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정치인의 방송뉴스 노출과 온라인 홍보활동이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제18대 국회의원 보도를 중심으로-

박선규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정치인의 방송뉴스 노출과 온라인 홍보활동이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제18대 국회의원 보도를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뉴스
  • 선거
  • 정치
  • 홍보활동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16 0

0.0%

' 정치인의 방송뉴스 노출과 온라인 홍보활동이 선거 결과에 미치는 영향 -제18대 국회의원 보도를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후보자 이미지 형성에 관한 미디어의 차별적 효과와 미디어 이용, 대인커뮤니케이션, 투표참여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김진영 『한국언론정보학보』, 32호, 113~146 [2006]
  • 후보이미지의 정치적 영향력에 대한 사회 인지론적 설명: 15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이준웅 『한국언론학보』, 43권 2호, 243~284 [1998]
  • 후보 결정에 대한 TV 토론의 영향력에 있어서정치 환경의 역할 : 17대 국회의원 선거 캠페인
    권혁남 김춘식 양승찬 이강형 『한국방송학보』, 18권 3호, 51~90 [2003]
  • 한국정치에서의 선거, 『한국의 정치』
    신명순 서울 : 법문사 [1996]
  • 한국에서의 현직의원 지지에 관한 연구: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윤종빈 『한국정치학회보』, 40집 3호, 145~164 [2006]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4]
  •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언론수용자 의식조사』?
    서울: 한국언론진흥재단 [2012]
  • 한국 현직 국회의원의 재당선 요인 분석-제14대부터 제17대까지 국회의원 선거를 중심으로-
    한정택 『21세기정치학회보』, 17집 3호, 73~99 [2007]
  • 한국 방송의 선거보도 특성에 관한 연구 : 2007년 대통령 선거방송보도를 중심으로
    구교태 『언론과학연구』, 8권 1호, 5~38 [2008]
  • 한국 국회의원선거결과를 결정하는 주요요인, 『정당 선거 여론』
    이남영 서울 : 문원 [1996]
  • 풀뿌리 조직화와 2008 오바마 캠페인
    이소영 『미국학논집』, 43권 21호,117~145 [2011]
  • 트위터와 전자민주주의: 트위터의 국내외 정치적 활용사례와 규제를 중심으로
    조희정 <한국지역정보화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139~158 [2010]
  • 텔레비전의 15대, 16대 대통령선거 보도 비교 분석
    권혁남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12호, 45~91 [2009]
  • 텔레비전의 15대 대통령선거보도 분석
    권혁남 『한국언론학보』, 43권 5호,5~44 [1999]
  • 텔레비전 뉴스의 대통령 후보 경선 보도 내용분석 : 박근혜?이명박 한나라당 후보를 중심으로
    김경희 윤영민 『한국방송학보』, 22권 4호, 201~204 [2008]
  • 지지율 조사 보도에 따른 유력 대선 후보별 뉴스 보도의 분석 : 후보 인용(sound-bite)과 보도사진을 중심으로
    하승태 『한국언론학보』, 52권 5호,346~366 [2008]
  • 지역선거의 젊은 유권자 참여확대에 꽌한 연구 : SNS 활용을 중심으로
    탁진영 『사회과학논총』, 30권 1호, 313~342 [2011]
  • 지상파3사의 미디어 신뢰도와 TV뉴스 이용에 관한 연구 :대학생들의 선호집단별 미디어 신뢰도 평가를 중심으로. 『방송연구』
    박상호 성동규 여름호, 213~242 [2005]
  • 제14대 국회의원 선거결과에 대한 집합자료 분석
    박찬욱 『한국과 국제정치』, 9권 2호, 1~31 [1993]
  • 정치적 이슈에 대한 신문의 보도량과 정당지지도에 관한 연구: 17대 총선을 중심으로
    박기묵 『한국행정학보』, 39권 1호, 309~327 [2005]
  • 정치인의 미디어 노출 결정 변인에 관한 연구
    김성태 김지윤 『한국언론학보』, 50권 3호, 151~174 [2006]
  • 정치인의 SNS 활용: 정치적 소통 도구로서의 트위터
    금혜성 『한국정당학회보』, 10권 2호, 189~220 [2011]
  • 정치외 미디어의 권력 관계에 관한 이론적 연구
    최용주 『한국언론학보』,42권 3호, 209~239 [1998]
  • 정권교체 시기의 현직 대통령과 대통령 당선자의 TV 뉴스 분석
    설진아 『방송문화연구』, 16권 1호, 177~203 [2009]
  • 전통미디어와 대화를 통한 정치정보 습득이 정치 신뢰와 미디어 신뢰에 미치는 영향: 유권자의 인터넷 이용 동기와 인터넷 정치정보노출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김춘식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389~413 [2012]
  • 유권자의 제3자 효과 지각 연구
    김활빈 설진아 『한국언론정보학보』,79~106 [2008]
  • 유권자의 SNS 캠페인의 가능성, 문제점 및 규제에 대한 인식
    탁진영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5권, 171~210 [2012]
  • 영상보도의 기계적 공정성 : 18대 대선후보 보도에 나타난‘전략적 의례’ 탐색
    배재영 이완수 『커뮤니케이션 이론』, 10권 4호, 365~403 [2014]
  • 소셜미디어 유력자의 네트워크 특성 : 한국의 트위터공동체를 중심으로
    양해륜 이원태 차미영 『언론정보연구』, 48권 1호, 29~58 [2012]
  •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이용이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2011년 10 26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사례
    김위근 이홍천 최민재 『언론과학연구』,12권 2호, 502~533 [2012]
  • 선거이슈와 이슈보도 - 시민저널리즘과 관련하여. 『관훈저널』
    이종수 가을호, 20~29 [2002]
  • 선거보도의 패러다임 전환. 『관훈저널』
    김무곤 가을호, 30~38 [2002]
  • 선거 매체 유형과 투표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6.2 지방선거, 4.11총선, 12.19 대통령 선거 비교
    정인태 『언론과학연구』, 13권 4호, 549~589 [2013]
  • 선거 뉴스와 미디어선거캠페인 노출이 정치 지식과 정치 참여에 미치는 영향 : 오프라인·온라인 시민 정치커뮤니케이션의 매개 역할 검증
    김춘식 『언론과학연구』, 13권 3호, 215~250 [2013]
  • 사회적 판단 이론과 미디어 신뢰성
    류춘렬 한국 언론 학회 98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자료집, 97-108 [1998]
  • 방송사 유형별 선거방송보도의 특성과 지역주의 보도 경향에 대한연구 : ‘07년 대통령 선거방송보도를 중심으로
    구교태 『언론과학연구』, 8권 4호, 159~186 [2008]
  • 민 영 “뉴스미디어, 캠페인 미디어, 그리고 정치 대화가 후보자 이미지와 정치적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 제17대 대통령 선거를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 108~143 [2008]
  • 미디어와 여론, 『현대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손영준 서울 : 나남 [2006]
  • 미디어 이용이 정당 지지에 미치는 효과 : 미디어 이용의 역동성 모델과 점화효과 이론을 중심으로
    이효성 『한국언론학보』, 50권 1호, 285~307 [2006]
  • 미디어 이용과 환경 이슈에 관한 시민 참여: 인지적, 정서적 변인들의 매개과정을 중심으로
    금희조 『한국언론학보』, 56권 4호, 5~28 [2012]
  • 디지털 시대 의제 설정 효과로서의 점화 이론 : 인터넷 매체가 수용자의 인식과 가치 판단 설정에 미치는 영향 연구
    이건호 『한국언론학보』, 50권3호, 376~352 [2006]
  • 대학생 유권자집단의 미디어 이용과 평가
    김관규 김무곤 『한국방송학보』, 18권 3호, 134~174 [2004]
  • 대통령 후보의 텔레비전 토론이 후보 이미지 변화에 미치는 효과: 제16대 대통령선거 후보토론회 패널 조사 연구
    이강형 『한국언론학보』, 48권 2호, 346~372 [2004]
  • 대통령 선거와 2007 네거티브 캠페인의 효과
    강원택 『한국정치학회보』, 43권 2호, 131~146 [2008]
  • 대중 매체 이용이 사회자본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분석: 대인간 커뮤니케이션 매개 모델 검증
    최윤정 『한국언론학보』?, 52권 3호, 374~395 [2008]
  • 대 대선기간동안의 스캔들 17 BBK 보도가 후보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미디어 점화효과의 검증을 중심으로
    신인영 『언론과학연구』, 8권 2호, 68~97 [2008]
  • 네거티브 선거 쟁점과 투표행위 관계 연구 : 18대 대통령 선거사례를 중심으로
    김군주 최일도 황근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33권, 135~180 [2014]
  • 국회의원 선거에서 후보자 요인의 영향력 : 14~16대 총선을중심으로
    이갑윤 이현우 『한국정치학회보』, 34집 2호, 149~170 [2000]
  • 국회의원 선거 관련 여론조사 보도에 대한 미디어 효과연구 -제19대 총선에 대한 제3자 효과를 중심으로
    임양준 『정치커뮤니케이션연구』, 28권,183~219 [2013]
  • 『미디어와 유권자 : 미디어의 영향에 관한 이론적 접근』
    권혁남 김춘식 양승찬 이강형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 『국회의원의 언론매체 출현에 영향을 미치는 제변인에 관한 연구 :12대 125, 127, 128 국회회기를 중심으로』
    마동훈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석사학위 논문 [1987]
  • 「공직선거법」
    정인태 에 규정된 법정 홍보매체의 효과 및 선거 PR 캠페인전략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24호, 133~176 [2012]
  • Westley, B. H. & Severin, W. J. (1964). Some correlates of media credibility. Journalism Quarterly, 41, 325-335.
  • Weaver, D., & Wilhoit, C. (1980). News Media Coverage of U.S. Senators in FourCongresses, Journalism Monographs, 67, 1953~1974.
  • Weaver, D., & Wilhoit, C. (1974). News magazine visibility of Senators. Journalism&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51(1), 67~72.
  • Wattenberg, M. P. (1994). The Decline of American Political Parties, 1952-1992.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 Verba, S., Schlozman, K. L., & Brady, H. E. (1995). Voice and Equality : Civic inAmerican Politics. Cambiridge, MA : Harvard University Press.
  • Verba, S., Burns, N., & Schlozman, K. L. (1997). Knowing and caring aboutpolitics: Gender and political engagement. Journal of Politics, 59(4),1051~1072.
  • Turk, J. V. (1991). Public relations' influence on the news. Agenda setting :Reading on media, public opinion and policymaking. Hillsdale,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 Tuchman, G. (1981). The symbolic annihiation of women by the mass media. Themanufacture of news : Deviance, social problems and the mass media. Beverly Hills, CA: Sage.
  • Tuchman, G. (1978). Making News : A Study in the construction of reality. NY:Free Press.
  • TV토론에 나타난 의제가 수용자의 의제에 미치는 영향 연구 : 16대대통령선거 TV합동토론을 중심으로
    정성호 『홍보학 연구』, 7권 2호, 5~42 [2003]
  • TV초론의 후보자 설득 전략과 효과에 관한 연구 : 2011년18대 대통령선거 TV토론을 중심으로
    김관규 박연진 『언론과학연구』, 14권 4호, 77~105 [2014]
  • Sundar, S. S., Kalyanaraman, S., & Brown, J. (2003). Explicating Web SiteInteractivity Impression Formation Effects in Political Campaign Sites. Communication Research February, 30(1), 30~59.
  • Sotirovic, M., & McLeod, J. M. (2001). Values, communication behavior, andpolitical participation. Political Communication, 18, 273~300.
  • Shen, F. G. & Wu, H.D. (2002). Effects of soft-money issue advertisements oncandidate evaluations and voting preference: An exploration. MassCommunication & Society, 5(4), 295~410.
  • Severin, W. J., & Tankard, J. W. (2001). Communication Theories : Origins,Methods and Uses in Mass Communication(5th ed). New York :Addison-Wesley Publishing.
  • Scheufele, D. A., & Nisbet, M. C. (2002). Being a citizen : New opportunities anddead ends. Press/Pditics, 7(3), 55~75.
  • Scheufele, D. A. (2000). Agenda-Setting, Priming, and Framing Revisited : AnotherLook at Cognitive Effects of Political Communication, MassCommunication and Society, 3(2), 297~316.
  • Rahn, W. M., Aldrich, J. H., Borgida, E., & Sullivan, J. L. (1990). Asocial-cognitive model of candidate appraisal. In J. A. Ferejohn & J. H. Kuklinski (Eds.), Information and democratic processes (pp. 187-206).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 Pinkleton, B. E., & Austin, E. W. (2002). Exploring relationships among media usefrequency,perceived media importance, and media satisfaction inpolitical disaffection and efficacy. Mass Communication & Society, 5(2),141~163.
  • Olivola, C. Y., & Todorov, A. (2010). Fooled by first impressions? Reexaminingthe diagnostic value of appearance-based inferences. Journal of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46, 315?324.
  • Norris, P. (2000). Television and Civic Malaise.’' In What's Troubling theTrilateral Democracies, eds. Susan J. Pharr and Robert D. Putnam. Princeton, NJ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Niemi, R. G. & Weisberg, H. F. (1993). What determines the vote?. Classics invoting behavior. Washington, DC: CQ Press.
  • Neuman, W. R. (1986). The paradox of mass politics: Knowledge and opinion inthe American electorate.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 Mendelsohn. M (1996). The media and interpersonal communications: The primingof issues, leaders, and party identification. The Journal of Politics, 58,112~125Middleberg, D. (2001). Winning PR in the wired world. NY: McGraw-Hill.
  • Media Tenor(2004). Kerry: media push without substance. Media Tenor. QuarterlyJournal, Q1, 10~11.
  • McCombs, M. E., & Shaw, D. L. (1972). The agenda-setting functionof the mass media. Public Opinion Quarterly, 36(2), 176∼187.
  • Mayhew, D. R. (1974). Congress : The Electoral Connection. New Haven : YaleUniversity Press.
  • Lee. Kaid. L., Fernandes, J., & Painter, D. (2011). Effects of Political Advertisingin the 2008 Presidential Campaign. American Behavioral Scientist 55(4),437-456Lipset, S., & Schneider, W. (1987). Confidence gap: Business, labor andgovernment in the public mind. Baltimore, MA: Johns Hopkins UniversityPress.
  • Lau, R. R. (1989). Construct accessibility and electoral choice. Political Behavior,11(1), 5~32.
  • Lang, A. (1991). Emotion, formal features, and memory for televised politicaladvertisements. Television and political advertising, NJ: Lawrence Erlbaum.
  • Krosnick, J. A., & Brannon, L. A. (1993). The impact of the Gulf War on theingredients of presidential evaluations: Multidimensional effects ofpolitical involvement.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87, 963~975.
  • Kahn, K. F., & Geer, J.G. (1994). Creating impression: An experimentalinvestigation of political advertising on television. Political Behavior, 16,93~116.
  • Journalism and Mass Communication Quaterly, 76(1), 99~123.
  • Johnson, T. J., Braima, A. M., & Sothirajah, J. (1999). Doing the traditional mediasidestep: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Internet and other nontraditionalmedia with traditional media in the 1996 presidential campaign.
  • Johnson, T. J., & Kaye, B. K. (2002). Webelievability: A path model examininghow convenience and reliance predict online credibility. Journalism &Mass Communication Quarterly, 79(3), 619~642.
  • Johnson, T. J., & Kaye, B. K. (2000). Using is believing: The influence of relianceon the credibility of online political information among politicallyinterested Internet users. Journalism & Mass Communication Quarterly,77(4), 865~879.
  • Johnson, T. & Kaye, B. (1998). Crusing is believing?: Comparing internet andtraditional sources on media credibility measures. Journalism and MassCommunication Quarterly, 75(3), 325-340.
  • Jennings, M. K. (1996). Political knowledge over time and across generations. Public Opinion Quarterly, 60(2), 228~252.
  • Jamieson, K. H., & Campbell, K. K. (1997). The interplay of influence : News,Advertising, Politics, and the Mass Media. Belmont, CA: WadsworthPublishing Company.
  • Iyengar, S., Peters, M. D., & Kinder, D. (1982). Experimental Demonstration ofthe ‘'Not-So-Minimal’' Consequences of Television News Program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76, 848~858.
  • Iyengar, S. (2011). Media politics : A citizen's guide. NY: W. W. Norton &Company.
  • Iyengar, S. & McGrady, J. A. (2007). Media politics: A citisen’s guide. NY : w. w. Norton & Company.
  • Iyengar, S. & Kinder, D. (1987). News that matter. Chicago: University of Cicagopress.
  • Hovland, C. I., & Weiss, W. (1951). The influence of source credibility o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Public Opinion Quarterly, 15, 635-650.
  • Hill, R. P. (1989). An exploration of voter responses to political advertisements. Journal of Advertising, 18, 14~22.
  • Gelman, A, & King. (1990). Estimating Incumbency Advantage without Bias.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34(4), 1142~1164.
  • Funk, C. L. (1999). Bringing the candidate into models of candidate evaluation. The Journal of Politics, 61(3), 700-720.
  • Fiorina, M. P. (1997). Professionalism, Realignment and Representation. AmericanPolitical Service Review, 91(1), 156~162.
  • Finkel, S. & John, G. (1998). A Spot check : Casting Doubt on the DemobilizingEffect Attack Advertising. American Journal of Political Science, 42(2),573~595.
  • Eveland, W. P., Jr., & Scheufele, D. A. (2000). Connecting news media use withgaps in knowledge and participation. Political Communication, 17,215~237.
  • Erikson, R. S. (1972). Malappointment, Gerrymandering, and Party Fortunes inCongressional Elections.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66(4),1234~1245.
  • Entman, R. M. (2006). The nature and source of news, The institutions ofAmerican democracy : NY : Oxford University Press.
  • Election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Delli Carpini, M. X. & Keeter, S. (1996). What Americans know about politics andwhy in matters New Haven. CT : Yale University Press.
  • Cohen, B. C. (1973). The public's impact on foreign policy. Boston : Little,Braown, & Co.
  • Cho, J. (2005). Media, Interpersonal Discussion and Electoral Choice,Communication research, 23(3), 295~322.
  • Cappella, J. N., & Jamieson, K. H. (1997). Spiral of cynicism: The press and thepublic goo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Basil, M., Schooler, C., & Reeves, B. (1991). Positive and negative politicaladvertising: effectiveness of ads and perceptions of candidates. Televisionand political advertising,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Bimber, B., & Davis, R. (2003). Campaigning Online: The Internet in U.S.
  • Atkin, C. & Heald, G. (1976). Effects of Political Advertising. Public OpinionQuarterly, 40(2), 216~228.
  • Althaus, S. L., Nardulli, P. F., & Shaw, D. R. (2002). Candidate Appearances inPresidential Elections, 1972~2000. Political Communication, 19, 49~72.
  • <정부와 언론>
    유재천 서울 : 나남 [1994]
  • 2006년 제4회 지방선거 선거방송 보도 분석
    구교태 탁진영 한국방송학회지방선거 방송 평가와 과제 세미나 자료집 [2006]
  • 18대 국회의원 선거를 통해 본투표율과 방송보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 17대 총선의 선거자금과 정치개혁 효과
    임성학 『한국정치학보』, 39집 2호, 195~215 [2005]
  • 17대 대통령선거 선거방송보도의 특성과 쟁점
    구교태 한국언론학회 심포지움 및 세미나 자료집, 5~34 [2007]
  • 17대 대선과 후보자 요인
    윤종빈 『현대정치연구』, 1권 1호, 59~83 [2008]
  • 17대 대선 후보자의 온라인 보도자료 특성과 언론의 선거보도에 대한 연구
    구교태 『정치커뮤니케이션』, 12호, 5~44 [2009]
  • 16대 총선에서 나타난 현직의원의 득표율 증감분석 : 지역구 활동효과를 중심으로
    윤종빈 『한국정치학회보』, 35집 4호, 129~146 [2001]
  • 16대 총선 이슈관리의 역동성 : 386세대의 도전경험
    정영국 한국정치학회16대 총선 평가 학술회의 <16대 총선과 한국 민주주의의 진로> 발표문 [2000]
  • 16대 국회의원 선거결과에 대한 집합자료 분석
    김도종 김형준 『한국정치학회보』, 34집 2호, 105~127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