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19세기 朝鮮·淸 관계와 使臣外交

김창수 2016년
논문상세정보
' 19세기 朝鮮·淸 관계와 使臣外交'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19세기
  • 人臣無外交
  • 進賀外交
  • 개항기
  • 고종
  • 동문의식
  • 문인교유
  • 사신
  • 역관
  • 외교
  • 재자관
  • 정조
  • 조공책봉관계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778 0

0.0%

' 19세기 朝鮮·淸 관계와 使臣外交' 의 참고문헌

  • 김경록 「朝鮮後期 􎰈同文彙考􎰉의 編纂過程과 性格」􎰈조선시대사학보􎰉32 [2005]
  • 􎰈한중국경사 연구􎰉
    이화자 혜안 [2011]
  • 􎰈청나라, 키메라의 제국􎰉
    구범진 민음사 [2012]
  • 􎰈중국의 청사공정 연구􎰉
    정혜중 동북아역사재단 [2008]
  • 􎰈중국의 淸史 편찬과 淸史 연구􎰉
    김형종 동북아역사재단 [2010]
  • 􎰈중국 번속이론과 허상􎰉
    이석현 동북아역사재단 [2010]
  • 􎰈조선시대 사행기록화􎰉
    정은주 사회평론 [2012]
  • 􎰈정묘 병자호란과 동아시아􎰉
    한명기 푸른역사 [2009]
  • 􎰈朝鮮後期 政治史 硏究􎰉Ⅰ
    김용흠 혜안 [2006]
  • 􎰈同文彙考􎰉 疆界 史料􎰉
    구범진 배우성 동북아역사재단 [2008]
  • 􎰈使朝鮮錄 역주􎰉5
    김한규 소명출판 [2012]
  • 「18세기 중국의 조선인식 : 阿克敦의 朝鮮出使와 『東游集』⋅奉使圖를 통 해 본 朝淸關係, 그리고 그 시대적 특징」􎰈15~19세기 중국인의 조선인식􎰉
    홍성구 고구려연구재단 [2005]
  • 麟坪大君, 『燕途紀行』
  • 李鸣鸣, 「明代外交使臣出访制度考」, 福建师范大 硕士学位論文, 2007
  • 李頤命, 『疎齋集』卷11, 「雜著」 燕行雜識
  • 李肯翊, 『練藜室記述』
  • 李承五, 『觀華誌』; 李承五, 『燕槎日記』
  • 李喆輔, 『丁巳燕行日記』
  • 李健命, 『寒圃齋使行日記』
  • 李云泉, 􎰈朝贡制度史论􎰉, 新华出版社: 北京, 2004
  • 柳厚祚, 『洛坡先生文集』, 大普社, 1995
  • 劉靖
    허경진 「晩淸時期의 朝中文人詩社 龍喜社 小攷」『동아인문학』14 [2008]
  • 劉 为, 『淸代中朝使者往来硏究』, 黑龙江敎育出版社, 2002
  • 沈之源, 『癸巳燕行日乘』
  • 폴 A. 코헨 지음 이남희 옮김, 『학문의 제국주의』
    산해 [2003]
  • 청의 조선사행 인선과 대청제국체제
    구범진 􎰈인문논총􎰉59 [2008]
  • 청 강희제 동순의 목적과 의미
    宋美玲 􎰈명청사연구􎰉24 [2005]
  • 지음, 김태중 안명자 박병석 손준식 김문 옮김, 『근대한중무역사』
    장존무 ㈜교문사 [2001]
  • 조선 역관 6인의 시선집 『海客詩抄』에 대한 고찰 -3종 필사본을 중심으로 -
    劉 婧 『한문학보』28 [2013]
  • 장페이페이, 『한중관계사』
    범우 [2005]
  • 외국과 속국사이-正史를 통해 본 청의 조선 인식
    김선민 􎰈사림􎰉41 [2012]
  • 왕조의 쇠퇴와 동란의 근원
    수잔 만 존스 필립 A. 쿤 『캠브리지 중국사』10上, 새물결 [2007]
  • 옌 총니엔 지음 장성철 옮김, 『청나라, 제국의 황제들』
    산수야 [2014]
  • 스스무 지음 정태섭 외 옮김, 『연행사와 통신사』
    후마 신서원 [2008]
  • 박사
    병자호란의 정치·군사사적 연구
    허태구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명초 국제질서의 재편과 고려의 위상 –홍무 연간 명의 사신 인선을 중심 으로–
    정동훈 􎰈역사와 현실􎰉89 [2013]
  • 마크 C. 엘리엇 지음 이훈 김선민 옮김, 『만주족의 청제국』
    푸른역사 [2009]
  • 마크 C. 엘리엇 지음 양휘웅 옮김, 『건륭제- 하늘의 아들 현세의 인간』
    천지인 [2011]
  • 니시지마 사다오 외 이성시 편 송완범 옮김, 『일본의 고대사 인식』
    역사비평사 [2008]
  • 근대 이전 한중관계사에 대한 시각과 논점 –동아시아 국제질서의 이론을 덧붙여–
    박원호 􎰈韓國史市民講座,􎰉40 [2007]
  •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38
    국사편찬위원회 [1999]
  • 개항기 역관 김경수의 대외인식-'공보초략'을 중심으로-
    백옥경 『한국사상사학』 41 [2012]
  • 黄枝蓮, 『天朝禮治体系硏究』下, 中国人民大学出版社, 1995
  • 魚允中
    『從政年表』 (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韓德厚, 『承旨公燕行日錄』
  • 韓國의 近代外交制度 硏究 : 外交官署와 常駐使節을 중심으로
    김수암 서울대학교 외교학과 박사학위논문 [2000]
  • 钱实甫, 『请代职官年表』, 中华书局: 北京, 1980
  • 金箕性, 『燕行日記』
  • 鄭太和, 『陽坡遺稿』
  • 鄭光忠, 『燕行日錄』
  • 趙文命, 『燕行日記』
  • 譚妮如, 「朝鮮文人李海應筆下的嘉慶皇帝形象」『中國人文科學』50, 2012
  • 裵燕生 主编, 􎰈歷史文书􎰉, 人民大学出版社, 2009
  • 白寿彛 总主编, 『中国通史』17 18, 上海人民出版社, 1996
  • 王静, 「清代会同四译馆论考」『西北大学学报(哲学社会科学版)』36-5, 2006
  • 王开玺, 『淸代外交禮仪的交涉与論争』, 人民出版社: 北京, 2009
  • 燕行錄 자료는 모두 임기중 編, 『燕行錄叢刊增補版』
    (KRPia제공) [2013]
  • 淸代 韓中朝貢關係 綜考
    전해종 􎰈진단학보􎰉29 30 [1966]
  • 浜下武志, 『朝貢システムと近代アジア』, 岩波書店, 1997
  • 洪昌漢, 『燕行日記』
  • 桑方佑子, 「朝鮮政府の駐津大員の派遣(1883-1886)」『史學雜志』122, 2013
  • 李岬, 『燕行記事』
  • 朴戴陽, 『東槎漫錄』
  • 朴思浩, 『心田稿』
  • 朝鮮典籍淸人序跋考論
    劉 婧 『대동한문학』39 [2013]
  • 晩淸 北京詩社 龍喜社와 한중 문학 교류
    허방 『국문학연구』28 [2013]
  • 徐命臣, 『庚辰燕行錄』
  • 張雙智, 「淸朝外藩體制內的朝覲年班與朝貢制度」􎰈淸史硏究􎰉3, 2010
  • 张永江, 􎰈淸代藩部硏究-以政治变迁为中心􎰉, 黑龙江敎育出版社, 2001
  • 张存武, 「朝鲜对清外交的秘密经费研究」『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集刊』5, 1976
  • 岩井茂樹, 「清代の互市と“沈黙外交”」夫馬進編􎰈中國東アジア外交交流史の硏究􎰉, 京 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 岩井茂樹, 「明代中國の禮制覇權主義と東アジア秩序」􎰈東洋文化􎰉85, 2005
  • 尹汲, 『燕行日記』
  • 孫成旭, 「“盛極又衰的”圓明園-以朝鮮使臣的圓明園經驗爲中心」『淸史硏究』, 2015
  • 孙成旭, 「清代朝鲜最后赴京使团考」『历史档案』, 2014
  • 孙宏年, 􎰈淸代中越宗藩关係硏究􎰉, 哈尔滨: 黑龙江敎育出版社, 2006
  • 孙卫国, 『大明旗号与小中华意识:朝鲜王朝尊周思明问题硏究, 1637-1800』, 商务印
  • 夫馬進, 「明淸中國による對朝鮮外交の鏡として對ベトナム外交-冊封問題と「問罪の 師」を中心に」􎰈グローバル化時代の人文學-對話と寬容の知を求めて􎰉, 京都 大學學術出版會, 2007
  • 夫馬進 編, 『中国東アジアの外交交流史の研究』, 京都大學學術出版會, 2007
  • 壬午軍亂時期 韓中 文士들의 文化交流
    千金梅 『한국학논집』50 [2013]
  • 嚴璹, 『燕行錄』
  • 十九世紀後半 朝鮮王朝의 對外危機意識 : 第一次 二次 中英戰爭과 「異樣船」의 出沒에의 對應
    민두기 『동방학지』52 [1986]
  • 兪拓基, 『燕行錄』 辛丑;『瀋行錄』
  • 书馆: 北京, 2007
  • 中村裕一, 􎰈唐代制勅研究􎰉, 汲古書院, 1991
  • 严寿澂, 「从改善民生、革新行政到议员政府、普及教育-蒯光典政治思想述论」『近代 史研究』, 2006
  • 丁春梅, 「诏书在中琉两国交往中的地位和作用」􎰈福建师范大学学􎰉139, 2006
  • 『한중관계사』
    김한규 Ⅱ, 아르케 [1999]
  • 『한중관계사 연구』
    전해종 일조각, (몇 판? 초판이 1970) [1979]
  • 『한국의 근대화에 있어서 중인층의 활동에 관한 연구』
    송만오 전남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1999]
  • 『한국근대 대청정책연구』
    구선희 혜안 [1999]
  • 『청과 조선』
    최소자 혜안 [2005]
  • 『조선과 중화』
    배우성 돌베개 [2014]
  • 『정조대 탕평정국의 군신의리 연구』
    최성환 서울대 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 『임오군란과 갑신정변』
    김용구 도서출판 원 [2004]
  • 『세계관의 충돌과 한말 외교사, 1866~1882』
    김용구 문학과지성사 [2001]
  • 『동도서기론 형성 과정 연구』
    노대환 일지사 [1999]
  • 『대한제국기 朴殷植과 張志淵의 自强思想 연구』
    노관범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2007]
  • 『대원군집권기 부국강병정책 연구』
    연갑수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 『국역 淸季中日韓關係史料』
    김형종 동북아역사재단 [2012]
  • 『공안파와 조선 후기 한문학』
    강명관 소명 [2007]
  • 『고문서해제Ⅹ』
    (국립중앙도서관 [2013]
  • 『通文館志』 (KoreaA2Z)
  • 『禦洋隨錄』
    (규장각, 想白古 359.6-Eo95)
  • 『燕巖一派 北學思想硏究』
    유봉학 일지사 [1995]
  • 『熱河日記 연구』
    김명호 창비 [1990]
  • 『淸季中日韓關係史料』, 『淸代中朝關係檔案史料續編』
  • 『淸史-만주족이 통치한 중국』
    임계순 신서원 [2000]
  • 『洋擾記錄』
    (국립중앙도서관, 위창古 -15) [2195]
  • 『明初朝鮮關係史硏究』
    박원호 일조각 [2002]
  • 『日省錄』
    (규장각한국학연구소 구축DB)
  • 『承政院日記』 『朝鮮王朝實錄』
    (국사편찬위원회 구축DB)
  • 『姜瑋의 개국론 연구』
    이헌주 고려대학교 한국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5]
  • 『同文彙考』
    (국사편찬위원회 영인본 [1978]
  • 『19세기말 한중 관계사 연구』
    권혁수 백산자료원 [2000]
  • 「李健命의 奏請 사행(1721~1722)과 ‘寒圃齋使行日記’」
    김일환 『동아시아문화연구』 58 [2014]
  • 「청의 詔書 반포사신을 통해본 조선의 지위」
    김창수 『역사와 현실』89 [2013]
  • 「조선의 청 황제 성절 축하와 건륭 칠순 ‘진하 외교’」
    구범진 『한국문화』68 [2014]
  • 「조선의 對淸關係 認識과 外交體系-조선후기 외교문서의 정리를 중심으로 -」
    김경록 『이화사학연구』37 [2008]
  • 「조선시대 동아시아질서와 한중관계」
    계승범 『한중일 학계의 한중관계사 연구와 쟁 점』, 동북아역사재단 [2009]
  • 「조선시대 事大文書의 생산과 전달체계」
    김경록 『한국사연구』134 [2006]
  • 「인조~효종대 외정자문의 성격」
    김태훈 『역사문화논총』8 [2014]
  • 「운양 김윤식의 중국 인식-영선사 활동 시기를 중심으로」
    황재문 『고전과해석』15 [2013]
  • 「외교제도사 연구 제언」
    정동훈 『역사와 현실』89 [2013]
  • 「영조의 국왕책봉에 나타난 한중관계」
    김문식 『한국실학연구』23 [2012]
  • 「숙종 영조대 對明義理論의 정치 사회적 기능」
    노대환 『한국문화』32 [2003]
  • 「삼번의 난 전후(1674~1684) 조선의 정보수집과 정세인식」
    이재경 『한국사론』60 [2014]
  • 「명사 공용경의 『사조선록』과 조명 창화 외교」
    김한규 『동아연구』60 [2011]
  • 「동문환의 '韓客詩存'과 한중문학교류」
    김명호 『한국한문학연구』26 [2000]
  • 「대한제국기 『황성신문』의 중국 인식」
    노관범 『한국사상사학』45 [2013]
  • 「김영작의 연행과 연대경과록」
    김명호 『漢文學報』19 [2008]
  • 「고종초기의 대외인식 변화와 친정-遣淸回還使 召見을 중심으로-」
    안외순 『한국정 치학회보』30 [1996]
  • 「건륭연간 조선사행의 은 분실사건」
    김선민 『명청사연구』33 [2010]
  • 「강위의 연행록에 나타난 한중 지식인의 교류양상」
    주승택 『한국문화연구』11 [2006]
  • 「阿克敦 《奉使圖》硏究」
    정은주 『美術史學硏究』246 247 [2005]
  • 「開港이후 동아시아 漢文네트워크에 대하여」
    김용태 『한국한문학연구』50 [2012]
  • 「近代中國의 皇帝權力 : 光緖帝와 西太后」
    김형종 『역사학보』208 [2010]
  • 「淸廷에 있어서의 大院君과 그의 還國(하)」
    권석봉 『동방학지』29 [1981]
  • 「淸廷에 있어서의 大院君과 그의 還國(상)」
    권석봉 『동방학지』28 [1981]
  • 「朝鮮通事 굴마훈, 淸譯鄭命」
    김선민 『명청사연구』41 [2014]
  • 「明 淸史書의 朝鮮 '曲筆'과 朝鮮의 '辨誣'」
    이성규 『五松李公範敎授停年記念東洋 史論叢』 [1993]
  • 「庚申換局과 金錫冑」
    이희환 『전북사학』10 [1986]
  • 「吳慶錫의 개화사상과 개화활동 」
    신용하 『역사학보』107 [1985]
  • 「『석릉수간(石菱受柬)』을 통해 본 朝 淸 문사 교류 속의『담설(譚屑)』」
    구지현 『열상 고전연구』39 [2014]
  • 「『含忍錄』에 나타난 樊巖 蔡濟恭의 華夷觀」
    김용주 『대동한문학』41 [2014]
  • 「‘녹명관’이 일본 근대 문명 수용에 미친 영향 고찰」
    권혁건 전수진 『일본근대학연 구』23 [2009]
  • 「19세기 전반 지식인의 對淸 위기인식과 北學論」
    노대환 『한국학보』20-3 [1994]
  • 「19세기 전반 燕行 지식인의 대외인식에 대한 一考」
    이명제 『동국사학』57 [2014]
  • 「18세기 조선조와 청조 學人의 학술교류 -홍양호와 기윤을 중심으로-」
    진재교 『고 전문학연구』23 [2003]
  • 「18세기 연행과 정조」
    정재훈 『동국사학』53 [2012]
  • 「1880년대 김창희dml 경세사상 -임오군란 직후 부강정책의 재설정-」
    노관범 『한 국사상사학』35 [2010]
  • 「17세기 후반 朝鮮使臣의 공식보고와 정치적 파장」
    김창수 『사학연구』106 [2012]
  • S. 로스키 지음 구범진 옮김, 􎰈최후의 황제들–청 황실의 사회사–􎰉
    이블린 까치 [2010]
  • J. 웨슬러 지음 임대희 옮김, 􎰈비단같고 주옥같은 정치􎰉
    하워드 고즈윈 [2005]
  • D. 스펜스 지음 이준갑 옮김, 『반역의 책』
    조너선 이산 [2004]
  • 19세기 조청문인 교류의 전개 양상 - 북경 내 학풍과 교류 네트워크의 변화를 중심으로
    손성욱 『역사학보』216 [2012]
  • 19세기 전반 淸人의 朝鮮使行 : 柏葰(1844년)과 花沙納(1845년)의 경우
    구범진 􎰈사림􎰉22 [2004]
  • 18세기 조청 문인 교류 장소 논략
    徐毅 『한문학보』30 [2014]
  • 1819세기 청 사신의 조선파견과 그 활동-아극돈 화사납 괴령을 중심으 로
    장 남 건국대학교 사학과 석사학위논문 [2015]
  • 18-19세기 朝·淸文人 交流尺牘 硏究
    千金梅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학위논문 [2011]
  • 17세기 전반 만주로 歸附한 조선인들 -『八旗滿洲氏族通譜』를 중심으로
    우경섭 『조선시대사학보』48 [2009]
  • 17-18세기 淸朝의 滿洲地域에 대한 政策과 認識 : 건륭기 만주족의 위기와 관련하여
    이 훈 고려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13]
  • 1609년 일본의 류큐 합병이후 중국, 조선의 대류쿠 외교-동아시아4국의 책봉, 통신, 그리고 두절
    夫馬進 『이화사학연구』37 [2008]
  • (光緖)『大淸會典事例』 (嘉慶)『禮部則例』 『淸史稿』 『淸實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