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개념 체계 중심의 어휘 교육 연구

안찬원 2016년
논문상세정보
' 개념 체계 중심의 어휘 교육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개념
  • 개념 구조
  • 개념장
  • 개념체계
  • 결합관계
  • 계열 관계
  • 공기관계
  • 국어교육
  • 범주화
  • 분류
  • 사고교육
  • 사고력
  • 사용 교육
  • 어휘
  • 어휘 사용
  • 어휘 지식
  • 어휘교육
  • 정의적 태도
  • 태도교육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71 0

0.0%

' 개념 체계 중심의 어휘 교육 연구' 의 참고문헌

  • 교육과학기술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과 교육과정(201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011]
  • 교육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2015]
  • 형용사의 의미 특성과 관련된 형태 통사적 제약에 대한 재 고. 『한국어의미학』47
    김건희 한국어의미학회. 129-165 [2015]
  • 형용사의 의미 특성. 『선청어문』16(1)
    김상대 서울대학교 사범대 학 국어국문학회. 239-253 [1988]
  • 형용사의 부사화 구문. 『어학연구』12(2)
    김영희 서울대학교 언어 교육원. 175-195 [1976]
  • 형용사 유의어의 뜻풀이 정교화 방안에 대한 연구 : '아름 답다 - 추하다' 군을 중심으로. 『선청어문』27(1)
    김광해 서울대학교 사범 대학 국어국문학회. 605-631 [1999]
  • 형용사 반의어쌍 공기 패턴(co-occurrence pattern)의 사전 편찬 및 어휘 교육적 활용 연구. 『한국어 의미학』30
    이광호 한국어의미학 회. 205-230 [2009]
  • 형용사 ‘지다’의 형성과 역문법화. 『우리말연구』18
    김유범 우리말 학회. 123-141 [2006]
  • 현대 국어 서술어의 의미 연구-다의 설정을 중심으로
    최호철 고려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합성어의 의미: 개념론적 해석. 『언어연구』제21권 2호
    이주희 한국현대언어학회. 1-17 [2005]
  • 합성동사의 다의 형성과정에 대한 고찰: 기본의미와 파생의 미 간의 의미관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155
    류승국 한국어문교육연구 회. 33-56 [2012]
  • 합성 명사의 지도에 관한 연구
    최영환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한일 일한사전 편찬을 위한 기초연구. 『언어학』12
    신익성 한국언 어학회. 3-31 [1990]
  •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및 억제 개념들 간의 비교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민경환 최해연 한국심리학회. 71-89 [2007]
  • 한국어와 프랑스어의 색채어 체계 대조 연구. 『한국언어문 화학』2(2)
    최은정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69-289 [2005]
  • 한국어 정서 용어들의 적절성과 경험 빈도. 『한국 심리학회지: 일반』19(2)
    강혜자 한덕웅 한국심리학회. 63-99 [2000]
  • 한국어 인지 어휘 분석 연구. 『국어 교육』147
    김시정 이삼형 한 국어교육학회. 223-251 [2014]
  • 한국어 이동사건의 어휘화 양상, 현대문법연구 20
    임지룡 현대 문법학회. 23-45 [2000]
  • 한국어 이동 동사의 의미구조와 논항교체. 『어문연구』 39(1)
    남승호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111-145 [2003]
  • 한국어 이동 동사 ‘오다’와 ‘가다’ 교육을 위한 문법 기술. 『시학과 언어학』17
    오경숙 시학과 언어학회. 121-138 [2009]
  • 한국어 연어 교육의 내용과 방법 연구
    김지은 부산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0]
  • 한국어 연상어 사전 구축을 위한 시험적 연구 - 코퍼스 안의 인접 단어를 이용한 계량적 접근. 『한국문화』45
    이광호 서울대학교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177-206 [2009]
  • 한국어 어휘 교육을 위한 연어(連語) 학습 방안. 『국어 교 육』109
    문금현 한국어교육학회. 217-250 [2002]
  • 한국어 색채 표현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형태론』 10(2)
    구본관 도서출판 박이정. 261-285 [2008]
  • 한국어 동사의 어휘학습 자료 구성 방안 연구 -Wordnet 구 성을 이용한 한국어 이동 동사 어휘망을 기반으로-. 『문법교육』8
    이연희 한국문법교육학회. 191-218 [2008]
  • 한국어 동사 의미망 구축을 위한 어휘의미관계 유 형. 『한국어학』28
    도원영 한정한 한국어학회. 245-268 [2005]
  • 박사
    한국어 동사 의미망 구축 연구
    이숙의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한국어 동사 유의어 교육 방안에 관한 소고 -3쌍의 동사 유의어를 대상으로. 『새국어교육』92호
    박종호 황경수 한국국어교육학회. 419-443 [2012]
  • 한국어 대상 이동 동사의 두 가지 의미 구조. 『한국어의미 학』17
    김윤신 한국어의미학회. 207-229 [2005]
  • 한국어 교육을 위한 문법 기반 언어 기능의 통합 교육과정 구조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연구』22
    민현식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 소. 261-334 [2008]
  • 한국어 교육용 용언 분류에 대한 연구-동사와 형용사의 혼 동 현상을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40권
    이효정 연세대학 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78-309 [2014]
  • 한국어 교육과 국어 정보학 - 반의어 공기(共起) 특성을 활 용한 교육 방안 연구-. 『어문논집』제43집
    이광호 중앙어문학회. 49-73 [2010]
  • 한국어 감정 단어의 목록 작성과 차원 탐색. 『한국 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9(1)
    민경환 박인조 한국심리학회. 109-129 [2005]
  • 한국과학기술원 『다국어 어휘 의미망』
    홍릉과학 [2005]
  • 한국과학기술원 『다국어 어휘 의미망, 제3권 중한 어휘의미망』
    홍릉과학 [2005]
  • 한국과학기술원 『다국어 어휘 의미망, 제2권 한국어 어휘의미 망』
    홍릉과학 [2005]
  • 한 독 이동동사의 유형론적 특성. 『독일문학』54
    김진도 한국독어 독문학회. 426-450 [1994]
  • 학습자중심의 교과교육을 위한 철학적 연구. 『학습자중심 교과교육연구』1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27 [2001]
  • 학습자중심 국어과 수업을 위한 교육과정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5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3-56 [2003]
  • 학습자 중심 국어 수업을 위한 기초 연구.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6(2)
    길형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51-73 [2006]
  • 학교문법의 경어법 기술에 관한 연구
    서덕현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 학교문법 다의어 교육 내용의 현황과 대안. 『우리말연구』 42
    임지룡 우리말학회. 61-97 [2015]
  • 학교 문법의 성격과 역사. 『어문논집』37(1)
    이관규 민족어문학 회. 385-410 [1998]
  • 학교 문법의 내용 체계. 『새국어교육』56(1)
    이관규 한국국어교 육학회. 73-92 [1998]
  • 학교 문법 다시 쓰기 -언어 단위 문제를 중심으로-. 『국어 교육학연구』20
    주세형 국어교육학회. 461-498 [2004]
  • 학교 문법 교육에 있어서 탐구 학습의 효율성과 한계점에 대한 실증적 연구. 『국어 교육』106
    이관규 한국어교육학회. 31-63 [2001]
  • 프랑스어 형용사 학습에 대한 언어교육학적 고찰. 『한국프 랑스학논집』36
    김혜란 한국프랑스학회. 95-114 [2001]
  • 프랑스어 교육과정에서 어휘 선택에 관한 연구. 『프랑스어 문교육』17
    한상헌 한국프랑스어문교육학회. 51-80 [2004]
  • 평행 이동 동사의 낱말밭. 『한국어의미학』 35
    김혜령 정유남 황림화 한국어의미학회. 99-121 [2011]
  • 퍼지 논리를 활용한 논증 텍스트 분석 모형 연구. 『국어교 육학연구』41
    김평원 국어교육학회. 339-378 [2011]
  • 통사성과 합성어의 유형 변화. 『한국어학』53
    김유범 한국어학회. 119-143 [2011]
  • 텍스트 기반 어휘 교육 연구
    김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논문 [2014]
  • 코퍼스 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 『한국어의미 학』21
    김진해 한국어의미학회. 75-104 [2006]
  • 최소주의에서의 논항구조. 『언어학연구』34
    정원돈 한국중원언어 학회. 349-366 [2015]
  • 촉각성 형용사의 의미 고찰. 『새국어교육』62
    김준기 한국국어교 육학회. 135-155 [2001]
  • 박사
  • 박사
    초등학생 어휘력 평가 기준안 연구
    최운선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 초등학생 교육용 기초 어휘 선정 연 구 : 저학년 중심으로
    김효정 신명선 장현진 전희숙 『언어치료연구』제23권 제1호. 한국언어치 료학회. 157-170. [2014]
  • 초등학교에서의 의미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한국초등교육』11(2)
    양태식 이재용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468-491 [2000]
  • 초등학교 의미 교육 현황. 『한국어의미학』16
    문향숙 한국어의미 학회. 231-256 [2005]
  • 초등학교 영어 교육을 위한 어휘 중심 교수법 수업 모형과 어휘 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
    김성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초등학교 사고력 신장 통합교육프로그램 개 발을 위한 사고 기능 범위와 계열 설정 기초 연구. 『통합교육과정 연구』8(1)
    권동택 장진희 정미향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105-125 [2014]
  • 초등학교 국어 어휘 교육에 대한 소고 -우리와 프랑스의 학업성취도 평가 유형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40
    이경수 국어교 육학회. 245-274 [2011]
  • 초등 어휘 지도 내용 변천 연구. 『문법교육』11
    이창수 한국문법 교육학회. 301-336 [2009]
  • 초등 문법과 태도 교육. 『한국초등국어 교육』50
    김은성 한국초등 국어교육학회. 35-78 [2012]
  • 초등 문법 영역에서 유의관계 교육의 독립과 그 효용에 대 하여. 『한국초등국어 교육』54권
    이동혁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23-352 [2014]
  • 초등 다문화 학습자의 읽기 유창성 신장에 관한 실행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54
    송영복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17-259 [2014]
  • 초등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 개발 연구- 쓰기 영역을 중심 으로. 『국어교육학연구』12
    원진숙 국어교육학회. 287-316 [2001]
  • 척도 형용사의 다의성 연구. 『새국어교육』67
    김준기 한국국어교 육학회. 119-142 [2004]
  • 창작과 어휘의 선택. 『국어교육』21
    이대규 한국어교육학회. 103-120 [1973]
  • 창의적인 어휘 사용 능력의 신장 방안. 『국어교육』102
    이종철 한 국어교육학회. 155-179 [2000]
  • 진영선 『실험심리학 용어사전학』
    곽호완 김문수 박창호 이태연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8]
  • 중학교 어휘 교육의 위상과 개선 방안. 『새국어교육』93
    전은주 한국국어교육학회. 181-213 [2012]
  • 중 고급 학습자를 위한 감정 기초형용사의 유의관계 변별 기제 연구 -기쁨, 슬픔을 나타내는 형용사의 통합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17
    강현화 한국어의미학회. 43-64 [2005]
  • 주관화와 의미 확장. 『현대문법연구』23권
    김동환 현대문법학회. 127-148 [2001]
  • 존재의 자기실현의 목적론적 구조 -헤겔 『대논리학』의 「개념론」을 중심으로-. 『헤겔연구』7권
    연효숙 한국헤겔학회. 228-258 [1997]
  • 존재론적 개념분류의 인식론적 문제
    이유선 『철학논총』28. 새한 철학회. 445-467. [2002]
  • 제8차 국어와 교육과정(개정안)에서 문법 영역의 특징과 과제. 『한말연구』20
    이관규 한말연구학회. 155-183 [2007]
  • 정서 표현에 대한 부정적 신념의 구조와 기능. 『한 국심리학회지: 일반』24(1)
    민경환 최해연 한국심리학회. 239-257 [2005]
  • 장애아동 언어지도를 위한 개념과 의미의 차이에 대한 이론 적 창립. 『난청과언어장애』24(1)
    최성규 한국재활과학회. 185-200 [2001]
  • 작문교육에서 문장 쓰기 지도의 방향. 『문법교육』14
    유혜령 한국 문법교육학회. 241-280 [2011]
  • 작문 교육과 어휘 교육. 『국어교육학연구』40
    이종철 국어교육학 회. 159-184 [2011]
  • 읽기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독서연구』29
    김경주 한국독서학 회. 35-95 [2013]
  • 일본어와 한국어 형용사 대조 시소러스 연구. 『일본연구』 제31호
    고은숙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37-259 [2007]
  • 일본 국정교과서의 어휘 교육에 관한 고찰 -『분류어휘 표』의 의미분류면에서-. 『일본어교육연구』16
    윤재숙 한국일어교육학회. 1-15 [2009]
  • 인지적 관점에서 본 의미역 분석: 이동체-배경 개념을 중심 으로. 『언어과학연구』70
    박미경 언어과학회. 173-192 [2014]
  • 인지언어학적 관점에서 본 의미의 본질.『한국어 의미학』 21
    임지룡 한국어의미학회 [2006]
  • 인지언어학과 TPR 교수법에 의한 한국어 교육 활용방안 고찰 - 다의어 ‘잡다’를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학』7(1)
    박수경 국제한국 언어문화학회. 173-196 [2010]
  • 인지동사의 의미분류와 어휘의미망 표상, 언어연구 26-2
    황순희 한국현대언어학회. 373-405 [2010]
  • 인식하는 주체에서 관찰하는 체계들로 -인지관찰자와 소통관 찰자의 등장-. 『개념과 소통』제11권
    이철 한림과학원. 117-165 [2013]
  • 인식의 거리 이동을 통한 표현 효과 연구 -심리용언 (心理 用言)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6
    권순희 국어교육학회. 157-184 [1996]
  • 인성 교육을 위한 어휘 교육 실천으로서 ‘공정한 표현’ 지도 단계 구안. 『청람어문교육』49
    윤천탁 청람어문교육학회. 347-374 [2014]
  • 인문언어학의 개념과 방법론 -언어정보학과 인문학의 소통 을 중심으로-
    김한샘 『한민족문화연구』제47권. 103-126 [2014]
  • 이동동사의 정의와 분류. 『현대문법연구』15
    채희락 현대문법학 회. 79-100 [1999]
  • 이동 동사의 사용 양상에 대한 연구. 『우리말글』59
    전은진 우리 말글학회. 51-77 [2013]
  • 이동 동사 ‘오다’와 ‘가다’의 쓰임에 대하여. 『문법교육』13
    송홍규 한국문법교육학회. 219-245 [2010]
  • 이동 동사 ‘가다’와 ‘오다’의 의미 -기준점 해석을 중심으로 -. 『한국어학』36
    고석주 한국어학회. 73-97 [2007]
  • 의사소통 영역 온톨로지에 기반한 동사의미 망 구축. 『어문논집』52
    도원영 이동혁 이봉원 민족어문학회. 67-96 [2005]
  • 의미지도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요소와 문법요소의 의미 기 술. 『국어학』63
    박진호 국어학회. 459-519 [2012]
  • 의미작용과 기호작용의 통합. 『현대문법연구』18 권
    김영순 임지룡 현대문법학회. 129-146 [1999]
  • 의미의 본질에 대한 심리언어학적 해석. 『언어과학연구』 8
    임지룡 언어과학회. 57-74 [1991]
  • 의미부류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용 온톨로지 구축: 고급 단 계 [인지적 행위] 동사를 중심으로. 『한국어의미학』43
    이숙의 한국어 의 미학회. 271-302 [2014]
  • 의미 중심의 동사 교육 방안 연구. 『어문학』107
    고춘화 한국어문 학회. 1-24 [2010]
  • 의미 범주 체계의 구축과 사전에서의 활용. 『한국어 의미 학』24
    이동혁 한국어의미학회. 51-82 [2007]
  • 의미 교육의 학습 내용에 대하여 -제7차 교육과정과 교과 서를 중심으로-. 『한국어학』33
    임지룡 한국어학회. 87-116 [2006]
  • 의미 교육의 방향과 바탕. 『한국초등교육』9(1)
    양태식 서울교육 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1997]
  • 의미 교육과 국어 교과서. 『한국어학』57
    최경봉 한국어학회. 121-153 [2012]
  • 의미 관계의 저장과 기능에 대하여. 『한글』263
    이동혁 한글학회. 95-124 [2004]
  • 의미 관계 중심의 초등 어휘 교육 방법 -이동 동사를 중심 으로. 『한국어문교육』11
    안찬원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87-211 [2012]
  • 박사
  • 유의어의 의미 비교를 통한 뜻풀이 정교화 방안에 대한 연 구. 『선청어문』26
    김광해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과. 5-40 [1998]
  • 원형이론과 의미의 범주화. 『국어학』제23집
    임지룡 국어학회. 41-68 [1993]
  • 원형이론과 개념론에 의한 어의 비교 연구. 『언어연구』 제11권
    이현근 한국현대언어학회. 167-181 [1995]
  • 용언의 어근분리 현상에 대하여. 『언어』4(2)
    임홍빈 한국언어학 회. 55-76 [1979]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형용사 ‘아름답다’, ‘예쁘다’, ‘곱다’ 의미 교육 방안. 『새국어교육』84
    유지연 한국국어교육학회. 153-181 [2010]
  • 왜 연어인가?. 『형태론』7(1)
    김진해 형태론. 163-169 [2005]
  • 온톨로지에 기반한 한국어 동사의 미망 구축 시고-<싸움>온톨로지를 중심으로. 『한국어학』24
    도원영 이봉원 최경봉 한정한 한국 어학회. 41-65 [2004]
  • 온톨로지(Ontology) 기반 한국어 동사 의미망 구축 방법 연 구
    박종호 청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박사
    영어 어의의 개념론적 연구
    이현근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연어를 활용한 어휘 교육 방법 연구. 『새한영어영문학』 55(1)
    김미영 새한영어영문학회. 215-232 [2013]
  • 연어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연구. 『한국어 교 육』15(3)
    강현화 한송화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5-318 [2004]
  • 연어(collocation)의 어휘 교육적 활용 방안 탐색. 『새국어교육』95
    김규훈 김혜숙 이준영 한국국어교육학회. 521-555 [2013]
  • 연어 중심 영어 어휘 교수 학습에 관한 연구
    김낙복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연어 관계를 이용한 어휘 교육 방안 –유표적 척도 형용사 부류의 코퍼스 분석을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4(1)
    강현화 한국언어문 화교육학회. 45-60 [2008]
  • 박사
  • 역 낱말밭: 용어, 개념, 비유들―전망. 『한글』273. 한글학 회. 219-243. Hans Schwarz(2001). Wortfeld: Terminus, Begriff und Bilder-Ausblick. U. H. Wa ner(Hg.). Lingua et linguae. Festschrift f r Clemens-Peter Herbermann zum 60. Geburtstag
    박성철 Aachen. 407-420 [2006]
  • 역 『우리를 슬프게 하는 것들: 안통 슈낙 수필집』
    차경아 문예 출판사 [2005]
  • 얼굴 특징점의 지각적 위계구조에 기초한 표정인식 신경망 모형. 『인지과학』12(1 2)
    반세범 정찬섭 한국인지과학회. 77-89 [2001]
  • 언어적 창의성의 개념과 국어과 교육 내용 연구. 『한국초 등국어 교육』24
    이경화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183-212 [2003]
  • 언어교육과 언어문화 - 어휘를 중심으로. 『독서연구』30
    이충우 한국독서학회. 387-409 [2010]
  • 언어 창의성의 개념적 고찰. 『교육종합연구』제4 권 제1호
    김창환 한상효 교육종합연구소 [2006]
  • 언어 영역의 위상과 내용 선정 방식에 관한 연구. 『선청어 문』22(1)
    이은희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과. 523-541 [1994]
  • 언어 사용 교육과 사고력 – 텍스트의 이해를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 5
    이삼형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23-251 [1998]
  • 언어 범주와 합성성; 개념의미론과 합성성. 『한국어의미 학』40
    양정석 한국어의미학회. 1-41 [2013]
  • 어휘장을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우리말교육현장연 구』5(2)
    문금현 우리말교육현장학회. 7-47 [2011]
  • 어휘의미론의 흐름과 특성. 『한말연구』31
    임지룡 한말연구학회. 195-227 [2012]
  • 어휘의 의미 관계와 어휘 교육 방법론. 『기전어문학』 10-11
    최경봉 수원대학교 국어국문학회. 827-846 [1996]
  • 어휘소간의 의미 관계에 대한 재검토. 『국어학』20
    김광해 국어학 회. 28-46 [1990]
  • 어휘부란 무엇인가 -인접 학문 분야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국어학』66
    채현식 국어학회. 307-333 [2003]
  • 어휘문법 기반 한국어 동사 구문 연구 : 형용사 구 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프랑스어문교육』36
    김소연 남지순 한국프랑스어문교육 학회 [2011]
  • 어휘력의 재이해와 지도 방법. 『청람어문교육』27
    김명순 청람어 문교육학회. 1-25 [2003]
  • 어휘력과 어휘력의 평가. 『선청어문』25(1)
    김광해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과. 1-29 [1997]
  • 어휘력과 어휘 지도. 『선청어문』25(1)
    이영숙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과. 189-208 [1997]
  • 어휘력 평가의 평가 요소와 평가 유형에 대한 고찰. 『국어 교육학연구』42
    이기연 국어교육학회. 461-497 [2011]
  • 어휘관계의 체계성을 다시 생각한다. 『한국어의미학』42
    김진해 한국어의미학회. 443-462 [2013]
  • 어휘 학습의 이론과 실제. 『문법교육』9
    하치근 한국문법교육학 회. 337-363 [2008]
  • 어휘 지도 방법. 『청람어문교육』15
    이재승 청람어문교육학회. 162-182 [1996]
  • 어휘 의미와 의미관계 정보의 구성과 작용. 『한국어 의미 학』42
    최경봉 한국어의미학회. 27-55 [2013]
  • 어휘 의미론
    최경봉 한국문화사 [2015]
  • 어휘 의미 추측 전략을 활용한 자기 주도적 어휘 학습 방안 -선다형 어휘 주석을 중심으로-. 『국어교육연구』33
    유민애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05-237 [2014]
  • 어휘 선택과 표현의 효과–상하위어를 중심으로-
    신명선 『작문연 구』10. 한국작문학회. 137-168. [2010]
  • 어휘 교육의 방법. 『어휘 교육론』. 국어교육학회 편
    서혁 사회평 론아카데미 [2014]
  • 어휘 교육의 방법. 『교육이론과 실천』7(2)
    김형철 경남대학교 교 육문제연구소. 155-172 [1997]
  • 어휘 교육의 목표와 의의. 『국어교육학연구』40
    구본관 국어교육 학회. 27-59 [2011]
  • 어휘 교육의 목표로서의 어휘 능력(lexical competence)에 대한 연 구
    신명선 『국어 교육』113. 한국어교육학회. 263-296. [2004]
  • 어휘 교육의 과제. 『국어교육연구』5(1)
    마광호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95-117 [1998]
  • 어휘 교육을 위한 전자사전의 활용 방안. 『새국어 교육』83
    박미영 이현희 한국국어교육학회. 375-406 [2009]
  • 어휘 교육 평가의 이론적 고찰 -목표와 내용 타당도를 중 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40
    이도영 국어교육학회. 103-125 [2011]
  • 어휘 교육 연구 어디까지 왔나. 『우리말교육현장연구』 5(2)
    이창수 우리말교육현장학회. 127-182 [2011]
  • 어휘 교육 내용 체계화를 위한 어휘어미의 가치 교육 연구. 『새국어교육』74호
    박재현 한국국어교육학회. 5-24 [2006]
  • 어항 속으로 들어가다. 『시와 세계』19
    최정애 시와 세계. 56-56 [2007]
  • 어원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앚/앛’ 계열 어휘의 어원 연 구를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48
    안찬원 국어교육학회. 273-303 [2013]
  • 심리형용사 구문의 기본 문형에 관한 연구, 동남어문논집 37
    박재희 동남어문학회. 5-34 [2014]
  • 식물 분류 대안개념의 원인에 대한 연구: 중 학생의 사고, 과학 교과서, 과학 교사를 중심으로. 『생물교육』 39(3)
    곽대오 김용진 김운화 한국생물교육학회. 485-499 [2011]
  • 시간어와 공간어의 상관성(1) -품사 하위분류의 새로운 가 능성과 관련하여. 『국어학』20
    민현식 국어학회. 47-71 [1990]
  • 시각형용사의 어휘론. 『冠嶽語文硏究』10(1)
    김창섭 서울대 국어 국문학과 [1985]
  • 박사
  • 소통의 이론과 그 철학적 기반 -리쾨르의 해석학을 중심으 로-. 『개념과 소통』2권 1호
    황수영 한림과학원. 69-98 [2009]
  • 세계의 자국어 교육 과정에 대한 연구 -내용 영역을 중심 으로-. 『새국어교육』72
    이관규 한국국어교육학회. 81-102 [2006]
  •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편 『교육학용어사전』
    서울: 하우 [1994]
  • 생물 분류 탐구에서 과제 집착의 인지적 모형 규명. 『과학교육연구지』37권 1호
    권승혁 권용주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170-185 [2013]
  • 색채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언어과학연구』24
    송현주 언어과 학회. 131-148 [2003]
  • 상적 특성에 따른 한국어 풀이씨의 분류. 『문법연구』5
    정문수 문 법연구회. 51-85 [1984]
  • 사전정의문의 중심어를 이용한 동사 어휘의미망의 구축 및 활용 평가
    김혜경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사용 능력 향상을 위한 어법 및 어휘의 수준별 교육 방안 연구 -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대비하여-. 『국어 교육』 105
    민현식 한국어교육학회. 193-232 [2001]
  • 사고력 함양 중심의 작문 교육 계획, 어문학 75
    이상태 한국 어문학회. 61-75 [2002]
  • 사고, 지식, 어휘의 교육적 함의. 『국어교육학연구』8
    박수자 국어 교육학회. 83-104 [1998]
  • 복합 색채어의 의미-사전의 뜻풀이를 중심으로. 『국어학』 제55집
    구본관 국어학회. 173-211 [2009]
  • 반의어의 존재양상. 『국어학』제3집
    심재기 국어학회. 135-149 [1975]
  • 반의어를 이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언어학』22(4)
    신희삼 대한언어학회. 297-316 [2014]
  • 반의관계를 이용한 한국어 교육 방안. 『이중언어학』49
    이민우 이 중언어학회. 219-242 [2012]
  • 바른 표현을 위한 문법 교육의 내용 체계 구성 연구
    고춘화 경북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문장의 유형에 대한 초등 국어 문법 교육 내용 연구. 『한 국초등국어 교육』50
    이병규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387-412 [2012]
  • 문장에서의 반의관계 실현 방식 연구 -반의관계와 문법 구 성 및 표현의 상관성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20(3)
    홍윤기 국제한국 어교육학회. 185-204 [2009]
  • 문장 의미 해석을 위한 한국어 동사의 층위별 의미 자질 구 조화. 『한국어의미학』8
    이찬규 한국어의미학회. 133-171 [2001]
  • 문법의 위상과 문법 교과서 : 제6차 교육 과정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10(1)
    이관규 우리어문학회. 517-550 [1997]
  • 문법교육론
    이춘근 이회출판사 [2002]
  • 문법 영역의 위상과 문법론의 내용 체계. 『이중언어학』 26
    이관규 이중언어학회. 211-226 [2004]
  • 문법 연구와 문법 교육의 상관관계 : 문법 교육의 내용 선 정 원리와 관련하여. 『한국어학』33
    이관규 한국어학회. 37-60 [2006]
  • 문법 교육의 인식 변화와 문법 교재의 양상. 『새국어교 육』89
    이관규 한국국어교육학회. 257-276 [2011]
  • 문법 교육에서 어휘적 연어 수용의 한 방향
    신명선 ( Myung Sun Shin ) 『한국어 의 미학』47. 한국어의미학회. 55-83. [2015]
  • 문법 교육과 어휘 교육. 『국어교육학연구』40
    이관규 국어교육 학회. 127-158 [2011]
  • 문법 교과서의 변천 문법 교과서의 변천. 『문법교육』1
    이관규 문법교육학회. 45-88 [2004]
  • 문교부 『우리말 말수사용의 잦기조사 : 어휘사용 빈도조사』
    문 교부 [1956]
  • 맥락적 반의 관계 어휘의 한국어 교육 방안 -목록 선정 및 제시 원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53
    김서형 이중언어학회. 1-24 [2013]
  • 맛-형용사의 연구를 위한 의미론적 모델. 『기호학 연구』36
    김형민 박여성 한국기호학회. 9-36 [2013]
  • 말하기 듣기 교육에서의 적절성에 관한 연구
    오현진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동의어(Synonyms)의 의미평정: 의미평정 방법의 모색을 위 하여. 『대구교대논문집』6
    김종택 대구교육대학교. 101-116 [1971]
  • 동사 중심 문장 쓰기 활동이 영어 쓰기와 읽기 능력에 미치 는 효과
    정미라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동사 어근 구성 합성어 형성의 특징 -V+{은,는,을}+N, V+ 아+V형을 중심으로-. 『한민족어문학』43
    김인택 한민족어문학회집. 5-22 [2003]
  • 동사 ‘오다’, ‘가다’의 의미 분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 육』2
    이기동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139-159 [1977]
  • 동사 ‘가다’의 의미. 『한글』247
    이기동 한글학회. 133-158 [2000]
  • 도상성을 적용한 한국어 색채 어휘 변별 방안 -‘검 다’와 ‘희다’를 중심으로-. 『언어와 문화』제11권 1호
    임지룡 함계임 한국언어문화 교육학회. 139-162 [2015]
  • 대학생과 초등학생의 단어 연상 비교. 『인지과학』19(1)
    박미자 한국인지과학회. 17-39 [2008]
  • 대립어의 의미습득에 대하여. 『배달말교육(모국어 교 육)』7
    임지룡 배달말교육학회. 153-179 [1989]
  • 단어 연상에 관한 조사 연구(2). 『한국어의미학』11
    이찬규 한국 어의미학회. 49-78 [2002]
  • 단어 연상에 관한 조사 연구(1). 『어문연구』30(2)
    이찬규 한국 어문교육연구회. 49-78 [2002]
  • 단어 개념의 역동적 구성 과정과 담론:토론을 중심으로
    신명선 『국어교육연구』29.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139-184. [2012]
  • 다의 동사 ‘잡다’의 인지적 접근에 의한 사전 처리 연구. 『한국어 의미학』24
    정병철 한국어의미학회. 243-273 [2007]
  • 다의 구조와 개념론. 『언어연구』15(2)
    이현근 한국현대언어학 회. 157-173 [1999]
  • 다문화 가정 아동의 읽기 유창성 발달 연구. 『한국초등국 어교육』48
    윤준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11-230 [2012]
  • 낱말 지도에 관한 연구. 『배달말교육』10
    최문경 배달말교육학회. 211-228 [1992]
  • 김진해의 『연어(連語)』(2000) 다시 읽기. 『형태론』5(2)
    강현화 형태론. 419-434 [2003]
  • 기쁨 자동사의 내용 연구. 『이중언어학』15
    김응모 이중언어학회. 169-194 [1998]
  • 기본어휘의 개념과 기초 어휘의 위상 : 교육용 어휘를 중심 으로. 『국어 교육』71
    서덕현 한국어교육학회. 211-244 [1990]
  • 기본 감정 표현의 은유화 양상 연구. 『한국어학』17
    임지룡 한국 어학회. 135-162 [2002]
  • 국어지식영역의 정의적 범주에 대한 고찰. 『국어교육학연 구』22
    김은성 국어교육학회. 125-157 [2005]
  • 국어지식교육론
    김광해 서울대학교출판부 [1997]
  • 국어지식 영역에서의 지식의 성격과 내용 체계화 방법론 연구. 『국어교육학연구』25
    주세형 국어교육학회. 105-154 [2006]
  • 국어지식 교육과 사고력의 관계에 대한 일고. 『한국초등국 어 교육』24
    송현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67-95 [2004]
  •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17(1)
    시정곤 한국 현대언어학회. 163-184 [2001]
  • 국어의 상에 대한 연구
    조민정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국어의 문장 구성에 대한 연구와 전망, 한국어학 16
    이관규 한국 어학회. 105-147 [2002]
  • 국어의 동작동사와 상태동사의 체계연구(1). 『어문논총』 17
    천기석 한국문학언어학회. 27-86 [1983]
  • 국어의 기초 어휘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23(1)
    임지룡 국 어교육학회. 87-131 [1991]
  • 국어의 기본 색채어와 그 의미. 『국어국문학』제162호
    이선영 국 어국문학회. 143-170 [2012]
  • 국어의 격과 격조사에 대하여. 『국어문법탐구Ⅰ』
    남기심 태학 사 [1996]
  • 국어에 있어서의 시간과 공간 개념. 『국어교육연구』12
    임지룡 국 어교육학회. 111-126 [1980]
  • 국어사 교수 학습 내용의 체계성과 위계성에 대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20
    이관규 국어교육학회. 407-432 [2004]
  • 국어능력 향상을 위한 철학적 기반 탐색. 『국어교육학연 구』25
    임경순 국어교육학회. 365-388 [2006]
  • 국어과교육 교수, 학습 방법 연구사 고찰 -국어 교육학 박사 학위 논문들을 중심으로. 『국어교육학연구』14
    서혁 국어교육학회. 93-130 [2002]
  • 국어과 정의적 사고의 유형화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49(3)
    김종률 국어교육학회. 94-136 [2014]
  • 국어과 어휘 지도의 내용 및 방법. 『국어 교육』103
    손영애 한국 어교육학회. 53-78 [2000]
  • 국어과 어휘 교육의 발전 방향. 『독서연구』14
    주세형 한국독서학 회. 373-399 [2005]
  • 국어과 어휘 교육 내용의 유형화에 관한 연구
    신명선 『국어교육 학연구』40. 국어교육학회. 61-101. [2011]
  • 국어과 사고 영역 체계화 연구. 『새국어교육』85
    최홍원 한국국어 교육학회. 319-351 [2010]
  • 국어과 교육과정을 위한 담화 개념의 위상. 『국어교육학연 구』44
    김종현 국어교육학회. 167-201 [2012]
  • 국어과 교육과정 설계와 학문적 쟁점 ; 문법교육론의 쟁점 과 문법 교육의 내용. 『국어 교육』133
    이문규 한국어교육학회. 109-144 [2010]
  • 국어과 교수, 학습 방법 구성의 원리. 『국어교육학연구』24
    서혁 국어교육학회. 297-324 [2005]
  • 국어과 교수, 학습 모형 연구 -언어 사용 기능을 중심으로 -. 『청람어문교육』35
    최규홍 청람어문교육학회. 109-128 [2007]
  • 국어 형용사의 의미 구조, 한국어의미학 8
    김정남 한국어의미학 회. 171-199 [2001]
  • 국어 형용사의 유형에 대한 연구, 국어학 36
    유현경 국어학회. 221-258 [2000]
  • 국어 형용사의 상태성에 대한 고찰. 『어문논집』45권
    도원영 민 족어문학회. 85-108 [2002]
  • 국어 지식 교육의 평가 내용과 방법의 현황 및 문제점. 『이 중언어학』23
    이관규 이중언어학회. 211-226 [2003]
  • 국어 이동자동사의 낱말밭 연구
    김응모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 국어 어휘의 계층적 의미관계에 대한 고찰. 『한국언어문 학』40
    김은영 한국언어문학회. 7-18 [1998]
  • 국어 어휘 지도 방법의 비교 연구: 한자 이용 여부를 중심 으로
    손영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국어 어휘 능력 평가의 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
    신명선 ( Myungseon Shin ) 『국어교 육학연구』50(2). 국어교육학회. 60-97. [2015]
  • 국어 어휘 교육의 위상. 『국어교육학연구』13
    이충우 국어교육학 회. 467-490 [2001]
  • 국어 어휘 교육의 과제와 방향. 『한국어 의미학』33
    임지룡 한국 어의미학회. 259-296 [2010]
  • 국어 어휘 교육의 개선 방안. 『국어교육학연구』24
    이충우 국어교 육학회. 385-407 [2005]
  • 국어 색채어의 의미와 시각의 보편성. 『한국어의미학』27
    이정애 한국어의미학회. 151-178 [2008]
  • 국어 사용에서 언어 환경의 현황과 과제. 『새국어교육』81
    이관규 한국국어교육학회. 231-253 [2009]
  • 국어 사고 도구어 연구
    신명선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국어 분류어휘집의 체제와 상관성. 『국어학』제23집
    임지룡 국 어학회. 395-425 [1989]
  • 국어 문장 구조에 관한 지시-기능주의적 연구 : 교육문법 의 체계 구성을 위하여. 『국어교육연구』34(1)
    이상태 국어교육학회. 141-160 [2002]
  • 국어 문법에서의 의미역 기능에 대한 재고. 『언어와 정보 사회』11
    김명광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95-110 [2009]
  • 국어 문법 교육의 태도 교육 내용 연구
    김은성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06]
  • 국어 문법 교육의 개선 방안. 『이중언어학』26
    이충우 이중언어학 회. 271-290 [2004]
  • 국어 동사의 감정 의미 획득에 관한 연구. 『한국어 의미 학』40
    조경순 한국어의미학회. 43-69 [2013]
  • 국어 동사상의 자질과 분류에 관한 연구. 『한국학연구』제 6 7집
    박덕유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53-90 [1996]
  • 국어 대명사의 담화분석적 연구
    주경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국어 능력의 개념 정립을 위한 시론
    이천희 『한국어교육학회』 118권. 5-30 [2005]
  • 국어 기초 어휘의 개념에 대하여. 『어문논집』23
    김종학 중앙대학 교 국어국문학회. 105-117 [1994]
  • 국어 교육의 학문적 정체성과 실천 과제. 『새국어교육』89 호
    민현식 한국국어교육학회. 213-255 [2011]
  • 국어 교육의 성격과 국어 능력 평가의 한 문제. 『문법교 육』8
    이관규 문법교육학회. 139-154 [2008]
  • 국어 교육용 어휘와 한국어 교육용 어휘. 『국어 교육』 111
    김광해 한국어교육학회. 255-291 [2003]
  • 국어 교육용 어휘 선정을 위한 교과서 어휘 조사 연구. 『국어교육연구』47
    김한샘 국어교육학회. 63-90 [2010]
  • 국어 교육과 사고력, 한국초등국어교육 24
    노명완 한국초등국 어교육학회. 1-36 [2004]
  • 국어 교육과 교과서 ; 국어 교과서의 역사적 변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42
    조희정 국어교육학회. 41-71 [2011]
  • 국어 교육과 관련된 어휘 기술의 보편성과 개별성. 『독서 연구』30
    이충우 한국독서학회. 365-396 [2013]
  • 국어 교육 연구의 새로운 방향 : 문법 교육 연구의 현황과 새로운 방향. 『국어 교육』123
    이관규 한국어교육학회. 93-130 [2007]
  • 국어 교육 문법 연구 :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을 위한 문 법. 『국어교육학연구』7(1)
    이충우 국어교육학회. 1-29 [1997]
  • 국어 교육 내용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국어교육학연구』14
    이성영 국어교육학회. 67-92 [2002]
  • 국어 공간동사의 유형과 의미 양상. 『어문학』109
    정수진 한국어 문학회. 63-97 [2010]
  • 국어 감정동사 구문의 개념 구조 연구. 『한국어학』56
    조경순 한 국어학회. 245-273 [2012]
  • 국어 감정 어휘의 습득. 『언어』34(3)
    김영주 한국언어학회. 441-472 [2009]
  • 구성주의 이론의 국어 교육학적 의의. 『독서연구』18
    박수자 한국 독서학회. 1-26 [2007]
  • 교육문법의 체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8
    이성영 국어교육학회. 199-243 [1998]
  • 교육문법의 체계 구성에 관한 연구. 『어문학』102
    이상태 한국어 문학회. 125-143 [2008]
  • 교과서를 통해 본 디지털 시대 문학 교육의 현재성 연구. 『청람어문교육』44
    김대희 엄해영 청람어문교육학회. 525-548 [2011]
  • 관계에 대하여. 『언어학』제61권
    이향천 한국언어학회. 211-241 [2011]
  • 고빈도 명사 공기어를 활용한 한국어 어휘 교육 방안. 『언 어와 정보사회』23
    이영제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189-214 [2014]
  • 고등학교 국어과 어휘 교육내용의 구성요소 연구. 『교사교육연구』52(3)
    김소영 이병운 부산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379-392 [2013]
  • 결합적 어휘 의미관계의 독립성과 특성에 대하여. 『어문학 교육』43
    이동혁 한국어문교육학회. 147-176 [2011]
  • 개념체계의 신체적 기반. 『철학』68
    노양진 한국철학회. 307-328 [2001]
  • 개념적 지식과 논리적 사고. 『한국심리학회 지 : 인지 및 생물』제4권
    김영채 박권생 박아청 한국심리학회. 140-164 [1992]
  • 개념의미론의 의미구조 기술과 논항 연결: 이동동사 움직임 동사 구문 을 중심으로,『언어』 29-3
    양정석 한국언어학회. 329-357 [2004]
  • 개념의 의미: 철학사적 고찰
    이상명 『근대철학』제8권. 99-125 [2013]
  • 개념사 연구: 역사서술과 언어학의 상호작용 -구조의미론, 원형의미론 및 텍스트언어학을 중심으로-. 『개념과 소통』9
    박여성 한림 과학원. 33-90 [2012]
  • 개념론적 및 인지론적 어의 연구. 『담화와 인지』6(1)
    이현근 담 화 인지언어학회. 159-177 [1999]
  • 개념, 존재, 삶 -동양 사상과 ‘개념’의 문제-. 『개념과 소 통』2(1)
    김수중 한림과학원. 5-33 [2009]
  • 감정표현 색채어 연구 : 영어와 중국어를 중심으로. 『언어 과학』제22권 1호
    주보현 한국언어과학회. 95-118 [2015]
  • 감정의 생리적 반응에 대한 언어화 양상. 『담화와 인지』 6(2)
    임지룡 담화 인지언어학회. 89-117 [1999]
  • 감정의 색채 반응 양상. 『담화와 인지』제12권 3호
    임지룡 담화 인지언어학회. 75-99 [2005]
  • 감정동사의 범주 규정과 유형 분류. 『한국어학』45
    정연주 홍종선 한국어학회. 387-420 [2009]
  • 감정 온톨로지의 구축을 위한 구성요소 분석. 『인 지과학』21(1)
    권혁철 윤애선 한국인지과학회. 157-175 [2010]
  • 각국의 자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국어 정책과 국어 교육 정책의 현황과 방향. 『국어교육연구』28. 145-183
    이관규 서울대학교 국어 교육연구소 [2011]
  • 國立國語硏究所編(2004). 『分類語彙表增補改訂版』. 國立國語硏究所資料 集14.
  • 『현대 한국어 동사 구문 사전』
    홍재성 두산동아 [1986]
  • 『현대 국어 자동사 연구』
    한송화 한국문화사 [2000]
  • 『한국어 동사 온톨로지 구축 연구』
    이숙의 도서출판 역락 [2013]
  • 『학교 문법론(제3판)』
    이관규 도서출판 월인 [2012]
  • 『철학사전(개정 증보판)』
    임석진 중원문화 [2009]
  • 박사
    『접속 관계의 텍스트 언어학적 연구』
    이은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 문 [1993]
  • 『의미론 개론』
    이익환 한신문화사 [1995]
  •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문화사 [1961]
  • 『분류어휘표(分類語彙表)』의 의미분류를 활용한 한 일 초등학교 저학년 국어교과서 어휘고찰. 『일본어교육연구』
    송정식 이미숙 29권. 한국일어교육학회. 123-141 [2014]
  • 『국어의 타동구문 연구』
    우형식 박이정 [1996]
  • 『국어 합성어 연구』
    김일병 역락 [2002]
  • 『국어 동작 동사와 상태 동사의 체계 연구』
    천기석 형설출판사 [1984]
  • 『국어 동사의 구문의 분석』
    우형식 태학사 [1998]
  • 『국어 교육론』
    이대규 교육과학사 [2001]
  • 『국어 감정동사 연구』
    김은영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국어 1-1㉮㉯』, 『국어 1-2㉮㉯』, 『국어 2-1㉮㉯』, 『국어 2-2㉮㉯』, 『국어 3-1㉮㉯』, 『국어 3-2㉮㉯』, 『국어 4-1 ㉮㉯』, 『국어 4-2㉮㉯』『국어 5-1㉮㉯』, 『국어 5-2㉮㉯』, 『국 어 6-1㉮㉯』, 『국어 6-2㉮㉯』
    교육부 [2015]
  • 『격조사 ‘을/를’의 연구』
    이광호 국어학회(탑출판사) [1988]
  • 『物名考』類에 대한 국어학적 연구 : 어휘 분류와 조어법 을 중심으로.
    백승창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조선문법연구」
    홍기문 서울신문사 [1947]
  • 「국어의미론 강의」
    윤평현 도서출판 역락 [2013]
  • 「국어 연어 연구」
    김진해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박사
    “한국어 연어 연구”
    임근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물명고(物名考)”
    최경봉 의 온톨로지와 어휘론적 의의. 『한국어 의 미학』17. 한국어의미학회. 21-42 [2005]
  • “동사 ‘잡다’의 의미 확장", 『언어과학연구』22
    이건환 언어과학회. 159-184 [2002]
  • “국어의 인지 동사 연구: 통사적 의미적 특성을 중심으로.”
    변정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국어 어휘의미 교육의 인지언어학적 연구”
    서혜경 경북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2015]
  • “국어 공간어의 의미 확장 연구”
    정수진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 “’머릿속 어휘 지식 사전‘을 활용한 국어 어휘 교육 방법 연구”
    윤천탁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정확성’ 중심 문법 교육관에 대한 반성적 고찰. 『새국어교 육』80
    오현아 한국국어교육학회. 295-318 [2008]
  • ‘있다’의 의미에 대한 연구 -어휘개념 구조 표상을 중심으 로-. 『한말연구』20권
    고석주 한말연구학회. 1-25 [2007]
  • ‘이해 어휘’의 ‘표현 어휘’ 전환을 위한 ‘유의어 바꿔 쓰기’ 교육 방법 연구. 『국어 교육』145호
    박종미 한국어교육학회. 1-25 [2014]
  • ‘불쌍하다’ 유의어의 의미고찰. 『한국어의미학』17
    최홍열 한국어 의미학회. 95-124 [2005]
  • ‘기쁨’과 ‘슬픔’의 개념화 양상. 『국어학』37
    임지룡 국어학회. 219-249 [2001]
  • ‘가족’ 단어의 연상의미 연구. 『국어학』50
    이유미 이찬규 국어학 회. 295-328 [2007]
  • ‘가다’, ‘오다’의 의미 연구. 『한국언어문학』24
    전수태 한국언어문 학회. 51-83 [1986]
  • ‘가다’ 동사의 의미와 구문에 대한 구문문법적 접근. 『한국 어 의미학』17
    정주리 한국어의미학회. 267-294 [2005]
  • Women, Fire, and Dangerous Things: What Categories Reveal about the Mind. Chicago: Univ
    Lakoff, G. of Chicago Press. 이기우 역(1995). 『인지 의미론: 언어에서 본 인간의 마음』. 한국문화사 [1987]
  • Verkuyl, H. J.(1989). Aspectual classes and aspectual composition. Linguistics and Philosophy 12. Kluwer Academic Publishers. 39-94.
  • Vendler, Z.(1967). Linguistics in Philosophy. Ithaca, NY: Cornell University Press.
  • Valency and Case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Somers H.L. Edinburgh University Press. 우형식 정유진 공역(1998). 『격과 결 합가 그리고 전산언어학』. 한국문화사 [1987]
  • Ullmann, S.(1962). Semantics: An Introduction to the Science of Meaning. Oxford, Basil Blackweel.
  • Thorndike, E. L.(1927). The Teacher’s Word Boo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City.
  • Thorndike, E. L. & Lorge, I.(1944). The Teacher’s Word Book of 30,000 Words.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New York City.
  • Thornbury, S.(2002). How to Teach Vocabulary. London: Longman.
  •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7th ed) .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Merrill Publishers. 김동식 강명희 설양환 공역(2009). 『체제적 교수 설 계』
    Carey, J. O. Carey, L. Dick, W. 아카데미프레스 [2009]
  • The Construction of Word-meaning Structure
    심재기 『어학연 구』제3권 제2호. 125-138 [1967]
  • Taylor, J. R.(1989). Linguistic Categorization: Prototypes in Linguistic Theory. Oxford: Clarendon press.
  • Talmy, L.(1985). Lexicalization patterns: semantic structure in lexical forms. In Timothy, S.(ed.). Grammatical Categories and the Lexicon,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3. Cambridge Univ. Press. 57-149.
  • Stubbs, M.(1983). Discourse Analysi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Stone-McCown, K. & McCormick, A. H.(1999). Self-science: Emotional intelligence for children. In Reigeluth, C. M.(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ume 2.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537-561.
  • Schmitt, N.(2000). Vocabulary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 Schmitt, N.(1997). Vocabulary learning strategies. In Schmitt, N. & McCarthy. M.(eds.). Vocabulary: Description, Acquisition and Pedag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27.
  • Saussure, Ferdinand de.(1916). Cours de Linguistique Générale. Paris: Payot. Trans. W. Baskin.(1959). Course in General Linguistics. New York: Philosophical Library.
  • Sapir, E.(1921). Language: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Speech. New York: Harcourt, Brace & World, Inc.
  • Saeed, I. J.(2003). Semantics(2nd ed) . Cambridge: Blackwell Publishing.
  • Russell,J.A.(1980),"A Circumplex ModelofAffect",Journalof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39(6),1161-1178.
  • Russell, J. A., Fernabdez-Dols, J. M., Mastead, A. S. R. & Wellenkamp, J. C.(1995). Everyday Conceptions of Emotion: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Anthropology and Linguistics of Emoti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 Russell, J. A.(1991). Culture and the categorization of emotions. Psychological Bulletin, 110(3) . 426-450.
  • Russell, J. A. (2003). Core affect and the psychological construction of emotion. Psychological Review, 110(1), 145-172.
  • Ruddell, Robert B.(2004). Theoretical Models and Processes of Reading(5th ed) .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Rosch, E. H.(2011). “Slow lettuce”: Categories, concepts, fuzzy sets, and logical deduction. In Klir, G. J.(ed.). Concepts and Fuzzy Logic. MIT Press.
  • Rosch, E. H.(1978). Principles of categorization. Cognition and Categorization. Social Science Research Council (U.S.). 27-48.
  • Rosch, E. H.(1975). Cognitive representations of semantic categories. J 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Vol 104(3) . 192-233.
  • Rosch, E. H.(1973). On the internal structure of perceptual & semantic categories. In Timothy, M.(ed). Cognitive Development & Acquisition of Language. N.Y.: Academic Press.
  • Roland, D.(2001). Verb Sense and Verb Subcategorization Probabilities.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Colorado at Boulder.
  • Roediger, H. L. & McDermott, K. B.(1995). Creating false memories: Remembering words not presented in lists.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Learning, Memory, and Cognition, 21(4). 803-814.
  • Robinson, P. J.(1989). A rich view of lexical competence. ELT J ournal 43(4). 274-282.
  • Rips, L. J., Shoben, E. J., & Smith, E. E.(1973). Semantic distance and the verification of semantic relations. J 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2. 1-20.
  • Riggio,R.E.,& Friedman,H.S.(1982).Theinterrelationshipsofself-monitoring factors, personality traits, and nonverbal social skills. Journal of NonverbalBehavior,7(1),33-45.
  • Richards, J. C.(1976). The role of vocabulary learning. TESOL Quarterly 10. Teachers of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Inc. (TESOL). 77-89.
  • Richards, J. C. & Rodgers, T. S.(2001). Approaches and Methods in Language Teaching. Cambridge University Press.
  • Renzulli, J. S.(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 180-261.
  • Reis, D. L. & Gray, J. R.(2009). Affect and action control. Oxford Handbook of Human A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Oxford. 277-297.
  • Reigeluth, C. M.(ed.) (1983).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 Raths, L. E., Harmin, M. & Simon, S. B.(1978). Values and Teaching: working with values in the classroom(2nd ed) . Columbus: Merrill.
  • Press. 고석주 양정석 역 『의미구조론』
    한신문화사 [1999]
  • Plutchik, R.(2001). The nature of emotions. American Scientist, 89. 344-350.
  • Plutchik, R.(2000). Emotions in the Practice of Psychotherapy: Clinical Implications of Affect Theorie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Press.
  • Plutchik, R.(1980). A general psychoevolutionary theory of emotion. In Plutchik, R. & Kellerman, H.(eds.). Emotion: Theory, Research, and Experience. New York: Academic Press. 3-33.
  • Plutchik, R. & Conte, H. R.(1997). Circumplex models of personality and emo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89. 344-350.
  • Parsons, T.(1990). Events in the Semantics in English: A Study in Subatomic Semantics. MIT Press, Cambridge.
  • Palmer, R.(1974). The English verb. London: Longman.
  • PCK의 측면에서 본 초등 국어교과서 어휘 교육 내 용의 활동 구성 검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12(3)
    김지영 이경화 학습자중심 교과교육학. 363-388 [2012]
  • Oxford, R. L.(1990).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What Every Teacher Should Know. Boston: Newbury House.
  • Ostermann, C.(2012). Cognitive lexicography of emotion terms. In Proceedings of the 15th EURALEX International Congress. 493-501.
  • Ortony, A., Clore, G. L. & Collins, A. M.(1988). The Cognitive Structure of Emotions.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Ogden, C. K. & Richards, I. A.(1923/1953). The Meaning of Meaning: a Study of the Influence of Language upon Thought and of the Science of Symbolism. San Diego :Harcourt Brace Jovanovich.
  • Newmeyer, F.(2010). On comparative concepts and descriptive categories: A reply to Haspelmath. Language 86(3) . 688-695.
  • Nation, I. S. P.(2002). Best practice in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In Richards, J. C. & Renandya, W. A.(eds.). Methodology in Language Teaching: An Anthology of Current Practic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67-272.
  • Nation, I. S. P. (2001). Learning vocabulary in another langua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Nation, I. S. P. (1990). Teaching and learning vocabulary. New York: Newbury House.
  • N. Luhmann에 있어서 행위와 목적(Ⅱ).
    이인건 『외대논총』22(1). 부산외국어대학. 309-325. [2001]
  • N. Luhmann에 있어서 행위와 목적(Ⅰ)
    이인건 『외대논총』21(1). 부산외국어대학. 309-325. [2000]
  • Mourelatos, A. P. D.(1978). Events, processes, and states. Linguistics and Philosophy 2(3) . 415-434.
  • Miller, G. A.(1998). Nouns in WordNet. WordNet. The MIT Press. 23-46.
  • Meara, P.(1996). The dimensions of lexical competence. In Brown, G., Malmkjaer, K. & Williams, J.(eds.) Performance and Competen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Meaning in Language: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andPragmatics
    Cruse, D. A. Oxford University Press. 임지룡 김동 환 역(2002). 『언어의 의미 : 의미 화용론 개론』. 태학사 [2000]
  • McCarthy, M. (1990). Vocabular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Martin, B. L. & Reigeluth, C. M.(1999). Affective education and the affective domain : Implications for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In Reigeluth, C. M.(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ume 2.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485-509.
  • Marconi, D.(1995). On the structure of lexical competence. Proceedings of the Aristotelian Society, 95. London: Aristotelian Society. 131-150.
  • Marantz, A.(1984). On The Nature of Grammatical Relations. Cambridge, Mass.: MIT Press.
  • Machery, E.(2011). Concept: A tutorial. In Klir, G. J.(ed.). Concepts and Fuzzy Logic. MIT Press.
  • Loftus, E. F.(1975). Spreading activation within semantic categories: Comments on Rosch’s “Cognitive representation of semantic categories.”. J 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104(3) . 234-240.
  • Lewis, M.(2000). Language in the lexical approach. In Lewis, M.(ed.). Teaching Collocation: Further Developments in the Lexical Approach. London: Language Teaching Publications. 126-153.
  • Levelt, W. J. M.(1989). Speaking: From Intention to Articulation. MA: MIT Press.
  • Les Structures Lex matiques. Franz Steiner Verlag GMBH. 허발 역(1985). 『구조의미론』
    Coseriu, E. 고려대학교 출판부 [1968]
  • Lehrer, A.(1974). Semantic Fields and Lexical Structure. Amsterdam: North-Holland.
  • Lehrer, A. & Battan, P. L.(1983). Semantic fields and semantic change. In Martin-Callejo, E.(ed.). Coyote Papers 4. University of Arizona Linguistics Circle.
  • Leech의 의미론: 의미의 7유형에 대하여
    홍사만 『어문론총』18.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47-67. [1984]
  • Leech, G.N.(1974). Semantics . Harmondsworth: Penguin.
  • Leech, G. N.(1981). Semantics: the Study of Meaning. Harmondsworth, Middlesex: Penguin Books.
  • Leech, G. N.(1971). Meaning and the English verb. London: Longman.
  • Language and Thought. Englewood Cliffs, N. J. : Prentice-Hall. 조명한 역(1973). 『언어와 사고』
    Carroll, J. B. 익문사 [1964]
  • Langaker, R. W.(1987).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Vol 1, Theoretical Prerequisites. Standford Univ. Press.
  • Labov, W.(1973). The boundaries of words and their meanings. In Bailey, C.-J.N. & Shuy, R.(eds.). New Ways of Analyzing Variation in English.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340-373.
  • Krathwohl, D. R., Bloom, B. S. & Masia, B. B.(1964).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Classification of Educational Goals. handbook Ⅱ: Affective Domain. New York: Longman.
  • Kohlberg, L.(1975). The cognitive-developmental approach to moral education. The Phi Delta Kappan. 56(10) . 670-677.
  • Klausmeier, H. J.(1992). Concept learning and concept teaching. Educational Psychologist. 27(3) . 267-286.
  • Klausmeier, H. J.(1985). Educational Psychology(5th ed.) . New York: Harper & Row.
  • Kittay, E. F.(1987). Metaphor: Its Cognitive Force and Linguistic Structure. Clarendon Press.
  • Keith, F., Gary, M., Jennifer, D. & Athena, V.(2006). From semantics to syntax and back again: Argument structure in the third year of life. Cognition 100(2) . 10-20.
  • KWL 모형의 국어 교육적 가치. 『국어교육학연구』27
    이성영 국 어교육학회. 441-465 [2006]
  • Johnson-Laird, P. and Oatley, K.(1989). The language of emotions: An analysis of a semantic field. Cognition and Emotion. 3(2). 81–123.
  • Johnson, D. D. & Pearson, P. D.(1984). Teaching Reading Vocabulary.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 Jacob, E. K.(2004). Classification and categorization: A difference that makes a difference. Library Trends. 52(3) . 515-540.
  • Jackendoff, R.(1990). Semantic Structures. Cambridge, Mass. : MIT
  • Jackendoff, R.(1983). Semantics and Cognition. Cambridge, Mass.: MIT Press.
  • Hymes, D.(1973). Speech and language: On the origins and foundations of inequality among speakers. Language as a Human Problem. 102(3) . The MIT Press on behalf of American Academy of Arts & Sciences. 59-85.
  • Hymes, D.(1972). On communicative competence. In Pride, J. B. & Holmes, J.(eds.). Socio-linguistics. Harmonds worth: Penguin. 269-293.
  • Hotopf, W. H. N.(1980). Semantic similarity as a factor in whole-word slips of the tongue. In Fromkin, V.(ed.). Errors in Linguistic Performance: Slips of the Tongue, Ear, Pen and Hand. New York: Academic Press. 97–109.
  • Heine, B., Claudi, U. & H nnemeyer, F.(1991). Grammaticalization: A Conceptual Framework.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Heimlich, J. E. & Pittelman, S. D.(1986). Semantic Mapping: Classroom Applications. Reading Aids Series, IRA Service Bulletin. Newark: International Reading Association.
  • Harris, Z. S.(1970). Papers in Structural and Transformational Linguistics. Reidel.
  • Harris, Z. S.(1961). Structural Linguistic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Gross, J. J. & Levenson, R. W. (1997). Hiding feelings; The acute effects of inhibiting negative and positive emo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6(1), 95-103.
  • Grammar and Conceptualization. Berlin; New York: Mouton de Gruyter. 김종도 나익주 역(2001). 『문법과 개념 화』
    Langaker, R. W. 박이정 [1999]
  • Goleman, D., 1995. Emotional intelligence. New York : Bantam books.
  • Gerlach, V. S. & Ely, D. P.(1980). Teaching and Media: A Systematic Approach(2ed.) . Englewood Cliffs, New Jersey: Prentice Hall.
  • Foundations of Language: Brain, Meaning, Grammar, Evolution
    Jackendoff, 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김종복 박정운 이예식 역(2005). 『레이 제켄도프의 언어의 본질: 통사, 의 미, 인지 구조를 중심으로』. 박이정 [2002]
  • Fillmore, C. J.(1971). How to Know You're Coming or Going. Essays on Deixis, Gunter Narr Verlay T bingen, Germany. 219-227.
  • Fillmore, C. J.(1968). The case for case. In Bach, E. & Harms, R.(eds.). Universals in Linguistic Theory. Rinerhart & Winston, Holt, New York. 1-88.
  • Fillmore, C J.(1977). The Case for Case. Reopened in Cole and Sadock.
  • Fellbaum, C.(1998). WordNet: an Electronic Lexical Database. MIT Press.
  • Ekman, P.(2003). Emotions Revealed: Recognizing Faces and Feeling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Emotional Life. New York: Times Books.
  • Ekman, P.(2002). Emotions and Life: Perspectives form Psychology, Biology, and Evolution,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Ekman, P.(1999b). Facial expressions. In Dalgleish, T. & Power, M.(eds.).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Sussex, U.K.: John Wiley & Sons, Ltd. 301-320.
  • Ekman, P.(1999a). Basic emotions. In Dalgleish. T. & Power, M.(eds.).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Sussex, U.K.: John Wiley & Sons, Ltd. 45-60.
  • Ekman, P.(1992). Are there basic emotions?. Psychological Review. 99(3) . 550-553.
  • Ekman, P.(1984). Expression and the nature of emotion. In Scherer, K. & Ekman, P.(eds.). Approaches to Emotion.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319-344.
  • Ekman, P. & Friesen, W. V.(1971). Constants across cultures in the face and emo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7(2). 124-129.
  • Dowty, D. R.(1993). Thematic roles and grammatical relations. Linguistic Institute. The Obio state University.
  • Dowty, D. R.(1991). Thematic proto-roles and argument selection. Language 67(3) . Linguistic Society of America. 547-619.
  • Dick, W. & Carey, L.(1978). The Systematic Design of Instruction(1st ed.) . Chicago, IL: Scott, Foresman.
  • Cruse, D. A.(2004). Meaning in Language :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and Pragmatics(2nd ed) . Oxford University Press.
  • Cruse, D. A.(1986). Lexical Semantics. Cambridge University Press.
  • Croft, W.(1991), Syntactic Categories and Grammatical Relations. The Chicago University Press.
  • Concept, Image, and Symbol : the Cognitive Basis of Grammar(2nd ed) . Berlin; New York: Mouton de Gruyter. 나익주 역(2005). 『개념 영상 상징: 문법의 인지적 토대』
    Langaker, R. W. 박이정 [2002]
  • Collins,A.M.,& Loftus,E.F.(1975).A Spreading-Activation Theory of SemanticProcessing.PsychologicalReview,82(6),407-428.
  • Collins, A. M. & Quillian, M. R.(1969). Retrieval time from semantic memory.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8(2) . 240–247.
  •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Evans, V Edinburgh University Press. 임지룡 김동환 역(2008). 『인지언어학 기초』. 한국문화사 [2006]
  • Cognitive Grammar
    Taylor, John R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임지룡김동환 역(2005). 『인지문법』. 한국문화사 [2002]
  • Clark, E. V.(1983). Meanings and concepts. In Mussen, P. H.(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Formerly Carmichael's Manual of Child Psychology (4th ed) . 787-840.
  • Clark, E. V.(1972). On the child's acquisition of antonyms in two semantic fields. J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1(6) . 750-758.
  • Clark, E. V.(1971). On the acquisition of the meaning of before and after. J ournal of verbal learning and verbal behavior. 10(3) . 266-275.
  • Chomsky, N. 1981. Lectures on Government and Binding. Dordrecht: Foris.
  • Chafe, W.(1970). Meaning and the Structure of Languag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Brinton, J. L.(2000). The Structure of Modern English: A Linguistic Introduction.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 Brackett, M. A., Rivers, S. E., Reyes, M. R. & Salovey, P.(2010). Enhancing academic performance and social and emotional competence with the RULER feeling words curriculum.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22(2). 218-224.
  • Berlin, B. & Kay, P.(1969). Basic Color Terms: Their Universality and Evolution.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Beane, J. A.(1986). The continuing controversy over affective education. Educational Leadership. 43(4) . 26-31.
  • Andrews, A.(1985). The major functions of the noun phrase. Language Typology and Syntactic Description, vol. 1: Clause Structure. In Timothy Shopen(ed.). 62-15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itchison, J.(1987). Words in the Mind :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 Lexicon. Oxford, New York, USA : Blackwell.
  • Aitchison, J.(1985). Cognitive clouds and semantic shadows. Language & Communication. 5(2). Printed in Great Britain. 69-93.
  • APA Work Group of the Board of Educational Affairs(1997). Learner-centered Psychological Principles: A Framework for School Reform and Redesign.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국어 심리동사의 상적 특성>, 애산학보 15
    이익환 애산학회. 25-46 [1994]
  • 2007년 국어과 문법 교육과정의 개정 특징과 문법 교육의 방향. 『청람어문교육』36
    이관규 청람어문교육학회. 53-80 [2007]
  •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ume 2.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최욱 외 역(2005). 『교수 설계 이론과 모형』
    Reigeluth, C. M. 아카데미프레스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