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부산원도심 공간생산의 가능성 : 조절하는 공동체의 관점에서 = Forwards Spacial Production of Busan Inner City

이수진 2016년
논문상세정보
' 부산원도심 공간생산의 가능성 : 조절하는 공동체의 관점에서 = Forwards Spacial Production of Busan Inner City'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autogestion
  • 거주민
  • 공간 생산
  • 공간적 실천
  • 공간적 주체
  • 도시재생
  • 부산 원도심
  • 신자유주의
  • 조절의 공동체
  • 통제의 공동체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815 0

0.0%

' 부산원도심 공간생산의 가능성 : 조절하는 공동체의 관점에서 = Forwards Spacial Production of Busan Inner City' 의 참고문헌

  • 부산광역시 동구공고 제- 83호 참조 [2015]
  • 헬로 TV 부산 동영상 뉴스
    일자 [2013]
  • 프리드리히 엥겔스, 「주택문제에 대하여」, 『칼 맑스 프리드리히 엥겔스 저작선집 5』
    박종철 출판사 [1991]
  • 프레모, 『나우토피아』, 이민주 옮김
    이자벨 조던 아름다운 사람들 [2013]
  • 푸코, 『헤테로토피아』, 이상길 옮김
    미셸 문학과 지성사 [2014]
  • 팀 크레스웰, 『장소』, 심승희 옮김
    시그마프레스 [2012]
  • 콜린바커 외4명, 『혁명의 현실성』, 김용민 옮김
    책갈피 [2011]
  • 칼 마르크스와 프리드리히 엥겔스, 『독일이데올로기』, 옮긴이 박재희
    청년사 초판10쇄 [2001]
  • 초량이바구길 홈페이지
    부산 http://2bagu.co.kr/user/abt/intro.do
  • 지역재생사업에서의 지역사회교육 현상과 특성에 관한 연구:부산 산복도로 르네상스 사업을 중심으로
    방정은 동의대학교 일반대학원, 교육학 박사학위. [2013]
  • 좌담회: 이동성(mobility)과 로컬리티
    장세룡 『부산로컬리티 인문학』 6호 [2011]
  • 존 홀러웨이, 『권력으로 세상을 바꿀 수 있는가』, 조정환 옮김
    갈무리
  • 일 제 시 기 부 산 중 심 상 점 가 와 도 시 문 화
    전성현 『역 사 와 경 계 』, 제 9호 [2014]
  • 옮김
    이인우 하라 한국협동조합연구소
  • 엮음, 『부산시공간의 형성과 다층성』
    문재원 소명 [2013]
  • 에릭홉스 봄, 『세상을 어떻게 바꿀 것인가』, 이경일 옮김
    까치 [2001]
  • 앤디 메리필드, 『마주침의 정치』, 김병헌 옮김
    이후 [2015]
  • 앙리 르페브르, 『현대세계의 일상성』, 박정자 옮김
    기파랑 [2005]
  • 신개발주의와 젠트리피케이션.
    김수아(金秀娥) 『황해문화 특집-‘삶의 공간’ 도시:개발과 저항, 죽음과 재생의 드라마』. vol. 86 [2015]
  • 스탠딩, 『프리캐리아트』, 김태호 옮김
    가이 박종철 출판사 [2014]
  • 북항재개발 라운드테이블 백서 발간위원회 , 『북항백서』
    부산항만공사 [2014]
  • 부산문화재단, 또따 또가
    안내팜플릿 [2014]
  • 부산문화재단, <낯선 아침>
    창간호 [2013]
  • 부산광역시, 「똥강아지 복실이와 할아버지」. 『산복도로 이야기』
    부산광역시 동구공고 제2015- 83 호 [2012]
  •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엮음, 『부산근대지도 모음집』
    혼네 [2012]
  • 리오 페니치‧콜린 레이스 엮음, 『세계의 발화지점들-제국주의와 신자유주에 대한 반발』, 이고성 옮김
    필맥 [2008]
  • 로널드 프레이저, 『1968년의 목소리』. 안효상(2002) 옮김
    박종철 출판사 [2002]
  • 레세크 코와코프스키, 『마르크스주의의 주요흐름』, 변상출 옮김
    유로 [2007]
  • 동아일보, 년. 8월
    7일자 [1921]
  • 데이비드 하비, 『반 란 의 도시 』, 한 상 연 옮 김
    에 이도 스 [2014]
  • 댄 핸콕스 『스페인 마을 공동체 마리날레다 - 우리는 이상한 마을에 산다』,윤길순 옮김
    이마 [2014]
  • 늘 어 가 는 노 숙 인 : 가 혹 한 의 자 뺏 기 놀 이
    남기철 『월 간 복 지 동 향 』, 124호 [2009]
  • 년. 3월
    부산일보 7일자 [2015]
  • 년. 12월
    부산일보 5일자 [2004]
  • 년. 11월
    부산일보 9일자 [2004]
  • 기 드보르, 『스펙타클의 사회』, 유재홍 역
    울력 [2014]
  • 그레그 맥레오드
    『몬드라곤을 보는 또 다른 시각 – 협동조합으로 지역개발 [2012]
  • 그람시, 『그람시의 옥중수고1-정치편』 제3판, 이상훈 옮김
  • 국제신문, 년. 9월
    29일자 [2013]
  • 공간의 생산
    양영란 양연 란 옮 김 , 에 코 리브 로 [2011]
  • 경성대학교 문화발전연구소, 『마이너리티, 또 다른 부산의 힘』
    부산발전연구원 [2013]
  • 『희망의 공간-세계화, 신체, 유토피아』
    최병두‧이상율‧박규택‧이보영 옮김, 한울 [2001]
  • 『협동조합으로 지역을 개발하라-몬드라곤을 보는 또 다른 시각』
    한국협동조합연구소 [2012]
  • 『혁 명 론 』
    아렌트 한나 홍 원 표 옮 김 , 한 길 사 [2007]
  • 박사
    『한국전쟁기 임시수도 부산의 사회변화와 공간 재구성』
    김다혜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역사교육, 석사학위 [2015]
  • 『포 스 트 모 더니 티 의 조 건 』
    박 명회 ㆍ 구 동 회 옮김 , 한 울 [1989]
  • 『창작공간 지원 사업이 예술인의 지속적 입주 의사 및 지역 활성화에 대한 영향 분석: 부산 또따또가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손정민 한양대학교 대학원, 도시설계 조경학, 석사학위 [2015]
  • 『전체주의의 기원』
    이 진 우 ‧박 미 애, 한길 사 [2006]
  • 『자 본 이 라 는 수 수 께 끼 』
    이 강 국 옮 김 , 창 비 [2012]
  • 『일제하 조선에서의 도시 건설과 자본가 집단망』
    김경남 부산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 [2003]
  • 박사
  • 『인간의 조건』
    아렌트 한나 이진우, 한길사 [2002]
  • 『원도심의 문화적 재활에 관한 연구』
    이현미 성공회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학 석사학위 [2006]
  • 『원도심 부산중구 신 재생에너지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임주호 동아대학교, 동북가국제대학원, 석사학위 [2009]
  • 『원도심 내 공공사업에서의 지역정체성 구현방식에 관한 연구: 2000년대 이후 부산시 공공환경개선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이아름 서울대학교 건축학석사학위 [2013]
  • 『어 두 운 시 대의 사 람 들 』
    아렌트 한나 홍 원 표 옮 김 , 인 간 사 랑 [2010]
  • 『신자유주의적 도시화와 도시정책 – 자본의 도시』
    최병두 한울 [2012]
  • 『신 자유 주 의 세 계 화의 공 간 들 』
    임 동 근 옮 김 , 문 화 과 학 사 [2010]
  • 『부산항 문화창작학교-북항, 실타래를 풀다』
    부산창조재단 [2014]
  • 『부산의 터널과 다리』
    전국조 경성대학교, 대학원협동과정, 문화학 석사학위 [2014]
  • 『부산시사 3권』
    [1991]
  • 『부산시사 1권』
    부산직할시 사료편찬위원회 [1991]
  • 박사
    『부산광역시 원도심지역 결합개발제도 적용』
    형남진 부경대학교 대학원: 건설관리공학협동과정 석사학위 [2009]
  • 『부산광역시 산복도로 생활자료관(아카이브) 기계획』
    싸이트플래닝 건축사무소 [2012]
  • 『미국대도시의 죽음과 삶』
    제이콥스 제인 유강은 옮김, 그린비출판사 [2012]
  • 『문화정치 문화 전쟁-비판적 문화지리학』
    미첼 류제헌 진종형 정현주 김순배 옮김,살 림 [2011]
  • 『문화도시』
    유승호 일신사 [2008]
  • 『문화도시 부산의 개발방향과 특성에 관한 연구』
    정웅식 부산대학교, 부동산학, 석사학위 [2010]
  • 『매 혹 적 맑 스주 의 도 시 를 만나 다 』
    김 병 헌 옮 김, 이후 [2013]
  • 『맑스 ‘자본’강의』
    강신준 옮김, 창비 [2011]
  • 『마 술 적 마 크르 스 주 의 』
    김 채 원 옮 김 , 영 신 사 [2013]
  • 『리 듬 분 석 』
    정 기헌 옮 김 , 갈 무 리 [2013]
  • 『도시에 대한 권리 – 도시의 주인은 누구인가』
    강현수 책세상, 초판 2쇄 [2012]
  • 『도시 공간의 미로 속에서』
    최병두 한울 [2009]
  • 『꿈의 세계와 파국-대중 유토피아의 소멸』
    모스 수잔 윤일성 김주영옮김,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8]
  • 『그들이 말하지 않은 23가지』
    장하준 부 키 [2014]
  • 『그 람 시 의 옥중 수 고 2-철학 ㆍ 역 사 ㆍ 문화 편 』
    안토니오 제 3판 , 이 상 훈 옮 김 , 거 름
  • 『공 산 당 선 언』
    마르크스 강유 원 옮 김 , 이 론 과 실 천 [2004]
  • 『경향신문』
    년 11월 24일자 [1962]
  • 『경제학철학 초고』
    마르크스 최인호 옮김, 박종철 출판사 [1991]
  • 『1970년대 프랑스 사회당의 자주관리 노선에 대한 연구』
    오창룡 서울대학교 대학원, 정치석사학위 [2006]
  • 『1920년대 전반기 부산지역 민족해방 운동의 전개와 노동자 계급의 항쟁』
    이귀원 부산대학교 대학원, 사학과 석사학위 [1991]
  • 『'영화도시' 개념을 적용한 부산 중구의 창의적 재생』
    김대근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시공학, 석사학위 [2012]
  • 「혁명사상 전통 계승으로서의 1990년대 한국의 문화연구, Inheriting the Tradition of Revolutionary Thought: Korean Cultural Studies in the 1990s」
    강내희 『문화연구』, 제2-2호 [2013]
  • 「해방 직후 부산지역의 사회운동」
    박철규 『항도부산』, Vol.12 [1995]
  • 「주거권의 법리적 쟁점과 보장법제에 관한 연구」
    장은혜 『아주법학』. 아주법학연구소, 제8권 제1호 [2014]
  • 「앙리 르페브르의 ‘공간생산이론’에 대한 고찰」
    노대명 『공간과 사회』, 통권 제14호 [2000]
  • 「앙리 르페브르와 공간의 생산: 역사이론적 '전유'의 모색」
    장세룡 『역사와경계』, Vol.58 [2006]
  • 「신자유주의 도시화와 도시정책-데이비드 하비의 이론을 중심으로」
    최병두 『HK해항도시문화교섭학 콜로키움 발표문: 해항성과 도시이론』,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 [2010]
  • 「식민도시와 근대도시를 넘어서-부산연구의 문화론적 접근」
    구모룡 『인천학연구』 , 8호 [2008]
  • 「식민도시 부산의 주거공간 배치와 산동네의 시공간성」
    양흥숙 『부산시공간의 형성과 다층성』, 소명 [2013]
  • 「서독의 68운동과 문화혁명」
    조규희 『독일어문학』. 23권 0호 [2003]
  • 「산복도로(山腹道路)에 대한 동상이몽- 부산 산복도로 재현의 시선들에 대한 고찰」
    문재원 『담론201』, 17권 3호 [2014]
  • 「부산시 용도지구의 합리적 관리방안 연구」
    이동현 이상국 부산발전연구원 [2012]
  • 「부산발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비판적 고찰-산복도로 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안중현 『부산의 문화사업과 실천주체들』, 제9회 경성대학교 문화발전연구소 학술대회자료집 [2015]
  • 「부산/마산에서의 원도심재생 그리고 역사문화에 대한 시각」
    우신구 『한국건축역사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12년 3월 월례학술대회 [2012]
  • 「부산 산동네의 도시경관과 장소성에 관한 고찰」
    공윤경 『한국도시지리학회지』, 제13권, 2호 [2010]
  • 「문래창작촌 광주 대인예술시장 부산 또따또가의 창조네트워크 비교연구」
    김홍주 『서울도시연구』, 제14권, 제3호 [2013]
  • 「맑스의 비판개념과 경제철학」
    곽노완 『시대와 철학』, 제17권 3호 [2006]
  • 「르페브르의 변증법적 공간 이론과 공간정치―『공간의 생산』을 중심으로」
    신승원 『도시인문학연구』, 제6권, 1호 [2014]
  • 「르페브르, State, space, world」
    백일순 『공간과 사회』, Vol. 33 [2010]
  • 「도시권에서 도시공유권으로」
    곽노완 『마르크스주의연구』, 제8권, 3호 [2011]
  • 「다시 제기된 문제: 경제냐 문화냐?-신자유주의의 ‘문화적 식민화의 논리’와 그람시의 시민사회론의 실천적 함축」
    장은주 『시대와 철학』, vol.11 [2000]
  • 「그람시의 시민사회관에 관한 일 연구」
    허범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석사학위 [1992]
  • 「공공공간에 대한 소수자의 권리를 위한 시론-거리노숙인의 ‘도시에 대한 권리’를 중심으로」
    김준호 『공간과 사회』, 제21권 2호 [2011]
  • 「경 관」
    미첼 『현대 문 화 지 리 학』, 논형 [2011]
  • 「1970년대 주택의 성력과 개발의 유산」
    김아람 『역사문제연구』, 제29호 [2013]
  • 「1906년 ‘日韓商品博覽會'와 수입무역의 동향」
    차철욱 『지역과 역사』,Vol.21 [2007]
  • 박사
  • ———
    년 9월 21일자 [1962]
  • https://www.facebook.com/profile.php?id=100000934038408&fref=ts.
  • https://www.facebook.com/hashtag/만덕주민공동체?source=feed_text&story_id=1143161092392228&pnref=story.
  •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3/06/0200000000AKR2015030615230051.HTML?input=1179m.
  •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41017_0013236937&cID=10811&pID=10800.
  • http://www.asiatoday.co.kr/news/view.asp?seq=705396.
  •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50423000065.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4241943161&code=6.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503271801461&code=940100.
  • http://kookje.co.kr/news2011/asp/newsbody.asp?code=0200&key=20130930.22017185442.
  • http://cafe.daum.net/sanbockdoro/afTO/42.
  • http://cafe.daum.net/sanbockdoro.
  • http://cafe.daum.net/MDR119
    만 덕 자 료 실 게 시 글 104
  • ___________________(2009), State, Space, World: Selected Essays, eds. by Neil Brenner and Stuart Eldern, trans. by Gerald Moote, Neil Brenner, and Stuart Elde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 ___________________(1996), Right to the City, E. Kofman E.Lebas(eds. trans.). Writings on Cities, Oxford: Wiley-Blackwell.
  • ___________________(1991),The Production of Space: translated by Donald Nicholson-Smith, Bleckwell.
  • W. 슈미트 코바르치크, 『사회적 실천, 자연 그리고 변증법 - 마르크스 이론의 성립과 핵심구조』, 이부현‧이찬욱 옮김
    동녘 [1992]
  • Stefan Kipfer(2008), How Lefebvre urbanized gramsci-Hegemony, everyday life, and difference, Kanishka Goonewadena. et al. SPACE, DIFFERENCE, EVERTDAY LIFE – Reading Henri Lefebvre, Routledge.
  • SSK공간주권 연구팀 엮음, 『공간주권으로의 초대』
    한울 [2013]
  • N. 로텐스트라이히, 『청년맑스의 철학』
    정승현 옮김 [1986]
  • Murray Bookchin, Post-Scarity Anarchism, London: Wildwood House, 매리필 드, 2015: 129쪽
    재인용 [1974]
  • M. Purcell(2003), Citizenship and right to the global city: reimagining the capitalist world ord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and Regional.
  • K. Marx and F.Engels(1977), Selected Letters, Parking : Foriegn Language Press.
  • Henri Lefebvre(1976), The Survival of Capitalism: Reproduction of the Relation of Production, trans. F. Bryant, London: Allison & Busby.
  • Every Life the Modern World, London Penguin, 58쪽, 매리필 드 , 2005: 138
    재인 용 [1971]
  • Elden, Stuart, (2004), Understanding Henri Lefebvre: Theory and the Possible, L & New York: Continuum.
  • Christian Schmid(2008), Henri Lefebvre’theory of the production of space: towards a three-dimensional dialetic, Kanishka Goonewadena. et al. SPACE, DIFFERENCE, EVERTDAY LIFE –Reading Henri Lefebvre, Routledge.
  • Atkinson, R & Bridge, G(2005). Gentrification in a global context: the new urban colonialism. New York, Londo: Routledge.
  • Antonio Gramsci, Selections from the Prison Notebooks, New York: International Publishers, 210~211쪽, 리오 페니치‧콜린 레이스 엮음(2008), 『세계의 발화지점들-제국주의와 신자유주의에 대한 반발』, 이고성 옮김, 필맥
    577쪽 재인용 [1971]
  • <낯선 아침>
    4월호
  • (2980)
    부산시 《부산통계년보》 [19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