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도시의 부재된 장소에 대한 장소감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전은희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전은희
    • 기타서명 An Expressive Study on the Sense of Place in the Abset Place of the City : Focusing on the researcher's works
    • 형태사항 26 cm: 채색삽도: xi, 201 p.
    • 일반주기 지도교수:이만수, 성신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서지적·설명적 각주 수록,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 학위논문사항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동양화전공), 2015. 8, 학위논문(박사)-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도시의 부재된 장소에 대한 장소감 표현 연구 : 본인 작품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현대성의 시각체제에 대한 연구
    주은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허 균, 『옛그림을 보는법』
    돌베개 [2013]
  • 한국미술 그 분출하는 생명력
    강우방 월간미술 [2001]
  • 하이데거의 사이-예술론
    김동규 그린비 [2009]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강의』
    소광희 문예출판사 [2013]
  • 피로사회
    한병철 김태환 역, 문학과 지성사, 학위 논문 학술지 [2012]
  • 프루스트 (Marcel Proust),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김창석 역
    마르셀 국일미디어 [1998]
  • 풍경과 마음
    김우창 생각의 나무 [2008]
  • 푸코(Michel Foucault), 『말과 사물』, 이규현 역
    미셀 민음사 [2012]
  • 푸코(Michel Foucault), 『감시와 처벌』
    미셀 나남출판 [2003]
  • 폴 리쾨르(Paul ricoeur), 『타자로서 자기 자신』, 김용권 역
    동문선 [2006]
  • 편집부 엮음 미학사전
    논장 [1988]
  • 페렉(Georges Perec), 『사물들』
    조르주 김명숙 역 [2011]
  • 팀 크레스웰(Tim Cresswell), 『장소』, 심승희 역
    시그마프레스 [2012]
  • 테오도르 폴 김(Theodore Paul de Kim), 『사고와 진리에서 태어나는 도시』
    시대의창 [2010]
  • 테오도르 폴 김(Theodore Paul de Kim), 『도시 클리닉』
    시대의창 [2011]
  • 테리 이글턴(Trrey Eagleton), 『발테 벤야민 또는 혁명적 비평을 향하여』, 김정아 역
    이앤비플러스 [2012]
  • 타인의 얼굴
    강영안 문학과지성사 [2005]
  • 클로드 케텔(Claude Quetel), 『장벽』, 권지현 역
    명랑한지성 [2013]
  •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Claude L vi-Strauss), 『야생의 사고』, 안정남 역
    한길사 [1996]
  • 클로드 레비 스트로스(Claude L vi-Strauss), 『슬픈 열대』, 박옥줄 역
    한 길사 [1998]
  • 칸트(Immanuel Kant), 『순수이성비판 1』, 백종현 역
    임마누엘 아카넷 [2006]
  • 카테리네 크라머 (Catherine Krahmer), 『케테 콜비츠』, 이순례, 최영진 역
    실천문학사 [2009]
  • 추상과 감정이입
    권원순 계명대학교출판부 [1982]
  • 철학 VS 철학
    강신주 그린비 [2010]
  • 책임의 윤리학
    변순용 철학과현실사 [2007]
  • 채 운, 『재현이란 무엇인가』
    그린비 [2009]
  • 차이와 타자
    서동욱 문학과지성사 [2000]
  • 질케 폰 베르스보르트(Silke-von Berswordt-Wallrabe), 『이우환 ?타자와의 만남』, 이수영 역
    학고재 [2008]
  • 질 들뢰즈(Gilles Deleuze), 『감각의 논리』, 하태환 역
    민음사 [2008]
  • 진동선, 『한 장의 사진미학』
    예담 [2008]
  • 존재와 표현
    박이문 생각의 나무 [2010]
  • 존재와 공간
    강학순 한길사 [2011]
  • 존 듀이(John Dewey), 『경험으로서의 예술』, 이재언 역
    책세상 [2003]
  • 조선후기 산수기행예술 연구
    고연희 일지사 [2001]
  • 잭 바바렛(Jack Barbalet), 『감정과 사회학』, 박형신 역
    이학사 [2009]
  • 장자, 타자와의 소통과 주체의 변형
    강신주 태학사 [2003]
  • 장자(莊子), 『장자』, 오강남 역
    현암사 [1999]
  • 장소 특정적 미술
    권미원 김인규 외 역, 현실문화 [2013]
  • 장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 『사라짐에 대하여』, 하태환 역
    민음사 [2012]
  • 읽는 동양 미학』, 이찬훈 역
    권으로 한린더 이학사 [2012]
  • 이-푸 투안(Yi-Fu Tuan), 『공간과 장소』, 심승희, 구동회 역
    대윤 [2007]
  • 의미와 무의미의 경계에서
    박영욱 김영사 [2009]
  • 유지로(中村雄二郞), 『토포스』, 박철은 역
    나카무라 그린비 [2012]
  • 유교와 칸트
    이명휘 예문서원 [2012]
  • 유교 도교 불교의 감성이론
    정용환 경인문화사 [2011]
  • 우리 안의 타자
    박구용 철학과 현실사 [2003]
  • 예술을 읽는 9가지 시선
    한명식 청아출판사 [2011]
  • 엠마누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탈출에 관해서』, 김동규 역
    지 식을 만드는 지식 [2012]
  • 엠마누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존재와 다르게』, 김연숙 외 1명 역
    인간사랑 [2010]
  • 엠마누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존재에서 존재자로』, 서동욱 역
    민음사 [2003]
  • 엠마누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시간과 타자』, 강영안 역
    문예 출판사 [1999]
  • 엠마누엘 레비나스(Emmanuel Levinas), 『모리스블랑쇼에 대하여』, 김교신 역
    동문선 [2003]
  • 에스더 M 스턴버그(Esther M Stemberg M. D.), 『공간이 마음을 살린 다』, 서영조 역
    더 퀘스트 [2013]
  • 에블린 페레 크리스탱(Evelyne Pere Christin), 『벽』, 김진화 역
    눌와 [2005]
  • 에릭 호퍼(Eric Hoffer), 『인간의 조건』, 정지호 역
    이다 미디어 [2014]
  • 에릭 호퍼(Eric Hoffer), 『시작과 변화를 바라보며』, 정지호 역
    동녘 [2012]
  • 에드워드 랠프(Edward Relph), 『장소와 장소상실』, 김덕현, 김현주, 심승 희 역
    논형 [2005]
  • 앙리 포시용(Henri Joseph Focillon), 『앙리 포시용의 형태의 삶』, 강영주 역
    학고재 [2001]
  • 앙리 르페브르『일상생활의 사회학』, 박재환, 고영삼, 김동 규 역
    마페졸리 미셸 한울아카데미 [2010]
  • 아서 단토(Arthur C. Danto), 『철학하는 예술』, 정용도 역
    미술문화 [2007]
  • 아방가르드란 무엇인가?
    진휘연 민음사 [2002]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정치학』
    천병희 역, 숲 [2009]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니코마코스 윤리학』, 강상진 외 역
    도서출 판 길 [2011]
  •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 『니코마코스 윤리학』
    김남두 외 역 서울대 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07]
  • 슈뢰르 (Markus Schroer), 『공간, 장소, 경계』, 정인모, 배정희 역
    마르쿠스 에코 리브르 [2010]
  • 쉬레이(徐累, Xu lei), 『도시 사람을 품다』, 김민정 역
    시그마북스 [2011]
  • 수전 벅 모스(Susan Buck-Morss),『발터 벤야민과 아케이드 프로젝트』, 김정아 역
    문학동네 [2004]
  •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마음과 철학(유학편)』
    서울대학교 출판문화 원 [2013]
  • 상처받지 않을 권리』
    강신주 상처받지 프로네시스 [2012]
  • 삐에르 부르디외(Pierre Bourdieu), 『구별짓기』, 최종철 역, 새물결, 살만 악타르(Salman Akhtar), 『사물과 마음』, 강수정 역
    홍시커뮤니케이션, 2014 [2006]
  • 빅토르 I. 스토이치타(Victor I. Stoichita), 『그림자의 짧은 역사』, 이윤희 역
    현실문화연구 [2006]
  • 불온한 것들의 존재론
    이진경 휴머니스트 [2011]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장소경험과 로컬 정체성』
    소명출판 [2013]
  •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 유』
    소명출판 [2013]
  • 뵐플린(Heinrich W lfflin), 『미술사의 기초개념』, 박지형 역
    하인리히 시 공사, ` [1994]
  • 버질 C. 올드리치(Aldrich, Virgilc),『예술철학』, 오병남 역, 서광사, 볼프하르트 행크만 (Wolfhart Henkmann),『미학사전』, 로터 엮음, 김진수 역
    예경, 2002 [2004]
  • 버나드 루도프스키(Bernard Rudofsky), 『건축가 없는 건축』, 김원 역
    도서출판 광장 [1979]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아케이드 프로젝트』, 조형준 역
    새물결 [2006]
  •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사진의 작은 역 사 외』
    최성만 역, 길 [2007]
  • 바슐라르(Gaston Bachelard), 『공간의 시학』, 곽광수 역
    가스통 동문선 [2003]
  •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 『지각의 현상학』, 류의근 역
    모리스 문학과지성사 [2002]
  •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 『의미와 무의미』권혁민 역
    모리스 서광사 [2008]
  •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남수인, 최의영 역
    모리스 동문선 [2004]
  • 메를로 퐁티(Maurice Merleau-Ponty), 『눈과 마음』, 김정아 역
    모리스 마 음산책 [2008]
  • 맥루한(Herbert Marshall McLuhan), 『구텐베르크 은하계』, 임상원 역
    마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1]
  • 말파스(Jeff Malpas), 『장소와 경험』, 김지혜 역
    제프 에코 [2014]
  • 린다 노클린(Linda Nochlin), 『리얼리즘』, 권원순 역
    미진사 [1997]
  • 리처드 니스벳, 『생각의 지도』, 최인철 역
    김영사 [2004]
  •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 『도시계획』, 정성현 역
    동녘 [2007]
  • 뤼펑(呂澎), 『20세기 중국미술사』, 이보연 역
    한길아트 [2013]
  •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밝은 방』, 김웅권 역
    동문선 [2006]
  •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기호의 제국』, 김주환 역
    산책자 [2008]
  • 레지스 드브레(Regis Debray), 『이미지의 삶과 죽음』, 정진국 역
    시각과 언어 [1994]
  • 레비나스의 타자철학
    윤대선 문예출판사 [2009]
  • 레베카 솔닛(Rebecca Solnit), 『이 페허를 응시하라』, 정혜영 역
    펜타그램 [2012]
  • 동양적 마음의 탄생
    문석윤 글항아리 [2013]
  • 동양미학론
    이상우 시공사 [1999]
  • 동양미의 탐구
    허영환 학고재 [1999]
  • 동양과 서양 두 지평선의 융합
    이광세 [1998]
  • 도시에 대한 권리-도시의 주인은 누구인가
    강현수 책세상 [2010]
  • 데이비드 하비(David Harvey),『반란의 도시』, 한상연 역
    에이도스 [2014]
  • 데 블레이(Harm de Blij), 『공간의 힘』, 황근하 역
    하름 천지인 [2009]
  • 다께우찌 도시오(竹內敏雄), 『미학 예술학 사전』, 안영길 역
    미진사 [2003]
  • 나오키(吉原直樹), 『모빌리티와 장소』, 이상봉, 신나경 역
    요시하라 심산 [2008]
  • 깊은 마음의 생태학
    김우창 김영사 [2014]
  • 기억의 풍경
    정기용 현실문화연구 [2010]
  • 그램 질로크(Graeme Gilloch), 『발터 벤야민과 메트로폴리스』, 노명우 역
    효형출판 [2005]
  • 공空이란 무엇인가』
    김영진 그린비 [2009]
  • 게오르그 짐멜(Georg Simmel), 『짐멜의 모더니티 읽기』, 김덕영, 윤미애 역
    새물결출판사 [2005]
  • 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김광현 공간서가 [2014]
  • 『흔적의 미학』
    박평종 미술문화 [2006]
  • 『한국 미술의 원더풀 리얼리티』
    강수미 현실문화 [2009]
  • 『한국 근대사의 풍경』
    노형석 생각의나무 [2005]
  • 『중국회화이론사』, 강관식 역
    갈로(葛路) 돌베게 [2010]
  • 『주자의 예술철학』
    김재경 도서출판 문사철 [2013]
  • 『존재의 미학』
    이지훈 이학사 [2009]
  • 『자비 윤리학』
    박이문 철학과현실사 [2008]
  • 『일상에서 장소를 만나다』
    이경한 푸른길 [2012]
  • 『오래된 골목길을 걷다』
    한필원 휴머니스트 [2012]
  • 『심미주의 선언』
    문광훈 김영사 [2015]
  • 『시각과 현대성』
    주은우 한나래 [2012]
  • 『세계의 모든 얼굴』
    이정우 한길사 [2007]
  • 『서울, 골목길 풍경』
    임석재 북하우스 [2009]
  • 『비평의 이미지』
    강수미 글항아리 [2013]
  • 『발기하는 사물들』
    조광제 안티구스 [2007]
  • 『공간의 사유와 공간이론의 사회적 전유』
    류지석 소명출판 [2013]
  • 『골목과 한칸』
    황순우 SPACETIME [2013]
  • 『감응의 건축』
    정기용 현실문화연구 [2008]
  • 『20세기 말의 미술』
    전혜숙 북코리아 [2013]
  • 「현대 도시 산책자로서의 장소성 연구」
    김홍식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 「현대 도시 공간의 표현에 있어서 비결정성과 시간성에 관한 연 구」
    김지혜 홍익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4]
  • 「재미교포의 북한에 대한 장소감과 행동양식」
    오인혜 서울대학교 박사학 위논문 [2013]
  • 「이미지의 재현과 이국정서」
    심상우 『대동철학회지』제57집 [2011]
  • 「엠마누엘 레비나스의 철학에서 예술과 타자성의 의미」
    임미희 홍익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2005]
  • 「서울 중계동 백사마을의 건축적 특성 연구」
    장용해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2]
  • 「산수화에 반영된 자연관과 집의 의미」
    박영택 『한국민족문화연구』제 33집, 년 5월 [2010]
  • 「레비나스 타자윤리와 도덕교육」
    이인숙 한국교원대학교 [2008]
  • 「근대 이후 건축에서의 투명성 개념 의미 변천에 관한 연구」
    김 준 부 산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2005]
  • 「E. Levinas 타자윤리에서 윤리적 소통에 관한 연구」
    김연숙 『윤리연 구』제44호 [2000]
  • 「20세기 프랑스 시의 풍경에 나타난 도시 사회학적 상상력」
    김시원 『불 어불문학연구』제94집 [2013]
  • (章啓群), 『중국 현대 미학사』, 신정근 외 2명
    장치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王伯敏), 『동양화 구도론』, 강관식 역, 미진사, W. 타타르키비츠(Wladyslaw Tatarkiewicz), 『미학의 기본 개념사』, 손효 주 역
    왕백민 미술문화, 2011 [2011]
  • (Paul Virilio), 『소멸의 미학』, 김경온 역
    비릴리오 연세대학교출판부 [2004]
  • (Martin Heidegger), 『존재와 시간』, 전양범 역
    마르틴 하이데거 동서문화사 [2008]
  • (Martin Heidegger), 『숲길』, 신상희 역
  • (Madan Sarup), 『후기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 전영백 역
    마단 사럽 조형교육 [2005]
  • (Jean Paul Sartre), 『존재와 무』, 정소성 역
    사르트르 동서문화사 [2009]
  • (Jane Jacobs),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유강은 역
    제이콥스 제인 그린비 [2010]
  • (Hannah Arendt), 『인간의 조건』, 이진우, 태정호 역
    아렌트 한나 한길사 [1996]
  • (Austin Harrington), 『예술과 사회 이론』, 정우진 역
    오스틴 해링턴 이학사 [2014]
  • (Arnold hauser), 『문학과 예술의 사회사4』, 백낙청 역
    아놀드 하우저 창 비 [19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