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고석규의 공포와 죽음의 시학

정원숙 2016년
논문상세정보
' 고석규의 공포와 죽음의 시학'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공포
  • 부조리
  • 불안
  • 여백
  • 자기소외
  • 전쟁
  • 절망
  • 죄의식
  • 허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35 0

0.0%

' 고석규의 공포와 죽음의 시학' 의 참고문헌

  • 「신의 죽음과 허무주의 그리고 위버멘쉬」,『니체연구』제8집
    이서규 한국니체학회 [2005]
  • 박사
  • 홀, 황문수 역,『프로이트 심리학 입문』
    C. S 범우사 [1989]
  • 현대 한국소설사
    이재선 민음사 [1989]
  • 한국문학사
    조윤제 문학과지성사 [1998]
  • 프레이저, 김상일 역,『황금의 가지』
    J. C 을유문화사 [1975]
  • 클라우제비츠, 김홍철 역,『전쟁론』
    C. B 삼성출판사 [1992]
  • 철학사전
    임석진 중원문화 [2009]
  • 정지용 시의 분석적 연구
    김 훈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윌슨, 김정희․이장호 공역,『현대 심리 치료』
    G. T 중앙적성출판사 [2000]
  • 올리비에르 외,『문학의 상징, 주제 사전』
    아지자 청하 [1989]
  • 엮음,『라깡의 재탄생』
    김상환 홍준기 창작과비평사 [2002]
  • 야우스, 김경식 옮김,『미적 현대와 그 이후』
    H. R 문학동네 [1999]
  • 시와 과학
    박이문 일조각 [1975]
  • 사르트르, 방곤 역『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
    J. P 문예출판사 [1981]
  • 빅스비, 박희진 역,『다다와 초현실주의』
    C. W. E 서울대학교출판부 [1979]
  • 블로우, 최동희 옮김,『실존철학 입문』
    O. F 자작아카데미 [2000]
  • 브레트, 심명호 역,『공상과 상상력』
    R. L 서울대학교출판부 [1979]
  • 문학예술연구회 편, 『년대 문학연구』
    예하, 1991 [1950]
  • 무의식에로의 초대
    김 석 김영사 [2010]
  • 마음의 사회학
    김홍중 문학동네 [2009]
  • 릴케, 천광진 역,『로댕』
    R. M 여원교양신서 [1960]
  • 리처즈, 이국자 역,『시와 과학』
    I. A 이삭 [1983]
  • 라캉: 재현과 그 불만
    박찬부 문학과지성사 [2006]
  • 네마이어, 유범희 역,『정신 병리학의 기초』
    J. C 민음사 [1992]
  • 박사
  • 고석규 시의 고향상실의식 연구
    정원숙 『한국문예창작』33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5]
  • 고석규 문학전집 1-5
    고석규 남송우 마을 [2012]
  • 務台理作, 풀빛 편집부 역,『현대의 휴머니즘』
    풀빛 [1982]
  • 『현대한국문학사』
    정한숙 고려대학교출판부 [1982]
  • 『현대시의 정신과 감각』
    홍용희 천년의 시작 [2010]
  • 『현대문학사 1-2』
    권영민 민음사 [2002]
  • 『한국현대문학사』
    김윤식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초극』
    고석규 김재섭 삼협문화사 [1954]
  • 『죽음의 미학-라이너 마리아 릴케』
    이영일 전예원 [1988]
  • 『시어사전』
    김재홍 고려대학교출판부 [2001]
  • 『시론』
    김준오 삼지원 [1999]
  • 『반성과 성찰』
    박주택 하늘연못 [2004]
  • 『문학상징사적』
    이승훈 고려원 [1995]
  • 『멜랑콜리 미학』
    김동규 문학동네 [2010]
  • 『릴케의 두이노의 비가 연구』
    전광진 전예원 [1988]
  • 『라깡 정신분석과 문학평론』
    김종주 하나의학사 [2008]
  • 『눈의 역사 눈의 미학』
    임철규 한길사 [2004]
  • 『구조주의의 사유체계와 사상』
    김형효 인간사랑 [1990]
  • 『교육의 심리학적 기초』
    이성진 장상호 정원식 서울대학교출판부 [1981]
  • 『고석규 연구』
    박홍배 아성출판사 [1988]
  • 「향가의 개념과 한국시의 구조」
    임국현 『신라학 연구』제3집, 위덕대학교부설 신라학연구소 [1999]
  • 「한국전후소설의 그로테스크 연구-장용학, 손창섭, 최상규의 소설을 중심으로」
    강윤희 서강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1]
  • 「한국시의 기호학적 유형연구 : 易의 대상유형과 관련하여」
    정금철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8]
  • 「한국문학과 실존사상」
    구인환 조남현 최동호 『현대문학』 좌담 [1990]
  • 「한국근대시론의 ‘미적 근대성’ 연구: 년대 시론을 중심으로」
    이광호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9 [1930]
  • 「한국 현대시의 허무의식 연구―유치환, 박인환, 이형기, 강은교를 중심으로」
    이재훈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박사
  • 「한국 전후시의 죽음의식연구-김종삼․박인환․전봉건을 중심으로」
    박성현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박사
  • 박사
  • 박사
  • 「하이데거의 존재론에서 죽음의 의미와 교육적 함의」
    윤선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사
  • 「전후시에 있어서 모더니즘적 특성과 그 가능성」
    한계전 『시와 시학』, 봄-여름호 [1991]
  • 「전후문학과 고석규 비평의 의의」
    임영봉 『어문논집』제24집, 중앙어문학회 [1995]
  • 「전쟁 체험의 형상화와 유폐된 자아의 실존성」
    하상일 『고석규 문학전집 1』, 마을 [2012]
  • 「전쟁 속에 얼어붙은 꽃봉오리」
    박태일 『고석규 문학전집 1』, 마을 [2012]
  • 「자폐와 심연에서의 빛 찾기」
    김경복 『오늘의 문예비평』, 겨울호 [1993]
  • 「이분법적 사유구조와 영웅 지향성-고석규론」
    김동환 구인환 외,『한국전후문학연구』, 삼지원 [1995]
  • 「우울증과 자존감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우울증 치유 연구」
    이병주 총신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영화 체험의 지각적 직접성 연구-메를로-퐁티의 육체의 현상학을 중심으로」
    정윤정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역설을 주제로 한 고석규 비평 연구」
    문혜원 홍기종 외,『고석규의 면모』, 책 읽는 사람 [1993]
  • 「에코페미니즘」
    이귀우 『여성연구논총』제13호, 서울여자대학교 여성연구소 [2001]
  • 「실존주의의 교육철학에 관한 연구」
    한인숙 상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 「실존적 기획의 존재론적 지평과 에세이적 비평」
    강경화 『한국문학비평의 인식과 담론의 실현화 연구』, 태학사 [1999]
  • 박사
    「박인환 시 연구」
    윤향아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박사
  • 「무(無) 개념에 기반 한 고석규 비평의 변모 양상과 그 의미」
    박찬효 『한국문화연구』제112집, 한국문화연구회 [2006]
  • 「김수영 시 연구: 담론의 특성 연구」
    김혜순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박사
  • 「고석규, 혹은 역설의 비평가」
    구모룡 『현대시학』 [1991]
  • 「고석규, 그 역설의 진원지를 찾아서」
    남송우 『오늘의 문예비평』, 겨울호 [1993]
  • 「고석규 비평의 수사학적 연구」
    오형엽 『수사학』제16집, 한국수사학회 [2012]
  • 「고석규 비평의 ‘역설’에 대하여」
    이미순 『개신어문연구』제17집, 개신어문연구회 [2000]
  • 박사
    「고석규 문학 비평연구」
    임태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50년대 남한의 현실인식과 시적현상」
    이영섭 『년대 남북한 문학』, 평민사, 1991 [1950]
  • 「4월의 문학」
    이어령 『저항의 문학』, 기린원 [1986]
  • ▁▁▁외,『현대비평과 한국문학』
    국학자료원 [2014]
  • ▁▁▁▁▁▁▁, 박병덕 옮김,『죽음에 이르는 병』
    비전북 [2012]
  • ▁▁▁▁▁▁▁, 강성위 역,『불안의 개념/죽음에 이르는 병/유혹자의 일기』
    동서문화사 [2007]
  • ▁▁▁▁▁▁,이기상 역,『존재와 시간』
    시간과공간사 [1988]
  • ▁▁▁▁▁▁, 조영훈 역,『지식인을 위한 변명』
    한마당 [1979]
  • ▁▁▁▁▁▁, 정소성 옮김,『존재와 무』
    동서 문화사 [1994]
  • ▁▁▁▁▁▁, 정명환 역,『문학이란 무엇인가』
    민음사 [1998]
  • ▁▁▁▁▁▁ 외, 정동호․이인석․김광윤 편,『죽음의 철학』
    청람 [2004]
  • ▁▁▁▁▁, 윤희기․박찬부 옮김,『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 책들 [1997]
  • ▁▁▁▁, 김정현 역,『유고(1887년 가을∼1888년 3월)』
    책세상 [2003]
  • ▁▁▁▁, 김정한 역,『폭력의 세기』
    이후 [1999]
  • ▁▁▁,『한국문학주제론』
    서강대학교출판부 [1997]
  • ▁▁▁,「한국 전후문학과 실존주의」,『오늘의 문예비평』
    겨울호 [1993]
  • ▁▁▁,「짧은 삶과 미완의 시학」,『고석규 문학전집 1』
    마을 [2012]
  • ▁▁▁,「전후문학의 원점」
    『문학사상』 [1992]
  • ▁▁▁,「시적 주체의 소외와 불안의 증상」,『인문과학연구』31호
    강원대인문과학연구소 [2011]
  • ▁▁▁,「공포 체험의 시적 변용과 그로테스크의 시-고석규론」,『한국현대문학연구』3집
    한국현대문학연구회 [1994]
  • ▁▁▁,「고석규의 죽음의 세계와 여백의 사상」,『한국문학논총』제71집
    한국문학회 [2015]
  • ▁▁▁,「고석규의 정신적 소묘-50년대 비평 감수성의 기원」,『시와 시학』, -2. 겨울호
    봄호 [1991]
  • ▁▁▁,「고석규의 에세이적 글쓰기와 ‘바깥’의 사유」,『한국근대문학연구』제26집
    한국근대문학연구회 [2012]
  • ▁▁▁,「고석규의 비평 연구-수사학을 중심으로」,『어문연구』제33권 제4호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 ▁▁▁,「고석규와 더불어 범어사에 가다」,『고석규 문학전집 4』
    마을 [2012]
  • ▁▁▁,「고석규 그 미완의 비평적 행로」, 『현대시학』
    월호 [1991]
  • ▁▁▁,「「청동의 계절」에서 「청동의 관」까지」,『외국문학』
    가을호 [1992]
  • ▁▁▁, 오늘의 문예비평 동인 엮음,『청동일기』
    책 읽는 사람 [1993]
  • ▁▁▁, 오늘의 문예비평 동인 엮음,『청동의 관』
    책 읽는 사람 [1993]
  • ▁▁▁, 오늘의 문예비평 동인 엮음,『여백의 존재성』
    책 읽는 사람 [1993]
  • ▁▁▁, 오늘의 문예비평 동인 엮음,『실존주의』
    책 읽는 사람 [1993]
  • ▁▁▁, 오늘의 문예비평 동인 엮음,『고석규의 면모』
    책 읽는 사람 [1993]
  • W. 벤야민, 이태동 역,『문예비평과 이론』
    문예출판사 [1994]
  • V. 데콩브, 방성창 역,『동일자와 타자』
    인간사랑 [1990]
  • T. 토도로프, 곽광수 역,『구조시학』
    문학과지성사 [1996]
  • S. 프로이트, 김석희 옮김,『문명 속의 불만』
    열린책들 [2003]
  • S. 키에르케고르, 임규정 역,『불안의 개념』
    한길사 [1999]
  • S. 손택, 이재원 옮김,『은유로서의 질병』
    이후 [2002]
  • R. 웰렉․A. 워렌, 이경수 역,『문학의 이론』
    문예출판사 [1989]
  • R. 로티, 김동식․이유선 옮김,『우연성 아이러니 연대성』
    민음사 [1996]
  • P. 톰슨, 김영무 역,『그로테스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 P. 비트머, 홍준기․이승미 옮김,『욕망의 전복』
    한울 아카데미 [2009]
  • M. 하이데거, 소광희 역,『시와 철학』
    박영문고 [1975]
  • M. 엘리아데, 이동하 역,『聖과 俗』
    학민사 [1999]
  • M. 블랑쇼, 박혜영 옮김,『문학의 공간』
    책세상 [1990]
  • M. 버만, 윤호병․이만식 옮김,『현대성의 경험』
    현대미학사 [1994]
  • M. 바흐친, 이덕형․최건영 역,『프랑수아 라블레의 작품과 중세 및 르네상스의 민중문화』
    아카넷 [2001]
  • M. 메를로 퐁티, 류의근 옮김,『지각의 현상학』
    문학과 지성사 [2002]
  • K. Wolfgang, The Grotesque in Art and Literature, McGraw-Hill Book Company, 1966.
  • J. 칠더스․G 헨치 엮음, 황종연 옮김,『현대문학 문화비평 용어사전』
    문학동네 [1999]
  • J. 라캉, 권택영 엮음, 민승기․이미선․권택영 옮김,『욕망이론』
    문예출판사 [1994]
  • H. 아렌트, 이진우․박미애 옮김,『전체주의의 기원 2』
    한길사 [2006]
  • H. 베르그송, 정연복 역,『웃음』
    세계사 [1992]
  • G. 슈리, 장혜경 옮김,『피의 문화사』
    이마고 [2002]
  • G. 바하니안, 변선환․고진환 공역,『신의 죽음과 현대문학』
    현대사상사 [1984]
  • G. 바티모, 박상진 옮김,『근대성의 종말』
    경성대출판부 [2003]
  • G. 바슐라르, 김용권 옮김,『부정의 철학』
    인간사랑 [1991]
  • G. 레이코프․M. 터너, 이기우 역,『시와 인지』
    한국문화사 [1997]
  • G. 들뢰즈, Nietzshe and Philosophy
    The Athlone Press [1983]
  • G. 뒤랑, 진형준 역,『상징적 상상력』
    문학과 지성사 [1986]
  • F. 짐머만, 이기상 옮김,『실존철학』
    서광사 [1987]
  • F. 니체, 사순옥 옮김,『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홍신문화사 [1993]
  • E. 레비나스, 강영안 역,『시간과 타자』
    문예출판사 [1999]
  • D. La Capra, Writing History, Writing Trauma, The Johns Hopkins University Press, 2001.
  • A. 힌클리프, 황동규 역,『부조리문학』
    서울대학교출판부 [1978]
  • A. 투렌, 정수복․이기현 옮김,『현대성 비판』
    문예출판사 [1995]
  • A. 콩파뇽, 이재룡 옮김,『모더니티의 다섯 개 역설』
    현대문학 [2008]
  • A. 카뮈, 이정림 역,『시지프의 신화』
    범우사 [1995]
  • A. 주판치치, 이성민 옮김,『실재의 윤리』
    도서출판b [2004]
  • 50년대 전후 시의 내면의식 연구
    장재건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 1950년대 한국문예비평의 3가지 양상-고석규의 정신적 소묘
    김윤식 오늘의 문예비평 [1992]
  • 1950년대 한국 모더니즘 문학론 연구
    손자영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1950년대 전후 한국 현대시의 전개 양상
    최진송 동아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4]
  • 1950년대 시론에서 ‘서정’ 개념의 논의와 ‘새로운 서정’의 가능성-고석규의 부정성의 시학을 중심으로
    박슬기 『한국현대문학연구』제 28집, 한국현대문학연구회 [2009]
  • 1950년대 시론 형성과 그 전개
    『한국현대시론사』, 모음사 [1993]
  • 195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식 연구
    서동수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4]
  • 박사
    1950년대 비평 연구
    심동수 한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박사
  • 1950년대 고석규 시와 시론의 ‘근대성’ 연구
    『국어국문학』제33집, 국어국문학회 [1996]
  • 1950년대 고석규 시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제23집,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4]
  • 1950년대 고석규 비평의 해석학적 연구
    『고석규 문학전집 5』, 마을 [2012]
  • 1950년대 고석규 비평의 근대성 연구
    하상일 『국어국문학』제35집, 국어국문학회 [1998]
  • 1950년대 고석규 문학의 근대성 연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8]
  • 1950년대
    고 은 청하 [1989]
  • 1930년대 소설에 나타난 주인공의 의식 연구
    김용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박사
    1920-30년대 한국 프로 희곡 연구
    이대범 강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