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미술표현을 통한 기독교 중년 부부의 대화여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An Ontological Into Journey of Conversation Middle-Aged Christian Couples Through Art Expression

이은주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미술표현을 통한 기독교 중년 부부의 대화여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An Ontological Into Journey of Conversation Middle-Aged Christian Couples Through Art Express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기독교
  • 대화여정
  • 미술표현
  • 부부
  • 존재론적 탐구
  • 중년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68 0

0.0%

' 미술표현을 통한 기독교 중년 부부의 대화여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 An Ontological Into Journey of Conversation Middle-Aged Christian Couples Through Art Expression' 의 참고문헌

  • 회상을 적용한 콜라주미술치료가 알츠하이머형 치매노인의 기억력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민정 대구대학교 [2011]
  • 한국가족 구조의 변화
    공세권 서울: 한국인구보건연구원 [1987]
  • 통계청 2010 인구 주택 총조사 전수 결과 심층 분석을 위한 연구
    서울: 한국인구학회 [2010]
  • 콜라주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결혼이주여성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감소에미치는 영향
    양윤정 이근매 미술치료연구, 20(6), 1225-1246 [2013]
  • 콜라주 미술치료
    靑木智子 이근매 서울: 학지사 [2010]
  • 취업부부의 역할 갈등과 심리적 디스트레스에 대한 대처방식, 자아존중감 및 성역할 정체감의 중재효과. 박사학위논문
    이주희 숙명여자대학교 [1999]
  • 청소년 자녀가 인지한 부부갈등 유형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홍명선 대구대학교 [2013]
  • 지성에서 영성으로
    이어령 경기도: 열림원 [2011]
  • 중년부부의 삶의 의미: 코오리엔테이션 모델 적용. 박사학위논문
    김유정 한양대학교대학원 [2009]
  • 중년기부부의 의사소통부재로 인한 위기극복과 교회활성화. 박사학위논문
    윤창섭 장로회신학대학교 목회전문대학원 [2012]
  • 중년기 이후의 부부 사랑
    정동섭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12, 156-179 [2006]
  • 중년기 성인의 중년기위기감이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인원교 서남대학교 대학원 [2012]
  • 중년기 부부의 배우자 용서하기, 용서받기와 심리적 안녕감 및 부부적응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장다은 부산대학교 [2015]
  • 중년기 부부의 건강한 부부관계 요인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경진 연세대학교 [2011]
  • 중년기 부부 위기와 기독교상담
    김미경 복음과 상담, 15, 137-159 [2010]
  • 중년기 남성 위기와 심리적 요인과의 관계성 연구. 박사학위논문
    강덕진 총신대학교 목회신학전문대학원 [2011]
  • 중년기 기혼남녀의 부부친밀감에 관한 연구: 자아정체감, 부부의사소통, 양성평등의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우명순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 중년 리모델링
    임경수 서울: CUP [2006]
  • 좋은 남편 좋은 아내가 되려면
    이영애 정동섭 경기도: 엔크리스토 [2010]
  • 종교적 실존과 지성
    이민호 한국키에르케고어학회, 2, 106-125 [2005]
  • 종교심리학
    박노권 대전: 목원대학교 출판부 [2006]
  • 존재의 성장과 교육
    박세원 경기: 교육과학사 [2010]
  • 장애아동을 둔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대한 연구: 부부간의 의사소통과 남편의 역할수행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대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9]
  • 인간해명의 실존적 근거 : M. Heidegger 현존재 개념의 실존적 의미를 중심으로
    강기수 이상현 교육사상연구, 15, 1-17 [2005]
  • 인간발달 이해와 기독교 상담
    서울: 학지사 [2007]
  • 이야기치료
    양유성 서울: 학지사 [2005]
  • 이야기 심리학과 기독교상담
    정석환 한국기독교상담심리치료학회지, 3(26), 1-35 [2002]
  • 이야기 속성과 치유
    고미영 교수논총, 11, 7-30 [2000]
  • 의미치료 집단 프로그램이 내재적 종교성향, 긍정적 종교적 대처, 삶의 의미 및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손정락 최명심 한국심리학회지, 28(3), 853-875 [2009]
  • 융의 심리학과 종교
    김성민 경기도: 동명사 [2009]
  • 여가활동과 행복한 노후생활의 향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김명자 한양대학교대학원 [1993]
  • 애착손상을 경험한 부부를 대상으로 한 애착손상해결모델의 적용: 용서과정과 관계회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정화 단국대학교 [2013]
  • 아동이 지각한 부모간 갈등 및 사회적 지지와 KSD 반응특성의 상관연구. 석사학위논문
    민선현 대구대학교 [2008]
  • 심리학이 모르는 기독교
    서울: 학지사 [2013]
  • 실존 철학에 나타난 기독교의 인간이해-키아케고어를 통한 기독교적 인간이해
    김용일 새한철학회 철학논총, 64(2), 129-149 [2011]
  • 신앙성숙도 및 영적 안녕과 용서의 관계: 기독대학생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한은경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3]
  • 성숙에 관한 기독상담학적 연구: 정신분석 및 인본주의 심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안석 신학과 실천, 32, 397-427 [2012]
  • 성숙에 관한 기독교 상담학적 연구. 박사학위논문
    문기수 서울기독대학교 [2013]
  • 색의 상징성에 기초한 아동화의 색채심리 재해석. 석사학위논문
    이현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 상담자 발달 수준, 마음챙김 및 역전이 관리 능력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김준혜 이화여자대학교 [2009]
  • 사티어의 빙산의사소통방법
    김영애 서울: 김영애가족치료연구소 [2010]
  • 사실혼 관계에 있는 부부의 갈등해소를 위한 단기대상관계 부부미술치료. 석서학위논문
    김종숙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3]
  • 부부탐구
  • 부부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부부미술치료 사례연구. 석사학위논문
    이경숙 대구대학교 [2011]
  • 부부의 의사소통 행태의 세대별 특성과 변천과정 연구
    이두원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17(1), 129-151 [2009]
  • 부부의 위기에 대한 용서경험과 결혼만족도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최인숙 한일장신대학교 기독교사회복지대학원 [2005]
  • 부부역할 수행과 생활만족도. 석사학위논문
    한광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부부미술치료에 나타난 부부이해의 과정에 관한 존재론적 탐구. 석사학위논문
    최성미 영남대학교 [2015]
  • 부부갈등이 아동의 내면화 및 외현화 문제에 미치는 영향: 아동의 지각된 부부갈등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박사학위논문
    이민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1999]
  • 부부갈등대처 및 용서와 결혼만족도. 석사학위논문
    배미자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03]
  • 부부갈등과 자아개념간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
    류승희 숙명여자대학교 [2001]
  • 부부간 가치관 차이와 오해 및 부부갈등: 의사소통의 효과. 석사학위논문
    황민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 부부 의사 소통 및 친밀감 증진을 위한 교류 분석적 미술치료 사례
    백경미 최외선 미술치료연구, 18(5), 1113-1133 [2011]
  • 부모의 갈등과 양육태도가 아동의 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정옥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4]
  • 미술치료학
    주리애 서울: 학지사 [2010]
  • 미술치료가 부부 지체장애인의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김선혜 순천향대학교 건강대학원 [2007]
  • 박사
    미술의 심상적 표현을 위한 색채연구
    황정아 단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 마음을 나누는 미술치료
    최외선 서울: 학지사 [2012]
  • 노인의 죽음준비 및 용서가 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 우울 및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문남숙 청주대학교 대학원 [2009]
  • 기혼남녀의 용서와 관련변인 연구: 용서과정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서신화 상명대학교 [2008]
  • 기독교인 용서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박사학위논문
    오오현 계명대학교 [2002]
  • 기독교 윤리의 중심 주제로서 “사랑”에 대한 연구: 조셉 플레처의 “상황윤리”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자호 한신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 기독교 상담의 실제
    전요섭 서울: 한국복음문서간행회 [2001]
  • 교류분석-집단미술치료가 부부친밀감과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오명선 영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공감화법의 실태와 교육 방안 연구. 박사학위논문
    경은정 인하대학교 [2015]
  • 고등학생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변인탐구: 부모의 부부갈등, 부모로부터의 심리적 독립,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김경보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 가족미술치료가 가족구성원간의 의사소통과 상호존중 및 가족 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구미례 백석대학교 [2007]
  • 가족과 가족 치료
    송성자 경기도: 법문사 [1995]
  • 가정복지학
    조흥식 서울: 학지사 [2004]
  • 가정 내 역할수행공평성이 가정생활 및 교직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김미영 창원대학교 [2011]
  • 色彩自由自在. 박필임 옮김(2008). color는 doctor
    Suenaga, T. 서울: 예경 [1988]
  • 『질적 연구방법론 1 : Bricoleur』
    김영천 경기도: 아카데미프레스 [2012]
  • 『중년기 발달』
    김명자 서울: 교문사 [1998]
  • 『이해의 선물』
    박세원 경기도: 교육과학사 [2013]
  • 『성인 노인심리학』
    정옥분 서울: 학지사 [2008]
  • Young, M.(2005). A Qualitative Inquiry into the Experience of Healthy Couple Relationships. Idaho State University.
  • Young, M.(2004). Healthe Relationships: Where’s the reserch? Family Journal: Counseling and Therapy for Couples & Families, 12(2), 159-162.
  • Winch, R.(1958). Mate Selection: A Study Of Complimentary Needs. New York: Harper and Brothers.
  • White, J. & White, M. (1980). The Christian in Mid-life. Colorado Spring: NAV.
  • Westerhoff, J.(1976). Will Our Children Have Faith?. New York: The Seabury Press.
  • Wallerstain, J. S. & Blakeslee, S. (1995). The Good Marriage : How and Why Love Lasas. NY: Wamer Books.
  • Van Manen, M.(1990). Rese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for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New York: University Press.
  • Udry, R.(1971). The Social Context Of Marriage. New York: Lippincott C.
  • To Understand Each Other. 정동섭 옮김 서로를 이해하기 위하여
    서울: 한국기독학생회츨판부 [2010]
  • The Transforming Moment. 이기춘, 김성민 역(1988). 삶이 변형되는 순간
    Loder, J. E.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81]
  • The Stories We Live by. 양유성, 이우금 공역(2015). 이야기 심리학
    McAdams, D. P. 서울: 학지사 [1993]
  • The Logic of the Spirit. 유명복 옮김 영의 논리
    서울: 기독교문서선교회 [2006]
  • The Invitation. 우계숙 역(2003). 초대
    Dreamer, O. M. 서울: 정신세계사 [1999]
  • The Four Seasons of Life. 한준석 역(1981). 인생의 네 계절
    Tournier, P. 서울: 종로서적 [1972]
  • The Denial of Death. 김재영 옮김(2008). 죽음의 부정
    Becker, E. 경기도: 인간사랑 [1973]
  • The Courage to Be . 차성구 역(2012). 존재의 용기
    Tillich, P. 서울: 예영커뮤니케이션 [1952]
  • The Childhood Emotional Pattern in Marriage. 정방자 역(1996). 행복한 결혼, 멋있는 이혼 : 결혼의 심리적 이해
    Saul, L. J. 서울: 학지사 [1979]
  • Systematic Theology Vol.Ⅱ. 유장환 역(2003). 조직신학
    Tillich, P. 서울: 한들출판사 [1951]
  • Symbols and Their Meanings. 김병화 옮김(2007). 상징이야기
    Tresidder, J. 서울: 도솔출판사 [2000]
  • Stinnett, N. & DeFrain, J. (1985). Secret of Strong Families. Boston: Litter, Brown.
  • Steven, C.(2005). The Tree of Life: Models of Christian Prayer. Grand Rapids: Bakers.
  • Stages of Faith. 사미자 역(2002). 신앙의 발달단계
    Fowler, J. W. 서울: 한국장로교 출판사 [1987]
  • Sprey, J.(1971). On the management of conflict and violence.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33(1), 41-51.
  • Snir, S., & Wiseman, H.(2013). Relationship patterns of connectedness and individuality in couples as expressed in the couple joint drawing method. The Art in Psychotherapy, 40, 501-508.
  • Sherrill, L. J.(1955). The Gift of Power. New York: Macmillan.
  • Sheehy, G. (1995). New passages. New york: Ballantine Books.
  • Sein und Zeit, 전양범 역(2008). 존재와 시간
    Heidegger, M. 서울: 동서문화사 [1927]
  • Rosenberg, M.(1983). A Model for Nonviolent Communication. Philadelphia: New Society Publishers.
  • Roots of Empathy : Changing the world Child by Child. 문희경 역(2010). 공감의 뿌리
    Gordon, M. 서울: 샨티 [2009]
  • Rodman, H.(1972). Marital power and the theory of resources in culture context. Journal of Comparative Family Studies, 3(spring), 50-69.
  • Rauer, A. J.(2006). Identifying Happy, Healthy Marriages for Man, Women and Children. University of Michgan.
  • Ramsey, P.(1952). Basic Christian Ethics.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 Ortlund, R. & Ortlund, A.(1976). The Best Half of Life. Ventura, Calif. : Regal.
  • Naumburg, M.(1955). Art as symbolic speech. Journal of Aestbetics and Art Criticism, 12, 435-450.
  • Murstein, B. I.(1987). Feedback. A Clarification and extension of SVR theory of dyadic paring.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9(4), 929-933.
  • Muhlbauer, V. & Chrisler, J. C. (2007). Women Over 50: Psychological Perspectives. New London: Springer.
  • Michel. A. Sociologie De La Famille et Du Mariage. 변화순, 김현주 역(2007). 가족과 결혼의 사회학
    서울: 한울아카데미 [1972]
  • Men in Mid-life Crisis. 한성열 역(1996). 흔들리는 중년기
    Conway, J. 서울: 학지사 [1978]
  • Mead G. H.(1934). Mind, Self and Societ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McFague. S.(1987). Model of God: Theology for Ecological, Nuclear Age. Philadelphia: Fortress.
  • McDaniel, J. B.(1989). Of God and Pelicans: A Theology of Reverance for Life. Louisville: Westminster/ John Knox Press.
  • May, R.(1981). Freedom and destiny.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 Maslow, A. H.(1943). A Theory of Human 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370-396.
  • Markey, J.(1992). Instrument of the Spirit : The Role of the Spiritual Director in the Writings of John. Studies Formative Spirituality, 13, 13-28.
  • Man's Search for Meaning. 이시형 역 죽음의 수용소에서
    경기도: 청아출판사 [2012]
  • Life Cycle Theory and Pastoral Care. 문희경 역(2002). 인간발달과 목회적 돌봄
    Capps, D. 서울: 이레서원 [1983]
  • Lewis, R. A.(1973). A longitudinal test of a development framework for premarrital dyadic formation. Journal of Marriage and Family, 35.
  • Levinson, D. J. (1978). The seasons of a man’s life. New York: Knopf.
  • Le Compte, M. D., Preissle, J., & Tesch, R.(1993). Ethnography and qualitative design in educational reserch. San Diego: Academic Press,.
  • Kerkoff, A. C. & Davis, K.. E.(1962). Value consensus and need complementarity in mate sele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7, 295-303.
  • Justin K. L.(2000). Male Mid-life Crisis, Psychogical Dynamics, Theological Issues, and Pastoral Interven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of America.
  • Jung, C. G.(1933). Modern Man in search of a Soul. New York: A Harvest, HBJ Book.
  • Jesus and Community. 정한교 역(2000). 예수는 어떤 공동체를 원했나
    Lohfink, G. 왜관: 분도출판사 [1984]
  • J. B. 멕다니엘의 생태신학 연구: 탈가부장 주의와 불교와의 대화를 바탕하여. 신학사상, 133
    이정배 여름호, 129-154 [2006]
  • Introduction to Picture Interpretation. 이유경 역(2010). 융 심리학적 그림해석
    Theodor, A. 서울: 분석심리학 연구소 [2005]
  • Introduction to Christian Worship. 정장복 역(2002). 기독교예배학 입문
    White, J. 서울: 예배와 설교아카데미 [2000]
  • Ich und Du. 표재명 역(1995). 나와 너
    Buber, M. 서울: 문예 출판사 [1923]
  • Hoffman, M. L.(1977). Intelligence and the development of moral judgment in chilrden.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130(1), 27-35.
  • Gottman, J. M.(1993). The roles of conflict engagement, and avoidance in marital interaction : A longitudinal view of five types of coupl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2, 6-15.
  • Gadamer, H-G.(1990). Wahrheit und Methode. Grundzϋ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Tϋbingen: J. C. B. Mohr.
  • Gadamer, H-G.(1984). Truth and method. New York: The Crossroad Publishing Company.
  • Fuller, R.(1988). Religions and Life Cycle. Philadelphia: Fortress.
  • Franklin, M.(1967). Christian Warship. Nashiville: Broadman Press.
  • Frankl, V. E.(1966). What Is Meant by Meaning. Journal of Existentialism, 7, 21-28.
  • Forgiving Our Parents Forgiving Our Selves. 정성준 역(2008). 부모를 용서하기 나를 용서하기
    Masteller, J. Stoop, D. 경기도: 예수 전도단 [1996]
  • Forgiveness is a choice. 채규만 역(2004). 용서치유: 용서는 선택이다
    Enright, R. D. 서울: 학지사 [2001]
  • Family Art Psychotherapy. 김진숙 역(2008). 가족미술심리치료
    Landgarten, H. B. 서울: 학지사 [1987]
  • Existential Psychotherapy. 임경수 역(2007). 실존주의 심리치료
    Yalom, I. 서울: 학지사 [1980]
  • Erikson, E.(1964). Insight and Responsbility. New York: Norton & Company.
  • Enright, R. D. & the Human Development Study Group(1992). Interpersonal forgiveness within the helping professions: An attempt to resolve differences of opinion. Counseling and Values, 36, 84-103.
  •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장연집 옮김(2012). 미술심리치료학
    Wadeson, H. 서울: 시그마프레스 [1987]
  • Divorce Busting. 이인수, 최대헌, 최명구 공역(2007), 부부의 심리학
    Weiner-Davis, M. 서울: 학지사 [1992]
  • Collins, Gary.(1988). Christian Counseling. Waco, Texas: Word.
  • Clinbell, H.(1977). Growh Counseling for Mid-Years Couples. Nashville: Abingdon Press.
  • Clandinin, D. J., & Connelly, F. M. (2000). Narrative inquiry: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San Francisco: Jossey Bass.
  •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이기문 역(2003). 기독교 교육적 종교교육
    Groome, T. H. 서울: 장로교출판사 [1980]
  • Child Art Therapy. 고빛샘 옮김(2010). 아동미술치료
    Rubin, J. A. 서울: 知와 사랑 [2005]
  • Busch, C. M., Zonderman, A. B., & Costa, P. T.(1994). Menopausal transition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a nationally representative sample: Is menopause associated with psychological distress? Journal of aging and Health, 6, 209-228.
  • Burr, W. R. Hill., F. I. Ney., & I. L. Ress(eds).(1979). Con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Vol. 1; Vol, 2, New York: The Free Press.
  • Build Your Christian Character. 이순근 역(1987). 그리스도인의 인격개발
    Raldwin, S. C. 서울: 엠마오 [1940]
  • Browing, D.(1975). Generative man: Psychoanalytic perspectives. New York: Delta Press.
  • Blood, R. O. & Wolfe, D. M.(1960). Husbands and Wives. New York: The Free Press.
  • Betensky, M.(1976). The phenomenology of approach to art expression and art therapy. Art Psychotherapy, 4, 173-179.
  • Berger, P.(1967). The Sacred Canopy. New York: Random House.
  • Berger, P. & Kellner, H.(1974). Marriage and the construction of social reality. Diogenes, 46, 1-24.
  • Benson, M. J., Larson, J. H., Wilson, S. M., & Demo, D. H.(1993). Family of origin influence on late adolescent romantic relationships. Journer of Marriage and Family, 55, 663-672.
  • Bell, J. E.(1964). The family group therapist: An agent of change. International Journal of Group Psychotherapy, 14, 72-83.
  • Basic Types of Pastoral Care and Counseling. 박근원 역 목회상담신론
    서울: 대한예수교 장로회 총회출판국 [1987]
  • Art Therapy An Introduction. 김진숙 역 미술치료학 개론
    서울: 학지사 [2007]
  • Art Psychotherapy. 장연집 외 6명 공역 임상미술치료학
    서울: 시그마프레스 [2012]
  • Arp, David & Claudia.(1996). The Second Half of Marriage. Grand Rapids, MI: Zondervan.
  • Approaches to Art Therapy: Theory And Technique. 주리애 역 이구동성 미술치료
    서울: 학지사 [2005]
  • Adams, B. N.(1980). The Family. New York: Rand McNally College Publishing Company.
  • A Hidden Wholeness: The Journey Toward an Undivided Life. 윤규상 옮김(2007). 온전한 삶으로의 여행
    Palmer, P. J. 서울: 해토 [2004]
  • ?현대 예배학?
    김소영 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93]
  • . ber den Humanismus. Frankfurt: Vittorio Klosterman.
  • . Upbuilding Discourses in Various Spirits.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 . The point of view for My Work as an Author. New York: Harper Torchbooks.
  • . The Theory and Practice of Group Psychotherapy. New York: Basic Books.
  • . Psychological Type. London: Bollingen Series.
  • . Idend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Norton & Company.
  • . I and Thou. New York: Charles Scribner.
  • . Gandhi's Truth: On the Origins of Militant Non-violence. New York: Norton & Company.
  • . Fear and Trembl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 . Between Man and Man. New York: Macmillan.
  • (1849). Sygdommen til d den. 김용일 역 죽음에 이르는 병
    Kierkegaard, S.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