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통합적 관점의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쓰기 구성요소의 통합을 중심으로

임진숙 2016년
논문상세정보
' 통합적 관점의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쓰기 구성요소의 통합을 중심으로'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한국어
  • 박사학위논문
  • 부산외국어대학교
  • 한국어 쓰기
  • 한국어교육
  • 한국어쓰기교습
  • 한국어학습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10 0

0.0%

' 통합적 관점의 한국어 쓰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 : 쓰기 구성요소의 통합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설명적 텍스트의 내용 구조 분석 방법과 교육적 적용 연구」
    이삼형 서울 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1994]
  •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김정숙 「한국어 교육」11-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19 [2000]
  • 학문 목적 한국어 교과과정 설계 연구, 「한국어 교육」15-1
    이해영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37~164 [2004]
  • 텍스트구조 지도를 통한 학문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이원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2005]
  • 작문 이론의 변화와 작문 교육에서의 수용
    이재승 「국어교육」131, 한국어교육학회, pp.499~521 [2010]
  • 작문 능력 평가 방법과 절차
    박영목 「국어교육」99, 한국국어교육연구회, pp.1~29 [1999]
  •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이화 한국어 5, 6」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2]
  •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이화 한국어 3-1, 3-2
    4」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2011]
  • 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연세 한국어 3-1, 3-2, 4-1, 4-2, 5-1, 5-2, 6-1, 6-2 」
    연세대학교 출판부 [2013]
  •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서울대 한국어 5A, 5B」
    문진미디어 [2012]
  • 서강대학교 한국어교육원,「서강 한국어 4A, 4B, 5A, 5B」
    서강대학교 국제문화교육원 [2007]
  • 도식조직자 전략 지도가 독해에 미치는 효과,「청람어문학」 19-1
    이은숙 청람어문학회, pp.123~148 [1997]
  • 담화 능력 배양을 위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김정숙 「한국어 교육」1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195~213 [1999]
  • 내용 지식 구성을 위한 학문 목적 한국어 쓰기 교육 방안
    김정숙 「한국어 교육」20-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pp.23~44 [2009]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화교육센터,「재미있는 한국어 3, 4, 5, 6」
    교보문고 [2010]
  •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 연구」
    윤지원 「한국언어문화학」10-1,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pp.99~129 [2013]
  • 「작문교육의 발전 방향」
    박영목 국어교육론 2, 한국문화사 [2005]
  • 「언어 사용 영역의 내용 체계에 대한 연구」
    이도영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8]
  • 박사
  • 「설득 텍스트의 본질 및 특성과 교수 학습」
    이은희 ( Eun hee Lee ) 「국어교육」136, 한국어교육학회, pp.1-36 [2011]
  • 「글쓰기 교육의 원리와 방법: 과정 중심 접근」
    이재승 교육과학사 [2003]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전략 분석 연구: 장르 기반 전략과 동기화 전략을 중심으로”
    이준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국제 한국어교육학회, pp.565~575 [2013]
  • 박사
  • “한국어 쓰기 교육을 위한 텍스트 분석 연구의 방향과 과제”
    이미혜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37,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pp.275~301 [2012]
  • 박사
  • “한국어 교육 문법의 체계와 내용 범주”
    우형식 「우리말연구」26, 우리말학회, pp.235~266 [2010]
  • “텍스트 구조 학습이 아동의 읽기 능력과 쓰기에 미치는 영향: 설명문을 중심으로”
    김미정 이성은 「교육과학연구」 34-2,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육과학연구소, pp.131~148 [2003]
  • “중학교 3학년 교과서 쓰기 내용 분석을 통한 영어 글쓰기 수 업 모형 제안: 과정-장르 교수․학습 접근법으로”
    김혜경 중앙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3]
  • “장르 중심 한국어 설명문 쓰기 연구”
    박주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장르 기반 환경적 쓰기 교수 학습 모형 개발 연구”
    원진숙 이영호 황정현 「한국 초등 교육」22-2,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pp147~165 [2011]
  • “작문에 대한 관점 변화와 작문 교육의 지향점”
    김규선 이재승 「論文集」33, 대구교육대학교, pp.69~89 [1998]
  • 박사
  • “설명텍스트의 표지와 텍스트구조 분석”
    양태영 「한국어 의미학」31, 한국어의미학회, pp.109~142 [2009]
  • “설명텍스트 분석을 활용한 한국어 쓰기 교육 연구”
    양태영 상명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08]
  • 박사
  • “모방하기 전략을 활용한 논설문 쓰기 지도”
    이동우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8]
  • “르네상스시대 이탈리아 비평가들에 의한 고전 모방이론의 수용과 변형: Aristotle 의 모방론을 중심으로”
    서영윤 「고전 르네상스 영문학」9-2, 한국고전 르네상스영문학회, pp.87~108 [2000]
  • 박사
  • “대학 교양 글쓰기 교육 연구”
    김은정 「교양교육 연구」7-1, 한국교양교육학회, pp.295~308 [2013]
  • “내용 지식과 쓰기 성취의 관계에 대한 연구”
    서수현 이병승 「한국어 초등 국어교육」39, 한국어초등 국어교육학 학회, pp.262~291 [2009]
  • “규칙으로서의 문법과 사용으로서의 문법”
    우형식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34,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원, pp.227~256 [2009]
  • “고급 단계 학습자의 학술적 쓰기 능력: 설명적 텍스트 구조 를 중심으로”
    김지학 상명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2009]
  • “圖解組織子指導가 讀解에 미치는 效果”
    천경록 「국어교육」89, 한국어교육연구회, pp.199~218 [1995]
  • Werlich, E. (1976), A text grammar of english. Heidelberg: Quelle & Meyer.
  • Vygotsky, L. S.(1987), Collected Works 1, New York and London: Plenum.
  • Tudor, I., & Tuffs, R. (1991), Formal and content schemata activation in L2 viewing comprehension, RELC Journal 22, pp.79~95.
  • Tribble,. C.(1996). Writing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ompkins, G. E.(1994), Teaching writing: Balancing Process and product,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 Textwissenschaft (정시호 역, 「텍스트학」
    T.A Van Dijk 민음사, 1995) [1981]
  • Taylor, B. M. & Beach, R. W.(1984). The effects of text structure on middle-grade students'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expository text. Reading Research Quarterly, 19-2, pp.42-60.
  • Rohman D. G. & Wlecke A.(1964), Pre-writing: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models for concept formation in writing, Us. Office of Education Cooperative Research Project, Michigan State University.
  • Rogoff, B.(1990), Apprenticeship in thinking: Cognitive development in social context,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 Portalupi, J.(1999), Learning to write: Honoring both process and product. primary voices K-6. 7-4, pp.2~6.
  • Pearson, P. D., & Raphael, T.(1990), Reading comprehension as a dimension of thinking. In B. F. Jones & L. I. Idol, Dimensions of thinking and cognitive instruction: Implications for reform l,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p.209~240,
  • Pearson, P. D., & Fielding, L.(1991), Comprehension instruction, In R. Barr, J. L. Kamil, P. M., & Pearson, P. D.(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New York: Longman, 11. pp.815~860.
  • Nystrand, M., Green, S., Wiemelt, J.(1993), Where Did Composition Studies Come From, Written Communication, 10.
  • Nystrand, M.(1989). The social interactive of writing, Written Communication 6, pp.66~85.
  • Moore, S. R (1995), Questions for research into reading-writing relationships and text structure knowledge, Language Arts 72, pp.598~620.
  • Moore, D. W. & Readence, J. E.(1984), A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view of graphic organizer research,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8-1.
  •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 (trans) Cole, M. et al, (조희숙․황해익․허정선․김선옥 역, 「사회속의 정신: 고등 심리 과정의 발달」
    Vygotsky, L. S. 성원사, 1994) [1978]
  • Meyer, G. J. F., & Rice, G. E. (1984), The structure of text. In P. D.Pearson, R. Barr, M. L. Kamil, & P. Mosenthal (Eds.), Handbook of reading research. pp.51-59 NY: Longman,
  • Meyer, G. J. F., & Freedle, R. O.(1984), Effects of discourse type on recall,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21-1, pp.52-89.
  • Meyer, B. J., Brandt, D. M., & Bluth, G. J.(1982), Use of Top-Level Structure in Text: Key For Reading Comprehension of Ninth-Grade Students, Reading Research Quarterly 16-1, pp.72~103
  • Meyer, B. J. F(1975), The organization of prose and its effects on memory. Amsterdam: North-Holland Publishing Corporation.
  • Lin, B. (2006), Genre-based Teaching and Vygotskian Principles in EFL, The Asian EFL Joumal Quarterly September 8-3, pp.226~248.
  • Larsen-Freeman, Diane & Dummet, Paul , Teaching Language Grammar to Grammaring, Cengage Learning (김서형 외 역, 「언어교수: 문법에서 문법 사용하기로」
    지식과 교양, 2012) [1998]
  • Knudson, R.E.(1991), Effects of instructional strategies, grade, and sex on student’s persuasive writing,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59, pp.141~152.
  • Kellogg, R. T.(1994), The Psychology of Writing,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Kay, T, & Dudely-Evans, T.(1998), Genre: What teachers think, ELT Journal 52, pp308~314
  • Kamimura, T. (2000), Integration of process and product orientations in EFL Writing instruction, RELC Journal 31-2, pp.1~28.
  • Johns, A. M.(1995), Genre and pedagogical purposes,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4, pp.181~190.
  • Hyland, K.(2004), Genre and second language writing, 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Hyland, K.(2002), Teaching and Researching Writing, Pearson Education.
  • Hillocks G. Jr.(1987), Synthesis of research on teaching writing, Educational Leadership 44, pp.71~82.
  • Hayes, J. R.(2000), A new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ognition and affect in writing, Indrisano R. & Squire J. R.(eds), Perspectives on writing , Newark, DE: IRA, pp.6~44
  • Halliday, M.A.K.(1989), Spoken and written language. Oxford and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 Hake, R.,& Joseph, M. W.(1977), Sentence Expanding: Not Can, or how, but When. Daiker et al. Sentence-Combining and the Teaching of Writing, pp.134~146.
  • Hairston, M. (1982). The winds of change: Thomas Kuhn and the revolution in teaching of writing, College Composition and Communication, 33-1, pp.34~71.
  • Freedman, S.(1985), The role of response in the acquisition of written language, Washington, DC: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 Freedman S. W. et. al.(1987), Research in writing: past, present, future, Technical Report No. 1, Center for the Study of Writing, University of California. pp.14
  • Flower, L.(1994). The construction of negotiated meaning A social cognitive theory of writing, Carbondale, IL: University of Southern Illinois Press.
  • Flower, L. 1990a. Introduction: Studying cognition in context. In L. Flower, V. Stein, H. Ackerman, M. Kantz, K. McCormick, & W. Peck (Eds.), Reading-to-write: Exploring a cognitive and social process,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3~22.
  • Flower Linda , Problem Solving Strategies for Writing in College and the Community(Paperback), Heinle Publishers (원진숙, 황정현 역, 「글쓰기 문제해결전략」
    동문선, 2006) [1997]
  • Faigley L., Cherry R., Jolliffe D., & Skinner A.(1993), Assessing writers' knowledge and processes of composing.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 Emig, J. (1971), The composing processes of twelfth graders. Urbana :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English.
  • Dyer, B. (1996), L1 and L2 composition theories: Hillocks environment mode and task-based language teaching. ELT Journal 50-4, pp. 312-317.
  • Davies, F.(1998), Designing a writing syllabus in English for Academic Purposes: Process product. In P. C. Robinson (ed). Academic Writing: process and product, ElT Documennts 129.
  • Cummins, J. (1981), The Role of Primary Language Development in Promoting Educational Success for Language Minority Students. In California State Department of Education (Ed.), Schooling and Language Minority Students: A Theoretical Framework, pp.3-49. Los Angeles: Evaluation, Dissemination and Assessment Center.
  • Carrell, P. L. (1984), The effects of rhetorical organization on ESL reader, TESOL Quarterly 18-3, pp.441-469.
  • Callagan, M., & Rothery J.(1988), Teaching factual writing: Report of the Disadvantaged Schools Program Literacy Project. Sydney: Metropolitan East Disadvantaged Schools Program.
  • Bull, G. & Anstey, M. (1991), Achieving independent learning: Drawing process and genre together In F. McKay, (ed.) Public and private lessons, Melbourne: ARA.
  • Britton, J.N., Burges, T., Martin, N., McLeod, A., &Rosen, H. (1975), The development of writing abilities 11-18, London: Macmilan
  • Brinker, K ., Linguistische Textanalyse, (이성만 역,「텍스트언어학의 이해」
    한국문화사, 2004) [1985]
  • Bereiter, C.(1980), Development in Writing, In L. W. Gregg & E. R. (eds), Cognitive Processes in Writing, Hillsdale. New Jersey: LEA.
  • Benesch, S.(1995), Genres and Processes in a sociocultural context,,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4.
  • Bamforth, R. (1993). Process vs. genre: Anatomy of a false dichotomy. Prospect 8/1-2, pp.89~99.
  • Badger, R & White, G.(2000), A process genre approach to teaching writing, ELT Journal 54-2, pp.153~160.
  • Ausubell, D.(1978), In defense of advance organizers: A reply to thecritic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Spring 48-2. pp. 251~257.
  • Au, K. H.(1998), Social constructivism and the school literacy learning of students of diverse backgrounds, Journal of Literacy Research 30-2, pp.297~319.
  • Applebee, A. N.(1982), Writing and learning in school setting. In M. Nystrand(ed.),What writers know. NY: Academic Press. Athanases, S. Z.(1994). Teachers' report of the effects of preparing portfolio of literacy instruction. The Elementary Journal 94(4), pp.421~439.
  • Alvermann, D. E.(1981), The compensatory effect of graphic organizers on descriptive text,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75, pp.44~48.
  • Alexander, P. A., Schallert, D. L., & Hare, U. C.(1991), How research in learning and literacy talk about knowledge, Review of Education Research 61, pp.315~343.
  • ;2008),「고등학교 작문」
  • '장르'와 '과정'의 통합적 쓰기 교육 방안 연구: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정다운 고려대학교 박사 학위 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