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현대중국어 비원형장소빈어문에 대한 인지적 분석

박응석 2016년
논문상세정보
' 현대중국어 비원형장소빈어문에 대한 인지적 분석'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有界-無界
  • 處所賓語
  • 轉喩
  • 運動連模式
  • 경계성
  • 원형
  • 인지어법
  • 장소빈어
  • 참조점
  • 행동 연쇄 모형
  • 환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90 0

0.0%

' 현대중국어 비원형장소빈어문에 대한 인지적 분석' 의 참고문헌

  • ,<轉指和轉喻>, 當代語言學, 第1期, 3-15.
  • ,<論“吃”和賓語非常規搭配的工作機制>, 外語學刊, 第2期, 44-48.
  • ,<認知語法的概括性>, 外語教學與研究, 第6期, 1-33.
  • ,<分析和綜合>, 語言文字應用, 第3期, 16-19.
  • ,<三個世界>, 外語教學與研究, 第40卷, 第6期, 403-408.
  • 陸儉明主編(1999), 面臨新世紀挑戰的現代漢語語法研究- 98 現代漢語語法學國際學術 會議論文集,濟南: 山東教育出版社.
  • 환유의 세계
    서울: 경진문화사 [2005]
  • 존재 이야기
    조광제 서울: 미래 M&B [2002]
  • 인지의미론
    임지룡 서울: 탑 출판사 [1997]
  • 인지언어학과 의미
    서울: 태학사 [2005]
  • 인지심리학의 제 문제(Ⅱ):언어와 인지
    이정모 서울: 학지사 [1998]
  • 인지문법의 디딤돌
    김종도 서울: 박이정 [2002]
  • 인지과학-학문 간 융합의 원리와 응용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9]
  • 인간의 모든 감각
    최현석 서울: 서해문집 [2009]
  • 의미의 인지언어학적 탐색
    서울: 한국문화사 [2008]
  • 은유와 환유
    김욱동 서울: 민음사 [1999]
  • 몸이 철학을 말하다 : 인지적 전환과 체험주의의 물음
    노양진 파주: 서광사 [2013]
  • 몸의 세계, 세계의 몸 : 메를로 퐁티의 지각의 현상학에 대한 강해
    서울: 서해문집
  • 공간 개념의 은유적 확장
    임혜원 서울: 한국문화사 [2004]
  • 개념적 혼성 이론
    김동환 서울: 박이정 [2002]
  • 개념-뿌리들
    이정우 고양: 산해 [2004]
  • 現代漢語語法硏究敎程, 김현철 외 역, 현대한어어법연구교정
    서울: 차이나하우스 [2008]
  • 現代中國語의 賓語研究
    김현철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 作爲第二語言的漢語本體硏究, 김현철 등 역, 『제2언어로서의 중국어 본체 연구』
    서울: 차이나하우스 [2013]
  • 박사
    현대중국어 쌍빈어문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현대중국어 ‘一+양사+NP’구문의 지시성 고찰
    김영민 중국어문논총,第60 輯,39-54 [2013]
  • 현대중국어 ‘Vi+O’특수자동구문에 대한 연구
    중국어문학논집,第 61號,251-264 [2010]
  • 현대 중국어 비전형 목적어문 연구
    장흥석 중국언어연구,第36號, 285-306 [2011]
  • 현대 중국어 ‘V{往/向}’구조의 결합조건과 어법특성
    마문나 중국언 어연구,第26輯,165-185 [2008]
  • 핑커(Steven Pinker, , How the Mind Works, 김한영 역(2007)
    마음은 어떻게 작동 하는가,파주: 동녘 사이언스 [1997]
  • 페냐(M. Sandra Peῆa, , Topology and Cognition, 임지룡 김동환 역(2006)
    은 유와 영상도식,서울: 한국문화사 [2003]
  • 테일러(John R. Taylor, , Linguistic Categorization(2nd edition), 조명원 나익주 역(1997), 인지언어학이란 무엇인가?
    -언어학과 원형 이론-,서울: 한 국문화사 [1995]
  • 터너(Gilles Fauconnier&Mark Turner, , The Way We Think: Conceptual Blending and The Mind’s, 김동환 최영호 역(2009)
    포코니에 우리는 어떻게 생각하는가,고양: 지호 [2002]
  • 타르바이넨(Kalevi Tarvainen, , Einf hrung in die Dependenzgrammatik, 이점 출 역(2003)
    의존문법의 이해,서울: 역락 [1981]
  • 타동성 모형들의 비교 및 수동구문에 대한 연구 : 인지문법의 타동성 모형 모색
    이정아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크루즈(D. Alan Cruse, , Meaning in Language:An Introduction to Semantics and Pragmatics, 임지룡 김동환 역(2002), 언어의 의미: 의미 화용론 개 론
    서울: 태학사 [2000]
  • 크로프트(D. Alan Cruse&Croft, , Cognitive Linguistics, 김두식․나익주 역(2010), 인지언어학
    서울: 박이정 [2004]
  • 쿠이켄즈(Dirk Geeraerts & Hubert Cuyckens, , The Oxford Handbook of Cognitive Linguistics, 김동환 역(2011)
    기어랫츠 인지언어학 옥스 퍼드 핸드북,서울: 로고스라임 [2007]
  • 커베체쉬(Zolt n K vecses, , Language , Mind, and Culture:A Pratical Introduction, 임지룡 김동환 역(2010)
    언어 마음 문화의 인지언어학적 탐색,서울: 역락 [2006]
  • 카너먼(Daniel Kahneman, , Thingking Fast and Slow, 이진원 역(2012)
    생각 에 관한 생각,서울: 역락 [2011]
  • 중국어 원형명사의 지시 특징에 관한 연구
    백은희 중국언어연구,第27 輯,275-291 [2008]
  • 존슨(Mark Johnson, , The Body in the Mind:The Bodily Basis of Meaning, Imagination, and Reason, 노양진 역(2000), 마음 속의 몸-의미 상상력 이성의 신체적 근거-
    서울: 철학과 현실사 [1987]
  • 인지문법의 타동성 모형
    김종도 수원대학교 논문집,第14號,15-34 [1996]
  • 이중목적어 구문의 술어동사 고찰
    전기정 중국어문학,第42號,547-573 [2003]
  • 웅거러 슈미트(Friedrich Ungerer&Hans-jorg Schmid, , An Inrtoduction to Cognitive Linguistics(Second Edition), 임지룡․김동환 역(2010), 인지 언어학 개론
    서울: 태학사 [2006]
  • 역, 『인지언어학 키워드 사전』
    도모유키 오카 이은미 서울: 한국 문화사 [2004]
  • 에반스(Vyvyan. Evans, , A Glossary of Cognitive Linguistics, 임지룡․김동환 옮김(2010),『인지언어학 용어사전』
    서울: 한국문화사 [2007]
  • 쓰지 유키오(Y. Tsuji 편, , 認知語言學キーワード事典
    임지룡 요시모토 하지메 [2002]
  • 싱어(Murray Singer, , Psychology of Language ―An Introduction to Sentence and Discourse Processes, 정길정 연준흠 역(1994)
    언어심리학-문장과 담화처리 과정 이해,서울: 한국문화사 [1990]
  • 스윗처(Eve Sweetser, , From Etymology to Pragmatics, 박정운 나익주 김주식 역(2006)
    어원론에서 화용론까지,서울: 박이정 [1990]
  • 비트겐슈타인(Ludwig Wittgenstein [1958]), Philosophische Untersuchungen, 이 영철 역(2006), 『철학적 탐구』
    서울: 책세상 [1953]
  • 북경 중국어 명사 어구의 통사 구조와 그 지시에 관하여
    김광조 중국학, 第26輯,1-24 [2006]
  • 베른트 하이네(Bernd Heine, , Cognitive Foundations of Grammar , 이성하 구현 정 역(2004), 문법의 인지적 기초
    서울: 박이정 [1997]
  • 몽크(Ray Monk, , Ludwig Wittgenstein: The Duty of Genius, 남기창 역(2012), 비트겐슈타인 평전
    서울: 필로소픽 [1990]
  • 몇 가지 중국 어법 용어 정의 문제에 대하여
    中國語文學論集, 第 24號, 221-233쪽. [2003]
  • 명사구의 경계성과 중국어의 주제
    박종한 성심여자대학 논문집,第22輯, 5-16 [1990]
  • 리드(Stephen K. Reed, , Cognition: Theory and Applications, 박권생(2006), 『인지심리학: 이론과 적용, 제 7판』
    서울: 시그마프레스 [2006]
  • 리 톰슨(Charles N. Li Sandra A. Thompson, ,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 박정구 외 역([1989], 2013), 표준중국 어문법
    서울: 한울아카데미 [1981]
  • 레이코프(George Lakoff, , 이기우 역(1994), 『인지 의미론』
    서울: 한국문화사 [1987]
  • 레빈(Beth Levin, 김두식․안병길 역(2005), English Verb Classes and Alternations,『영어 동사 부류와 교체현상 : 예비 조사』
    서울: 한국문 화사 [1993]
  • 래내커(Ronald W. Langacker, , Foundation of Cognitive GrammarⅠ ― Theoretical Prerequisites, 김종도 역(1999), 인지문법의 토대Ⅰ-이론적 선행 조건들
    서울: 박이정 [1987]
  • 라마찬드란 외(Vilayanur S. Rmachandran Sandra Blakeslee, , Phantoms in the Brain, 신상규 역(2007)
    라마찬드란 박사의 두뇌실험실,서울: 바다출 판사 [2000]
  • 드리벤(G nter Radden&Ren Driven, , Cognitive English Grammar, 임지 룡 윤희수 역(2009)
    라덴 인지문법론,서울: 박이정 [2007]
  • 김현철 박정구 오문의 최규발 역(2005b), 실용현대한어어법(下)
    서 울: 송산출판사 [2001]
  • 그림쇼(Grimshaw, , Argument Structure , 김희숙 이재관 역(1999)
    논항구조론 ,서울: 한국문화사 [1990]
  • 그린(Vyvyan. Evans&M. Green, , Cognitive Linguistics An Introduction, 임지룡․김동환 옮김(2008),『인지언어학 기초』
    서울: 한 국문화사 [2006]
  • 골드스타인(E. Bruce Goldstein, , Sensation & Perception(7th Edition), 김정오 외 역(2010)
    감각과 지각(제7판),서울: 시그마프레스 [2007]
  • 齊瀘揚(2010), <帶處所賓語的“把”字句中處所賓語省略與移位的制約因素的認知解釋>,  華文教學與研究, 第37期, 52-62.
  • 黃潔(2009), <動賓非常規搭配的轉喻和隱喻透視>, 同濟大學學報, 第1期, 85-90.
  • 高順全(2012), 三個平面的語法研究,上海: 學林出版社.
  • 馮麗萍(2011), 現代漢語詞彙認知研究,北京: 北京師範大學出版社.
  • 馮奇主編(2008), 認知語言學與修辭學研究―2008年國際硏討會論文集,上海: 上海大 學出版社.
  • 馬慶株(2005),『漢語動詞和動詞性結構』,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陸慶和(2006) 實用對外漢語敎學語法,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陸丙甫(2009), <基於賓語指稱性強弱的及物動詞分類>, 外國語, 第32卷, 第6期18-26.
  • 陳昌來(2003), 現代漢語語義平面問題研究, 上海: 學林出版社.
  • 陳忠(2006), 認知語言學研究,濟南: 山東教育出版社.
  • 陳平(1988), <論現代漢語時間系統的三元結構>, 中國語文, 第6期.
  • 金智慧(2008),漢語的非受事賓語與韓國語目的語比較研究, 複旦大學碩士學位論文.
  • 郭繼懋(2000), 漢語句法論集,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 邵健(2012), <處所賓語的語義分類和認知屬性>,漢語學習,第5期,104-112.
  • 邢福義,『중국어어법 300문』, 김현철 등 역(2011)
    서울: 차이나하우스 [2002]
  • 賀文麗(2003), <從順應論看‘吃食堂’動賓結構的成因-關於“吃館子”的生成和理解問題>,  湘潭師範學院學報, 第4期, 114-116.
  • 謝曉明(2004b), <賓語代入現象的認知解釋>,湖南大學學報,第3期,70-73.
  • 謝曉明(2004a), <代體賓語的理解因素>,漢語學報,第1期,85-92.
  • 謝應光(2009),<語境因素在認知語法裏論構建中的作用>, 外國語文, 第25卷, 第3期, 54-59.
  • 論吃食堂
    김종찬 중국언어연구,第36號,111-122 [2010]
  • 袁永鋒(2001),<非受事類把字句初探>, 錦州師範學院學報, 第23卷, 第1期, 35-37.
  • 蕭國政(2001), <句子信息結構與漢語語法實體成活>, 世界漢語教學, 第4期, 12-19.
  • 胡裕樹范曉主編, 動詞研究, 김현철 등 역(2004), 현대중국어 동사연구
    서 울: 학고방 [1995]
  • 石毓智([2010], 2011), 漢語語法, 北京: 商務印書館.
  • 盧鑫瑩(2009), 現代漢語光杆名詞語義的認知語法研究:情境植入視角, 河南大學博士 學位論文.
  • 百度 (www.baidu.com)
  • 現代漢語動作類二價動詞探索
    戴耀晶 중국언어연구,제5집,247-270 [1997]
  • 王義娜(2003),<話語指稱的認知構建與心理空間可及性>, 外國語, 第5期, 35-42.
  • 王寅(2005), 認知語法概論, 上海: 上海外語教育出版社.
  • 王叔華 郭曙綸(2006), <試論處所賓語的處理>, 漢語學報, 第2期, 69-75.
  • 王占華(2000), <“吃食堂”的認知考察>, 語言教學與研究,第2期,58-64.
  • 王冬梅(2000),<“N的V”和“參照體-目標”構式>, 世界外語教學, 第4期, 25-32.
  • 王俊毅(2001), <及物動詞與不及物動詞分類考察>, 語言教學與研究, 第5期, 17-24.
  • 牛保義主編(2007), 認知語言學理論與實踐, 開封: 河南大學出版社.
  • 熊金星(2006), <“吃”“喝”帶賓現象的文化表征>, 湘潭師範學院學報, 第4期, 167-169.
  • 熊嶺(2012), 現代漢語指稱範疇研究, 華中師範大學博士學位論文.
  • 溫鎖林(2001), 現代漢語語用平面硏究, 北京: 北京圖書館出版社.
  • 沈家煊([1999]2004), 不對稱和標記論,南昌: 江西教育出版社.
  • 沈家煊(1994),<R. W. Langacker的“認知語法”>, 國外語言學, 第1期, 12-20.
  • 柴同文(2007), <及物性:功能語法和認知語法的契合點>, 外國語言文學研究, 第1期, 26-34.
  • 束定芳主編(2004), 語言的認知研究:認知語言學論文精選,上海: 上海外語教育出版 社.
  • 李福印(2008), 認知語言學概論,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李治平(2005), <“吃食堂”類短語成活的多維分析>, 雲南師範大學學報, 第1期, 44-47.
  • 李思旭(2012),<“完全受影響”和“部分受影響”編碼方式的類型學研究>, 外國語, 第35 卷, 第4期, 12-23.
  • 李勇忠(2004), 語言轉喻的認知闡釋, 複旦大學博士學位論文.
  • 朱懷(2011),概念合成與非漢語受事賓語句, 吉林大學博士學位論文. 周紅(2002),<漢語認知語法研究動態>, 外語學習, 第6期, 51-57.
  • 朱德熙([1982], 2008), 語法講義, 北京: 商務印書館.
  • 文旭 徐安泉(2006),『認知語言學新視野』,北京:中國社會科學出版社.
  • 房玉淸([2001], 2006), 實用漢語語法, 北京: 北京大學出版社.
  • 戴浩一(1988), <時間順序和漢語的語序>,國外語言學,第一期,10-20.
  • 徐盛桓(2002),<常規關系與認知化-再論常規關系>, 外國語, 第1期, 6-16.
  • 徐烈炯 顧陽等(1999), 共性與個性—漢語語言學中的爭議,北京: 北京語言文化大學出 版社
  • 徐峰(2004), 漢語配價分析與實踐:現代漢語三價動詞探索,上海: 學林出版社.
  • 彭建平(2006), <處所角色賓語及其屬性標記的隱現情況>, 語言研究, 第4期, 89-93.
  • 張高遠(2010), <及物動詞何以“無賓自足”―構式語法及語用學視角下的理據探索>, 外語 教學, 第3期, 13-19.
  • 張雲秋(2004), 現代漢語受事賓語句,上海: 學林出版社.
  • 張敏(1998), 認知言語學與漢語名詞短語, 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社.
  • 張伯江 方梅(1996), 漢語功能語法研究,南昌: 江西教育出版社.
  • 对认知功能理论对虚词’的, 著’的教学模式设计
    한재균 한중인문학연구 ,第42輯,227-245 [2014]
  • 对三個平面的语法理论的回顾與展望
    전긍 중국어문논총,第47號,87-99 [2010]
  • 孫英傑(2007),現代漢語體系統研究,哈爾濱: 黑龍江人民出版社.
  • 孫翠蘭(2013),<中動結構的“類指”和“定指”>, 煙台大學學報, 第26卷, 第3期, 108-112.
  • 孟琮․鄭懷德等編(1999),『漢語動詞用法詞典』, 北京: 商務印書館.
  • 呂叔湘(1979),《漢語語法分析問題》, 北京: 商務印書館.
  • 吳淑瓊(2012),<非常規“及物動詞+處所名詞”結構的語法轉語研究>, 外國語文, 第28卷, 第5期, 77-81.
  • 北京大學中文系現代漢語敎硏室편, 北京:商务印书馆[김애영, 김현철, 소은희, 심소희 역(2007), 『現代漢語』
    서울: 차이나 하우스.] [1993]
  • 劉琦(2012), <漢語非常規單賓語句的枸式語法研究>, 語文學刊 外語教育教學, 第3期, 7-9.
  • 劉正光(2006), 語言非範疇化-語言範疇化理論的重要組成部分, 上海: 上海外語教育出版 社.
  • 劉正光 崔剛(2005), <語法原型與及物性>, 外語與外語教學, 第1期, 8-12.
  • 劉月華등, 김현철 박정구 오문의 최규발 역(2005a), 실용현대한어어법(上)
    서 울: 송산출판사 [2001]
  • 劉存偉(2005), <“吃食堂”的認知生成機制>, 井岡山醫學學報, 第4期, 177-179.
  • 劉國輝等主編(2012), 當代語言認知-理論與應用研究,上海: 學林出版社.
  • 儲澤祥(2004), <處所角色賓語的判定及其典型性問題>, 語言教學與研究, 第6期, 43-48.
  • 任鷹(2000), <“吃食堂”與語法轉喻>, 中國社會科學院研究生學報,第3期,59-80.
  • 人民網: http://www.people.com.cn/
  • 主編(2005), 現代漢語語法的功能,語用,認知研究,北京: 商務印書館.
  • 『중국어학의 이해』
    김현철 서울: 학고방([2002]2011) [2002]
  • 『언어 : 풀어 쓴 언어학 개론』
    강범모 서울: 한국문화사([2005]2006) [2005]
  • ______(2010), 語法分析講稿, 北京: 商務印書館.
  • ______(2009), <認知語義激活與語言留白美學論>, 西安外國語大學學報, 第4期, 10-18.
  • ______(2008), <語篇構建中的轉喻和隱喻>, 『外語學刊』, 第2期, 50-54.
  • ____(1987), <釋漢語中與名詞性成分相關的四組概念>, 中國語文, 第2期.
  • ____ (1984), <The Discourse Basis for Lexical Categories in Universal Grammar>, Language, vol. 60, no. 2.
  • Paul J. Hopper and Sandra Thompson(1980), <Transitivity in Grammar and Discourse>, Language , vol. 56. no. 2
  • CCL(北京大學中國語言學研究中心語料庫) : http://ccl.pku.edu.cn/corpus.asp
  • BCC(北語漢語語料庫) : bcc.blcu.edu.cn/
  • <현대중국어 비원형 장소빈어의 인지적 분석 - ‘裝 存 送+ L’구문을 중심으로>
    中國語文學論集,第93號 [2015]
  • <현대중국어 비원형 장소빈어에 대한 연구 - ‘吃+ L’구문을 중 심으로>, 中國語文學論集
    박응석 第91號 [2015]
  • <중국어 전치사구의 분포적 특성>
    박정구 중국문학연구,第24輯,543-557 [2002]
  • <인지문법을 활용한 능원동사 ‘能’과 ‘可以’의 용법 비교>, 중국어 교육 과 연구
    최현미 第14號, 105-119 [2011]
  • <인지문법을 통한 현대중국어 비원형장소빈어문 분석 - ‘寫黑板’ 구문 을 중심으로>
    박응석 중국어 교육과 연구,第21號, 43-65 [2015]
  • <의미격의 체계와 연산절차>
    김원경 한국어 의미,第24號,103-129 [2007]
  • <술보구조의 시간범주 상관성 분석>
    이금희 중국언어연구,第35輯,261-279 [2011]
  • <有界, 無界이론을 이용한 중국어 연구에 대한 고찰>
    이우철 中國人文科學, 第44輯,117-130 [2010]
  • <’一個’의 양상기능 -’是+(一)個NP’와 ‘一個NP+양상 요소’구문을 중심으 로>
    박다래 중국어문논총,第29號, 55-86 [2012]
  • ,『二十世紀現代漢語語法論文精選』, 北京:商務印書館.
  • , 認知與漢語語法研究,北京: 商務印書館.
  • , 《現代漢語800詞》, 北京: 商務印書館.
  • , <語法結構的轉喻認知理據>, 外國語, 第6期, 40-46.
  • (Y. Tsuji 편, , ことばの認知科學詞典, 임지룡 요시모토 하지메 박 수경 역(2008), 『인지언어학 키워드 사전』
    서울: 박이정 [2001]
  • (Ronald W. Langacker, , Image, Concept, and Symbol: The Cognitive Basis of Grammar (2nd edition), 나익주 역(2005), 개념․영상․상징
    서울: 박이정 [2002]
  • (Ronald W. Langacker, , Grammar & Conceptualization, 김종도․나익 주 역(1999), 문법과 개념화
    서울: 박이정 [2001]
  • (Ronald W. Langacker, , Foundation of Cognitive GrammarⅡ ― Descriptive Application, 김종도 역(1999), 인지문법의 토대Ⅱ-기술적 적용
    서울: 박이정 [1991]
  • (Ronald W. Langacker, , Cognitive Grammar , 나익주․박정운․백미현․ 안혁․이정화 역(2014), 인지문법
    서울: 박이정 [2008]
  • (Mark Johnson, , The Meaning of the Body:Aesthetics of Human Understanding, 김동환․최영호 역(2012), 몸의 의미-인간 이해의 미학 
    서울: 동문선 [2007]
  • (Ludwig Wittgenstein , Remarks on the Philosophy of Psychology, Volume 1, 이영철 역(2013), 『심리 철학적 소견들 1』
    서 울: 아카넷 [1980]
  • (John R. Taylor, , Cognitive Grammar , 임지룡 김동환 역(2005)
    인지문 법,서울: 한국문화사 [2002]
  • (John Lyons, , Semantics 2, 강범모 역(2013), 의미론2-의미와 문법, 맥락
    라이언스 행동,서울: 한국문화사 [1977]
  • (Jerry Fodor, , The Mind doesn’t Work That Way, 김한영 역(2013)
    포더 마음 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는다,서울: 알마 [2001]
  • (H.L.Somers, , Valency and Case in Computational Linguistics, 우형식 정유진 역(1998), 격과 결합가 그리고 전산언어학
    소머즈 서울: 한국문화사 [1987]
  • & 존슨(George Lakoff & Mark Johnson, []2003), Metaphors We Live By, 노양진 나익주 역([2006]2011), 삶으로서의 은유(수정판)
    서울: 박 이정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