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自然情感의 中和的 表現硏究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김지현 2015년
논문상세정보
    • 저자 김지현
    • 형태사항 26 cm: xii, 186 p.: 채색삽도
    • 일반주기 지도교수:박선희, 성신여자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권말에 참고문헌 및 영문초록 수록, 서지적·설명적 각주 수록
    • 학위논문사항 2015. 8, 학위논문(박사)-,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학과(동양화전공)
    • 발행지 서울
    • 언어 kor
    • 출판년 2015
    • 발행사항 성신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유사주제 논문( 0)

' 自然情感의 中和的 表現硏究 : 연구자 작품을 중심으로' 의 참고문헌

  • 林道春(日本) 編, 『禮記』刊寫地未詳, 1628
  • 李炳海저, 신정근 역, 『동아시아 미학』
    동아시아 [2011]
  • 李澤厚저, 권덕주 김승심 역,『中國美學史』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2]
  • 劉?, 黃叔琳注,『文心雕龍』, 發行地不明王守仁,『傳習錄』, 刊寫者未詳, 1712
  • 沈宗騫書, 『芥舟學畵編』,刊寫年未詳, 1781
  • 老子, 『道德經學校』, 每日申報社司馬遷,『史記』, 刊寫者未詳, 1909
  • 金原省吾저, 민병산 역, 『동양의 마음과 그림』
    새문사 [2003]
  • 한국철학사상연구회,『우리들의 동양철학』
    동녘 [1997]
  • 한국의 미를 다시 읽는다
    권영필 돌베개 [2005]
  • 한국미의 이해
    김영기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8]
  • 풍경과 마음
    김우창 생각의 나무 [2006]
  • 최화 역,『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
    아카넷 [2003]
  • 차봉희 역, 『점 선 면』
    열화당 [2000]
  • 정영란 역, 『대지 그리고 휴식의 몽상』
    문학동네 [2002]
  • 저, 『동아시아 예술과 유가미학』
    임태승 세창출판사 [2013]
  • 이재언 역, 『경험으로서의 예술』
    책세상 [2013]
  • 유중하 역, 『동양과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2000]
  • 유교사상의 본질과 현재성
    최영진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2]
  • 월간미술, 『세계미술용어사전』
    월간미술 [1999]
  • 아도르노의 경험의 반란
    이병탁 북코리아 [2013]
  • 미술이란 무엇인가
    오광수 정우사 [2004]
  • 동양과 서양 두 지평선의 융합
    이광세 도서출판 길 [1998]
  • 동서양 미술의 지평
    서성록 재원 [1999]
  • 김현 역, 『몽상의 시학』
    기린원 [1993]
  • 김춘일 역, 『미술과 시지각』
    미진사 [1996]
  • 김웅권 역, 『꿈꿀 권리』
    동문선 [2008]
  • 김대원 역,『中國古代畵論類編』,제4편 산수2
    소명출판 [2010]
  • 김대원 역,『中國古代畵論類編』,제4편 산수1
    소명출판 [2010]
  • 권호 역,『華夏美學』
    동문선 [1999]
  • 국립현대미술관 편저, 『안상철 수묵과 오브제』
    삶과 꿈 [2003]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전호태 사계절출판사 [2000]
  • 高裕燮, 『미학과 미술평론-高裕燮全集8』
    열화당 [2013]
  • 韓林德저, 이찬훈 역,『깊은 뜻은 형상너머에 있다. 한권으로 읽는 동양미학』
    이학사 [2012]
  • 鎭兆復저, 김상철 역, 『동양화의 이해』
    시각과 언어 [1995]
  • 金種太, 『東洋畵論』
    민중서관 [1990]
  • 金元龍, 『韓國美의 探究』
    열화당 [1996]
  • 趙要翰, 『예술철학』
    미술문화 [2005]
  • 董其昌저, 변영섭 외 역, 『畵眼』
    시공사 [2003]
  • 葛路저, 강관식 역,『중국회화이론사』
    미진사 [1997]
  • 章啓群저, 신정근 외 역, 『중국 현대 미학사』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溫肇桐저, 강관식 역, 『중국회화비평사』
    미진사 [1994]
  • 渡?守저, 이병용 역, 『예술학』
    현대미학사 [1994]
  • 浦震元저, 신정근 외 역, 『의경』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3]
  • 洪瑞姸, 「王國維有我之境 無我之境論의 이론적 특징에 관한 고찰」, 中國學論叢
    高麗大學敎中國學硏究所 [2013]
  • 朱良志저, 신원봉 역, 『미학으로 동양인문학을 꿰뚫다』
    (주)알마 [2013]
  • 朱熹集註, 『正本中庸集註』, 全發行地不明, 1917 (懸吐本)
  • 朱熹,『中庸』,刊寫者未詳, 1758
  • 智順任,「石濤의 藝術과 思想」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79]
  • 智順任, 『산수화의 이해』
    일지사 [1993]
  • 方東美저, 정인재 역,『中國人의 生哲學』
    탐구당 [1983]
  • 成白曉역주,『論語集註』
    전통문화연구회 [2006]
  • 徐復觀저, 權德周외 역,『中國藝術精神』
    동문선 [1990]
  • 張法저, 백승도 역, 『장파교수의 중국미학사』
    푸른숲 [2012]
  • 張彦遠저, 조송식 역,『歷代名畵記上下』
    시공아트 [2013]
  • 張彦遠외 저, 김기주 역,『중국화론선집』
    미술문화 [2007]
  • 左丘明, 韋昭解, 宋庠補, 『國語』, 1849
  • 尹在根, 『東洋의 美學』
    둥지 [1995]
  • 尙虛安炳周敎授停年紀念論文集저,『동양철학의 자연과 인간』
    아세아문화사 [1998]
  • 兪劍華저, 김대원 역,『中國古代畵論類編』,제1편 범론3
    소명출판 [2010]
  • 先秦儒家 中和思想의 美學的 探究
    유영모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何晏集解,『論語』,刊寫地未詳朱熹集註, 『孟子』,刊寫地未詳『書經』,刊寫者未詳, 1664
  • 中庸
    김학주 서울대학교출판부 [2006]
  • 『禮記』上 中 下
    이상옥 명문당 [2003]
  • 『한국회화의 美』
    미술문화 [2012]
  • 『한국현대시와 東洋의 自然觀』
    신현락 한국문화사 [1998]
  • 『한국의 미술과 문화』
    시공사 [2000]
  • 『한국미술의 美』
    안휘준 효형출판 [2008]
  • 『풍경의 탄생』
    장석주 인디북 [2005]
  • 『중용의 덕과 합리성』
    장승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004]
  • 『중국화론으로 본 繪?美學』
    미술문화 [2005]
  • 『예술과 환영』
    Ernst Gombrich 저, 차미례 역 [2003]
  • 『소나무와 나비- 동아시아의 두 흐름』
    임태승 심산 [2004]
  • 『석도화론』
    김용옥 통나무 [2002]
  • 『베르그손 생성으로 생명을 사유하기』
    갈무리 [2014]
  • 『미학 예술학사전』
    안영길 미진사 [1990]
  • 『물질과 기억, 시간의 지층을 탐험하는 이미지와 기억의 미학』
    황수영 그린비 [2007]
  • 『동양사상』
    정규훈 전통문화연구회 [2003]
  • 『韓國現代美術의 美意識』
    재원 [1997]
  • 『集註完譯 中庸』上 下
    김수길 대유학당 [2008]
  • 『藝術論』
    김채수 박이정 [2014]
  • 『荀子』,刊寫者未詳(日本), 1745
  • 『石濤는 그림을 이렇게 그리라 하였다』
    박선규 신원 [2001]
  • 『書藝美學과 藝術精神』
    김응학 고륜 [2006]
  • 『書藝美學과 新書藝精神』
    송하경 다운샘 [2004]
  • 『大學 中庸講說』
    전통문화연구회 [2005]
  • 『中和思想의 哲學的理解』
    심우섭 성신여자대학교출판부 [2004]
  • 『‘畵學心法問答’과 淸初의 회화』
    김백균 한국미학회지 제35집, 한국미학회 [2003]
  • 「현대미술에 있어서 수묵의 가능성 모색 : 추상성 고찰과 미의식의확장」
    송수남 정진룡 『홍익대학교 미술 디자인논문집』제7호, 홍익대학교 미술디자인 공학연구소 [2002]
  • 「자연의 흔적, 자연의 성정」
    고충환 김지현 개인전 전시서문
  • 「유산 민병갑의 작품세계」
    신항섭 평론
  • 「유가에서 지향하는 ‘즐김(樂)의 경지’에 관한 연구」
    조남욱 『유교사상연구』제 28집, 년 4월 [2007]
  • 「앵포르멜에 나타난 표현 기법연구 : 마티에르를 중심으로」,『기초조형학연구』, 한국 기초 조형학회金泰煥,「栗谷精言妙選序移情蕩心說考察」
    김정현 陶南學報 [1999]
  • 「베르그손의 삶의 철학에서 본 시간과 공간」
    황수영 『프랑스학 연구』,프랑스문학회 [2000]
  • 「동양일보」
    류병학 [2010]
  • 「동양 회화의 意境에 관한 연구 : 산수화를 중심으로」
    양창석 성균관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10]
  • 「고구려벽화에 나타나는 나무의 기능과 변화」
    정연경 『기초조형학연구』vol.14no.2, 한국기초 조형학회 [2013]
  • Моисе?йСамо?йловичКага?н저, 진중권 역,『미학강의2』
    새길 [2010]
  • http://www
    허영환 ahnsangchul.co.kr/ahn/artworld/artworld3_3.html
  • Wolfhart Henkmann 저, 김지수 역,『미학사전』
    예경 [2002]
  • Wassily Kandinsky 저, 권영필 역,『예술에 있어서 정신적인 것에 대하여』
    열화당 [1986]
  • Theodor Adorno 저, 방대원 역,『미적이론』
    이론과 실천 [1991]
  • Schelling 저, 한자경 역,『자연철학의 이념』
    F.W.J 서광사 [1999]
  • Salim Kemal, 『Kant's Aesthetic Theory』, Macmillan, 1997
  • Rudolf Arnheim 저, 김정오 역, 『시각적 사고』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10]
  • Rene Huyghe 저, 김화영 역, 『예술과 영혼』
    열화당 [1979]
  • Mircea Eliade 저, 이재실 역, 『이미지와 상징』
    까치 [1998]
  • Mikel Dufrenne 저, 김채현 역,『미적체험의 현상학』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1996]
  • Michel Haar 저, 공정아 역, 『예술작품』
    동문선 [2005]
  • Melvin Miller Rader 저, 김광명 역, 『예술과 인간가치』
    까치 [2001]
  • Lin YuTang, 『The Chinese Theory of Art』, 東南亞書店股盆有限公司出版部,1967
  • Langer 저, 이승훈 역,『예술이란 무엇인가』
    Susanne K. 고려원 [1989]
  • John Dewey 저, 신득력 역, 『경험과 자연』
    계명대학교출판부 [1982]
  • John Berger 저, 박범수 역, 『본다는 것의 의미』
    동문선 [2000]
  • Johann Wolfgang von Goethe 저, 장희창 역,『색채론』
    민음사 [2003]
  • Jean-Luc Daval 저, 홍승혜 역,『추상미술의 역사』
    미진사 [1990]
  • J. Hirschberger 저, 강성위 역,『서양철학사 下』
    이문출판사 [2003]
  • Hippolyte Taine 저, 정재곤 역,『예술철학』
    (주)나남 [2013]
  • Henri Bergson 저, 박종원 역,『물질과 기억』
    아카넷 [2005]
  • Guila Ballas 저, 한택수 역, 『현대미술과 색채』
    궁리 [2002]
  • George Rowley 저, 김기주 역, 『동양화의 원리』
    중앙일보 [1987]
  • Georg W F.Hegel 저, 서정혁 역, 『미학강의』
    지식을 만드는 지식 [2012]
  • Gaston Bachelard 저 곽광수 역,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 Dave Lauer 저 ,이대일 역,『조형의 원리』
    예경 [1996]
  • Cyril Morana Eric Oudin 저, 한의정 역,『예술철학』
    미술문화 [2013]
  • Clement, Greenber 저, 조주연 역, 『예술과 문화』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4]
  • Chiang Yee,『The Chinese Eye』, Indiana University Press, 1936
  • Aleida Assmann 저, 변학수 외 역, 『기억의 공간』
    경북대학교출판부 [2003]
  • 20:06:03,http://www.dynews.co.kr/detail.php?number=66414&thread=12r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