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성폭력범죄와 피해자조사 = Sexual Assault and Victim Investigation

장응혁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성폭력범죄와 피해자조사 = Sexual Assault and Victim Investigatio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성폭력범죄
  • 성폭력피해자 통합지원센터
  • 원스톱센터
  • 전담조사제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09 0

0.0%

' 성폭력범죄와 피해자조사 = Sexual Assault and Victim Investigation' 의 참고문헌

  • 경찰백서 [2006]
  • 영・미의 성범죄법과 양형기준 [2008]
  • 경찰백서 [2005]
  • 林弘正 이정민(역), “일본의 개정형법가안 성립과정의 고찰”
    형사정책연구 제19권 제4호 [2008]
  • 형사정책 제9판
    홍문사 [2014]
  • 형사소송법
    정한중 홍문사 [2015]
  • 형사법학회, (자료) 형사법학회 개정시안
    형사법연구 제4호 [1991]
  • 형법학 〔각론강의 상〕 전정신판
    유기천 일조각 [1983]
  • 형법총론(제11판)
    배종대 홍문사 [2013]
  • 형법신강 〔각론Ⅰ〕
    이재상 박영사 [1985]
  • 형법강론
    이상돈 박영사 [2015]
  • 형법각론(제9전정판)
    홍문사 [2015]
  • 형법각론(제3판)
    김성돈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해바라기아동센터와 여성 학교원스톱지원센터 시설평가 및 기능강화방 안 연구
    강은영 여성부 연구용역 보고서 [2009]
  • 해럴드경제, 경찰학교 교육생
    경찰청 강사 성폭행 혐의로 조사 [2015]
  • 한국형법Ⅲ 개정판
    김일수 박영사 [1997]
  • 한국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
    김지선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4 [2013]
  • 한국의 범죄현상과 형사정책
    전영실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5 [2014]
  • 한국성폭력상담소,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피해자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법무부 연 구용역 보고서 [2003]
  • 한국경제
    [2013]
  • 피해자변호인제도의 도입방안
    김성돈 피해자학연구 제10권 제2호 [2002]
  • 프랑스형법
    법무부 [2009]
  • 패멀라 D. 슐츠/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옮김, 괴물이 된 사람들
    이후 [2014]
  • 파이낸셜 뉴스
    경찰 ‘성폭력 수사팀’ 대폭 확대 [2015]
  • 특별형법 제3판
    이주원 홍문사 [2014]
  • 치안정책연구소 치안전망
    2014 [2015]
  • 박사
    집회・시위에 대한 형사법적 연구
    윤성철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지적장애인 성폭력 사건의 경찰수사상 문제점과 개선방안 –최근의 「도 가니 사건」들을 중심으로-
    한준섭 2013 4대 사회악 연구논문집, 치안연구소 [2014]
  • 조견표 점검표까지…성폭력 관련법
    판 검사도 혼란스럽다 [2015]
  • 제정형법의 성립경위
    신동운 형사법연구 제15권 제2호 [2003]
  • 정완, 장애등급제도 바꿀 때 됐다
    디지털타임스 [2015]
  • 장애여성공감 인화학교성폭력대책위원회 광주인화학교사건해결과사회복지사업법개정 을위한도가니대책위원회, “[논평]인화학교사건 판결 환영하며, 현실적 대안마련 촉구한 다”
    (http://wde.or.kr/?hid=talk&cateno=65&ano=462) [2012]
  • 박사
  • 연쇄 강력범죄 실태조사(Ⅱ) -연쇄 성폭력-
    박형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 서 [2013]
  • 여성가족부, 성폭력피해자 가족 의료비 지원 확대
    여성가족부 보도자료 [2012]
  • 여성가족부 여성 아동폭력피해 중앙지원단 홈페이지 : http://www
    womannchild.or.kr/new_default.asp
  • 여성가족부
    년 성폭력실태조사, 2013 [2013]
  • 여성 아동 성폭력피해자 지원체계 연구
    강은영 여성 아동폭력피해 중앙지원단 연구용역 보고서 [2010]
  • 아동성폭력전담 해바라기아동센터 활동분석
    표창원 여성가족부 연구용역 보 고서 [2009]
  • 아동성폭력 대응에서 법의간호사의 효율성
    김지은 이상한 피해자학연구 제20권 제2호, 한국피해자학회 [2012]
  • 아동 성폭력범죄의 형사법적 대응방안에 대한 연구
    임호선 건국대학교 사회과학대 학원 법학과 석사학위논문 [2010]
  • 신형사소송법(제3판)
    신동운 법문사 [2011]
  • 신헌법입문(제5판)
    정재황 박영사 [2015]
  • 수사본부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허영범 동국대 행정대학원 석사학 위논문 [2010]
  • 성폭력에 대한 법의학적 대응모델 개발 연구
    강은영 한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 총서 [2012]
  • 성폭력범죄의 친고죄 폐지에 따른 피해자 보호 및 지원 내실화방안
    이승현 한 국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2014]
  • 성폭력 친고죄 폐지 바람직
    법률신문, 양승태 대법원장 [2012]
  • 선진수사구조 도입을 대비한 경찰수사시스템 개편방향
    이동희 경찰청 연구용 역 보고서 [2012]
  • 서울신문
    맞고소한 뻔뻔한 前 검찰총장 [2014]
  • 서울북부지역 사회복지서비스 공동네트워크
    지역 사회복지서비스 공동네트워크 운 영규정(단체협약서) [2013]
  • 샌디에고 SART 팜플렛 : http://www
    sandiego.gov/police/pdf/sartenglish03.pdf
  • 법무부, 독일형법
    법무부 [2008]
  • 밀양집단성폭행사건 그후 1년
    노컷뉴스 아물지 않은 상처 [2005]
  • 무등일보, 김병국 서부서 형사과장
    ‘디딤돌賞’ 수상 [2010]
  • 로빈 삭스/김한균(역),아동 성폭력 전담검사의 증언 누가 양의 탈을 쓴 늑대일까?
    W미디어 [2013]
  • 로마刑法
    조규창 고려대학교 출판부 [1998]
  • 대한변호사협회, 조두순 사건 진상조사 발표
    인권보고서, 2010 [2009]
  • 년 해바라기센터 사업안내
    2015 [2015]
  • 군인권센터, 군 성폭력 실태조사
    새정치민주연합 전국여성위원회 연구 용역보고서 [2014]
  • 국내 첫 아동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진술조사 전문인력 탄생
    보도자료 [2011]
  • 국가인권위원회, 성폭력 피해아동 인권보호 및 지원조치 강화 필요
    보도자료 [2010]
  • 광주여성장애인성폭력상담소 “여성장애인성폭력 실태 및 개선방향”
    여성장애인성폭 력 실태 및 대처방안 토론회 자료집 [2011]
  • 경찰청, 해외 치안자료 수집 보고
    해외주재관 보고자료 [2012]
  • 경찰청, 성폭력 근절 종합대책 추진
    보도자료 [2015]
  • 경찰청
    경찰백서 [1996]
  • 경찰, “살인사건 한 건이라도 더 해결하겠다”
    보도자료 [2015]
  • 경찰 “국민체감안전도 높인다” … 성폭력 전담수사팀 확대
    보도자료 [2014]
  • 강원도민일보
    화천 70대 노파 살인사건 5년만에 용의자 붙잡혔다 [2012]
  • 齋野彦弥, “立法問題としての性的自己決定の保護’, 現代刑事法 第47号, 2003.
  • 高山佳奈子, “ドイツ刑法における性犯罪の類型と処罰”
    刑法雑誌 第54巻 第1号, , 32면 [2014]
  • 警察政策学会 少年問題研究部会, ドイツバイエルン州ミュンヘン市における少年犯罪 の概要と性犯罪捜査, 警察政策学会資料 第74号, 2013.
  • 警察廳
    平成25년 警察白書, 2013 [2013]
  • 牧野雅子, 刑事司法とジェンだー, インパクト出版会, 2013.
  • 木村光江, “强姦罪の理解の変化―性的自由に対する罪とすることの問題点―”, 法曹 時報 第55卷 第9号, 2003.
  • 曽根威彦, 刑事違法論の展開, 成文堂, 2013.
  • 日本弁護士連合会, 長期未解決事件における冤罪防止のための捜査の終結及び証拠保 管等に関する提言, 2012.
  • 斉藤豊治、“性暴力犯罪の保護法益”, ジェンダー法・政策研究叢書 第5巻 『セクシュ アリティと法』, 東北大学出版会, 2006,
  • 戒能民江, “性暴力被害者支援法制の方向性”, ジェンだーと法 第10号, 2013.
  • 成瀬幸典, “「性的自由に対する罪」に関する基礎的考察”, ジェンダー法・政策研究叢 書 第5巻 『セクシュアリティと法』, 東北大学出版会, 2006.
  • 性犯罪被害者対応拠点モデル事業検証部会, 性犯罪被害者対応拠点モデル事業等の検 証報告, 2011(https://www.npa.go.jp/higaisya/higaisya8/houkokusyo.pdf).
  • 島矢貴之, “旧刑法期における性犯罪規定の立法・判例・解釈論”, 刑事法ジャーナル 第45号, 2015.
  • 島岡まな, “ジェンダーと現行刑法典”, 現代刑事法 第47号, 2003.
  • 岩井宣子, “基調講演 「今後後の日本の性犯罪規定のあり方を展望する」”, シンポジウ ム 性暴力の実態を踏まえ今後の日本の性暴力規定のあり方を展望する, 專修大学今村法 律硏究室報 第56号, 2012.
  • 小名木明宏, “女性と児童の犯罪被害と対策”, 刑法雑誌 第50巻 第3号, 2011.
  • 宮地尙子, “性暴力とPTSD”, ジュリスト 第1237号, 2003.
  • 守屋典子, “NYにおけるSART(性暴力対応チーム)調査報告”, 警察学論集 第62巻 第12号, 2009.
  • 太田達也/김혁(역), “일본에 있어서의 범죄피해자지원과 경찰의 역할”
    제2회 경찰대 학 국제학술세미나 자료집 [2012]
  • 大越壮夫, “私事性的画像記録の提供等による被害の防止に関する法律について”, 捜 査研究 768号, 東京法令出版, 2015.
  • 嘉門優, “刑事立法論の前提的考察ードイツ刑法の近親相姦処罰規定を題材としてー”, 刑事法理論の探求と発見 斉藤豊治先生古稀祝賀論文集, 成文堂, 2012.
  • 吉田雅之, “刑法及び刑事訴訟法の一部を改正する法律について”, 刑事法ジャーナル 第24号, 2010.
  • 千手正治, “我が國における犯罪被害者に対するワンストップ支援に対する考察”, JCCD (111), 犯罪と非行に関する全國協議会, 2013.
  • 北芝 健監修 株式会社レッカ社 編著 、そこが知りたい! 「日本の警察」、PHP文 庫, 2011.
  • 刑事比較法研究グループ, “比較法からみた日本の性犯罪規定”, 刑事法ジャーナル 第 45号, 2015.
  • 内閣府犯罪被害者被等施策推進室, 性犯罪・性暴力被害者のためのワンストップ支援 センター開設・運營の手引:地域における性犯罪・性暴力被支援の一層の充実のために, 2012.
  • 內海朋子, “日本における性犯罪處罰規定の問題點―ドイツスイスにおける性刑法の改 正を參考に”, 国士館法学 第38卷 第2号, 2004.
  • 佐藤陽子, “ドイツにおける性犯罪規定”, 刑事法ジャーナル 第45号, 2015.
  • 佐伯仁志・太田達也・川出敏裕・金光旭・岩佐嘉彦・西澤哲, “[座談会] 児童虐待”, ジュリスト 第1426号, 2011.
  • 井上正仁, “刑事訴訟法のアイデンティティを求めてー中間報告”, 法学雑誌 第130巻  第4号, 2013.
  • 中里見博, “ポルノ被害と法規制”, ジェンダー法 第2号, 2005.
  • 三成美保, 自己決定権とジェンダー 問題提起, ジェンダーと法 第9号, 日本加除出 版, 2012.
  • 「일본형법」
    법무부 [2007]
  • “형사특별법의 형법편입 방향”
    허일태 형법개정 및 양벌규정 개선 공청회 자료집 [2008]
  • “형사특별법의 입법구조와 이론적 기초”
    이경렬 비교형사법연구 제14권 제2호 [2012]
  • “형사절차상 피해자 진술”
    장응혁 경찰법연구 제8권 제2호 통권 제12호 [2010]
  • “형사소송법상 공소시효제도의 개선방안”
    윤지영 형사법연구 제24권 제1호(통권 제 50호) [2012]
  • “형사사법절차상 성폭력 2차 피해의 심층구조”
    여성학연구 제23권 제2호, 부산대학교 여성연구소 [2013]
  • “형법개정안의 제문제(범죄론 분야)”
    월간고시 제223호, 법지사 [1992]
  • “형법 제297조의 강간죄-학설・판례의 정리-”
    백형구 고시계 [2003]
  • “합의와 공탁이 아동 청소년 대상 성폭력범죄의 양형에 미치는 영향”
    이진화 사법 제31호, 사법발전재단 [2015]
  • “피해자변호인제도에 대한 소고”
    원혜욱 피해자학연구 제20권 제1호 [2012]
  • “친고죄에 대한 고찰”
    김선복 형사법연구 제10권 제1호 [1998]
  • “중요강력범죄 장기미제사건 수사를 위한 효율적 제도 연구 –외국사례를 중심으로-”
    김택수 경찰청 연구용역보고서 [2013]
  • “의붓아버지와 성폭력법상의 ‘사실상의 관계에 의한 존속’, 그리고 …”
    심희기 형사 판례연구 제5권 [1997]
  • “우리나라 법학에 대한 반성과 전망 : 형법학을 중심으로”
    배종대 현상과 인식 제 11권 제1호, 한국인문사회과학원 [1987]
  • “올바른 가해자 처벌책이란”
    김한균 1122 성폭력 법 개정의 성과와 과제 반성폭력 운동의 미래를 묻다 한국성폭력상담소 쟁점 토론회 자료집, 2013 [2013]
  • “어린이 성폭력 피해자 경찰수사상 지원”
    이금형 어린이성폭력 피해자 지원을 위한 토론 및 수사・재판 시민감시단 발족식 발표자료, 전국성폭력상담소・피해자보호시설 협의회 [2004]
  • “아동에 대한 성추행 사건의 수사와 재판의 실태와 개선방안”
    형사정책 제 16권제1호 [2004]
  • “아동성폭력 전문가 참여제 성과 및 발전방안”
    박종선 치안논총 제29호, 치안정책 연구소 [2012]
  • “아동성폭력 전담수사제의 효율적 대안에 관한 연구”
    이미정 경찰연구논집 제4호 [2008]
  • “아동성범죄 현황과 경찰의 역할”
    김태경 수사연구 제307호 [2009]
  • “아동/청소년 성학대에 대한 영국 정부정책의 방향”
    대구해바라기센터(아 동) 개소 10주년 기념 심포지엄 자료집, 대구해바라기센터(아동) [2015]
  • “아동 성폭력 피해자 진술조사 제도 발전을 위한 미국사례의 검토”
    표창원 경찰대 학 논문집 제31집, 경찰대학 [2011]
  • “수사실무에서 아동 피해자 조사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피해자학회 한 림대학교 법심리학연구소 공동세미나 자료집 [2010]
  • “세계화와 한국형법의 정체성”
    저스티스 월호(통권 제92호), 2006 [2006]
  • “성폭력피해자 통합지원센터 기능・역할 개선방안”
    양수진 성범죄피해자 지원시스 템 개선 토론회 자료집, 신의진 국회의원・여성가족부・국회 미래여성가족포럼 [2014]
  • “성폭력특별법과 피해자보호 : 그 문제와 개선점”
    한인섭 피해자학연구 제3호 [1994]
  • “성폭력범죄자의 처벌에 관한 법리적 정책적 제 문제”
    김혜정 사법 제31호, 사법발 전재단 [2015]
  • “성폭력범죄의 공소시효 연장 배제에 관한 고찰”
    박상식 법학연구 제18권 제1호 [2010]
  • “성폭력범죄에 대한 실효적 대응 방안”
    황은영 법조 제616호 [2008]
  • “성폭력 피해 장애인 지원자 매뉴얼 장 애와 성폭력 이것부터 시작해요”
    사)장애여성공감 부설 장애여성성폭력상담소 [2012]
  • “성폭력 처벌규정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재구성”
    이호중 형사정책 제17권 제2호 [2005]
  • “성폭력 상담현장에서의 경찰연계현황 및 과제”
    이미경 성폭력사건지원체계확립을 위한 경찰간담회 자료집 [1999]
  • “성폭력 사건과 인권침해, 법제도 이후 우리에게 필요한 것”
    오지원 성폭력 피해자 인권 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수사 및 재판 현실을 중심으로- 자료집 [2013]
  • “성폭력 사건 수사 재판과정에서의 피해자 인권보호”
    이선경 성폭력 피해자 인권 개선을 위한 심포지엄 –수사 및 재판 현실을 중심으로- 자료집, 서울지방변호사회 [2013]
  • “성폭력 법 제・개정의 방향 고찰”
    장다혜 1122 성폭력 법 개정의 성과와 과제 반 성폭력 운동의 미래를 묻다 한국성폭력상담소 쟁점 토론회, 2013 [2013]
  • “성폭력 범죄의 친고죄 폐지론”
    성폭력, 법정에 서다: 여성의 시각에서 본 법담론, 한국성폭력상담소, 푸른 사상 [2007]
  • “성폭력 범죄 피해 아동 장애인에 대한 진술조력인 제도의 필요성 및 외국의 관련 제도”
    김정혜 성폭력피해 아동 장애인 진술조력인 제도 입법 공청회 자료집, 법무부 [2012]
  • “성폭력 범죄 친고죄 조항 폐지의 역사와 과제”
    성범죄피해자 지원시스템 개 선 토론회 자료집, 신의진 국회의원・여성가족부・국회 미래여성가족포럼 [2014]
  • 박사
  • “보안처분과 비례성원칙”
    법치국가와 형법(김일수 배종대 편), 세창출판사 [1998]
  • “법해석의 한계 : 미성년자 의제강간, 미수범까지 처벌?”
    최병각 형사법연구 제21 권 제1호(통권 제 38호) [2009]
  • “범죄체계론의 법이론적 분석(下)”
    월간고시 제204호, 법지사 [1991]
  • “미성년자가 피해자인 성범죄의 실질적 권리구제를 위한 시효제도의 비교법 적 연구와 우리 법의 시사점 –미국의 형사법의 공소시효와 민사법의 소멸시효의 시효 정지(연장)를 중심으로-”
    김성수 경찰과 사회 제7집, 경찰대학 [2013]
  • “미국 강간죄에 있어 ‘저항’과 ‘동의’에 관한 연구”
    류병관 비교형사법연구 제9권 제2호 [2007]
  • “공판과정에서의 피해자 국선전담변호사 제도 연구”
    법무부 대한변호사협회 피해자국선변호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엄 자료집 [2014]
  • “강간과 추행의 죄 규정의 개정방안”
    형사법개정연구(Ⅳ), 한국형사정책연구 원 [2009]
  • “法理論(Rechtstheorie)이란 무엇인가?”
    법학논집 제25집, 고려대학교 법 학연구소 [1987]
  • “‘피해자 국선변호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엄 지정토론문”
    박선영 법무부 대 한변호사협회 피해자국선변호사 제도의 현황과 과제 심포지엄 자료집 [2014]
  • Samuel Walker & Katz, Charles M., The Police in America: An Introduction, NY: McGraw Hill, 2008.
  • Robert R. Hazelwood Ann Wolbert Burgess, Practical Aspects of Rape Investigation (Fourth Edition), CRC Press, 2008.
  • Q&A 성폭력수사 개정판
    김상훈 장응혁 경찰수사연수원 [2014]
  • Ministry of Justice, The Registered Intermediary Procedural Guidance Manual, 2011.
  • Louise Ellison, Promoting Effective Case-building in Rape Cases: a Comparative Perspective, Criminal Law Review, 2007.
  • Karl laird, Rapist or Rogue? Deception, Consent and the Sexual Offence Act 2003, Criminal Law Review, 2014.
  • Jennifer Temkin・Andrew Ashworth, The Sexual Offences Act 2003 (1)Rape, Sexual Assaults and the Problems of Consent, Criminal Law Review, 2004.
  • J. R. Spencer, The Sexual Offences Act 2003 (2) Child, Family Offences, Criminal Law Review 2004.
  • Home Office, Setting the Boundaries : Reforming the Law in Sex Offences, 2000.
  • Doerner/조윤오 외9(역), 피해자학
    William G. 도서출판 그린 [2012]
  • Campbell, R., Patterson, D. Lichty, L. F., The Effectiveness of Sexual Assault Nurse Examiner (SANE) Programs: A Review of Psychological, Medical, Legal, and Community Outcomes, Trauma Violence Abuse, 2005.
  • Baroness Vivien Stern, The Stern Review, 2010.
  • Association of Chief Police Officers, Guidance on Investigation Child Abuse and Safeguarding Childrn(Second Edition), 2009.
  • Association of Chief Police Officers and Crown Prosecution Service, Guidance on Investigation and Prosecuting Rape, 2009.
  • Arthur S. Chancellor, Investigating Sexual Assault Cases, Jones & Bartlett Learing, 2012.
  • Andenaes, J. The general prevention effects of punishments, Pennsylvania Law Review 114, 1966.
  • 5대 형사특별법 제・개정 자료집
    장영민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 , "被害者保護と性犯罪", 社会の安全と法, 立花書房, 2013. 
  • , “性的自由に対する罪の再檢討”, 犯罪の多角的檢討-渥美東洋先生古稀記念, 有斐閣, 2006.
  • , “フランス刑法における性犯罪の類型と処罰について”, 刑法雑誌 第54巻  第1号, 2014.
  • , “アメリカにおける性刑法の改革”, 大阪商業大学論集 第5巻 第1号, 2009.
  • (일본) 성범죄의 처벌에 관한 검토회 홈페이지 : http://www
    moj.go.jp/keiji1/keiji12_00090.html
  • (영국) 런던 수도경찰청 홈페이지 : http://content
    met.police.uk/Article/Who-we-are/1400009994312/1400009994312
  • (영국) 런던 SARC(the havens) 홈페이지 : http://www
    thehavens.org.uk/how-we-can-help/
  • (미국) 뉴욕 SART 홈페이지 : http://www
    stlukeshospitalnyc.org/Crime-Victims-Treatment-Center.aspx
  • (미국) 뉴욕 New York City Alliance Against Sexual Assaults 홈페이지 : http://www
    svfreenyc.org/programs_health_safeti.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