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인빌딩 MIMO 서비스를 위한 동축케이블 확장장치 구현 및 다중대역 수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feeder cable extender for inbuilding MIMO service and employment of multi-bandwidth

김영래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인빌딩 MIMO 서비스를 위한 동축케이블 확장장치 구현 및 다중대역 수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feeder cable extender for inbuilding MIMO service and employment of multi-bandwidth'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일반 경영
  • lte
  • mimo
  • pimd
  • siso
  • 동축케이블MIMO확장장치
  • 인빌딩중계기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390 0

0.0%

' 인빌딩 MIMO 서비스를 위한 동축케이블 확장장치 구현 및 다중대역 수용 방안 연구 = A study on implementation of feeder cable extender for inbuilding MIMO service and employment of multi-bandwidth' 의 참고문헌

  • 미래창조과학부
    “무선 통신서비스 통계 현황”, 2015. 9, http://msip.go.kr [2015]
  • 디지털타임즈, “삼성
    미 스프린트에 스몰셀 공급”, 2012. 8. 13 [2013]
  • 뉴스와이어, “알카텔-루슨트, 퀄컴과 차세대 스몰셀 솔루션 개발”, 2013. 7. 31.전자신문(2013), “LGU+
    국내 최초 LTE 소형 기지국 ‘피코셀’ 상용화”, 2013. 2. 21 [2013]
  • 뉴스와이어, “알카텔-루슨트
    퀄컴과 차세대 스몰셀 솔루션 개발”, 2013. 7. 31 [2013]
  • 넷마니아, “Radio Access를 중심으로 본 NTT Docomo의 5G”
    『NMC Consulting Group』, 2015. 1. 28. tech@netmanias.com [2015]
  • 넷마니아, “LTE IN KOREA 2013”
    『NMC Consulting Group』, pp.1∼20, 2013. 11 [2013]
  • 『상향링크 다중사용자 MIMO 시스템 환경에서의 공간변조 성능 분석』
    박광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3. 2 [2013]
  • 『광대역 무선 센서 네트워크를 위한 효율적인 협력통신 기법』
    김 용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2010]
  • 박사
  • 박사
  • 『FDM을 활용한 두 채널 옥내 MIMO 시스템 구현과 성능분석』
    김 준 경북대학교 산업대학원, 2014. 2 [2014]
  • “펨토셀 시장동향 : 유무선 융합의 강자 펨토셀”
    성태응 『KISTI MARKET REPORT』, Vol. 3, Issue 4, pp.3∼6, 2013 [2013]
  • “펨토셀 시장 현황 및 전망”
    산업분석연구팀 석왕헌 송영근 이경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7권 제2호, 2012 [2012]
  • “차세대 이동통신에서의 Small Cell 발전 방향”
    김이재 안승진 이주희 정성철 『TTA Journal』, Vol.153, pp.62∼66, 2014. 5. 6 [2014]
  • “윌킨슨 전력분배기의 진행성 PIMD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기술학회』
    이공 이병수 이상순 제8권 제12호, pp.119∼129, 2010. 12 [2010]
  • “스몰셀 시장현황 및 전망”
    Kim, H.S. Lee, M.H. Song, Y.K. 김항석 송영근 이민호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9권 제2호, pp.49∼59, 2014. 4, http://dx.doi.org [2014]
  • “쉽게 설명한 3G/4G 이동통신 시스템”
    여운영 이상근 조봉열 『홍릉과학출판사』, pp.256∼499, 2008. 2 [2008]
  • “소셜사물인터넷서비스 표준기술 동향”
    한민규 『TTA Journal』 Vol. 153, pp.79∼85, 2014. 5. 6 [2014]
  • “고객에게 새로운 가치를 제공하는 5G 서비스”
    박진효 『TTA Journal』, Vol. 152, pp.46∼51, 2014. 3. 4 [2014]
  • “건축물내 이동통신구내선로설비 공동구축 및 공동사용 활성화를 위한 법제화 방안 연구”
    김진영 『방송통신위원회 방송통신정책연구』, (사)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2010. 12 [2010]
  • “PIMD간섭을 제거시키는 기법에 관한 연구”
    노위상 장재선 『한국통신학회 하계학술대회』, pp.1329∼1331, 2010. 6 [2010]
  • “PIMD간섭을 제거시키는 기법에 관한 연구”
    노위상 유성상 장재선 『한국통신학회 추계학술대회』, pp.557∼558, 2009. 11 [2009]
  • “MIMO 기술의 진화”
    심병효 이병주 『한국통신학회』, vol. 38A, pp.712∼723, 2013. 8, http://dx.doi.org [2013]
  • “MIMO Implementation with existing 1 Feeder Cable in the Inbuilding RF Repeater”
    Wangjin-yoo Young-rae Kim 『한국전자통신학회 국제춘계학술대회』, pp.380∼388, 2015. 6 [2015]
  • “LTE-TDD 현황 및 주파수 정책 방향”
    정인준 『정보통신정책연구』, 제20권 제2호, pp.47∼78, 2013. 6 [2013]
  • “LTE-Advanced(Rel-10/11)”
    조봉열 『Nokia Siemens Networks』, Mar. 2013, brian.cho@nsn.com [2013]
  • “LTE 시장 현황 및 전망”
    Lee, K.S. Seok, W.H. Song, Y.K. 석왕헌 송영근 이경실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통신동향분석』, 제26권 제4호, 2011. 8 [2011]
  • “5G 무선 기술”
    고명조 방승찬 『TTA Journal』, vol. 152, pp.40∼45, 2014. 3. 4 [2014]
  • zdnet, “KT
    세계 최초 광대역 LTE 홈펨토셀 상용화”, 2013. 11. 12 [2013]
  • N. Desai, G. D. Makawana(2013), “Space Divers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 Review”, Volume 2, Issue 3, pp.405∼409, May 2013.
  • MIND COMMERCE(2013), “Strategies for Small Cell Network Deployments”, Nov. 2013.
  • Lee. Y. K.(2013), 『Design of the Indoor Repeater and MIMO Antennas with the Improved Isolation using Metamaterials』, the Graduate School of Hanyang University, Feb. 2013.
  • Joung. J.(2012), “Capacity Evaluation of Various Multiuser MIMO Schemes in Downlink Cellular Environment”,『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Personal, Indoor and Mobile Radio Communications(PIMRC’06)』, 2012.
  • J. Park, B. Lee(2012), “A MMSE vector precoding with block diagonalization for multiuser MIMO downlink”, 『IEEE Trans. Commun』, vol. 60, no 2, pp.569∼577, Feb. 2012.
  • IDATE Research(2013), “Small cells and carriers WiFi,” Nov. 2013.
  • G. J Foschini and M. J. Gans(1998), “On limits of wireless communicatons in a fading enviroment when using multiple antennas,” 『Wireless Personal Commun.』, vol.6, no.3, pp.311∼335, Mar. 1998.
  • G. Fettweis, S. Alamouti(2014), “5G : Personal mobile Internet beyond what cellular did to telephony”, 『IEEE Commun. Mag.』, vol. 52, no. 2, pp.140∼145, Feb. 2014.
  • E. Weinstein(2008), “Providing a high speed data modem based on MIMO technology using a cable or single antenna”, US patent No.: US 7.346.040 B2, Issued on Mar. 2008.
  • E. Telatar(1999), “Capacity of multi-Antenna Gaussian channels,” 『European Trans. Telecommun. (ETT)』, vol 10, no. 6, pp. 585∼596, Nov. 1999.
  • Cisco(2013), “Visual Networking Index : Global Mobile Data Traffic Forecast”, Feb. 2013.
  • Cho. B. Y., Seo. S. I., Kim. J. Y.(2009), “Practical Scheme to enable MIMO communications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for efficient indoor coverage”, 『in Processings of the 2009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echnology(IEEE ISCIT ‘09)』, pp.25∼28, Incheon, Korea, Sep. 2009.
  • Cho. B. Y., Kim. J. Y.(2010), “Novel MIMO Communication Scheme for Enhanced Indoor Performance in Distributed Antenna Systems”, 『JOURNAL OF THE KOREAN INSTIUTE OF ELECTRONIC ENGINEERING AND SCIENCE』, vol 10, no. 4, Dec. 2010.
  • CHEN. Xi.(2013), 『ANALYSIS OF THE IMPACT OF TD-LTE ON MOBILE BROADBAND』, KTH Schoo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Oct. 2013.
  • ABI research(2009), “In-building wireless systems: Passive and active repeaters, picocells, and femto-cells”, 3Q 2009.
  • A. Ivanov.(2012), “TDD-LTE and FDD-LTE A Basic Comparision”, 『ASCOM』, NT11-1036, pp.1∼10, 12. Jan. 2012.
  • 3GPP TSG RAN WGI #55(2009), “Common reference symbol mapping/signaling for 8 transmit antenna, Ri-0900288”, Jan. 2009.
  • 3GPP TS 36.932, “Scenarios and requirements for small cell enhancements for E-UTRA and E-UTRAN”
  • 3GPP TS 36.842, “Study on Small Cell enhancements for E-UTRA and E-UTRAN”
  • 3GPP TS 36.101 V10.4.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User Equipment(UE) radio transmission and reception(Release 10)”
  • 2명, “MIMO 중계장치(MIMO Repeater)”, 특허
    조형식 등록번호 1012820700000, 2013. 6. 28 [2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