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중 수교 이후 북한-대만 관계 연구 : 전략적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 (The)Study on North Korea and Taiwan relations afte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Lin Chih Hao 2016년
논문상세정보
' 한중 수교 이후 북한-대만 관계 연구 : 전략적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 (The)Study on North Korea and Taiwan relations afte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남북한관계
  • 대만
  • 북한
  • 북한-대만관계
  • 양안관계
  • 전략적 삼각관계
  • 중국
  • 타이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626 0

0.0%

' 한중 수교 이후 북한-대만 관계 연구 : 전략적 삼각관계를 중심으로 = (The)Study on North Korea and Taiwan relations after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formal diplomatic relations' 의 참고문헌

  • ,2004, “從兩岸關係的變遷探討兩岸關係的定位(下).” 遠景基金會季刊. 5(1) : 95-124
  • , 2010, 『兩岸政治地位探索』, 台北: 生智出版社.
  • , 1998, 『兩岸主權論』, 台北:生智出版社.
  • 한중교류 협력 발전사: 수교이후 정치경제관 계
    신상진 허시유(何喜有) 서울: 이매진 [2003]
  • 통일학술정보센터, 『남북관계연표 1948년~2009년』
    서울: 통일연구원 [2010]
  • 통일교육원 교육개발과, , 『북한이해 2013』
    서울: 통일연구원 [2013]
  • 박사
    중국의 남북한 통일에 대한 입장변화 고찰
    리상근 단국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5]
  • 조선중앙통신사, , 『조선중앙년감 1973년』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1973]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 『북한의 당 국가기구 군대』
    서울: 한울 [2007]
  • 북한의 선군외교
    서훈 서울: 명인문화사 [2008]
  • 북한과 대만을 제물로 손잡는 미ㆍ중 밀약설 - ‘6자회담 배후에서는 김정일 추방이’
    우에무라 고찌 북한, (388): 180-190 [2004]
  • 북한 현대사
    와다 하루끼(和田春樹) 서울: 창비 [2012]
  • 민족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 , 『탈 냉전기 중북관계 변화 연구』
    서울:민족 통일연구원 [1995]
  • 김일성종합대학, , 『김일성종합대학학보: 사회과학 제60권 2호』
    평양: 김일 성종합대학 출판사 [2014]
  • 魏志江. 2009, 『冷戰後中韓關係研究』, 廣州: 中山大學出版社.
  • 陳峰君王傳劍, 2002, 『亞太大國與朝鮮半島』,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阮虹. 2009, 『中韓劫機外交: 卓長仁劫機案與漢城談判內幕』, 北京: 當代中國出版社.
  • 錢其琛. 2004, 『外交十記』, 北京: 世界知識出版社.
  • 金祥波. 2012, 『朝鮮對外戰略史研究』,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鄧小平, 1993, 『鄧小平文選第一卷』, 北京: 人民出版社.
  • 郭震遠, 2000, “錯誤的類比與真實的用心: 台灣問題不能仿效朝韓模式”, 兩岸關係. 8(-): 5-8.
  • 邵宗海,2003, “從兩岸關係的變遷探討兩岸關係的定位(上).” 遠景基金會季刊. 4(-) : 1-34
  • 邵宗海, 2013, 『中共對台政策:1979-2013』, 台北: 唐山.
  • 趙玉芬, 2011, “中韓建交及對朝鮮半島局勢的影響(1992-2001)”, 碩士學位論文, 延邊 大學.
  • 趙暢, 2011,“從均勢態度看尼泊爾小國外交”. 學術探索, No.8: 33-38.
  • 趙春山, 2013, 『兩岸關係與大陸政策』, 台北: 三民書局.
  • 謝益顯, 2009.『中國當代外交史: 1949-2009』,北京: 中國青年出版社.
  • 蔡東杰, 2001, 『兩岸外交策略與對外關係』, 台北: 高立圖書.
  • 祈懷高, 2004. “冷戰後的中韓關係研究”, 碩士學位論文. 武漢大學.
  • 石之瑜, 1998, 『兩岸關係概論』, 台北: 揚智出版社.
  • 王蓉霞, 1999. “淺析中韓建交原因”. 山西大學學報(哲學社會科學版), 3(-): 72-76.
  • 王曉波, 2001, “朝鮮半島問題與台灣問題的緣由、性質及解決方式比較”, 東疆學刊, 18(1): 14-17.
  • 王建民, 2009. “新世紀以來海峽兩岸關係與朝韓關係發展變化之比較”, 台灣研究, 2(-):6-11.
  • 涂志堅. 唐欣偉, 2001, “從整體觀點看柯林頓時期的美中台戰略三角”, 遠景基金會季 刊Vol.2(No2): 136-175
  • 楊昭全孫艷妹. 2013, 『當代中朝中韓關係史上卷』,長春: 吉林出版社.
  • 楊丹偉, 2007, 『解析台灣的大陸政策』, 北京: 群言出版社.
  • 林秋山, 2011, 『前進兩韓: 與北韓交流二十年』, 台北: 國史館.
  • 林孝庭, 2015, 『台海 冷戰 蔣介石:1949-1988解密檔案中消失的台灣史』,台北: 聯經.
  • 李華鋒, 2007. “朝鮮半島問題與台灣問題異同比較論”.高校社科動態, 4(-): 21-28.
  • 李登輝,1999, 『台灣的主張』,台北: 遠流出版社.
  • 朱立熙, 1994, 『再見阿里郎: 台韓關係總清算』, 台北: 克寧出版社.
  • 張瑞杰, 2010, “中韓建交往事回顧”. 百年潮. 8(-): 32-37.
  • 張慧智.2012.“朝鮮半島戰略調整與東北亞大國關係互動”, 社會科學戰線, 4(-): 156-161
  • 張庭延, 1994, “出使韓國有感”, 當代韓國, 1(-): 28-29.
  • 張值榮,洪庭杓, 2004.『當代中國外交新論』,香港: 勵志出版社.
  • 張亞中. 左正東, 2013, 『國際關係總論』, 台北: 揚智出版社.
  • 張亞中, 2011, 『一中同表或一中各表:記兩岸統合學會與聯合報的辯論』, 台北: 生 智出版社.
  • 崔顯星, 2007, “試論中韓建交對兩國國家利益的影響”,碩士學位論文, 外交學院.
  • 崔志鹰,2009,「朝鲜半岛:多视角全方位的扫描剖析」,上海:同济大学出版社.
  • 外交年鑑編輯委員會, 1999, 『中華民國外交年鑑(民國88年)』, 台北: 外交年鑑編輯 委員會.
  • 吳玉山, 2004, 『共產世界的變遷』, 台北: 東大圖書.
  • 吳玉山, 1997, “兩岸關係的理論詮釋.” 政治科學論叢. 8(-): 259-280
  • 台灣史
    黃秀政 台北: 五南 [2011]
  • 包宗和. 吳玉山, 2012, 『重新檢討爭辯中的兩岸關係理論』, 台北: 五南.
  • 劉雪蓮. 霍雪輝,2007,“中國在朝鮮半島的地緣安全分析”,東北亞論壇, 16(5): 50-56.
  • 劉金質等四人, 2006,『中國與朝鮮半島國家關係文件資料彙編上』, 北京: 世界知 識出版社.
  • 劉金質, 2002, “全面發展的鍾韓合作發展關係”,國際政治研究,85(-): 43-52.
  • 劉豐譯, 2009. 『現實主義與國際政治』,北京: 北京大學 出版社.
  • 劉潔,2010, “試論台海局勢緩和對東北亞地區安全形勢的影響”,東北亞論壇, v.19(02): 30-35.
  • 劉國奮,2000, “李登輝務實外交綜評”, 台灣研究, 2000年第三期: p.78.
  • 中華人民共和國外交部亞洲司, 2007, 『中國-韓國政府間主要文件集』,北京: 世界 知識出版社.
  • 中華人民共和國外交部, 2011, 『中國外交: 2011年版』, 北京: 世界知識出版社.
  • 『현대북한의 이해』
    서울: 역사비평사 [2005]
  • 『한중관계론』
    송영유 서울: 지영사 [1993]
  • 『한중 수교20년』
    공봉진 서울: 한국학술정보 [2012]
  • 『한중 수교 밑뿌리 이야기』
    윤해중 서울: 이지출판 [2012]
  • 『통일문제이해 2013』
    서울: 통일연구원 [2013]
  • 『탈냉전기 중 북한관계 변화연구 』
    안인해 서울: 민족통일연구원 [1995]
  • 『조선중앙년감 1994년』
    평양: 조선중앙통신사 [1994]
  • 『조선민주주의민주공화국 대외관계사 2』
    평양: 조선외국문출판 사 [1989]
  • 『조선민주주의민주공화국 대외관계사 1』
    박태호 평양: 조선외국문출판 사 [1989]
  • 『전환기의 한국외교』
    이상옥 서울: 삶과 꿈 [2003]
  • 『북한이해의 길잡이- 전환기의 북한사회』
    김성철 서울: 박영사 [1999]
  • 『북한의 외교정책과 대외관계: 협상과 도전의 전략적 선택』
    김계동 서 울: 백산서당 [2002]
  • 『두 개의 중국과 실리외교』
    홍덕화 서울: 자작아카데미 [1999]
  • 『대만문제와 양안관계』
    문흥호 서울: 폴리테이아 [2007]
  • 『남북관계의 통일딜레마』
    하상식 서울: 해남 [2012]
  • 「분단체제론과 동아시아론
    류준필 아세아연구. 52(4): 38-72 [2009]
  • “한중 수교와 동북아질서”
    송민호 사회과학논문집, 12(1): 83-94 [1993]
  • “한-대만 단교20년의 회고와 전망-새로운 한국-대만 관계를 위하 여-.”
    강준영 한중사회과학연구, 26(-): 1-20 [2013]
  • “탈냉전기 한반도 안보질서 변화에 관한 연구: 남북미 전략적 삼각 관계를 중심으로”
    서보혁 국가전략, 제14권 2호 [2008]
  • “중국의 대한 정책결정요인에 관한 고찰”
    이광수 석사학위논문, 숭실대학 교 대학원 [1996]
  • “중국의 대만통일 연구”
    이종훈 사회과학논집, 26(1): 93-115 [2007]
  • 박사
    “중국-대만의 통일정책과 한국의 안보”
    최병주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03]
  • “중국 대만 양안관계법제의 남북한관계에의 적용에 관한 연구”
    김종국 석 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행정대학원 [1998]
  • “양안교류협력의 특징과 남북한관계에 대한 시사점”
    신종호 JPI정책포럼, 91(-): 1-20 [2011]
  • “양안 교류협력이 남북관계에 주는 함의”
    한중사회과학연구, 11(-): 1-22 [2008]
  • “약소국의 갈등적 편승외교정책: 북한의 통미봉남 정책”
    장노순 한국정치 학회보, 33(1): 379-398 [1999]
  • “새로운 양안관계와 동북아 안보”
    장공자 통일전략, 11(2): 175-205 [2011]
  • “북핵 해결을 위해 ‘제재’와 ‘협상’의 실패 요인 분석: 북미중의 전 략적 삼각관계론을 중심으로”
    이승열 평화학연구, 제11권 제3호: 155-156 [2010]
  • “미중관계의 정상화와 대만”
    김중섭 JPI정책포럼, 65(-): 1-15 [2011]
  • “대만해협양안 관계에 관한 연구”
    주광철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행정 정책대학원 [2003]
  • “논단 : 중국 대만의 정경분리 사례와 시사점”
    이용화 이해정 통일경제, 55(-): 40-51 [2012]
  • “남북한과 양안의 4자간 경제구도변화와 법적 대응 방안에 관한 연 구 -Ecfa와 남북경제협의 법적 논의를 바탕으로-”
    김명아 한중사회과학연구, 23(-): 31-65 [2012]
  • “走向統一的兩種互動模式: 對於高麗亞南北與中國海峽兩岸互動關系 的分析”
    김윤도 박사학위논문, 중국사회과학원 [2005]
  • Stephen M. Walt, 1987. The Origins of Alliance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 Stephen M. Walt 著, 周丕啟譯,2007,『聯盟的起源』,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Robert A. Scalapino, 1981. “Current Dynamics of the Korean Peninsula,” Problems of Communism. Vol.30. No.6.
  • Randall L. Schweller, 1994, “Bandwagoning for Profit: Bringing the Revisionist State Back,” International Security. Vol.19. No.1.
  • Michael Handel, 1981. Weak States in the International System. London: Frank Cass.
  • Lowell Dittmer, 1981, “The Strategic Triangle: An Elementary Game-Theoretical Analysis.” World Politics, Vol.33. No.4.
  • Kim Ilpyong. 1987, The Strategic Triangle: China.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New York: Paragon House Publishers.
  • Kenneth N. Waltz 著信強譯, 2008. 『國際政治理論』, 上海: 人民出版社.
  • John Baylis, Steve Smith, Patrica Owens, 2005, The Globalization of World Politic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Hans Mouritzen, 1998, Bordering Russia: theory and prospects for Europe’s Baltic Rim, London: Ahgate.
  • Hans Morgenthau 著, 徐昕郝望李保平譯,2006, 『國家間政治: 權力鬥爭與和平』,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Glen H. Snyder. 2007, Alliance Politics. New York: Cornell University Press. Hans Morgenthau, 1985. Politics among Nations. New York: A. Knopf.
  • Brantly Womack. 2003/2004, “China and Southeast Asia: Asymmetry, Leadership and Normalcy,” Pacific Affairs 76(4).
  • Brantly Womack, 2010, China Among Unequals: Asymmetric Foreign Relations in Asia. Singapore: World Scientific.
  • Brantly Womack, 1971, Small States and the Security challenge in the new Europe, London: Oxford University.
  • Alastair Iain Johnston, 1999, Engaging China: The Management of an Emerging Power, New York : Routledge.
  • , 2013, 『經驗兩韓』, 台北: 三民書局.
  • , 2013, 『當代中朝中韓關係史下卷』,長春: 吉林出版社.
  • , 2012, 『前進兩韓: 與北韓交流二十年(增訂二版)』, 台北: 三民書局.
  • , 2006,『中國與朝鮮半島國家關係文件資料彙編下』, 北京: 世界知 識出版社.
  • , 2000, 『中華民國外交年鑑(民國89年)』, 台北: 外交年鑑編輯 委員會.
  • , 1993. 『鄧小平文選第三卷』, 北京: 人民出版社.
  • , 1993, 『鄧小平文選第二卷』, 北京: 人民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