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개화기 한국인의 일본기행문과 일본인의 한국기행문 연구

문순희 2016년
논문상세정보
' 개화기 한국인의 일본기행문과 일본인의 한국기행문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Korea travelogue
  • Sahengrok(使行錄)
  • Susinsa(修信使)
  • japantravelogue
  • the Korean enlightenment era
  • the Korean-Japan annexation treaty
  • the Meiji era
  • travel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56 0

0.0%

' 개화기 한국인의 일본기행문과 일본인의 한국기행문 연구' 의 참고문헌

  • 「일본인의 조선여행기록에 비친 조선의 표상-『大役小志』를 중심으로」, 『대구사학』 99
    이규수 대구사학회 [2010]
  • 「일본여행협회의 활동을 통해 본 년대 조선관광」, 『한국민족운동사연 구』65
    조성운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0 [1910]
  • 「일본근대문학자가 본 한국」, 『일어일문학연구』13
    최재철 일어일문학회 [1989]
  • 「일본 東京地學協會의 조사활동과 조선인식」, 『한국사연구』151
    한국사연구 회 [2010]
  • 「아베 미츠이에의 조선기행문 湖南遊歷 無佛開城雜話」
    심원섭 『한국문학논총』53 [2009]
  • 「년대 중반 일본인 기자들의 조선기행문 연구」, 『현대문학의 연구』48
    현대문학연구학회, 2012 [1910]
  • 「년대 일본인의 조선이주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연 구』75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1900]
  • 「년대 일본인의 조선사정 안내서 간행과 조선인식」, 『한국민족운동사연 구』81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4 [1910]
  • 「근대일본문학자의 제국주의적 시각과 양가적 태도」, 『동북아문화연구』37
    오승우 동북아문화학회 [2013]
  • 「근대관광을 통해 드러난 일본의 제국주의; 년대 이후 일본의 조선관광 과 여행안내서를 중심으로」, 『미술사학』35
    전수연 미술사학연구회 2010 [1900]
  • 「관광지로서의 조선과 조선문화의 소비 -『관광조선(觀光朝鮮)』과 『문화조 선(文化朝鮮)』에 대한 개괄적인 소개-」, 『일본학』30
    오태영 동국대학교 일본학연 구소 [2010]
  • 「개항 이후 일본인의 조선사정 조사와 안내서 간행」, 『한국민족운동사연구』 73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2]
  • 「『조선서백리기행(朝鮮西伯利紀行)』(1894)에 보이는 야즈 쇼에이(矢津昌 永)의 조선 인식」, 『동아시아 문화연구』44
    최혜주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 소 [2008]
  •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기에 나타난 조선상」, 『역사학보』177
    박양신 역 사학회 [2003]
  • 「19세기 말 일본인의 조선여행 관련 기록물 연구 - 1894년 출판 조선여행기 록을 중심으로」, 『동북아 문화연구』31
    문순희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12]
  • 효원사학회, 「『동도일사』 영인」, 『역사와 세계』6
    효원사학회 [1982]
  • 혼마 규스케, 최혜주 역주, 『일본인의 조선정탐록 조선잡기』
    김영사 [2008]
  • 카쿠고로 저, 한상일 역, 『서울에 남겨둔 꿈』
    이노우에 건국대학교 출판부 [1993]
  • 역, 『조선 외교관이 본 명치시대 일본』
    이태직 최강현 신성출판사 [1999]
  • 역, 『명치시대 동경일기』
    이태직 최강현 서우얼출판사 [2006]
  • 역, 『동도일사』
    박상식 이성주 부산박물관 [2012]
  • 역, 『雲養集』
    구지현 기태완 김윤식 도서출판 혜안 [2013]
  • 다카사키 소지, 이병진 옮김, 「일본지식인의 조선기행」
    『한국문학연구』27집 [2004]
  • 국사편찬위원회 편, 『修信使記錄』
    국사편찬위원회 [1958]
  • 고토 분지로 저, 손일 역,『朝鮮기행록』
    푸른길 [2010]
  • 韓承美, 「日本人の目を通した朝鮮-明治後期の朝鮮旅行記の分析」, 『鏡の中の日本と 韓国』, 小島康敬,M․W․․スティル編, ペリカン社, 2000.
  • 雲養 金允植의 사행시를 통해 본 인식 변화 -「석진우역집(析津于 役集)」과 「동사만음(東槎漫吟)」을 중심으로-
    김해연 『영주어문연구』제21집, 영주어문학회 [2011]
  • 辻星児, 「「尊海渡海日記」に記された朝鮮語について」, 『文化共生学研究』5(1), 岡 山大学大学院文化科学研究科, 2007.
  • 記錄文學としての朝鮮通信使使行録の東アジア的普遍性
    나카오 히로시 『한국문학 과 예술』2, 숭실대학교 한국문예연구소 [2008]
  • 藤田叙子, 「紀行文の時代(一)-田山花袋と柳田邦夫-」, 『三田国文』3, 慶応義塾大 学国文学 研究室, 1985.
  • 芝實, 「戦争などの中東報道で見直されるニュース価値基準-利害関係性の提言」, 文京 学院大学外国語学部文京学院短期大学紀要 第3号.
  • 米谷均, 「中世後期、日本人朝鮮渡海僧の記録類について」, 『青丘学術論集』12, 1999.
  • 米家泰作, 「近代日本における植民地旅行記の基礎的研究 : 鮮満旅行記にみるツーリズム 空間」, 『京都大学文学部研究紀要』, 2014.
  • 神崎宜武, 『江戸の旅文化』, 岩波新書, 2004.
  • 片山慶隆, 『日露戦争と新聞-世界の中の日本をどう論じたか』, 講談社, 2009.
  • 滝波章弘,『 遠い風景ーツーリズムの視線』,京都大学学術出版会, 2005.
  • 板坂耀子, 『江戶の紀行文-泰平の世の旅人たち』,中公新書, 2011.
  • 木村健二, 『日本人物情報大系』 第8回 朝鮮編.
  • 有山輝雄, 『海外観光旅行の誕生』, 吉川弘文館, 2002.
  • 旗田巍, 『日本人の朝鮮観』, 勁草書房, 1969.
  • 序> 출처 한국사데이터베이스 (http://db
    history.go.kr/)
  • 山本武利, 『近代日本の新聞読者層』, 法政大学出版部, 1981.
  • 小林 茂; 岡田 郷子, 「十九世紀後半における朝鮮半島の地理情報と海津三雄」, 『待兼 山論叢』日本学篇 42, 2008,
  • 原淳一郎, 『江戸の旅と出版文化』, 三弥井書店, 2013.
  • 中根隆行, 『<朝鮮>表象の文化誌』,新曜社, 2004.
  • 上田卓爾, 「明治期を主とした「海外観光旅行」について」,名古屋外国語大学現代国際 学部紀要 第6号, 2010.
  • 上垣外憲一, 「明治前期日本人の朝鮮觀」, 『日本研究』11, 国際日本文化研究セン ター, 1994.
  • 上垣外憲一, 『ある明治人の朝鮮觀 : 半井桃水と日朝關係』,筑摩書房, 1996.
  • 『留學實記』
    연세대 국학연구원(이종영 181.102 유학실)
  • 『金綺秀修信使日記』
    장서각(K2-3482)
  • 『일본유람가』
    국립중앙도서관
  • 『추금 강위의 해외기행시 연구』
    배기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 『조선여행에 떠도는 제국』
    서기재 소명출판 [2011]
  • 『일본 수신사의 사행록 연구』
    박탄 강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 『왜사일기 동경일기 해제』
    정찰렬 한양대학교국학연구원 [1975]
  • 『여행 발견 타자의 표상』
    박찬승 민속원 [2010]
  • 『신편 국역 해행총재』
    15~16, 민족문화추진회 [2008]
  • 『鶏林紀遊』 国立国会図書館
  • 『高宗實錄』
  • 『韓満行日記』 『明治北方調査探検記集成』
    8(ゆまに書房, 영인본 [1989]
  • 『韓山紀行』
    「現代日本思想大系 4 ナショナリズム」(筑摩書房,, 영인본 [1964]
  • 『韓國地理風俗誌叢書』1~400, 1989-1995.
  • 『韓国開教論』 国立国会図書館
  • 『韓国旅行報告書』 国立国会図書館
  • 『韓国の実情』 『明治北方調査探檢記集成』
    9(ゆまに書房, 영인본 [1989]
  • 『雲養集』
    고전번역원
  • 『雲烟過眼録』 国立国会図書館
  • 『隨錄』
    규장각(想白古 951.054-Si11)
  • 『隨聞錄』
    규장각(古 0320 4)
  • 『開化期 日本民間人의 朝鮮調査報告資料集』
    1~5권 단국대학교 출판부 [2001]
  • 『調査視察團關係資料集』
    허동현 1~14편, 국학자료원 [2000]
  • 『葦杭游記』 国立国会図書館
  • 『濟州道旅行日誌』
    하버드대학교 옌칭도서관 영인본
  • 『漢城廼残夢』 国立国会図書館
  • 『滄槎紀行』
    규장각본(古 4280-2)
  • 『満韓視察談』 国立国会図書館
  • 『満韓旅行記』 東京大學圖書館
  • 『満衣韓冠』 国立国会図書館
  • 『渡韓見聞録』 東京經濟大學 櫻井義之文庫
  • 『清韓紀行』 国立国会図書館
  • 『清韓游踪』 国立国会図書館
  • 『海外行脚』 国立国会図書館
  • 『泛槎錄』
    규장각(古4280-4)
  • 『東遊錄』
    규장각(古6370-2)
  • 『東行日錄』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東行日錄』
    부산근대역사관 [2008]
  • 『東渡日史』
    부산광역시립박물관
  • 『東槎漫錄』
    한국고전종합DB
  • 『東京獣医新報』 国立国会図書館
  • 『東京日記』
    장서각(B15ID^5)
  • 『朝鮮雑記』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見聞録(上・下)』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西伯利紀行』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紀聞』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案内』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時事(見聞随記)』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彙報』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帰好余禄』
    국립중앙도서관
  • 『朝鮮土産』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国慶尙忠淸江原道旅行記事』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国修信使金道園関係集』
    규장각(古 3420-2)
  • 『朝鮮国京城奇談』 国立国会図書館
  • 『朝鮮半島豪傑的旅行』 東京經濟大學 櫻井義之文庫
  • 『朝鮮京城奇談』 国立国会図書館
  • 『朝日新聞満韓巡遊船』 大阪府立圖書館
  • 『暗黒なる朝鮮』 大阪府立圖書館
  • 『明治北方調査探檢記集成』
    1~11권 별권 1~3권, -1989 [1988]
  • 『日置黙仙老師 満韓巡錫錄』 国立国会図書館
  • 『日槎集略』
    국립중앙도서관(M古1-81-207)
  • 『日東錄』
    규장각(규7774)
  • 『日東記游』
    미국버클리대학교 동아시아 도서관
  • 『承政院日記』
  • 『征塵餘録』 『明治北方調査探檢記集成』
    9(ゆまに書房, 영인본 [1989]
  • 『幕末明治中国見聞録集成』
    1~20권, ゆまに書房 [1997]
  • 『宇都宮大学国際学部研究 論集』
    정귀련 「もう一つの旅行-柳宗光の朝鮮紀行をめぐって-」 [2003]
  • 『古歡堂收艸』
    한국고전번역원
  • 『南韓旅行記-京釜鉄道案内』 国立国会図書館
  • 『北支那朝鮮探検案内』 『明治北方調査探檢記集成』
    6(ゆまに書房, , 영인본 [1988]
  • 『修信使謄錄』
    규장각(奎18107의1)
  • 『修信使聞見錄』
    연세대학교(고서(I) 951.67 김기수 수)
  • 『修信使日記謄草』
    규장각(奎18105)
  • 『修信使日記』
    규장각(想白古 951.053-G418s)
  • 『使和記略』
    한국고전종합DB
  • 『使和記略』
    부산대학교 사학회 [1962]
  • 『亜細亜大陸旅行日誌並清韓露三国評論』 大阪府立圖書館
  • 『七十八日遊記』 国立国会図書館
  • 「타자로서의 항해들, 사이에서 창안된 네이션」
    『한국사상과문화』 제34 집, 한국사상문화학회 [2006]
  • 「조선후기 동래부 이족 밀양 박씨 집안과 그 고문서」
    『고문서 연구』22, 한국고문서학회 [2003]
  • 「조선 수신사가 본 메이지 일본 여성 : 『일동기유』와 『동사만록』을 중심 으로」
    『한국문학논총』제69집, 한국문학회 [2015]
  • 「조사시찰단의 일본 경험에 보이는 근대의 특성」
    『개화기 한국과 세계의 상호 이해』, 국학자료원 [2003]
  • 「조사 시찰단이 일본에서 맛본 근대」
    『조선이 본 일본』, 국사편찬위원 회 편 [2009]
  • 「제1차 수신사 김기수의 견문활동과 그 의의 」
    『한국사상사학』제27집, 한국사상학회 [2006]
  • 「일본근대 <여행안내서>를 통해 본 조선과 조선관광」
    서기재 『일본어문학』13, 한국일본어문학회 [2002]
  • 「일본 시인 이시바타 사다(石幡貞)의 눈에 비친 19세기 부산의 모습」
    허경진 『인 문학논총』 제15권 1호,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0]
  • 「일본 근대 여행관련 미디어와 식민지 조선」
    『일본문화연구』14, 동아시아 일본학회 [2005]
  • 「이헌영의 정보 획득 전략과 근대 일본의 형상화(形象化) -『일사집략(日槎 集略)』 중 문답록(問答錄)을 중심(中心)으로-」
    『국학연구론총』제11집, 택민국학연구원 [2013]
  • 「여행자 문학론 시고」
    이혜순 『비교문학』 24집, 한국비교문학회 [1999]
  • 「식민통치 표상 공간 경주와 투어리즘 : ~20년대 일본인의 여행기를 중심으로」
    『동양학』4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9 [1910]
  • 「식민지시기 조선인들의 일본시찰」
    박찬승 『지방사와 지방문화』, 9권 1호, 역사 문화학회 [2006]
  • 「수신사를 통해 본 개화기 한시의 위상-제1․2차 수신사의 창수시를 중심으로-」
    조영심 허경진 『동북아문화연구』제28집, 동북아문화학회 [2011]
  • 「서적중개상 宋申用연구」
    이민희 『고소설연구』27, 한국고서설학회 [2009]
  • 「사화기략연구」
    최덕수 『사총』50호,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 [1999]
  • 「로쿠메이칸(鹿鳴館)의 유학자 - 박대양(朴戴陽)의 『東槎漫錄』과 메이지 일본의 표상 내셔날리즘-」
    황호덕 『상허학보』 제11집, 상허학회 [2003]
  • 「대한제국기 주일 한국공사의 활동과 그 의의~1905」
    『사학연구』 94, 2009 [1900]
  • 「대한제국기 조선지식인의 일본 유학 현황과 유학분야」
    왕현종 한국학과 세계 포 럼 제2회 국제학술회의 <동아시아 근대 유학경험과 학문연구> 발표문 [2015]
  • 「근대 초기 기행문의 전개 양상과 문학적 기행문의 기원-국토기행을 중심으 로」
    김현주 『현대문학의 연구』16, 한국문학연구학회 [2001]
  • 「근대 일본 유학생의 공간 체험과 표상-유학생 기행문을 중심으로-」
    김진량 『우 리말글』32, 우리말글학회 [2004]
  • 「개화기(1876~ 한국인의 일본관」
    『사학연구』제76호, 한국사학회, 2004 [1910]
  • 「개화기 조선 문사의 일본 문물 체험과 일본 인식 : 박대양의 『동사만록』 을 중심으로」
    김남이 동양고전연구 제23집, 동양고전학회 [2005]
  • 「개화기 수신사행에 관한 일연구」
    하우봉 『한일관계사연구』10권, 한일관계사확 회 [1999]
  • 「개화기 수신사의 일본인식」
    『근대 교류사와 상호인식 Ⅰ』, 고려대학교 아세아문화연구소 [2001]
  • 「개화기 박영효(朴泳孝) 『사화기략(使和記略)』에 나타난 일본 인식」
    『동 아시아 문화연구』 44권,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2007]
  • 「開港 후 近代改革論의 동향과 日本認識」
    김도형 『한일역사공동연구보고서』제4 권,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2005]
  • 「開化期 漢詩에 나타난 日本 ․ 日本人-開港부터 韓日合倂時까지」
    이혜순 『동방문 학비교연구총서』3권 [2008]
  • 「紳士遊覽團考」
    정옥자 『역사학보』27호, 역사학회 [1965]
  • 「紳士遊覽團 使行錄에 반영된 한일문화교류:『日槎集略』과 『東行日録』을 중심으로」
    한태문 『일어일문학』제52집, 대한일어일문학회 [2011]
  • 「日本人의 濟州道 버섯栽培를 그림으로 記錄한 濟州道旅行日誌」
    문순희 허경진 『동아인문학』 17호, 동아인문학 [2010]
  • 「日本 紀行歌辭의 계보와 日本觀의 변모양상」
    박애경 『열상고전연구』23, 열상고 전연구회, 한국문학연구학회 [2006]
  • 「國文學硏究에서 망각지대로 남은 기록문학」
    류기용 『국어국문학』 100, 국어국 문학회 [1988]
  • 「『일본유람가』에 나타난 일본과 일본관 」
    송재용 『동양학』제33집, 단국대학 교 동양학연구소 [2003]
  • 「『동도일사』 해제」
    김석희 『역사와 세계』6, 효원사학회 [1982]
  • 「<일본유학가>에 형상화된 유학 체험과 가사 문학적 특질」
    『한민족문화 연구』제40집 [2012]
  • 「20세기 초 대일 기행가사와 東京 표상의 변모: <유일록>, <동유감흥록>을 중심으로」
    『동방학』제24집,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2012]
  • 「20세기 初 對日 使行歌辭 〈遊日錄〉의 世界 認識과 文學的 特 質」
    김윤희 노요한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한국어문학국제학술포럼 학술대회 [2010]
  • 「1884년 조선 사절단의 메이지 일본 체험」
    이효정 (『한국고전문학연구 제35집, 고 전문학회 [2009]
  • 「1881년 朝士視察團의 明治 日本政治制度 理解 : 朴定陽의 內務省 『視察 記』와 『見聞事件』類 등을 중심으로」
    허동현 『한국사연구』제8호, 한국사연구 회 [1994]
  • 「1880년 제2차 수신사의 향서기 박상식의 사행일기 『東渡日史』」
    김동철 『서지 학연구』제51집, 서지학회 [2012]
  • Jun Uchida, Brokers of Empire: Japanese Settler Colonialism in Korea, 1876– 1945, Harvard East Asian Monographs, 2011.
  • Joshua A. Fogel, The literature of travel in the japanese redicovery of china, 1862-1945, Stanford, Calif. :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6.
  • Alain Corbin 저 小倉孝誠역, 『風景と人間 (L'Homme dans le payssage)』
    藤原 書店 [2002]
  • <觀動物園><遊淺草公園記><富士登山記><遊日光山記><飛鳥山觀楓記><日本雜感幷
  • , 『朝鮮修信使の来日記録研究―もう一つの近代―』(国際基督教大学大学院 比較 文化研究科 博士論文,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