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설화의 서사문법을 활용한 자기발견과 치유의 이야기 창작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to create self-discovery and healing stories using story grammar of folktale

김정은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설화의 서사문법을 활용한 자기발견과 치유의 이야기 창작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to create self-discovery and healing stories using story grammar of folktal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문학
  • 대립자질
  • 서사 문법
  • 순차구조
  • 이야기 창작
  • 자기 발견
  • 치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44 0

0.0%

' 설화의 서사문법을 활용한 자기발견과 치유의 이야기 창작방법 연구 = A study on the method to create self-discovery and healing stories using story grammar of folktale' 의 참고문헌

  • 「화자의 개성과 설화의 변이」
    이인경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1992]
  • 「한국 신화의 원형적 상상력의 구조-신이에 대한 상상력의 범주와 신화의 사유 체계」, 한민족어문학 49
    오세정 한민족어문학회 [2006]
  • 「패러디를 활용한 허구적 글쓰기 교육」, 국어교육학연구 13
    선주원 국어교육학회 [2001]
  • 「패러디를 활용한 창의적 글쓰기 연구」
    전보영 한양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6]
  • 「트릭스터 그리고 성장의 매개자<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호랑이」, 한민족어문 학 제42집
    김기호 한민족어문학회 [2003]
  • 「탑골공원 이야기꾼 김한유(금자탑)의 이야기세계」, 구비문학연구 제7집
    신동흔 한국 구비문학회 [1998]
  • 「청자가 설화 구연에 미치는 영향(1)」, 한국사상과 문화 제32집
    박상란 한국사상문학 학회 [2006]
  • 「창작 교육을 돌아보고 내다보는 가상 정담」, 선청어문 28호
    우한용 서울대국어교육 과 [2000]
  • 「창의성 신장을 위한 전래동화 지도 연구」
    정희자 전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자본주의 신체미학과 자아정체성」, 철학연구 제36집
    이승환 고려대철학연구소 [2008]
  • 「자녀의 부모화와 관련된 심리적 특성들의 탐색」, 한국심리학회지:여성 9
    정태영 조은영 한국심리학회 [2004]
  • 「자기서사의 변화 과정과 공감 및 감동의 원리로서의 서사의 공명」, 문학치료연 구 제25집
    정운채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 「이야기판의 협력구연과 기억의 공유」, 어문연구 제68집
    심우장 어문연구학회 [2011]
  • 「이야기판과 이야기, 그리고 민중」, 서대석 외, 한국인의 삶과 구비문학
    강진옥 집문 당 [2002]
  • 「이야기꾼의 작가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구비문학연구 제6집
    신동흔 한국구비문학회 [1998]
  • 「이야기꾼의 이야기 구성과 변이에 대한 연구」
    곽정식 서강대 석사학위논문 [1982]
  • 「이야기꾼의 성향과 이야기의 특성에 관한 연구」
    강성숙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1996]
  • 「이야기꾼 이성근 할아버지의 연구」, 구비문학연구 제3집
    이수자 한국구비문학회 [1996]
  • 「이야기꾼 유형의 탐색과 사례연구」, 구비문학연구 제7집
    황인덕 한국구비문학회 [1988]
  • 「이야기 욕망 소환을 통한 글쓰기와 다시 쓰기 수업」, 문학교육학 제14호
    한귀은 한 국문학교육학회 [2004]
  • 「이야기 스키마와 구비설화의 전승과 변이」, 실천민속학 연구 제16호
    심우장 실천민 속학회 [2010]
  • 「이야기 구조를 활용한 한국어 읽기 교육 연구」, 시학과 언어학 제18호
    신필여 시학 과언어학회 [2010]
  • 「영웅의 일생, 그 문학사적 전개」, 동화문화 제10집
    조동일 동화문화연구 [1971]
  • 「안젤라 카타의 노마드적 사유와 타자적 글쓰기: 들뢰즈와 가타리의 이론을 중심 으로」
    김기문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2003]
  • 「심리학의 지각, 기억, 사고와 문학치료학의 자기서사」, 문학치료연구 제20집
    정운채 한국문학치료학회 [2011]
  • 「소설창작의 이론화 가능성 탐색」, 현대소설연구 제10호
    우한용 한국현대소설학회 [1999]
  • 「소설창작을 통한 문학치료 연구」
    강서영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7]
  • 「소설의 이본 파생과 창작 교육의 한 방향」, 고소설연구 제7집
    김종철 한국고소설학 회 [1999]
  • 「소설설계도를 활용한 소설 창작 교육방법 연구」
    이상덕 한양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9]
  • 「소설 창작 전략과 수업의 실제」, 문학교육학 제8호
    한귀은 한국문학교육학회 [2001]
  • 「소설 창작 교육 방안 : 대안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최경미 이화여대교육대학원 석 사학위논문 [2003]
  • 박사
    「소설 창작 교육 방법 연구 : 중학생을 대상으로」
    오리사 연세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9]
  • 박사
  • 박사
    「설화와 화자의 관련양상」
    김기형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1986]
  • 「설화를 활용한 영화창작치료 연구」
    나지영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7]
  • 「설화를 통한 자기성찰 방법의 실행 연구」, 독서연구 제17호
    황혜진 한국독서학회 [2007]
  • 「설화를 통한 자기 성찰의 사례 연구」, 국어교육 122
    황혜진 한국어교육학회 [2007]
  • 「설화교육을 통한 창의력 신장방안」
    신경화 아주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설화<도량 넓은 남편>을 활용한 창작활동의 치유적 가능성」, 구비문학연구 제 34집
    조은상 한국구비문학회 [2012]
  • 「설화<내 복에 산다>의 전승가치와 그 현대적 활용 방안- 청소년의 동화창작프 로그램 사례를 통하여」, 고전문학과 교육 제29집
    김혜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5]
  • 「설화 활용한 서사문 쓰기 지도 연구」
    곽남연 경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 「설화 제재와 과정 중심전략을 활용한 창작교육」
    손연정 이화여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4]
  • 「설화 변이의 발생요인과 방향연구」, 고황논집 9집
    홍태한 경희대대학원 [1991]
  • 박사
  • 「서사의 힘과 문학치료방법론의 밑그림」, 고전문학과 교육 제8집
    정운채 한국고전문학 교육학회 [2004]
  •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문학치료연구 제23집
    정운채 한국문 학치료학회 [2010]
  • 「서사의 다기성(多岐性)과 문학연구의 새 지평」, 문학치료연구 제23집
    정운채 한국문 학치료학회 [2012]
  • 「북미 인디언 설화의 구조적 유형론」, 이야기문학 징검돌
    조희웅 글누림 [2009]
  • 「변신설화의 원형적 의미구조와 그 현대적 변용」
    이원영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10]
  • 「베르그손 철학에서 의식의 주관성과 객관성」, 哲學 105
    황수영 한국철학회 [2010]
  • 박사
  • 「바리공주의 희생효와 심리적 서사구조」, 한국언어문학 제47집
    윤인선 한국언어문학 회 [2001]
  • 「뮈토스와 스토리텔링-한국 신화의 스토리텔링에 관한 서사학적 접근」, 기호학 연구 제34집
    오세정 한국기호학회 [2013]
  • 「문화변동과 구비문학연구」, 구비문학연구 제32집
    심우장 한국구비문학회 [2011]
  •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 문학치료연구 제9집
    정운채 한국문학치료학회 [2008]
  • 「문학치료학의 서사이론에 입각한 창작이론」, 문학치료연구 제26집
    정운채 한국문학 치료학회 [2013]
  • 「문학치료에서 외국 설화의 활용 가능성 탐색」, 문학치료연구 제27집
    신동흔 한국문 학치료학회 [2013]
  • 「문학작품 다시쓰기 활동의 교육적 성과고찰」
    이현수 연세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문학의 창의적 수용 및 창작 교육적 연구」
    이미라 아주대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사
  • 「들퇴즈와 불교의 관계론 : 비/관계의 접속」, 동서비교문학저널 제14호
    오현숙 동서비 교문학회 [2006]
  • 「동해안무가 <바리데기>의 화자별 변이 양상과 의미」, 구비문학연구 제32집
    김정은 한국구비문학회 [2011]
  • 박사
  • 「금기를 통한 ‘신랑 되찾기’ 서사의 의미 고찰」, 겨레어문학 제47집
    김정은 겨레어 문학회 [2011]
  • 「그레마스 서사도식의 스키마 이론 고찰」, 기호학연구 제42 집
    백승국 심현주 이해지 한국기호학회 [2015]
  • 「구전설화의 변이양상과 변이요인 연구」, 구비문학연구 제14집
    강진옥 한국구비문 학회 [2002]
  • 「구술담화의 서사적 지향과 그 역사적 가치」, 통일인문학 제57집
    신동흔 건국대인문 학 연구원 [2014]
  • 「구비설화에 나타난 자녀서사의 어머니」, 문학치료연구 제6집
    정운채 한국문학치료학 회 [2007]
  • 「구비설화 다시쓰기와 새로운 상상력」, 구비문학연구 제29집
    신선희 한국구비문학회 [2009]
  • 「구렁덩덩신선비와 외국 뱀신랑설화의 서사구조와 상징성에 대한 비교문학적 고 찰」, 동화와번역 권4호
    김환희 건국대 동화와번역연구소 [2002]
  • 「고전서사를 활용한 창작 교육의 가능성 탐색 : <수삽석남>의 소설화 자료를 대 상으로」, 문학교육학 제27호
    황혜진 한국문학교육학회 [2008]
  • 「고전문학의 남녀서사를 활용한 영화창작치료연구」
    방유리나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 「고전문학을 활용한 영화창작연기 활동과 그 문학치료적 효용」
    이혜선 건국대교육대학 원 석사학위논문 [2007]
  • 「고전문학 : 이야기문화의 현재적 양상과 문화콘텐츠 활용 방안」, 겨레어문학 제42집
    김종군 겨레어문학회 [2009]
  • 「계모설화에 대하여」, 한국민속학 제19호
    최운식 한국민속학회 [1986]
  • 「게임의 구비문학 활용과 그 가치」
    나주연 건국대 석사학위논문 [2007]
  • 「‘부모화된 아이’를 위한 <심청가>의 문학치료적 의의」, 구비문학연구 제30 집
    이동희 한국구비문학회 [2010]
  •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서 어머니 읽기;Klein의 관점으로」, 유아교육 연구 34권 제4호
    심향분 양혜영 유아교육학회 [2014]
  • 「<바리공주>의 구조와 의미」, 청람어문학 제13집
    이현숙 청람어문학회 [1995]
  • 「<구복여행>을 통해 본 청소년 우울증과 문학치료」
    박정수 건국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9]
  • 「<구복여행>설화의 문학치료학적 해석과 교육적 활용」, 고전문학연구 제32집
    이인경 한국고전문학회 [2007]
  • 「<구복여행>설화의 문제해결과정과 그 교육적 의미」
    최운영 건국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003]
  • 「<구렁덩덩신선비>, <세경본풀이>, <밭매기노래>에 나타난 ‘남편찾기’와 ‘결 합’의 의미」, 열상고전연구 제16집
    김태숙 열상고전연구회 [2002]
  • 한국구비문학대계 전82권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8 [1980]
  • 한국신화의 연구
    서대석 집문당 [2002]
  • 한국민담의 심층분석
    이부영 집문당 [1995]
  • 한국 신화의 생성과 소통의 원리
    오세정 한국학술정보 [2005]
  • 하루를 치유하는 글쓰기
    박민진 유페이퍼 [2014]
  • 프랭스 저, 최상규 역, 서사학이란 무엇인가
    제랄드 예림기획 [1999]
  • 페니베이커 저, 이봉희 역, 글쓰기 치료
    학지사 [2007]
  • 테리 이글턴 저, 김명환 외 역, 문학이론입문
    창작과비평사 [2015]
  • 테렌스 호옥스 저, 오원교 역, 구조주의와 기호학
    신아사 [1993]
  • 카를 G. 융, 이윤기 역, 인간과 상징
    열린책들 [2007]
  • 치유하는 글쓰기
    박미란 한겨레 출판 [2008]
  • 창작 교육의 이념과 지향, 문학교육학 제2호
    우한용 한국문학교육학회 [1998]
  • 줄리아카메론 저, 조한나 역, 나를 치유하는 글쓰기
    이다미디어 [2013]
  • 존 브래드쇼 저, 오제은 역, 상처받은 내면아이 치유
    학지사 [2004]
  • 장 베르트랑 포탈리스 저, 임진수 역, 정신분석 사전
    라폴랑슈 열린책들 [2005]
  • 임석재전집: 한국구전설화 전12권
    평민사, ~1993 [1989]
  • 이야기 구조를 통한 이야기 글 지도 방안 연구
    김순복 서울교육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 문 [2002]
  • 의미와 설화성
    최용호 인간사랑 [2006]
  • 융 저, 한국융연구원C.G.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정신요법의 기본문제
    C.G 솔출판사 [2001]
  • 융 저, 한국융연구원C.G.융 저작 번역위원회 역, 원형과 무의식
    C.G 솔출판사 [2002]
  • 월터J.옹 저 , 이기우 임명진 역, 구술문화와 문자문화
    문예출판사 [2004]
  • 왜 주인공은 모두 길을 떠날까?
    신동흔 샘터사 [2014]
  • 에리카 J. 초피크 마거릿폴 저, 이세진 역, 잃어버린 내면아이를 만나는 자기심리 치유 학-내 안의 어린아이
    교양인 [2011]
  • 언제나 다시금 새로워지는 삶
    구스타프 융 신근영 북드라망 [2012]
  • 앨리스 모건 저, 고미영 역, 이야기치료란 무엇인가?
    청목출판사 [2013]
  • 앙리 베르그손 저, 박종원 역, 물질과 기억
    아카넷 [2012]
  • 쇼나 러셀`매기 캘리 엮음, 최민수 역, 이야기치료, 궁금증의 문을 열다
    시그마프레스 [2010]
  • 셰퍼드 코미나스, 임옥희 역, 치유의 글쓰기
    홍익출판사 [2008]
  • 설화의 신화적 구조와 , 「 상징의 연구」
    박현국 중앙대 박사학위논문 [1992]
  • 박사
  • 설화를 활용한 문학치료 프로그램 개발 연구
    정운채 문학과치료 [2009]
  • 서사학과 텍스트 이론-토도로프에서 데리다까지
    박진 랜덤하우스중앙 [2006]
  • 비르크호이저-왜리 저, 이유경 역, 민담의 모성상
    지빌레 분석심리학 연구소 [2012]
  • 블라디미르 프로프 저, 유영대 역, 민담형태론
    새문사 [1996]
  • 브루노 베텔하임 저, 김옥순 주옥 역, 옛이야기의 매력2
    시공주니어 [1998]
  • 브루노 베텔하임 저, 김옥순 주옥 역, 옛이야기의 매력1
    시공주니어 [1998]
  • 브라이언 보이드 저, 남경태 역, 이야기의 기원-인간은 왜 스토리넬링에 탐닉하는가
    휴머니스트 [2013]
  • 분석심리학
    이부영 일조각 [2011]
  • 베레나 카스트 저, 최연숙 역, 동화와 심리치료
    열린시선 [2008]
  • 바리공주 연구 이본의 특징 , 「 : , 분석을 중심으로」, 계명논총 제8집
    서대석 계명대학교 [1972]
  • 민담학개론
    김열규 일조각 [1982]
  • 민담학개론
    이부영 일조각 [1989]
  • 막스 뤼티 저, 김홍기 옮김, 유럽의 민담
    보림 [2005]
  • 막스 뤼티 저, 김경연 역, 옛날옛적에-민담의 본질에 대하여
    천둥거인 [2008]
  • 로버트 존슨 저, 고혜경 역,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 있다
    에코의 서재 [2007]
  • 로버트 스콜즈 저, 위미숙 역, 문학과 구조주의
    새문사 [1997]
  • 로라 E.버크 저, 이옥경 외, 생애발달Ⅱ
    시그마프레스 [2009]
  • 레비스트로스 저, 안정남 역, 야생의 사고
    C.I 한길사 [1999]
  • 니콜라스 마짜, 김현희 외 공역, 시치료
    학지사 [2005]
  • 글쓰기치료-이론과 실제
    채연숙 경북대학교출판부 [2010]
  • 그림형제동화전집
    김열규 역 현대지성사 [2010]
  • 구조주의 혁명
    임봉길 서울대출판부 [2001]
  • 구조주의
    김준오 고려원 [1992]
  • 구비문학의 이해
    곽정식 신지서원 [1999]
  • 구비문학개설
    장덕순 일조각 [1971]
  • 『문학치료 서사사전』
    전3권, 문학과 치료 [2009]
  • T.토도로프 저, 신동욱 역, 산문의 시학
    문예출판사 [1992]
  • Doris Brett 저, 김인옥 역, 은유적 이야기치료
    여문각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