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지역 기후특성을 고려한 패시브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ssive Design Strategies Reflect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limate

김민지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지역 기후특성을 고려한 패시브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ssive Design Strategies Reflect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limate'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기후특성
  • 열섬취약지역
  • 인공지반녹화
  • 지역유형화
  • 패시브디자인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47 0

0.0%

' 지역 기후특성을 고려한 패시브디자인 전략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assive Design Strategies Reflecting Up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al Climate' 의 참고문헌

  • 한국패시브협회
    http://www.phiko.kr/ [2014]
  • 한국패시브건축협회
    “THE PASSIVE HOUSE”, p. 18
  • 한국토지주택공사 주택연구소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주요계획요소의 계획지침 작성 및 적용방안 연구”를 참고하여 정리 [2001]
  • 학교건물에서의 외피녹화에 따른 에너지성능 평가에 관한 연구
    석호태 태양에너지학회논문집 제28권 제6호, p. 40-47 [2008]
  • 패시브 디자인 개념해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친환경 평가방법 연구
    김 별 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p. 46-48 [2013]
  •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외, , “건축물 패시브디자인 가이드라인 ”
    국가건축정책위원회, p. 53 [2012]
  • 친환경건축 구현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요소기술의 통합설계에 관한 연구
    이봉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 39-45 [2009]
  • 박사
  • 지역유형구분을 위한 요인점수의 군집분석
    이종상 을 참고하여정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제37권 4호 [2002]
  • 주 오이시디 대한민국 대표부
    http://oecd.mofa.go.kr/ [2014]
  • 제로에미션 단지계획에 관한 연구
    최한나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p. 1 [2014]
  • 요인분석을 활용한 종합점수화기법Ⅱ
    김태일 을 참고하여정리,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9권 제2호 [1999]
  •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
    http://www.gir.go.kr/home/main.do [2015]
  • 에너지관리공단, http://racer.kemco.or.kr/index.jsp, [51] http://www.kihoo.co.kr/zone/index, (2015.01.07.)[52] 이봉. (2009), “친환경건축 구현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요소기술의 통합설계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양대학교, p. 69 [2015]
  • 성동구의회
    “해외선진도시 비교시찰 결과보고서”, p. 10 [2012]
  • 사회과학과 마케팅을 위한 다변량행동조사
    여운승 민영사,p. 627 [2000]
  • 도쿄도 환경국. , “열섬대책가이드라인”
    도쿄도 환경국 환경정책과,p. 1-19 [2005]
  •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AMOS 통계분석 방법
    송지준 21세기사,p. 250 [2013]
  • 네이버 지식백과
    www.terms.naver.com [2015]
  • 국토환경정보센터
    http://www.neins.go.kr/ [2014]
  • 국토해양부
    “저탄소 녹색도시계획 표준모델(안)”, p. 107-109 [2010]
  • 국립환경과학원
    환경부 “지자체 기후변화 적응 세부시행계획수립 지원을 위한 기후변화 부문별 취약성 지도”, p. 6 [2012]
  • “후카자와 환경공생주택단지-환경친화경 주거단지”
    김동근 를 참고하여정리, 한국주택토지공사
  •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14-기후변화 과학적 근거_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서”
    기상청 p. 5 [2014]
  • “패시브하우스의 적용방안”을 참고하여 정리, 건축환경설비 vol. 4 No. 4[46] 도후조 외. (2007), “도시 지표면 온도분포 특성 및 열섬완화방안”
    박진철 을 참고하여 정리, 한국환경과학학회지 제16권 제5호 [2010]
  • “패시브디자인에 기법의 적용성에 관한 연구”
    Ka Heun 이정수 이정원 를 참고 하여 정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8권 제1호 [2012]
  • “패시브디자인 기법에 의한 친환경 건축의 형태특성에관한 연구”, 한국공간디자인학회, p. 3[54] 토문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외, (2012), “건축물 패시브디자인 가이드라인 ”
    김준형 국가건축정책위원회, p. 49 [2010]
  • “패시브디자인 개념을 이용한 건축계획을 관한 연구”
    이일재 를 참고하여 정리, 대한건축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 21 n. 1 [2001]
  • “패시브 건축의 기법 분석을 위한 평가 모델 연구”
    고귀한 를참고하여 정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2015]
  • “탄소저감 도시계획을 위한 도시별 특성 분석과 도시 유형화 연구”
    김세용(Kim, Sei-Yong) 임한국 를 참고하여 정리,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 33 n. 1 [2013]
  • “친환경적 도시 주거 단지 개발을 위한 연구”
    박전자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3권 5호, p. 13-23 [1997]
  • “친환경건축물인증제도 세부시행지침”
    환경부 을 참고하여 정리
  • “친환경 건축을 위한 패시브디자인 요소 분석에 대한 연구”
    김주수 석사학위논문, 세명대학교. p. 11 [2011]
  • “지역특화분석을 통한 지역경쟁력 강화 방안에 관한연구”
    이의용 를 참고하여 정리, 박사학위 논문, 안양대학교 [2013]
  • “주성분 분석 및 군집분석을 이용한 지역정보 유형화 프레임워크의 설계와 구현”을 참고하여 정리
    서교 한국농공학회 논문집 Vol. 53,No. 1 [2012]
  • “제로에너지 하우스의 개념 및 국내 시사점”
    손은경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 KB daily 비타민 2013-19호, p. 1-5 [2013]
  • “옥상녹화 조성에 따른 열환경 변화분석”
    박지영 을 참고하여정리, 한국주거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
  • “에너지 소비특성에 따른 도시유형별 정책방향 연구”를 참고하여 정리
    남궁 근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국토계획(논문집) v. 45 n. 1 [2010]
  • 박사
  • “생태주거단지 계획요소의 적용에 관한 연구”
    한정현 석사학위논문, 서울과학기술대학교, p. 61-63 [2009]
  • “북한의 지역별 기상학적 가뭄의 평가와 유형분류”를참고하여 정리, 한국농공학회논문집 제50권 제4호[30] 송민경 외. (2010), “군집분석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에 관한연구”
    유승환 를 참고하여 정리,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제 18권 제1호 [2008]
  • “도시기후 형성 요소를 고려한 공간유형 분류”
    송봉근 를 참고하여 정리, 환경영향평가 제20권 제3호 [2011]
  • “대구?경북지역의 유형화와 지역정책적 함의”
    李盛根 새마을지역개발연구 제13집, p. 120 [1992]
  • “노인복지를 위한 농촌지역 유형화에 대한 연구”
    강주희 윤순덕 를참고하여 정리,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2007]
  • “냉방과 난방 부하 감소를 위한 지하피트의 이용 가능성”
    조성우 을 참고하여 정리, 설비공학논문집 제18권 제2호 [2006]
  • “그린홈의 경제성 평가에 관한 연구”
    김혜수 를 참고하여 정리,박사학위논문, 강남대학교 [2012]
  • “군집분석을 이용한 온실가스 배출특성에 따른 도시유형화”를 참고하여 정리
    정지형 한국지역개발학회 [2010]
  • 박사
  • “공동주택의 패시브요소 적용에 따는 에너지 성능평가에관한 연구”
    이가영 를 참고하여 정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2011]
  • “고려대학교 통계연구소 통계분석강의총서 9, SAS 군집분석”
    김기영 을 참고하여 정리, 자유아카데미 [1990]
  • www.ajunews.com, (2015.01.05.).
  • http://www.zedfactory.com/zed/?q=node/102. [71] 정경철 외, (2012) “건축물 패시브디자인 가이드라인 및 평가체계 개발 연구”
    국가건축정책위원회, p. 37 [2015]
  • http://www.osakagas.co.jp/company/efforts/next21/, (2015.08.06.)
  • http://www.naver.com/. [85] 정성원 외. (2000), “윈도우용 SPSS 통계조사분석Ⅰ”
    고려정보산업,p. 173 [2015]
  • http://www.naver.com/, (2015.01.08.).
  • http://www.idomin.com/?mod=blog&act=articleView&idxno=78316. (2015.08.01.)
  • http://www.bioregional.com/bedzed/. [73] http://news.donga.com/3/all/20090211/8694696/1, (2015.01.12.)[74] 양재혁. (2012), “지속가능한 주거지의 모범”
    한국주거학회지, v.3 n.2,p. 53-57 [2015]
  • http://www.afewthoughts.co.uk/flexiblehousing/house.php?house=93&number=3&total=5&action=country&data=Japan&order=title&dir=ASC&message=projects%20in%20Japan&messagead=alphabetically%20ordered%20by%20name. (2015.08.06.)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11835&cid=40942&categoryId=3,(2015.11.11.)[60] http://blog.naver.com/gm9515/80036012513, (2015.01.12.)[61] http://blog.daum.net/nater/6107839, (2015.01.14.)[62] 김 별. (2013), “패시브디자인 개념해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친환경 평가 방법 연구”, 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p. 28-30 [2149]
  •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cid=40942&categoryId=32411,(2015.01.19.)[64] 김별. (2013), “패시브디자인 개념해석을 통한 공동주택의 친환경 평가 방법 연구”, 박사학위 논문
    건국대학교, p. 31 [1900]
  • http://phys.org/, [57] 이영균. (2009), “건축 계획적 조건에 따른 아트리움 냉?난방 부하의 특성변화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 논문
    한양대학교, p. 5 [2015]
  • http://ccomjang5.blog.me/30161064327, [68] 한국패시브건축협회
    “THE PASSIVE HOUSE”, p. 19 [2015]
  • http://blog.naver.com/arumjigi09/2, (2015.01.12.)[76] 김민지 외. (2015), “패시브 기법을 적용한 국내 외 공동주택 계획 특성에관한 연구”
    한국과학예술포럼 vol.19, p. 92-93 [2018]
  • Terry, M. and L, Tom. (2005), “Update on portland's integrated costanalysis for widespread green implementation”, executive summary,Greening Rooftops for Sustainable Communities.
  • Stavins, R. and K. Richards. (2005), “The Cost of U.S Forest-BasedSequestration”, Pew center on Global Climate Change.
  • Sailor, D.J. (2008), “A green roof model for building energy simulationprograms”, Energy Buildings, p. 1466-1478.
  • Rose, L.S, H. Akbari, and H. TaHa. (2003), “Characterzing the Fabric ofthe Urban Envoronment : A Case Study of Greater Houston, Texas”.
  • Perini, K., M. Ottle., A.L.A. Fraaij., E.M. Haas, and R. Raiteri. (2011),“Vertical greening systems and the effect on air flow and temperature onthe building envelope”, Building Environ, p. 2287-2294.
  • Onmura, S., M. Matsumoto, and S. Hokoi. (2001), “Study on evaporativecooling effect of roof lawn garden”, Energy Buildings, p. 653-666.
  • Meier A.K. (1991), “Strategic landscaping and air conditioning saving; Aliterature review”, Energy and Building, p. 479-486.
  • Martin Evans. (1980), “Housing, Climate, and Comfort”, Halsted Press /John Tillman Lyle. (1999), “Design for Human Ecosystems - Landscape,Land use, and Natural Resources”, Island Press.
  • Koreantranslation. , “WORLD ENERGY OUTLOOK”을 참고하여정리
    IEA. p. 2 [2013]
  • Kohler, M. (2008), “Green facades-a view back and some visions”,Urban Ecosystems, p. 423-436.
  • IPCC
    “IPCC 제5차 평가보고서 제1실무그룹의 정책결정자를 위한요약보고서”, p. 51-57 [2013]
  • IPCC
    “IPCC 제5차 기후변화 2014 종합보고서”, p. 40-54 [2014]
  • Eumorfopoulou E. D. (1998), “Aravations, the contribution of planted roofto the thermal protection of building in Greece”, Energy and Building,p. 29-36.
  • EPA, “Urban Heat Island Pilot ProjectCity Profile:Chicago”, p. 3-4.
  • Di, H.F and D.N. Wang. (1999), “Cooling effect of ivy on a wall”,Experimental Heat Transfer, p. 235-245.
  • D.H.Meadows, D.L.Meadows, J.Rander and W.H.Behrens Ⅲ, (1972), “TheLimits to Growth”, A Report for the Club of Rome Project on thePredicament of Mankind, Universe Books, N.Y.
  • Chen, Q., B. Li, and X. Liu. (2013), “An experimental evaluation of theliving wall system in hot and humid climate”, Energy Buildings p. 298-307.
  • Alexandri, E and P. Jones. (2008), Temperature decreases in an urban canyon dueto green walls and green roofs in diverse climates. Building Environ, p. 480-493.
  • Akbari, H and S. Konopacki. (2005). “Calculating energy-saving potentialsof heatisland reduction strategies”, Energy Policy, p. 721-756.
  • AHP–군집분석을 이용한 주요어종의 자원감소 원인 비교분석에 관한 연구
    박철형 수산경영론집, 제 40권 제3호, p. 134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