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조직문화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한은하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조직문화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사회복지기관
  • 사회복지사
  • 이직의도
  • 조직 효과성
  • 조직문화 유형
  • 직무만족
  • 직업의식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015 0

0.0%

' 조직문화유형이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Effects of Types of Organizational Culture on the Turnover Intention of Social Workers' 의 참고문헌

  • 환대산업 종사원 성과가 직업만족도․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경력단계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서윤원 석사학위논문 [2008]
  • 호텔종사원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선민수 석사학위논문 [2005]
  • 호텔기업의 리더십․조직문화․몰입․ 이직의도 간의 관계분석, 동명대학교 대학원
    정봉명 박사학위논문 [2011]
  • 현대조직학
    이상진 형설출판사 [1990]
  • 행정학 연구와 조직문화: J. Martin의 조직문화의 세 가지 관점
    이종범 한국행정학보, 28(2), 707-717 [1990]
  • 행정조직문화와 성과사례에 관한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황창현 박사학위논문 [2002]
  •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http://www
    hinet.or.kr (검색일: [2015]
  • 한국인의 직업의식조사
    김병숙 한국직업능력 개발원, 414-424 [1997]
  • 한국인의 직업의식 및 직업윤리실태: 기업구성원의 직업의식과 직업윤리
    이영현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8]
  • 한국사회복지관협회 http://www
    welfare.net (검색일: [2015]
  • 한국노인복지관협회 http://www
    kaswcs.or.kr (검색일: [2015]
  • 한국기업의 조직문화유형과 조직특성간의 관련성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서인덕 박사학위논문 [1986]
  • 학교조직문화와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대한 다차원적 인식과 관계에 관한 연구: 강원도 초 중 고등학교 교직원을 중심으로,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영석 박사학위 논문 [2010]
  • 피부관리사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가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산업대학원
    전승신 석사학위논문 [2008]
  • 태권도사범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권순관 석사학위논문 [2013]
  • 카지노 종사원이 인식하는 조직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이승영 석사학위논문 [2009]
  • 직업윤리
    성기중 형설출판사 [1990]
  • 직무만족 수준에 따른 기본심리욕구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일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황혜원 박사학위논문 [2014]
  • 지방공무원의 직무만족 요인에 관한 실험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권승언 박사학위논문 [2002]
  • 중소병원 간호사의 조직문화․직무스트레스․이직의도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문정혜 석사학위논문 [2012]
  • 중간관리자의 리더십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영정보대학원
    손성민 석사학위논문 [2011]
  • 종업원의 직무만족이 고객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경기지역 자동차 부분정비업체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최성희 석사학위논문 [2005]
  • 조직행동론
    양창삼 세경사 [1993]
  • 조직문화인식이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조직신회 및 심리적 주인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순경 석사학위논문 [2012]
  • 조직문화유형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변혁적리더십과 거래적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동신대학교 대학원
    권환진 박사학위논문 [2011]
  • 조직문화유형과 조직특성간의 관련성 연구, 전남대학교 대학원
    나대웅 박사학위논문 [1994]
  • 조직문화와 조직 효과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혜남 박사학위논문 [1996]
  • 조직문화가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강흥구 박사학위논문 [2001]
  •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공항운영 공기업을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제윤 석사학위 논문 [2011]
  • 조직문화 유형이 조직몰입과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카지노 기업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대학원
    유경미 박사학위논문 [2012]
  • 조직구조․문화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SEM기법의 적용, 영남대학교 대학원
    주효진 박사학위 논문 [2004]
  • 재가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송미지 석사학위논문 [2013]
  • 재가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영애 박사학위논문 [2015]
  • 장애인활동보조인 직업의식과 직무환경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성대학교 대학원
    금희정 석사학위논문 [2010]
  • 장애인복지관 직원들이 인지하고 있는 조직문화유형에 관한 연구: 서울지역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안상희 석사학위논문 [2004]
  • 장기요양기관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김희경 석사학위논문 [2013]
  • 자발적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제약산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경영대학원
    송규상 석사학위논문 [2000]
  • 임상간호사의 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김현숙 석사학위논문 [2009]
  • 임상간호사의 이직반응에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허혜경 석사학위논문 [1982]
  •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직무특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박옥신 삭사학위논문 [2011]
  •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직무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이지혜 석사학위논문 [2011]
  •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유선 석사학위논문, 순천대학교 사회문화예술대학원 [2012]
  •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과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경란 석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2010]
  • 요양보호사의 성격특성과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연구: 직업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대학원
    노영수 석사학위논문 [2012]
  • 요양보호사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진애 석사논문 [2009]
  • 요양보호사 교육수료자의 직업의식 및 윤리에 관한 연구, 순천대학교 대학원
    이부심 석사학위논문 [2009]
  • 업무환경이 아동복지시설 종사자의 소진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자기효능감의 매개, 조절효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오희경 박사학위논문 [2012]
  • 소방조직문화가 조직시민행동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박미경 석사학위논문 [2009]
  • 서비스산업 종사자의 직무만족이 서비스 품질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원주순 석사학위논문 [2008]
  • 생활시설과 이용시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유혜영 석사학위논문 [2006]
  • 새조직론
    이창원 최창현 대영문화사 [2006]
  • 상업 스포츠 조직의 조직사회화 및 조직문화와 조직 유효성의 관 계
    문대성 천길영 한국체육학회지, 40(3), 452 [2001]
  • 산업사회의 직업윤리: 근로계층의 윤리의식과 노사관계
    박종철 아산사회복지사업재단, 369-371 [1981]
  • 사회복지생활 종사자의 직무만족
    남선이 남승규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8(3), 1-30 [2006]
  • 사회복지사의 직무특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소진과 직무만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이현우 석사학위논문 [2015]
  •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도와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수퍼바이저 스타일과 직무스트레스의 조절효과,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원도연 석사학위논문 [2014]
  • 사회복지사의 조직헌신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김성희 석사학위논문 [2000]
  • 사회복지사의 이직의도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이연순 석사학위논문 [2005]
  • 사회복지사의 사회자본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김혜련 석사학위논문 [2014]
  • 사회복지사가 인식한 기관 책임성 및 투명성과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심임섭 석사학위논문 [2007]
  • 사회복지사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경기도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김용순 석사학위논문 [2006]
  • 사회복지관 일선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결정 변인에 관한연구
    김경희 정은주 사회연구, 7(2), 107-131 [2006]
  • 비서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윤경 석사학위논문 [2003]
  • 볼링 지도자들의 직업의식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오승현 석사학위논문 [2009]
  • 병원 근무 간병인의 직업의식과 업무 만족
    강은정 석사학위논문, 인제대학교 대학원 [2006]
  • 리더십유형에 따른 조직문화와 구성원의 직무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임승희 석사학위논문 [2001]
  • 리더십유형과 조직문화가 군 조직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성대학교 대학원
    구형회 박사학위논문 [2009]
  • 대전지역 사회복지사의 전문직업의식과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승은 석사학위 논문, 대전대학교 경영행정사회복지대학원 [2007]
  • 단체장의 리더십과 조직문화특성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서울지역 장애인복지관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연만흠 석사학위논문 [2009]
  • 노인장기요양운영센터 직원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을 중심으로,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김온규 석사학위논문 [2013]
  • 노인의료복지시설 조직구성원의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고강호 박사학위논문 [2007]
  • 노인요양시설 조직문화유형이 요양보호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이선영 박사학위논문 [2011]
  •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꽃동네대학교 대학원
    이춘교 석사학위논문 [2014]
  • 노인요양병원 간병인의 직업의식 및 직무스트레스와 이직의도의 관련성, 조선대학교 보건대학원
    서영주 석사학위논문 [2011]
  • 노인복지시설의 조직문화가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지역 장기요양기관을 중심으로,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김안나 석사학위논문 [2010]
  • 노인복지시설 요양보호사의 직업의식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윤숙정 석사학위논문 [2015]
  • 기혼 여성 사회복지사의 가족의 지지․직무환경․직무만족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목원대학교 대학원
    맹수현 석사학위논문 [2015]
  • 구성원의 경력정체 지각이 이직의도 및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력단체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김장현 석사학위논문 [2007]
  • 경호업무의 직업의식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대학원
    최민 석사학위논문 [2005]
  • 경찰관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윤호연 박사학위논문 [2015]
  • 건강가정지원센터 종사자들의 직무만족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광운대학교 정보복지대학원
    박성희 석사학위논문 [2010]
  • 거시조직론
    김인수 무역경영사 [2005]
  • 간병인의 직업의식 및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아주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최연숙 석사학위논문 [2004]
  • 組織文化와 組織效果性의 관계
    이명재 사회과학연구(상명대학교), (8), 149-179 [1995]
  • 『전략경영론』
    유기현 무역경영사 [2003]
  • “행정조직 문화 유형에 따른 관료행태의 실증적 연구”
    도운섭 한국행정논문집, 11(2), 287-302 [1999]
  • “기업 문화와 조직성과”
    신유근 경영론집 [1985]
  • Wuthnow, R. and Witten, M.(1988). New Direections in The Study of Culture, Annual Review of Sociology. 14, 62.
  • Woodward, Joan.(1965). Industrial Organization: Theory and Practice,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 Williams, R. M.(1992) The Concept of Values in David L. sills (ed.),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al Sciences, Vol 16. Crowell, Collier & Macmillan.
  • Weick, K.(1979). The Social Psychology of Organizing. Reading, MA: Addison-Wesley.
  • Weber, Max. (1947). The Theory of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 N.Y.: The Free Press
  • Vroom, V. H.(1991). Work and Motivation. San Francisco : Jossey-Bas
  • Thompson, James D. (1967). Organizations in Action. New York: McGraw Hill.
  • Talyor, Frederick. W.(1947). Scientific Management. New York: Harper & Brothers.
  • Steiger, J. H. (1990). Structural Model Evaluation and Modification : An Interval Estimation Approach, Multivariate Bebavioral Researcb, 25, 173-80.
  • Selznick, P.(1957). Leadership In Administration: A Sociological Interpretation. New York: Harper and Row.
  • Selznick, P.(1949). TVA and the Grass Roots. Berkeley, C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Scott, W. Richard.(1997a, 1998). Organizations: Rational, Natural, nd Open Systems, New Jersey: Prentice-Hall.
  • Scott, W. Richard.(1987a, 1998). Organizations : Rational, Natural, and Open Systems, New Jersey, Prentice-Hall.
  • Schein, E. H.(1985). Coming to a New Awareness of Organizational Culture. Sloan Management Review. Winter, 3-16.
  • Sathe, V. J.(1985). Culture and Related Corporate Realities. Homewood, IL: Irwin.
  • Rindskopf, D.(1984). Using Phantom and Imaginary Latent Variables to Paramenterize Constraints in Linear Structural Models, Psychometrika, 49, 37-47.
  • Quinn, R. E. (1988). Beyond Rational Management. San Francisco : Jossey-Bass Inc
  • Pfeffer, J. & Salancik, G.(1978). The External Control of Organizations: A Resource Dependence Perpective. New York: Harper & Row.
  • Peter, T. J. & Waterman, J. R. H. (1982) In Search of Excellence. New York: Harper & Row Publishers.
  • Pascale, R. T. & Athos, A. G. (1981).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New York: Penguin Books.
  • Morgan. G.(1986). Images of Organization. Beverly Hills, CA: Sage
  • Morgan, G.(1998). Image of Organization: The Executive Edi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Mobley, W. H. (1982). Employee Turnover: Cause, Consequences, and Control, M. A. Addision-Wesley
  • McGregor, D.(1960). The Human Side of Enterprise. New York: McGraw-Hill
  • McGregor, D.(1957). An Uneasy Look at Performance Appraisal. Harvard Business Review, 35: 89-94.
  • Martin, J.(2002). Organizational Culture: Mapping the Terrai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 Marsh, H. W., J. R. Balla, and R. P. Mcdonald(1988). Goodness-of-Fit Indices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 The Effect of Sample Size, Psychological Bulletin, 103, 391-410.
  • March, James G. & Simon, Herbert A.(1958). Organizations, New York: John Wiley and Sons
  • Macho, S., and T. Ledermann. (2011). Estimating, Testing, and Comparing Specific Effects in Structural Models : The Phantom Model Approach, Psychological Methods, 16(1), 34-43
  • MacCormick, E. J., Ikgen, D. (1985).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8th edition, New York, NY : Prentice Hall
  • Leifer, R.(1989). Understanding Organizational Transformation Using a Dissipative Structure Model. Human Relations, 42(10): 899-916.
  • Lawrence, P. R. & Lorsch, J. W.(1969). Developing Organizations: Diagnosis and Action. Reading, MA: Addison-Wesley Publishing Co.
  • K대학병원 간호사의 조직문화유형 인식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성훈 석사학위논문 [2012]
  • Kalleberg, A.L.(1977). Work Values and Job Rewards: A Theory of of Job Satisfac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p156-180.
  • J reskog, K. G. and D. S rbom(1993). LISREL 8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the SLMPLIS Command Language,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 Hofstedem, G. H.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 in Work-Related Values. Sage Publications.
  • Hofstede, G., Neuijen, B., Ohayv, D. D., & Sanders, G. 1990. Measuring organizational cultures: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tudy across twenty case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 286-316.
  • Hofstede, G. (2001). Culture’s Consequences: Comparing Values, Behaviors,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cross Nations. Thousand Oaks, CA.; Sage.
  • Herzberg, F. B.(1966). The Work and the Nature of Man, Cleveland, OH; The World Publishing Company.
  • Herting. J. R. and H. L. Costner(1985). Respectation in Multiple Indicator Models, In H. M. Blalock(Ed.), Causal Model in the Social Science, NY. Aldine, 321-93.
  • Hersey, P. & Blanchard, K. H. (1982, 1984). Management of Organizational Behavior: Utilizing Human Resources.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 Henry, Nicholas,(1975, 1992). Public Administration and Public Affairs.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Hall
  • Harmon, Michael M. & Mayer, R. T.(1986). Organization Theory for Public Administration. Boston, Little, Brown and Co.
  • Hannan, M. & Freeman, J. (1984). Structural Inertia and Organizational Change.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9, 149-164.
  • Hall, R. (1991, 2002). Organizations: Structurec, Processes, and Outcomes. New Jersey, Prentice-Hall.
  • Hall, R. & Tolbert, P. S.(2005). Organizations: Structurec, Processes, and Outcomes. New Jersey, Prentice-Hall.
  • Green Hofstede의 조직문화 비교방법의 비판적 고찰, 한국행정학회
    이용규 이종수 정경일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 [2001]
  • Gordon, G. G. & DiTomaso, N.(1992). Predicting Corporate Performance from Organizational Culture. Journal of Management Studies. 29(6), 783-798.
  • Goffee, R. & Jones, G. (2000),”Managing people”, Harvard Business Review paperback.
  • Ginsberg, E.(1952).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252-270.
  • Fayol, H.(1949). General and Industrial Management. London: Pitman.
  • DiMaggio, P., & Powell, W. 1983.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48: 147–160.
  • Deresky, H.(2002). Global Management: Strategic And Interpersonal, Upper Saddle River, N.J., Prentice Hall
  • Deal, T. E. and Kennedy, A. A.(1982). Coporate Cultures: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ading. MA, Addison-Wesley.
  • Cheung, G. W. L.(2007), Comparison of Approaches to Constructing Confidence Intervals for Mediating Effects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14(2), 227-46
  • Carmines, E. and J. Mclver(1981). Analyzion Models with Unobserved Variables,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In G. Bohrnstedt and E., Borgatta (Eds.), Social measurement : Current Issues, Beverly Hills, Calif., Sage.
  • Burns, T. & Stalker G. (1961). The Management of Innovation. London: Tavistock.
  • Browne, M. W. and R. Cudeck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In K. A. Bollen and J. S. Long (Eds.),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Newbury Park, Calif., Sage
  • Bentler, P. M., and D. G. Bonett.(1980). Significance Tests and Gooddness of Fit in the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Psycbological Bulletin, 88, 588-606.
  • Bentler, P. M.(1990). Rites, Wrong, and Gold in Model Tes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7(1), 82-91.
  • Bentler, P. M.(1990). Comparative Fit Indexes in Structural Models, Psychological Bulletin, 107, 238-46.
  • Barnard, Chester I.(1952). The Functions of Status System. In R. Merton and Associates.(eds.), Reader in Bureaucracy. New York: Free Press.
  • Barnard, Chester I.(1938). The Functions of the Executive. Mass, Harvard Univ. Press.
  • Barber, G. (1986). Correlates of Job Satisfaction among Human Service Workers, Administrationin Social Work, 10(1), 25-39.
  • Anderson, J. C., and D. W. Gerbing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 411-23.
  • Alderfer, C. (1972). Existence, Relatedness and Growth. New York NY: The Free Press.
  • Alderfer(1967). Convergent Discriminant Validation of Satisfaction and Desire Measures by Interviews and Questionnaires, Journal of Applied Psycology, Vol. 51, No. 6
  •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분석
    김계수 한나래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