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정도전의 정치체제론 : 『서경』의 정치이념과 왕권의 정상화

송재혁 2016년
' 정도전의 정치체제론 : 『서경』의 정치이념과 왕권의 정상화'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laws)
  • 『경제문감(經濟文鑑)』
  • 『경제문감별집(經濟文鑑別集)』
  • 『서경(書經)』
  • 『조선경국전(朝鮮經國典)』
  • 『주례(周禮)』
  • 견제와 균형(checks and balances)
  • 공론정치(公論政治)
  • 군신공치론(君臣共治論)
  • 권력의 분할(separation of power)
  • 법(法
  • 신권론(臣權論)
  • 예(禮)
  • 왕권론(王權論)
  • 왕권의 정상화
  • 유교적 헌정주의(confucian constitutionalism)
  • 재상주의(宰相主義)
  • 정도전(鄭道傳)
  • 헌법(constitution)
  • 헌정주의(constitutionalism)
  • 형(刑)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2 0

0.0%

' 정도전의 정치체제론 : 『서경』의 정치이념과 왕권의 정상화' 의 참고문헌

  • 창업과 수성의 정치사상
    최연식 서울: 집문당 [2003]
  • 중국 정치사상 입문
    장현근 서울: 知永社 [1997]
  • 조선의 지식계보학
    최연식 고양: 옥당 [2015]
  • 조선 전기 유교정치사상 연구
    정재훈 서울: 태학사 [2005]
  • 정치가 정도전
    박홍규 최상용 서울: 까치 [2007]
  • 유교 담론의 지형학
    이승환 파주: 푸른숲 [2004]
  • 왕조의 설계자 정도전
    한영우 서울: 지식산업사 [1999]
  • 순자 1
    이운구 서울: 한길사 [2006]
  • 성왕: 동양 리더십의 원형
    장현근 서울: 민음사 [2012]
  • 새로 옮긴 서경(書經)
    김학주 서울: 명문당 [2012]
  • 삼봉 정도전의 건국철학
    김용옥 서울: 통나무 [2004]
  • 사화와 반정의 시대: 성종․ 연산군․ 중종과 그 신하들
    김범 서울: 역사비평사 [2007]
  • 법과 정치: 보통법의 길
    김홍우 고양: 인간사랑 [2012]
  • 만국공법
    김용구 서울: 소화 [2008]
  • 근대 전환기의 맥락에서 본 정치적 충성: 대한제국기의 정치․사회적 사건을 중심으로
    조계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4]
  • 국역 삼봉집 Ⅰ․Ⅱ
    김도련 서울: 민족문화추진회 [1977]
  • 경제육전과 경국대전
    윤국일 서울: 신서원 [1998]
  • 건국의 정치
    김영수 서울: 이학사 [2006]
  • 高麗末士大夫의 政治思想硏究
    도현철 서울: 일조각 [1999]
  • 鄭道傳思想의 硏究(改訂版)
    韓永愚 서울: 서울大學校出版部 [1983]
  • 經濟文鑑의 典據로 본 鄭道傳의 政治思想
    都賢喆 歷史學報 165, 69-102 [2000]
  • 朝鮮經國典과 朝鮮初期 法制整備
    鄭肯植 서울대학교 法學 56(2), 85-116 [2015]
  • 春秋淺見錄에서 보이는 權近의 春秋 이해
    金東敏 유교사상문화연구 54, 179-213 [2013]
  • 懸吐完譯 書經集傳 上下
    成百曉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1998]
  • 懸吐完譯 周易傳義 上下
    成百曉 서울: 傳統文化硏究會 [1998]
  • 大漢和辭典 卷 6 ‧ 10
  • 프리드리히 칼 J.(Friedrich, Carl J.) 저, , 現代憲法과 立憲主義, 박남규 역
    서울: 弘益出版社 [2006]
  • 포은과 삼봉의 정치철학
    정성식 서울: 심산 [2003]
  • 택리지
    이익성 이중환 서울: 을유문화사 [1993]
  • 탈리, 제임스(Tully, James), , 의미와 콘텍스트: 퀜틴 스키너의 정치사상사 방법론과 비판, 유종선 역
    서울: 아르케 [1999]
  • 지식을 배척한 중국의 정치전통
    余英時 장현근 역, 중국 정치사상 입문, 서울: 知 永社, 185-238. [1997]
  • 중국의 경전과 유학
    金學主 서울: 明文堂 [2003]
  • 주례(周禮)
    李俊寧 池載熙 서울: 자유문고 [2002]
  • 조선왕조 개국 당시의 대명관계
    신석호 국사 상의 제문제 1, 국사편찬위원회 [1959]
  • 제임스 매디슨의 ‘파벌’: 여론주권과 타협의 정치
    갈상돈 고려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재상
    韓忠熙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19, 357-358. [1990]
  • 이조건국의 연구
    李相佰 서울: 을유문화사 [1947]
  • 위중(喩中) 저, , 상서 깊이 읽기: 동양의 정치적 상상력, 이은호 역
    파주: 글항아리 [2013]
  • 앨버트 O.(Hirschman, Albert O.) 저, , 열정과 이해관계 : 고전적 자본주의 옹 호론, 김승현 역
    허쉬만 서울: 나남 [1994]
  • 스트라우스, 레오(Strauss, Leo) 저, , 정치철학이란 무엇인가, 양승태 역
    서울: 아 카넷 [2002]
  • 스트라우스, 레오(Strauss, Leo) ‧ 크랍시, 조셉(Cropsey, Joseph) 저, , 서양정치철학 사Ⅱ, 이동수 외 역
    고양: 인간사랑 [2007]
  • 스키너, 퀜틴(Skinner, Quentin) 저, , “사상사에서의 의미와 이해,” 탈리, 제임스 (Tully, James) 편, 유종선 역, 의미와 콘텍스트
    서울: 대우학술총서, 59-144 [1999]
  • 스키너, 퀜틴(Skinner, Quentin) 외 저, , 마키아벨리의 이해, 강정인 역
    서울: 문학 과지성사 [1993]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 한국고전용어사전 3
    서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 미조구치 유조(溝口雄三) 외 저, , 중국 사상 문화 사전, 김석근․ 김용천․ 박규태 역
    서울: 책과함께 [2010]
  • 마키아벨리, 니콜로(Machiavelli, Niccolo) 저, , 군주론, 강정인․ 문지영 역
    서울: 까치 [2003]
  • 리우, 리디아 H.(Liu, Lydia H.) 저, , 언어횡단적 실천: 문학, 민족문화, 그리고 번역 된 근대성-중국, 1900~1937, 민정기 역
    서울: 소명출판 [2005]
  • 고려말 유자세력과 유교사상
    金昌賢 한국중세사연구 18, 173-213 [2005]
  • 麗末 朱子性理學의 導入에 대한 試考: 李齊賢을 中心으로
    鄭玉子 진단학보 51, 29-54 [1981]
  • 高麗時代의 多元的 天下觀과 海東天子
    盧明鎬 韓國史硏究 105, 3-40 [1999]
  • 高麗史 
  • 高麗史에 反映된 名分論의 性格
    閔賢九 진단학보 40, 174-178 [1975]
  • 高麗史節要 
  • 鄭道傅 經濟文鑑의 朱子 글 援用과 그 意圖
    都賢喆 역사와실학 10․ 11, 273-298 [1999]
  • 鄭三峰의 儒․彿觀
    李丙燾 白性郁博士頌壽記念佛敎學論文集 [1959]
  • 通鑑節要
  • 資治通鑑 
  • 論語 
  • 論語集註 
  • 荀子
  • 牧隱文藁 
  • 浩亭集 
  • 植民史學의 成立過程과 近代史 敍述
    趙東杰 歷史敎育論集 13 ‧ 14(1), 749-806 [1990]
  • 松堂集 
  • 朴鴻圭, 2002, 山崎闇齋の政治理念, 東京: 東京大學出版會.
  • 朱子語類 
  • 朝鮮經國典再考: 李朝の 法源に 關する 一顧察
    末松保和(스에마쓰 야스카즈) 靑 丘史學 第二(영인본), 서울: 불암문화사, 107-123. [1966]
  • 朝鮮王朝實錄(太祖-成宗)
  • 朝鮮法制史稿
    淺見倫太郞(아사미 린타로) 서울: 學文閣 [1968]
  • 朝鮮建國과 朱子學(2): 朝鮮建國과 鄭道傳
    朴鴻圭 南冥學硏究 10, 1-27 [2001]
  • 朝鮮初期의 經筵制度
    南智大 韓國史論 6, 117-170 [1980]
  • 朝鮮初期 政治史硏究
    崔承熙 서울: 지식산업사 [2002]
  • 書經 
  • 書經集傳
  • 春秋
  • 春秋胡氏傳 
  • 擇里志
  • 宋 이후의 皇帝權
    申採湜 東洋史學會 편, 東洋史上의 王權, 서울: 한울아카데미, 66-101. [1993]
  • 孟德斯鳩法意
    엄복(嚴復) 台北: 商務印書館 [1977]
  • 孟子 
  • 孟子集註 
  • 大學 
  • 大學章句
  • 四佳集
  • 哲學 思想飜譯語辭典
  • 周易本義 
  • 周易傳義 
  • 史記
  • 侯外廬(허우와이루) 외 저, , 송명이학사 1, 박완식 역
    서울: 이론과 실천 [1993]
  • 中庸 
  • 中庸章句 
  • 三峰集 
  • 三峰集編刊考
  • 「경국대전이 조선의 헌법인가?」
    함재학 법철학연구 7(2), 263-288 [2004]
  • “「대한국국제」 반포(1899년)의 정치 사상적 맥락과 함의,”
    조계원 한국정치학회보 49(2), 137-158 [2015]
  • “삼봉집과 권근의 역할,”
    도현철 민족문화 40, 139-169 [2012]
  • “대명률 - ‘經國大典體制’의 한 羽翼,”
    이원택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소식 2(1), 22-25 [2003]
  • “경국대전과 유교국가 조선의 예치(禮治): 예(禮)의 형식화 과정 을 중심으로,”
    송경호 최연식 社會科學論集 38(1), 46-65 [2007]
  • “經國大典 「禮典」과 國朝五禮儀 「凶禮」에 반영된 宗法이해의 특징에 관 한 고찰,”
    장동우 한국사상사학 20, 151-185 [2003]
  • “周禮의 經學史的 位相과 改革論: 王權과 禮治에 대한 문제의식을 중심으 로,”
    장동우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한국 중세의 정치사상과 周禮, 서울: 혜안, 21-44 [2005]
  • “한국 헌정이념사 연구 서설,”
    양승태 정치사상연구 14(2), 113-134 [2008]
  • “태종과 공론정치,”
    박홍규 이세형 한국정치학회보 40(3), 5-30 [2006]
  • “조선초기 ‘시왕지제(時王之制)’ 논의 구조의 특징과 중화 보편의 추구,”
    최종석 朝鮮 時代史學報 52, 5-49 [2010]
  • “조선전기 법전의 정비와 경국대전의 성립,”
    정호훈 오영교 편, 조선 건국과 경국대 전체제의 형성, 서울: 혜안, 47-95 [2004]
  • “조선의 ‘건국’과 ‘정치체제 구상’에 대한 시론적 접근: 몇 가지 쟁점과 관련하 여,”
    김석근 동양정치사상사 7(2), 5-27 [2009]
  • “조선왕조의 장기지속성(Longevity) 요인 연구1: 공론정치(公論政治)를 중 심으로,”
    박현모 한국학보 30(1), 31-61 [2004]
  • “조선 전기 중앙통치체제의 성립,”
    정두희 한국사 7, 113-144 [1994]
  • “조선 전기 사회의 성격,”
    김태영 한국사 7, 61-109 [1994]
  • “정도전의 조선 국가구상과 유교적 헌정주의,”
    박현모 법과 정치사상, 한국정치사 상학회 연례학술대회 논문집, 15-25 [2006]
  • “정도전의 재상론과 태조,”
    부남철 한국정치학회 연례학술대회 발표논문 [2007]
  • “정도전의 유교국가론과 주례,”
    부남철 退溪學과 韓國文化 43, 327-358 [2008]
  • “정도전(鄭道傳)의 ‘재상주의론’ 재검토,”
    박홍규 방상근 대한정치학회보 15(3), 43-66 [2008]
  • “이승휴의 제왕운기에 대한 연구 현황과 쟁점,”
    박인호 국학연구 18, 363-395 [2011]
  • “유교적 정치가와 성숙한 민주주의: 안철수 ‘민란’,”
    박홍규 『한국정치학회보 47(4), 29-49 [2013]
  • “예기에 나타난 예의 법제화와 유교입헌주의,”
    최연식 한국정치학회보 43(1), 45-66 [2009]
  • “여말선초의 권력구상: 왕권론, 신권론, 군신공치론을 중심으로,”
    최연식 한국정치 학회보 32(3), 31-52 [1998]
  • “세종의 유교적 법치,”
    박영도 정윤재 편, 세종의 국가 경영, 279-314 [2006]
  • “세종대의 법과 정치(Ⅰ),”
    김영수 동양정치사상사 6(1), 69-90 [2007]
  • “세종대왕의 ‘천민/대천이물’론과 ‘보살핌’의 정치,”
    정윤재 동양정치사상사 8(1), 145-161 [2009]
  • “세종과 정조의 리더십 스타일 비교,”
    박현모 오늘의 동양사상 17, 133-152 [2007]
  • “방벌(放伐)과 선양(禪讓)의 이중주: 초기 유가사상의 정권에 대한 정당화,”
    장현근 한국정치학회보 46(1), 5-24 [2012]
  • “민주주의와 헌정주의의 갈등과 조화,”
    박성우 21세기 헌정주의와 민주주의, 17-50 [1997]
  • “머리말,”
    김도형 오영교 편, 조선 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형성, 서울: 혜안, 5-14 [2005]
  • “동아시아의 법개념론은 가능한가?: 이른바 동아시아 법학(East Asian Jurisprudence)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비판적 시론,”
    박준석 법학연구 31, 91-108 [2010]
  • “도덕군주론: 고대 유가의 聖王論,”
    장현근 한국정치학회보 38(1), 49-66 [2004]
  • “김지(金祉)의 주관육익(周官六翼) 편찬과 그 성격,”
    김인호 역사와 현실 40, 128-162 [2001]
  • “경국대전의 정치학: 禮治국가의 이념과 실제,”
    박현모 한국정치연구 12(2), 103-129 [2003]
  • “개화기 ‘禮治’로부터 ‘法治’로의 사상적 전환,”
    이원택 정치사상연구 14(2), 60-83 [2008]
  • “麗末鮮初 改革思想의 展開와 周禮,”
    도현철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편, 한국 중 세의 정치사상과 周禮, 서울: 혜안, 83-118 [2005]
  • “鄭道傳의 역사인식과 군주론의 기반: 經濟文鑑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인호 韓 國史硏究 131, 257-284 [2005]
  • “朱子學의 官學化와 사상사적 한계,”
    장현근 한국정치학회보 33(1), 149-168 [1999]
  • “朱子學과 朝鮮建國(1): 高麗末期 朱子學의 受用과 適用,”
    박홍규 亞細亞硏究 43(1), 215-242 [2000]
  • “朝鮮 初期 儒敎的 立憲主義의 諸要素와 構造: 憲法要素의 化育身으로서의 君主와 權力構造의 相互作用,”
    김비환 정치사상연구 14(1), 7-32 [2008]
  • “擇里志에 대한 역사학적 讀法: 필사본 비교연구를 중심으로,”
    배우성 韓國文化 33, 213-246 [2002]
  • “太極 개념 형성의 淵源的 배경과 해석: 太極 개념의 原生的 의미와 해석을 중심으로,”
    정병석 철학 88, 45-66 [2006]
  • “嚴復의 몽테스키외 번역과 중국의 근대화,”
    박영철 歷史敎育 92, 197-224 [2004]
  • “儒敎立憲主義와 朝鮮의 違憲法律審判: 成宗代 經國大典 度僧條 論爭을 中 心으로,”
    이정훈 圓光法學 23(2), 103-127 [2007]
  • “‘유교적 헌정주의’ 재검토: 조선 초기 왕권의 정상화와 ‘헌장주의(憲 章主義)’,”
    박홍규 송재혁 아세아연구 55(3), 117-148 [2012]
  • “(한국어판 서문) 민주주의와 헌정주의: 미국과 한국,”
    최장집 미국 헌법과 민주주 의, 서울: 후마니타스, 7-69 [2005]
  • Palais, James B., 1975, Politics and Policy in Traditional Kore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Montesquieu, 1989, The Spirit of the Law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anin, Bernard, 1994, “Checks, balances and Boundaries: the separation of powers in the constitutional debate of 1787,” in B. Fontana ed., The Invention of the modern republic, Cambridge U. P., 27-62.
  • Hahm, Chaihark, 2001, “Conceptualizing Korean Constitutionalism: Foreign Transplant or Indigenous Tradition?” Journal of Korean Law Vol.1 No.2, 151-196.
  • Hahm, Chaihark, 2000, Confucian Constitutionalism. S. J. D. dissertation, Harvard Law School.
  • Gough, J. W., 1950, John Locke's political philosophy, eight studies, Oxford: Clarendon Press.
  • Dardess, John W., 1983, Confucianism and autocracy: professional elites in the founding of the Ming Dynast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Dahl, Robert A., 1985, A Preface to Economic Democratic Theory, Chicago and 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Bellamy, Richard, 2007, Political Constitutionalism,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Deuchler, Martina) 저, , 한국 사회의 유교적 변환, 이훈상 역
    도이힐러 마르티나 서 울: 아카넷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