 蔡守煥, 王建의 高麗建國過程에 있어서 豪族勢力, 白山學報 82
    백산학회 [2008]
  • 管仲, 管子
  • 百濟武王系譜와 執權基盤, 백제문화 34
    이도학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05]
  • 田寬秀, 朱蒙神話의 古代天文學的硏究, 동방학, 16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08]
  • 河孝吉, 새(鳥)・王船考, 韓國民俗學 11輯
    韓國民俗學硏究所 [1979]
  • 民間信仰을 中心으로 한 智異山華嚴寺迦藍의 造營思想에 관한 硏究, 농촌건축학회논문집 2
    이동영 최효승 농촌건축학회 [2002]
  • 權相老, 韓國古代信仰의 一臠, 佛敎學報 1
    東國大學校佛敎文化硏究所 [1963]
  • 林治均, 水路夫人說話小攷, 冠嶽語文硏究 12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87]
  • 朴桂弘, 韓國民俗硏究, 螢雪出版社, 1982.
  • 朴桂弘, 古代龍神思想에 關한 硏究, 韓國語文文學 6
    韓國語文學會 [1969]
  • 新羅神話의 考古學的硏究(1) : 三國遺事의 赫居世神話와 金閼智神話를 中心으로 ,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지 11
    이은봉 新羅文化宣揚會 [1990]
  • 新羅憲康王代정치세력과 정치운영
    김영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 新羅中代의 성립과 神文王의 王權强化, 호남문화연구 24
    박해현 全南大學校湖南文化硏究所 [1996]
  • 新羅下代佛敎界의 動向
    金福順 신라문확 10 ․ 11 [1994]
  • 張正泰, 韓國佛敎와 民間信仰의 習合關係硏究, 한국의청소년문화 17
    한국청소년효문화학회 [2011]
  • 巫俗信仰이 韓國佛敎에 끼친 影響-山神閣과 長栍을 中心으로- , 白山學報 26
    최광식 白山學會 [1981]
  • 崔柄憲, 道詵의 生涯와 羅末麗初의 風水地理說, 한국사연구 11
    한국사연구회 [1975]
  • 尹敬洙, 龍의 象徵論, 현대문학 9-4
    현대문학사 [1963]
  • 古典小說의 龍宮說話硏究
    全駿杰 東國大學校碩士學位論文 [1979]
  • 全基雄, 憲康王代의 정치상황과 ‘處容郞望海寺’條설화 , 신라문화 26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05]
  • 佛敎經典의 사상이 한국 傳統信仰에 끼친 영향-天神(太陽) 산신(山神) 수신(龍)思想을 중심으로-
    金德原 韓國古代史探究 12 [2012]
  • 一然, 三國遺事
  • 「한국 설화의 꿈화소 연구」
    최명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大東金石書> 所載‘包川某寺碑’와 海龍王寺圓悟大師, 목간과문자 5
    최연식 한국목간학회 [2010]
  • , 增補韓國民俗學槪論, 螢雪出版社,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