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석혜민 2016년
논문상세정보
'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ptsd
  • 재난대응공무원
  • 정신건강관리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36 0

0.0%

' 재난대응공무원의 정신건강관리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소방공무원을 중심으로 -' 의 참고문헌

  • 현장활동 측면에서 본 소방공무원의 보훈제도에 관한 연 구
    정상권 대진대학교 보건대학원 , 10(2), pp99-118 [2009]
  • 박사
  • 향기흡입법이 중년여성의 우울, 스트레스,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과
    김민경 전남대학교 간호학 석사논문 [2003]
  • 향기요법
    오홍근 서울 : 양문출판사 [2000]
  • 한국판 외상 후 스트레스 진단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남보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pp12-14 [2008]
  • 박사
  • 박사
  • 재난심리론
    박찬석 서울 : 토파민출판사 [2015]
  • 자율훈련법이 심박변이도에 미치는 영향
    이재혁 이진규 동의신경정신과 학회지, Vol.18 No.1, p123-132 [2007]
  • 일부 미용종사자들의 직무스트레스와 건강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
    김춘득 순천향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5]
  • 음악과 향기요법을 겸한 발반사요법 훈련프로그램이 중년 여성의 건강지표에 미치는 영향
    강성심 조선대학교 박사논문 [2008]
  • 우리 군의 전장스트레스 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한국군사 회복지학
    정효현 제3권 제1호, p66 재인용 [2010]
  • 아로마 향기 요법이 우울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김동미 성 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논문 [2012]
  • 아로마 에센셜오일이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영향
    손기철 한 국대체의학회, 1(1), pp24-36 [1999]
  • 스트레스반응척도의 개발
    고경봉 김찬형 박중규 신경정신의학 제39권 제4호, pp707-719 [2000]
  • 소방방재청, , 소방공무원 외상후 스트레스 실태 분석 연구보고서
    아주대학교 산학협렵단 [2007]
  • 소방방재청, , 「2014년 전국소방공무원 심리평가 전수조사 결과보 고서」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14]
  • 소방방재청, ,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시 대응관리 체계구축, 환자 전달 체계 및 치표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보고서”
    가톨릭대 학교 산학협력단, pp37-38 [2008]
  • 소방대원의 외상성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에 관한 연구
    백승기 경 성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 소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방창훈 홍외현 한국 화재소방학회 논문지, 제24권 제4호, p79-86 [2010]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와 사건충격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윤예심 광주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 전공 [2008]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임병수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2008]
  • 소방공무원의 외상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
    최영출 충북대학교 행정대학원, p33 [2008]
  • 소방공무원의 PTSD 증상과 정서상태, 대처방식 및 사회 적 지지와의 관계
    유지현 카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2006]
  • 몸과 마음이 자유로워지는 EFT
    정유진 한국정신과학학회지 제 14권 제2호, pp61-75 [2010]
  • 델파이 방법
    이종성 서울 : 교육과학사 [2006]
  •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문화관광해설사 자격제도 운영방안 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엄완용 박사학위논문 [2014]
  • 델파이 기법과 계층적 의사결정방법의 적용을 통한 전통 정원의 보존상태 평가지표 개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안진성 박사학위논문 [2011]
  • 델파이 기법과 AHP를 활용한 국가 간 관광산업 경쟁력 평가지표 개발, 세종대학교 대학원
    오문향 박사학위논문 [2012]
  • 박사
  • 긴장 이완과 스트레스 감소 워크북, 손정락(역)
    마타 데이비스 서울 : 하나의학사 [2006]
  • 교육연구방법
    김병성 서울 : 학지사 [1996]
  • 경찰관의 외상성 사건 경험이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증상 에 미치는 영향
    이옥정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전공 [2010]
  • 경찰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및 외상스트레스가 소진에 미 치는 영향
    황인희 카톨릭대학교 보건대학원 [2009]
  • 경찰공무원의 일상적ㆍ직업적 경험이 스트레스 수준에 미 치는 영향
    신성원 원광대학교 박사학위 [2007]
  • 간호중재로서의 음악요법에 관한 연구
    임영숙 경기전문대학 논문 집, 21, pp87-109 [1994]
  • Wells S., 2003, Evaluation of a Meridian-Based Intervention, EFT, for Reducing Specific Phobias of Small Animals, Journal of Clinicla Psychology, vol.59(9), p993-966.
  • Weiss D.S., Marmar C.R., 1995, Predicting symptomatic distress in emergency services personnel,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3(3), p361-368.
  • Symptomatology in Urban fire fighters in Two Countri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4(2), p131-141.
  • Strauss, H., & Zeigler, L., 1975, The Delphi technique and it susesin social science research. The Journal of Creative Behavior,9(4), 253-259.
  • Smith, L., 1996, Treating Anxiety Disorders with a Cognitive-behavioral Exposure Based Approach and the Eye-movement Technique : The Manual, Baltimore : Red Toad Company.
  • Rowe G., & Wright G., 2001, Expert opinions in forecasting: The role of the Delphi technique. Boston, MA : Kluswer Academic.
  • Rowe G., & Wright G., 1999, The Delphi techniques a forecasting tool : Issues and analysis.InternationalJournalofForecasting, 15(4),353-375.
  • PKO 활동과 전장스트레스관리에 대한 연구
    한태근 한국정책 학회하계학술대회 발표눈문집 1권 [2009]
  • Ohnson C., Shala M., Sejdijaj X., Odell R., and Dabishevci K., 2001, Thought Field Therapy - soothing the bad moments of Kosovo,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7(10), p1237-1240.
  • Lazarus R.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Springer, New York.
  •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1 . Personnel psychology, 28 (4), 563-575.
  • KIM H. K. et al., 2009,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Impact of Event Scale-Revised, Comprehensive Psychiatry, p385-390.
  • Gordon, T.J., 1994, The Delphi method in futures research methodology. Washington, DC : American Council of United Nations University.
  • Gersons B., 1978, Patterns of PTSD among police officers following shooting incidents : a two-dimensional model and treatment implications, Journal of Traumatic Stress, 2(3), p247-257.
  • EFT를 적용한 스트레스ㆍPTSD 해소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박찬석 중앙소방학교 소방연구논문집, 21, pp3-50 [2011]
  • Dwyer L.A., 2005, An investigation of secondary trauma in police wives, Doctoral dissertation, Hofstra University.
  • 박사
  • Delbecq, A.L., Van deVen, A.H., & Gustafson, D.H., 1975, Group Techniques for Program Planning: A guide to nominaland Delphi Processes. Glenview, IL : ScottForesman.
  • Dawson C., Linda G. & Ingrid D., 2009, Psychological symptom change in veterans after six sessions of EFT : An Observational Study, Journal of Wholistic Healing Publications, vol.9(1), p44-55.
  • Dalkey,N.C., 1969, The Delphi method : An experimental study of group opinion. Rand Corporation memorandum RM-5888-PR, 1969(SRI-ARC CatalogItem 3896).
  • Craig. G., 1999, Emotional Freedom Techniques : the manual, The Sea Ranch, California.
  • Corneil W., Beaton R., & Murphy S., 1999,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Symptomatology in Urban fire fighters in Two Countries”,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Vol. 4, No. 2, pp. 131-141.
  • Clair M.E.,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incidents, hostility and PTSD symptoms in police officer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67(06), p3443.
  • Callahan R.J. & Callahan J., 1997, Thought field therapy and trauma : treatment and therapy, Indian Wells, CA : Author. Corneil W., Beaton R., & Murphy S., 1999, Exposure to Traumatic Incidents and Prevalence of Posttraumatic Stress
  • Calier I.V.E. & Gerson B.P.R, 1997, The dimension of trauma : a multidimensional scaling comparison of police officers with and without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97, p29-39.
  • Bugler, M. W., 1995, “A three-round delphi-study of critical characteristics of the model doctorla level educational technology program”, Unpul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Iowa.
  • Bisson J, Andrew M, 2007, Psychological Treatment Of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ochrane review.
  • Beehr T.A. and Newman J.E., 1978, “Job Stress, Employee Health and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A fact analysis, model and literature view”, personal psychology, Vol. 31, No. 1.
  • Baron R. & Kenny. D.,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No. 6, pp. 1173-1182.
  • Baker S.R. & Williams K., 2001, “Short Communication : Relation between social problem-solving appraisals, work stress and psychological distress in male fire fighters”, Stress and Health, Vol. 17, No. 1, pp. 219-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