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북한 유일사상체계 형성의 문화대혁명 요인 = Factors from Chinese Cultural Revolution in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s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인교준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북한 유일사상체계 형성의 문화대혁명 요인 = Factors from Chinese Cultural Revolution in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s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갑산파
  • 교조주의
  • 문화대혁명
  • 사회주의 애국주의
  • 수정주의
  • 유일사상체계
  • 자주노선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0 0

0.0%

' 북한 유일사상체계 형성의 문화대혁명 요인 = Factors from Chinese Cultural Revolution in the Establishment of North Korea’s Monolithic Ideological System' 의 참고문헌

  • 김일성 종합대학 학보
  • 노동신문
  • 조선중앙년감
  • 연합뉴스
  • 경향신문
  • 조선일보
  • 중앙일보
  • 한겨레신문
  • 한국일보
  • 월간중앙
  • 네이버
  • Global Times(環球時報 영문판)
  • 劉金質 楊淮生 主編, 『中國對朝鮮和韓國政策文件彙編(5)』(北京: 中國社會科學出版 社, 1994)
  • 沈志華, 『毛澤東 斯大林與朝鮮戰爭』(廣州: 廣東人民出版社, 2003)
  • 히라이와 순지 著, 이종국 譯. 『북한 중국관계 60년: ‘순치관계’의 구조와 변용』
    서울: 선인 [2013]
  • 학생들을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의 참된 후비대로 교육 교양하자
    김일성 『김일성 전집4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1]
  • 편집위원회, 「우리사회의 정치도덕적 통일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
    『근로자 12호』 조선로동당략사 년판 [1979]
  • 통일원
    북한경제통계집
  • 첸리췬 著, 연광석 譯. 『모택동 시대와 포스트 모택동 시대 ∼2009 下』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12 [1949]
  • 증범상 著, 김엽 김성 譯.『조남기전』
    곡애국 연길: 연변인민출판사 [2004]
  • 중국중앙공산당연구실 지음, 홍순도 홍광훈 옮김. 『중국공산당역사』
    서울: 서교출판사 [2014]
  • 중국공산당 중앙문헌현구실 편, 허원 역. “중국공산당의 역사 문제에 관한 결의,” 『정통 중국 현대사』
    서울: 사계절 [1990]
  • 중국 동북해방전쟁을 도와
    길재준 리상전 평양: 과학백과사전출판사 [2008]
  • 존 루이스 개디스 著, 박건영 譯. 『새로 쓴 냉전의 역사』
    서울: 사회평론 [2002]
  • 조선로동당중앙위원회 당력사연구소.『인민의 지도자』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 조선로동당력사 년판
    2006년판 [1991]
  • 조선노동당중앙위원회 당력사연구소.『김정일 동지 략전』(제2판)
    평양: 조선노동당 출판사 [1999]
  • 전쟁기념사업회 譯. 『한국전쟁사 제1권: 요약통사』
    서울: 전쟁기념사업회 [1990]
  • 와다 하루키 著, 남기정 譯. 『북한현대사』
    서울: 창비 [2014]
  • 연변당사학회 編, 『연변 40년 기사 -1989』
    (연변: 연변인민출판사, 1989) [1949]
  • 스칼라피노 이정식 共著, 한홍구 譯. 『한국공산당운동사 3』
    서울: 돌베개 [1987]
  • 스즈키 마사유키 지음, 유영구 옮김. 『김정일과 수령제 사회주의』
    서울: 중앙일보사 [1994]
  •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 엮음. 『북한의 대외관계』
    서울: 도서출판 한울 [2007]
  • 사회과학출판사.『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정부의 당면 과업에 대하여』
    평양: 사회 과학출판사 [1995]
  • 붉게 물든 대동강
    려정 서울: 동아일보사 [1991]
  • 북한의 체제변화 경로에 관한 연구
    정 웅 『통일전략』. 제5권 1호 [2005]
  • 부대 정치위원의 임무
    김정일 『김정일선집 2』.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 바자노바 著, 양준용 譯.『기로에 선 북한 경제』
    나탈리아 서울: 한국경제신문사 [1992]
  • 미국의 베트남전쟁
    이혜정 『韓國政治外交史 論叢』. 제27집 2호 [2003]
  •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소련 군사고문단장 라주바예프의) 6.25 전쟁 보고서』 1 2 3권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 구보 도루 著, 강진아 譯. 『중국근현대사4: 사회주의를 향한 도전 -1971』
    서울: 삼천리, 2013 [1945]
  • 공저. 『동구의 정치 경제』
    김달중 성백남 정백영 서울: 법문사 [1992]
  • 齊辛, “鄧小平辦公室主導下的中共內政外交,” 『月刊 九十年代』1993年 6月號 『周恩來外交活動大事記 1949-1975』(北京: 中共中央文獻, 1993)
  • 葉自成, 『新中國外交思想:從毛澤東到登小平』(北京: 北京大學出版社,2001)
  • 編譯.『중국백서』
    국무부 이영희 서울: 전예원 [1982]
  • 紅旗
  • 王泰平 主編,『中華人民共和國外交史(第3卷)1970-1978』(北京: 世界知識出版社, 1999)
  • 沈志华采访金忠植记录,2011 年2 月19 日;沈志华采访金刚(原朝鲜劳动党中央宣传 部副部长)记录,2010 年2 月16日
  • 楊 軍 王秋彬 著, 『吉林大學哲學社會科學學術文庫: 中國與朝鮮半島關係史論』(北 京: 社會科學出版社, 2006)
  • 新華社
  • 張明遠, “風云戰勤-憶抗美援朝戰爭的後勤保障,” 『當代中國史硏究』, 第6期(2000)
  • 孟琳, “中國對朝鮮半島再申立場,” 『鏡報』1993年 6月號,
  • 姜長斌, 『從對峙走向緩和』, (北京: 世界知識出版社, 2000)
  • 吳冷西, 『十年論戰:中蘇關係回億錄(上)』(北京:中央文獻出版社, 1999)
  • 会科学院中央档案馆编, 《中国共产党历史 第二卷(1949-1978))》下册
  • 中華人民共化國外交部 外交史硏究室 編, 『周恩來外交活動大事記 1949-1975』(北京: 世界知識出版社)
  • 中國外交部 中共中央文獻硏究室 編, 『周恩來外交選』(北京: 中央文獻出版社, 1989)
  • 中共黨員大辭典編委會, 「中國共産黨章程」, 『中共黨員大辭典』(北京:華齡出版社, 1991)
  • 中共黨史硏究室 編, 『中國共産黨史大事記(1919 .5-1990. 12)』(北京: 人民出版社, 1991)
  • 中共中央文獻硏究室, 『建國以來重要文獻選編』(北京: 中央文獻出版社, 1997)中国社
  • 『황장엽 회고록』
    황장엽 서울: 시대정신 [2006]
  • 『현대 북한의 지도자: 김일성김정일』
    서대숙 서울: 을유문화사 [2000]
  • 『중국 문화대혁명과 정치의 아포리아』
    백승욱 서울: 그린비출판사 [2012]
  • 『조선노동당연구: 지도사상과 구조변화를 중심으로』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1995]
  • 『정약용의 철학 및 사회정치사상연구』
    홍태연 (조선사회과학학술집 철학편 311).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2013]
  • 『위대한 수령 김일성 동지의 불멸의 혁명 업적 15』
    조선로동당출판사
  • 『위대한 령도자 김정일 동지 략력』
    탁진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6]
  • 『어느 ‘북조선 인민’의 수기: 조국』
    김응교 김진계 서울: 현장문학사 [1990]
  • 『새로 쓴 현대 북한의 이해』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2000]
  • 『북한의 정치와 사회』
    김영재 이은호 서울: 도서출판 서울프레스 [1997]
  • 『북한의 역사 2-주체사상과 유일체계 ∼1994』
    이종석 서울: 역사비평사, 2011 [1960]
  • 『북한50년사』
    김창순 서울: 지문각 [1961]
  • 『등나무집』
    성혜랑 서울: 지식나라 [2000]
  • 『동유럽사』
    이정희 서울: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5]
  • 『나는 역사의 진리를 보았다』
    황장엽 서울: 한울 [1999]
  • 『김정일』
    이찬행 서울: 백산서당 [2001]
  • 『김정일 정권의 권력구조』
    김갑식 파주: 한국학술정보 [2005]
  • 『人民日報』
  • 「中國共産黨章程(1969.4.14)」, 中共黨員大辭典 編委會, 『中共黨員 大辭典』(北京: 華齡出版社, 1991)
  • 「Report, Embssy of Hungary in the Soviet Union to the Hungarian Foreign Ministry, 25 November 1967」, MOL, XIX-J-1-j Korea, 1967, 61.doboz, 5, 002126/6/1967.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alazs Szalontai.
  • 「Report, Embssy of Hungary in North Korea to the Hungarian Foreign Ministry, 9 March 1967」,MOL, XIX-J-1-j Korea, 1967, 61.doboz, 1, 002130/1967.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alazs Szalontai.
  • 「Report, Embssy of Hungary in North Korea to the Hungarian Foreign Ministry, 22 January 1967」, XIX-J-1-j Korea, 1967, 61.doboz, 1, 001200/1967.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alazs Szalontai. SAMPO-BA 30, J Ⅳ 2/2A/2123, CWIHP Bulletin, Issue 14/15, pp49-51
  • 「Report, Embssy of Hungary China to the Hungarian Foreign Ministry, 11 April 1967」, MOL, XIX-J-1-j China, 1967, 59.doboz, 1, 001136/6/1967.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alazs Szalontai.
  • 「Report on the official friendship visit to the DPRK by party and state delegation of the GDR, led by Com. Erich Honecker, 8-11 December 1977」, SAMPO-BA 30, J Ⅳ 2/2A/2123, CWIHP Bulletin, Issue 14/15, pp49-51
  • 「On a Club meeting of Ambassadors and Acting Ambassadors from the GDR, USSR, Czechoslovakia, Hungary, Poland, Mongolia the Bulgaria on 24 October 1969 in the USSR Embassy」, PolA AA, MfAA, C 1366/74.
  • 「Note: On a conversation with the First Secretary of Soviet Embassy, Comrade Zvetkov, on 15 March 1967 by Jarack Acting Ambassador of GDR Embassy to the DPRK 16 March 1967」. Pola AA, MfAA, G-A 364.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ernd Shaefer
  • 「Note, on a Conversation with the Acting Ambassador of the People's Republic of Poland, Comrade Pudisz, on 9 October 1967 between 1000 and 1130 hours in the Polish Embassy」, PolA AA, MfAA, C 149/75.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ernd Shaefer
  • 「Note, on a Conversation with First Secretary of the USSR Embassy to the DPRK, Comrade Zvetkov, and Comrade Jarak on 26 July 1968 between 1430 and 1615 hours in the USSR Embassy」, PolA AA, MfAA, G-A 320.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ernd Shaefer
  • 「Memorandum from the Soviet Embassy in the DPRK by A. Borunkov First Secretary of the Soviet Embassy to the DPRK 7 March 1967」, AVPRF f. 0101, op.23, p. 112, d. 24, oo.13-23. Obtained for NKIDP by Sergey Radchenko and translated for NKIDP by Gary Goldberg
  • 「7 March 1967 DVO<Far East Department> Memorandum about Sino-Korean elations」, AVPRF f. 0102, op.23, p. 112, d. 24, pp. 5-12. Obtained for NKIDP by Sergey Radchenko and translated for NKIDP by Gary Goldberg.
  • “후진타오 시대 중국의 대북 정책과 중 북 경제협력 평가.”
    유현정 『세종정책연구』. 제6권 2호 [2010]
  • “현정세와 우리당의 과업”
    『김일성저작집 20』.평양:조선로동당출판사 [1982]
  • “해방후 김일성의 권력 부상”
    기광서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의 정치1』. 서울: 경인문화사 [2006]
  • “한일회담과 미국,”
    유병용 『박정희 시대의 한미관계』. 서울: 백산서당 [2009]
  • “학생들을 사회주의, 공산주의 건설의 참된 후비대로 교육교양하자,”
    『김일성 전집 40』.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2001]
  • “탈국가사회주의의 여러 길과 북한: 붕괴와 개혁.”
    권만학 『한국정치학회보』. 제 30권 2호 [1996]
  • “청년들은 우리 혁명의 종국적승리를 위하여 경제건설과 국방건설의 모든 전선 에서 선봉대가 되자,”
    『김일성 저작선집 제5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68]
  • “중국인민의 동북해방전쟁을 지원하기 위한 조선공산주의자들과 인민들의 투쟁,”
    김창호 『력사과학』. 년 제2호(루계 제150호) [1994]
  • “중국의 성장이 남북한에 미치는 영향.”
    이종석 『정세와 정책』. -12 [2010]
  • “중국의 대북한 영향력 분석.”
    오경섭 『세종정책연구』. -8 [2011]
  • “중국군의 정전협상 전략. ”
    양규송 국방부국사편찬연구소. 『한국전쟁사의 새로운 연구』2.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2]
  • “중 소의 북한 내정간섭 사례 연구.”
    이종석 『세종정책연구』.년 제6권 2호 [2010]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의 사회주의건설과 남조선혁명에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4』,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1965]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창건 스무돐을 성대히 맞이하기 위하여”
    『김일성 저작집 22』.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 “정치사 중심의 북한정치연구의 역사와 북한정치 현상.”
    이우정 북한연구학회 편. 『북한의 정치1』. 서울: 경인문화사 [2006]
  • “자본주의로부터 사회주의에로의 과도기와 프롤레타리아 독재문제에관하여”
    『김일성저작집 2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 “인민 군대 당조직과 정치기관들의 역할을 높일 데 대하여,”
    『김정일 선집 1』.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92]
  • “유엔안보리 천안함 의장성명과 한국정부의 대응.”
    오경섭 『세종논평』. No. 189 [2010]
  • “북한의 현지지도와 정치리더십에 관한 연구.”
    이관세 경남대 북한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06]
  • “북한의 대외경제정책,”
    김기수 양성철 강성학 공편.『북한 외교정책』. 서울: 서울 프레스 [1996]
  • “북한의 급변사태의 유형과 대응방안: 북한의 체제위기와 체제변화 과정에 대한 4가지 시나리오.”
    서진영 『평화연구』. 제6권 [1997]
  • “북한의 권력구조변화와 정치적 함의: 헌법 개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김수민 『통일 전략』. 제4권 1호 [2004]
  • “북한의 경제 발전론 재론: 1960년대 경제 조정기제의 변화를 중심으로.”
    이정철 『현대북한연구』.제5권 1호 [2002]
  • 박사
    “북한노동당의 조직구조와 사회통제체계에 관한 연구.”
    현성일 한국외대 정책과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9]
  • “북한 핵실험에 대한 중국의 입장과 전략.”
    이태환 『정세와 정책』. 년 특집호 [2006]
  • “북한 체제변화 3단계론: 대북정책에의 시사,”
    신지호 『한국정치학회보』. 제36집 제3호 [2002]
  • “북한 ‘수령체제’의 변화와 ‘수령승계방식’의 한계에 관한 연구.”
    이승열 북한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9]
  • “당을 질적으로 공고히 하며 공업생산에 대한 당적지도를 개선할 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7』.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0]
  • “당사업을 개선하며 당대표자회 결정을 관철할 데 대하여,”
    『김일성 저작집 21』. 평양: 조선노동당출판사 [1983]
  • “당사업을 강화하기 위한 몇가지 과업에 대하여,”
    『김일성저작선집 23』.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 “김정일 정권의 내구력과 북한 정치 체제의 변화 전망.”
    심지연 최완규 『동북아연구』. 제1권 [1995]
  • “김일성의 만주 항일 유격 운동. ”
    신주백 북한연구학회 편,『북한의 정치1』. 서울: 경인문화사 [2006]
  • “김일성의 ‘5 25교시’ 전후 경제사회적 변화에 관한 연구,”
    송정호 통일부.『신진연 구논문집(Ⅰ)』북한 및 통일관련 [2003]
  • “교육사업을 개선하여 유능한 민족 간부를 키워내자(김일성종합대학 경제 학부 교원들과 한 담화, 년 6월 17일),”
    『김정일선집 1』. 평양: 조선로동당 출판사, 1992 [1966]
  • “간부들 속에서 당의 유일사상체계를 세우며 혁명화 하기위한 사업을 강화 할 데 대하여”
    『김일성저작집 25』.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83]
  • “中華人民共和國政府貿易代表團和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政府貿易代表團會議的新聞 公報”, 劉金質 楊淮生 主編, 『中國對朝鮮和韓國政策文件匯編3』
  • “Recollection, Shi Zhe, 'Mao Zedong Comments on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25 and 28 June 1950," Zhang Shuguang and Chen Jian eds., Chinese Communist Foreign Policy and the Cold War in Asia-New Docummentary Evidence, 1944∼1950(Chicago: Imprint Publications, 1996)
  • “5 25 교시와 유일사상체계 확립: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오경숙 『한국동북아논총』. 제3집 [2004]
  • “2차핵실험 이후 북한-중국관계의 변화: 특징과 배경.”
    이종석 『세종정책연구』. -21 [2012]
  • “1970년대 대중 운동과 북한사회: 돌파형 대중운동에서 일상형 대중운동으로.”
    정영철 『현대북한연구』. 6권 1호 [2003]
  • “1960년대 북한의 대중국 동맹 딜레마와 ‘계산된 모험주의’.”
    최명해 『국제정치논총』. 제48권 3호 [2008]
  • “1960년대 북한의 권력 구조 재편과 유일사상의 대두: 제한적 다원성에서 유일체제로.”
    이승현 『현대북한연구』. 5권 1호 [2002]
  • “1950-1960년대 조선족의 북한이주와 북 중 협력.”
    송지문 이상숙 『북한연구학회보』. 제16권 제1호 [2012]
  • https://www.wilsoncenter.org/
  • Yafeng Xia and Zhihua Shen, "Arrogance of Certitude: Beijing's Self Image and China's Deteriorating Relations with North Korea from 1965 to 1969".
  • Wolpert, V. "Turns in North Korea Trade." Far Eastern Economic Review. no.143(February 13, 1964).
  • Thomas An. "New Winds in Pyongyang?" Problems of Communism. 15-4(July-August 1966).
  • Stephen Walt. The Origins of Alliances. Ichaca and London: Cornnel University Press, 1987.
  • Record of Conversation between Soviet Deputy Foreign Minister Vasily Kuznestov and the North Korea Ambassador to the Soviet Union Kim Pyeongchaek, 21 May 1965. AVPRF, Fond 0102, Opis 21, Papka 105, Delo 32. List 21.
  • Obtained and translated for NKIDP by Bernd Shaefer Reception of the Deputy Chairman of the Cabinet of Ministers of the DPRK Choe Yong-gon, 28 February 1956 at 17:00, AVPRF, Fond 6, Opis 15a, Por. 142, Papka 30, List 1
  • Noland, Marcus. "Transition from the bottom-up: Institutional Change in the North Korea." Comparative Economic Studies. vol. 48, no.2(June 2006).
  • New York Times
  • Morrow D. James, "Alliance and Asymmetry: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gation Model of Alliance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5-4(November 1991).
  • Memorandum on Sino-Korean Relation in 1966 by A. Borunkov First Secretary of the Soviet Embassy to the DPRK 2 December 1966」, AVPRF, f, op.109, d. 22, pp.38-49. Obtained for NKIDP by Sergey Radchenko and translated for NKIDP by Gary Goldberg.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the Head of the Depart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under the Cabinet of Ministers, Li Pilgyu, 20 July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304-308.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Minister of Construction Kim Sung-hwa, 7 May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412, Listy 221.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Kim Il Sung, 1 September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410, Listy 319-321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DPRK Minister of Foreign Affairs Nam Il, 24 July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410, Listy 301-303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DPRK Ambassador to the USSR Li Sangjo, 16 June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410, Listy230-232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Choe Changik, 8 June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412, Listy 190-196.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Chinese Ambassador Qiao Xiaoguang,, 4 September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410, Listy 322-325.
  • Memorandum of a Conversation with Bak UiWan, 6 September 1956, RGANI, Fond 5, Opis 28, Delo 410, Listy 327-332
  • Memorandum of Conversation between Soviet Ambassador to North Korea Vasily Moskovsky and Kim Il Sung, 14 November 1962, AVPRF, Fond 0102. Opis 18. Papka 93. Listy 152-154
  • Memorandum of Conversation between Soviet Ambassador to North Korea Vasily Moskovsky and Kim Il Sung, 1 November 1962, AVPRF, Fond 0102. Opis 18. Papka 93, Delo 5. Listy 135-138
  • L. 루이링거 著, 최평 김용권 譯. 『중국을 보는 제3의 눈』
    서울: 소나무 [1995]
  • James F Person, "The 1967 Purge of the Gapsan Faction and Establishment of the Monolithic Ideoloical System," NKIDP e-Dossier no.15(2013)
  • James D. Morrow "Alliance and Asymmetry: An Alternative to the Capability Aggregation Mode l of Alliances" America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Vol. 35, No. 4(November 1991)
  • Hungarian Foreign Ministry. Memorandum. November 1962. KTS, 5. dobez, 5/bc.0085/RT/1964
  • Grzybowski, Kazimierz. The Socialist Commonwealth of Nations. New Havern: Yale University Press, 1964.
  • Gatz L. Karen.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64-1968, Volume XXIX Part 1. Korea. Washington: United States Government Printing Office, 2000.
  • Far Eastern Economic Review
  • Embassy of the GDR in the DPRK. 12 September 1966. Memorandum on a Conversation with the Cuban Ambassador, Comrade Vigoa, on 10 September 1968. PolA AA, MfAA, G-A 316,Bernd Schafer,“orth Korean ‘dventurism’and China’ Long Shadow,1966-1972”
  • Edward P. Lazer. "Economic Reform: Appropriate Steps and Actual Policies", in Edward P. Lazer(ed.), Economic Transition in Eastern Europe and Russia: Realities of Reform. Stanford: Hoover Institution Press, 1995.
  • Edward Crankshaw. TheNew Cold War: Moscow vs Peking. Harmondworth, Eng: Penguin Books,1963.
  • Dingli Shen. "Cooperative Denuclearization toward North Korea. "The Washington Quarterly, 32:4
  • David Von Hippel et al.. "Modernizing the US-DPRK Agreed Framework: The Energy Imperative." www.nautious.org.
  • Dallin, Alexander, et al., eds. Diversity in International Communism: A Docummentary Record, 1961-1963. New York: Columbia UniversityPress, 1963.
  • Conversation between Soviet Ambassador to North Korea Vasily Moskovsky and North Korea Foreign Minister Pak Seongcheol, 24 August 1962, AVPRF, Fond 0102. Opis 18. Papka 93, Delo 5. Listy 22-23
  • Charles D. Brockett. "The Structure of Political Opportunities and Pesant Mobilization in Central America." Comparative Politics vol. 23. no. 3(April 1991).
  • CPSU CC Presidium Protocol "On the Situation in the KWP," 6 September 1956, RGANI Fond 3, Opis 14, Delo 410, List 3, published in AA
  • Alexander Eckstein. Communist China's Economic Growth and Trade. New York: Mcgraw-Hill, 1966.
  • Ahn Elliott, Kimberly et al., Economic Leverage and NorthKorea nulea rCrisis. 『InternationaEconomicsPolicyBriefs』.Number PB03-3(2003).
  • A. Doak Barnett. China and the Major Powers in the East Asia. Washington D.C.: the Brookings Institution, 1977.
  • 12. 26 ,駐朝使館發《金首相與李副總理談話情況》,中國外交部檔案館,106-01477-04, 第 21-25頁.
  • 12. 17 外交部, 公安部, 中僑委 《關于 中國東北地區朝鮮族居民非法越境去朝問題的處 理意見》, 中國外交部檔案館, 118-01026-01, 第 1-4頁.
  • 12. 10 外交部發 《關于組織中國籍朝鮮族人民和動員朝鮮僑民去朝參加建設工作的綜合 報告》, 中國外交部檔案館, 118-00777-01, 第43-48頁.
  • 12. 08 郝德靑發《朴金哲和郝大使所談問題》, 中國外交部檔案館, 106-00645-04, 第 118-119 頁.
  • 11. 20 關于 朝鮮 論述 13-14世紀 高麗和蒙古 關係的 資料. 中國 外交部 檔案館, 106-00773-01, 第52-54頁.
  • 10. 21 駐朝使館《對我政府經濟友好訪問團談話記錄》, 106-00767-01, 第 1-13 頁.
  • 09. 30「金日成首相慶祝中華人民共和國成立20周年致周恩來總理的賀電」
  • 09. 30「金日成首相慶祝中華人民共和國成立19周年致周恩來總理的賀電」
  • 09. 30「金日成首相慶祝中華人民共和國成立18周年致周恩來總理的賀電」
  • 09. 30「朝黨政領道人慶祝中華人民共和國成立21周年致中黨政領道人的賀電」
  • 09. 30「朝黨政領道人慶祝中華人民共和國成立17周年致中黨政領道人的賀電」
  • 09. 09「周恩來總理慶祝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成立19周年致金日成首相的賀電」
  • 09. 08「我黨政領道人慶祝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成立22周年致朝黨政領道人的賀電」
  • 09. 08「我黨政領道人慶祝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成立18周年致朝黨政領道人的賀電」
  • 09. 08「周恩來總理慶祝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成立21周年致金日成首相的賀電」
  • 09. 08「周恩來總理慶祝朝鮮民主主義人民共和國成立20周年致金日成首相的賀電」
  • 09. 05 《金日成接見我國政府經濟友好訪問團談話記錄》,106-00767-01, 第52-54頁.
  • 07. 15 中国 驻朝鲜使馆 1953年 交际工作情况报告, 中国外交部档案馆,117-00259-0 6,第1-4 页
  • 07. 11 周恩來總理回訪金日成首相談話記錄, 204-01454-01, 1-12.
  • 06. 28 周恩來 總理 接見 朝鮮最高人民會議 代表團 談話 記錄, 中國 外交部 檔案館, 109-03158-01, 第 41-50頁.
  • 05. 24 關于朝鮮族居民越境去朝問題的保辜, 中國外交部檔案館,118-01026-03,第131頁
  • 01. 17 金一接见叶季壮的谈话记录,中国外交部档案馆,106-01381-04,第32-35 頁
  • 01. 08 《周恩來接見蘇聯尤金大使談話記錄》, 中國外交部檔案館.203-0003-01,第1-3頁
  • 01 中国 驻朝鲜使馆 1954年 交际工作情况总结,中国外交部档案馆,117-00372-01,第 3-5 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