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현대한국어 비통사적 합성어 연구 = A Study on Asyntactic Compound in Modern Korean

손뢰 2015년
논문상세정보
' 현대한국어 비통사적 합성어 연구 = A Study on Asyntactic Compound in Modern Korean'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단어구조
  • 비통사적 합성어
  • 생산성
  • 순화어
  • 신어
  • 어근형성요소
  • 어근화요소
  • 임시어
  • 접두사
  • 준말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689 0

0.0%

' 현대한국어 비통사적 합성어 연구 = A Study on Asyntactic Compound in Modern Korean' 의 참고문헌

  • 후기 중세국어 색채어의 어휘적 특징과 의미, ≪국어학≫ 47
    이선영 국어학회, 235-263 [2006]
  • 활용형의 단어 형성 참여 방식에 대한 연구
    송원용 국어연구 153 [1998]
  • 혼성어 형성 방식에 대한 고찰, ≪국어학≫ 58
    노명희 국어학회,255-281 [2010]
  • 형태소와 어소 재론, ≪문법과 텍스트≫(고영근선생 정년퇴임 논총)
    최형용 서울대학교 출판부, 264-276 [2002]
  • 형태소와 문법기술, ≪어문학≫ 109
    이홍식 한국어문학회, 1-34 [2010]
  • 형태분석의 방법에 대하여, ≪지역학논집≫ 8
    이홍식 숙명여자대학교지역학연구소, 29-54 [2005]
  • 형태론적 과정에 나타나는 음운론적 현상에 대하여, ≪한국어학≫ 37
    김유범 한국어학회, 47-73 [2007]
  • 형태론의 제자리 찾기, ≪형태론≫ 1-2
    박진호 박이정, 319-340 [1999]
  • 형태론과 어휘: 어휘적 단어, 어휘부, 어휘 관계를 중심으로,≪관악어문연구≫ 36
    최형용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6-48 [2011]
  • 형태론과 공시태 ? 통시태, ≪국어국문학≫ 131
    송원용 국어국문학회, 165-190 [2002]
  • 형태론 연구의 쟁점과 전망: 유추론자와 규칙론자의 논쟁을중심으로, ≪한국어학≫ 48
    송원용 한국어학회, 1-44 [2010]
  • 형태론 연구의 대상과 술어의 이론적 정합성, ≪형태론≫9-2
    송원용 박이정, 293-310 [2007]
  • 형태론
    전상범 한신문화사 [1995]
  • 형태론
    안상철 민음사 [1998]
  • 형용사 파생에 관여하는 어근 접미사 연구, ≪한국언어문학≫39
    임성규 한국언어문학회, 1-19 [1997]
  • 형용사 반복구성: 희디희다, 크나크다, 넓고 넓다, ≪국어학≫42
    송재목 국어학회, 27-52 [2003]
  • 현대국어의 화석과 그 역사적 해석, ≪국어학≫ 45
    이현희 국어학회,275-288 [2005]
  • 현대국어의 풀이씨의 합성법
    김계곤 ≪논문집≫ 5, 인천교육대학교,73-100 [1970]
  • 박사
  • 현대국어의 조어법 연구
    이상복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현대국어의 접미사에 대한 구조적 연구(2): 통합관계를 중심으로, ≪아시아연구≫ 15-4
    고영근 아시아문제연구소, 55-80 [1972]
  • 현대국어의 임자씨의 비통사적 합성법, ≪국어국문학≫ 55-57
    김계곤 국어국문학회, 43-55 [1972]
  • 현대국어의 소형발화 연구, ≪텍스트언어학≫ 2
    장소원 한국텍스트언어학회, 261-285 [1994]
  • 박사
  •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
    노명희 태학사 [2005]
  • 현대국어 접두사 연구
    안효경 국어연구 117 [1993]
  • 현대국어 임시어의 형태론, ≪형태론≫ 2-1
    송원용 박이정, 1-16 [2000]
  • 현대국어 의성어의태어 연구
    신중진 국어연구 154 [1998]
  • 현대국어 의성 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새국어생활≫ 3-2
    박창원 국 립국어연구원, 16-53 [1993]
  • 현대국어 반복복합어의 구조, ≪국어학연구≫(백영 정병욱선생환갑기념논총Ⅰ)
    이익섭 신구문화사, 42-54 [1983]
  • 현대국어 동사 ‘하‒’의 의미와 기능
    양명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0]
  •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송정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현대 국어의 조어법 연구
    김계곤 박이정 [1996]
  • 현대 국어의 단어 형성법 연구
    김정은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박사
  • 현대 국어 신어의 유형 분류 및 생성 원리, ≪국어학≫ 33
    문금현 국어학회, 295-325 [1999]
  • 향가와 고려가요
    김완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0]
  • 합성어의 하위분류, ≪한국언어문학≫ 33
    양영희 한국언어문학회, 47-65 [1994]
  • 합성어 형성과 어순, ≪국어국문학≫ 143
    최형용 국어국문학회, 235-272 [2006]
  • 합성어 구성에 대한 검토: 어휘구조와 어형성 규칙(2)
    성광수 ≪한글≫ 201, 31-56 [1988]
  • 합성법의 변화, ≪국어사연구≫(전광현 송민 선생 화갑기념논총)
    김창섭 태학사, 815-840 [1997]
  • 합성명사에서의 의미 전이와 관습화, ≪한국언어문학≫ 58
    채현식 한국언어문학회, 5-23 [2006]
  • 박사
    합성동사의 국어사적 연구
    김광우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5]
  • 한자어 형성과 고유어 문법의 제약, ≪국어학≫ 37
    김창섭 국어학회, 177-195 [2001]
  • 한자계 어근 분류 방식의 심리적 실재성, ≪형태론≫ 13-2
    송원용 박이정, 225-244 [2011]
  • 한국어의 형태론적 현저성에 대하여, ≪형태론≫ 13-1
    최형용 박이정, 1-28 [2011]
  •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채 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3]
  • 한국어 형태음운론적 연구
    송철의 태학사 [2008]
  •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적 보편성과 특수성: 하스펠마트(2002)와 관련하여, ≪형태론≫ 11-2
    최형용 박이정, 425-438 [2009]
  •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최형용 박이정 [2013]
  • 한국어 형태론 연구
    김창섭 태학사 [2008]
  • 한국어 형성사
    이기문 삼성미술문화재단 [1981]
  • 한국어 색채 표현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형태론≫ 10-2
    구본관 박이정, 261-285 [2008]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한국어 간색의 결합 양상과 특성, ≪민족문화논총≫ 37
    김남경 이현희 영남대학교민족문화연구소, 491-519 [2007]
  • 박사
  • 표준 중세국어문법론(제3판)
    고영근 집문당 [2010]
  • 박사
  • 파생어형성과 음운현상
    송철의 국어연구 38 [1977]
  • 파생과 합성, 다시 생각하기, ≪국어학≫ 66
    최윤지 국어학회, 265-306 [2013]
  • 통어론적 구성에 의한 어형성에 관한 연구, ≪성곡논총≫ 5
    유목상 성곡학술문화재단, 103-124 [1974]
  • 통사적 어근의 성격과 범위, 국어교육 112
    이호승 한국어교육학회, 373-397 [2003]
  • 통사적 결합 관계와 논항 구조
    박진호 국어연구 123 [1994]
  • 통사성과 합성어의 유형 변화, ≪한국어학≫ 52
    김유범 한국어학회,119-143 [2011]
  • 체언화 어미 ‘-어, -게, -고’의 의미, ≪어문논집≫ 26-1
    홍종선 안암어문학회, 433-453 [1986]
  • 중세국어의 형태론과 관련된 몇 문제, ≪21세기, 형태론 어디로 가는가≫
    이현희 박이정, 223-237 [2006]
  • 중세국어의 합성어와 음운론적인 정보, ≪석정 이승욱선생 회갑기념논총≫
    이현희 태학사, 315-333 [1991]
  • 중세국어의 강세접미사에 대한 일고찰, ≪한국어문학논고≫
    이현희 태학사, 707-724 [1997]
  • 중세국어구문연구
    이현희 신구문화사 [1994]
  • 중세국어 비통사적 합성용언의 의미관계, ≪국어교육연구≫31-1
    송창선 국어교육학회, 203-220 [1999]
  • 중세국어 비통사적 복합동사의 특성, ≪주시경학보≫ 10
    이선영 탑출판사, 121-126 [1992]
  • 중세국어 복합동사의 구성에 관한 연구, ≪어학연구≫ 35-1
    한재영 서울대학교 언어연구소, 123-149 [1999]
  • 중세국어 ‘둗겁-’의 형태론, ≪진단학보≫ 63
    이현희 진단학회,133-150 [1987]
  • 중세?근대국어 형태론의 몇 문제, ≪문법과 텍스트≫
    이현희 서울대학교 출판부, 139-155 [2002]
  • 조어법과 통사론의 관계에 대하여, ≪한글≫ 279
    최규수 한글학회,61-87 [2008]
  • 조어론의 규칙과 표시, ≪형태론≫ 1-1
    채현식 박이정, 25-42 [1999]
  • 조어 능력과 조어법 연구 방법론, ≪언어의 이론과 분석(1)≫
    구본관 태학사, 129-171 [2002]
  • 정보의 처리와 표상의 측면에서 본 괄호매김역설, ≪한국언어문학≫ 74
    채현식 한국언어문학회, 147-169 [2010]
  • 전문 용어의 형태론: 지침으로서의 전문 용어 형성 원칙을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31
    최형용 한중인문학회, 293-323 [2010]
  • 잠재어와 접사: ‘갈림길’형 복합명사를 중심으로, ≪한말연구≫25
    황화상 한말연구학회, 377-398 [2009]
  • 자립명사로 발달하는 한자어 파생접미사에 대하여, ≪형태론≫10-2
    최윤지 박이정, 319-333 [2008]
  • 임시어의 형성과 등재: ‘통사론적 구성의 단어화’를 중심으로, ≪한국어학≫ 52
    정한데로 한국어학회, 211-241 [2011]
  • 임시어의 실재성 확립을 위하여, ≪어문연구≫ 41-1
    정한데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19-149 [2013]
  • 인지형태론의 과제와 전망, ≪한국어학≫ 16
    송원용 한국어학회,65-87 [2002]
  • 의성어의 조어원리와 단어형성 참여 양상, ≪형태론≫ 1-1
    신중진 박이정, 61-73 [1999]
  • 의미관계와 형태 결합 양상, ≪어문논총≫ 49
    김의수 한국문학언어학회, 83-113 [2008]
  • 음운론적 시각에서 본 중세국어 합성어의 긴밀성, ≪진단학보≫95
    이진호 진단학회, 201-228 [2003]
  •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채현식 태학사 [2003]
  • 유음탈락의 음운론과 형태론, ≪한글≫ 173?174
    이병근 한글학회,223-246 [1975]
  • 우리말의 형태와 의미
    하치근 경진 [2009]
  • 우리말의 비슷한 꼴 되풀이 낱말 연구
    한길 역락 [2010]
  • 우리말의 낱말 생성 되풀이법 연구
    한길 강원대학교출판부 [2009]
  • 우리 옛말본 -15세기 국어 형태론-
    허웅 샘문화사 [1975]
  • 용언의 어근 분리 현상에 대하여, ≪언어≫ 4-2
    임홍빈 한국언어학회, 55-76 [1979]
  • 용례 기반 이론에서의 어휘 지식 표상, ≪형태론≫ 11-2
    채현식 박이정, 269-286 [2009]
  • 요긴하게 쓸 만한 다듬은 말 61개
    김문오 국립국어원 [2011]
  • 외래어 요소가 포함된 단어 형성 연구, ≪관악어문연구≫ 22
    이광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519-542 [1997]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연세 한국어사전
    두산동아 [2006]
  • 연결주의 관점에서 본 어휘부와 단어 형성
    나은미 박이정 [2009]
  • 연결망과 단어형성, ≪국어학≫ 46
    이광호 국어학회, 125-145 [2005]
  • 언어단위로서의 상당어 설정 시고, ≪형태론≫ 4-1
    김의수 박이정,81-101 [2002]
  • 언어 화석의 확인과 공시적 처리 방안, ≪한국어학≫ 48
    장윤희 한국어학회, 45-76 [2010]
  • 어휘부의 자기조직화, ≪한국언어문학≫ 63
    채현식 한국언어문학회,137-155 [2007]
  • 어휘부의 구조, 그리고 단어의 분석과 형성, ≪배달말≫ 53
    황화상 배달말학회, 131-160 [2013]
  • 어휘부와 형태론, ≪국어학≫ 66
    최형용 국어학회, 361-413 [2013]
  • 어휘부란 무엇인가, ≪국어학≫ 66
    채현식 국어학회, 307-333 [2013]
  • 어휘 구성소 ‘-?/을-’과 그 화석어에 대하여, ≪국어국문학≫161
    신중진 국어국문학회, 167-198 [2012]
  • 어근적 단어의 형태 통사론, ≪한국어학≫ 11
    김일환 한국어학회,213-226 [2000]
  • 어근류 한자어의 문법적 특성, ≪어문연구≫ 118
    노명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73-96 [2003]
  • 어근과 어기에 대하여, ≪형태론≫ 4-2
    최형용 박이정, 301-318 [2002]
  • 어근 개념의 재검토, ≪어문연구≫ 37-1
    노명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59-83 [2009]
  • 신어의 어휘부 등재 시점 연구: 어휘 지식 유무 검사를 통한 검증, ≪국어학≫ 46
    송원용 국어학회, 97-123 [2005]
  • 시각형용사의 어휘론, ≪관악어문연구≫10
    김창섭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49-176 [1985]
  • 순화어의 형태의미론적 고찰: 국민 참여형 순화어 299개를 중심으로, ≪한중인문학연구≫ 36
    최형용 한중인문학회, 127-159 [2012]
  • 소멸어 연구의 한 가지 방법에 대하여, ≪어문연구≫ 135
    이선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13-134 [2007]
  • 생성문법과 국어 조어법 연구 방법론, ≪주시경학보≫ 9
    구본관 탑출판사, 50-77 [1992]
  • 새말의 조어 문화적 특성 연구
    김정식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상징부사의 의미적 특성에 대한 연구: ‘거리다/대다/이다/하다’와의 결합관계를 중심으로, ≪어문연구≫ 33-3
    이민우 한국어문교육연구회, 59-82 [2005]
  •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편, ≪조선말대사전≫
    사회과학출판사 [1992]
  • 사이시옷 문제의 해결을 위하여, ≪국어학≫ 10
    임홍빈 국어학회, 1-36 [1981]
  • 사이버 언어의 조어법 연구, ≪한국어학≫ 31
    시정곤 한국어학회,215-243 [2006]
  • 사이버 언어와 경제성의 원리, ≪국제어문≫ 25
    송민규 시정곤 국제어문학회, 201-224 [2002]
  • 비통사적 합성법 연구, ≪국어교육≫ 87
    김정은 한국국어교육연구회,195-210 [1995]
  • 박사
    비통사적 복합동사의 발달과정 연구
    함희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 불규칙적 고유어 어근의 심리적 실재성, ≪국어국문학≫ 159
    송원용 국어국문학회, 5-30 [2011]
  • 복합어의 어기와 조어법 체계에 대하여, ≪한글≫ 277
    최규수 한글학회, 133-158 [2007]
  • 복합어,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김창섭 동아출판사, 178-185 [1990]
  • 복합어 형태 분석과 공형태, ≪국어국문학≫ 162
    송정근 국어국문학회, 85-107 [2012]
  • 복합어 분석에 의한 단어의 변화, ≪어문연구≫ 38-3
    정한데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03-128 [2010]
  • 복합어 구성성분의 의미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 87
    이석주 한국국어교육연구회, 247-269 [1995]
  • 복합어 구성 요소의 의미 관계에 대하여, ≪국어학≫ 70
    최형용 국어학회, 85-115 [2014]
  • 복합명사의 신생과 어휘화 과정에 대하여, ≪국어국문학≫ 88
    김광해 국어국문학회, 5-29 [1982]
  • 복합명사를 찾아서, ≪국어학≫ 24
    김동식 국어학회, 385-401 [1994]
  • 복합 색채어의 의미: 사전의 뜻풀이를 중심으로, ≪국어학≫55
    구본관 국어학회, 173-211 [2009]
  • 발화문의 어휘화와 사전 기술, ≪한국사전학≫ 11
    주지연 한국사전학회, 175-195 [2008]
  • 문장형 단어형성요소의 형성과 특성: 용언 어간과 종결어미 결합형을 대상으로, ≪민족문화논총≫ 48
    오민석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239-264 [2011]
  • 문법화의 이해
    이성하 한국문화사 [1998]
  • 문법화의 단계와 형태소 형성, ≪국어학≫ 37
    이승욱 국어학회, 263-283 [2001]
  • 명사화소 ‘-기’의 의미기능과 그 기원에 대한 소고, ≪이기문교수 정년퇴임기념논총≫
    이광호 신구문화사, 430-454 [1996]
  • 명사의 형태론, ≪한국어학≫ 62
    채현식 한국어학회, 97-122 [2014]
  • 명명 과제(naming task)를 기반으로 한 임시어의 형태론,≪국어학≫ 68
    정한데로 국어학회, 367-404 [2013]
  • 동사어간형태소의 발달에 대하여, ≪진단학보≫ 38
    이승욱 진단학회,151-181 [1974]
  • 대치(代置)에 의한 단어형성, ≪형태론≫ 5-1
    채현식 박이정, 1-21 [2003]
  • 대중문화사전
    김기란 현실문화연구 [2009]
  • 대등합성어의 의미분석, ≪배달말≫ 10
    임지룡 배달말학회, 87-114 [1985]
  • 단어형성의 의미론적 제약, ≪기전어문학≫ 8-9
    시정곤 수원대학교국어국문학회, 341-358 [1994]
  • 단어형성에서의 유표성원리, ≪주시경학보≫ 9
    신지영 탑출판사, 106-111 [1992]
  • 단어형성법의 분류기준에 대하여, ≪어문학≫ 85
    이호승 한국어문학회, 85-110 [2004]
  • 단어형성론 논의의 화장을 위하여: 양정호(2008)에 답함, ≪형태론≫ 12-1
    구본관 박이정, 111-119 [2010]
  • 단어형성과정의 문제: 구본관(1998)을 중심으로, ≪형태론≫10-2
    양정호 박이정, 421-435 [2008]
  • 단어형성과정의 공시성과 통시성, ≪형태론≫ 3-1
    이호승 박이정,113-119 [2001]
  • 단어형성과 음절수, ≪국어국문학≫ 138
    최형용 국어국문학회, 183-205 [2004]
  • 단어를 바라보는 눈, ≪문법과 텍스트≫
    시정곤 서울대학교 출판부,195-215 [2002]
  • 단어 형성과 직접 성분 분석, ≪국어학≫ 36
    최형용 국어학회, 161-190 [2000]
  • 다듬은 말, ≪한국어문학논고≫
    최태영 태학사, 7-46 [1997]
  • 금성판 국어대사전
  • 근대국어의 단어형성에 대한 고찰, ≪어문연구≫ 33-2
    이선영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03-127 [2005]
  • 근대국어 복합명사 연구
    박용찬 국어연구 122 [1994]
  • 규칙과 유추의 틀, ≪이병근선생퇴임기념 국어학논총≫
    채현식 태학사,567-583 [2005]
  • 국어형태소의 유형과 의미, ≪한국어문교육≫
    성광수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1-19 [1988]
  • 국어형태론연구의 문제점, ≪배달말≫ 39
    송철의 배달말학회, 117-141 [2006]
  •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송철의 국어학회 [1992]
  • 국어의 통사적 어형성, ?국어학? 22
    고창수 국어학회, 259-269 [1992]
  • 국어의 융합현상
    이지양 태학사 [1998]
  • 국어의 어휘부 사전에 대한 연구, ≪언어연구≫ 17-1
    시정곤 한국현대언어학회, 163-184 [2001]
  • 국어의 어중?어말 ‘ㄱ’의 성격에 대한 종합적 고찰, ≪한신논문집 ≫4
    이현희 한신대학교, 225-282 [1987]
  • 박사
  • 국어의 복합어에 대한 연구: 구와 복합어 구분의 기준 설정을위한, ≪어문학≫ 23
    김규선 한국어문학회, 93-123 [1970]
  • 국어의 단어형성체계 재론, ≪진단학보≫ 104
    송원용 진단학회,105-126 [2007]
  •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김창섭 태학사 [1996]
  • 국어의 단어형성 원리
    시정곤 한국문화사 [1998]
  • 국어의 단어와 조어: 어휘구조와 어형성 규칙(1), ≪주시경학보≫ 1
    성광수 탑출판사, 88-110 [1988]
  • 국어의 단어 구조에 대하여, ≪형태론≫ 1-2
    최형용 박이정, 245-260 [1999]
  • 국어문법론Ⅰ
    임홍빈 장소원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1995]
  • 국어 형태론에서 단어형성 전용요소의 설정에 대한 타당성 연구, ≪한국어학≫ 38
    시정곤 한국어학회, 83-107 [2008]
  • 국어 형태 단위의 의미와 단어 형성
    황화상 월인 [2001]
  • 국어 형태 구조 연구, ≪한국어학≫ 11-1
    황화상 한국어학회, 339-357 [2000]
  • 국어 형용사의 의미 구조, 한국어의미학 8
    김정남 한국어 의미학회, 171-199 [2001]
  • 국어 형용사의 유형에 대한 연구, 국어학 36
    유현경 국어학회,221-258 [2000]
  • 국어 형용사의 연구
    김정남 역락 [2005]
  • 국어 형용사 연구
    유현경 한국문화사 [1998]
  • 박사
  • 국어 품사 분류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국어연구의 이론가 실제≫(이광호교수 회갑기념 논총)
    임홍빈 태학사, 705-761 [2001]
  • 국어 파생 의태어근의 형태통사적 특성 연구
    김강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 국어 조어론 연구의 어제와 오늘, ≪한힌샘주시경연구≫ 7-8
    하치근 한글학회, 165-208 [1995]
  • 국어 접사의 기능과 형태 범주: 복합어 내부의 개재 접사를 중심으로, ≪언어≫ 27-4
    황화상 한국언어학회, 683-702 [2002]
  • 국어 접두사화 연구
    김덕신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4]
  • 국어 의성어 의태어 연구의 몇 문제, ≪진단학보≫ 89
    채 완 진단학회, 207-221 [2000]
  • 국어 음운론 강의
    이진호 삼경문화사 [2005]
  • 국어 어휘의 품사별 의미 구조: 품사 분류사에 나타난 의미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어 의미학≫ 8
    이광정 한국어의미학회, 1-81 [2001]
  • 국어 어휘부의 등재소에 관한 연구
    채현식 국어연구 120 [1994]
  •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송원용 태학사 [2005]
  • 국어 어휘론 신강
    심재기 태학사 [2000]
  • 국어 어휘론
    김종택 탑출판사 [1992]
  • 국어 어간복합어 연구
    이선영 태학사 [2006]
  • 국어 신어의 정착에 대한 연구, ≪한국어 의미학≫ 24
    이선영 한국어의미학회, 175-195 [2007]
  • 국어 색채어 연구, ≪한말연구≫ 6
    손세모돌 한말연구학회, 133-165 [2000]
  • 국어 사전에서의 파생어 처리에 관한 연구
    김창섭 송철의 이남순 국립국어연구원 [1992]
  • 국어 비통사적 합성어의 통시적 연구
    조현룡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국어 복합명사의 IC분석, ≪국어국문학≫ 30
    이익섭 국어국문학회,121-129 [1965]
  • 국어 복합명사 구성의 이해,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 전개≫
    이재인 민음사, 612-628 [1991]
  • 국어 반복어의 구성 방식, ≪형태≫
    채 완 태학사, 305-327 [1993]
  • 국어 동의중복 현상, ≪국어학≫ 54
    노명희 국어학회, 275-302 [2009]
  • 국어 단어의 형태와 통사-통사적 결합어를 중심으로-
    최형용 태학사 [2003]
  • 국어 단어 형성에서 형태 ? 통사원리에 대한 연구
    고재설 서강대학교박사학위논문 [1994]
  •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동아 [1999]
  • 국립국어연구원 편, ≪국어사전에서의 합성어 처리에 관한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3]
  • 국립국어연구원 편, ≪(95년)신어≫
    국립국어연구원 [1995]
  • 국립국어연구원 편, ≪(2004년)신어≫
    국립국어연구원 [2004]
  • 국립국어연구원 편, ≪(2003년)신어≫
    국립국어연구원 [2003]
  • 국립국어연구원 편, ≪(2002년)신어≫
    국립국어연구원 [2002]
  • 국립국어연구원 편, ≪(2001년)신어≫
    국립국어연구원 [2001]
  • 국립국어연구원 편, ≪(2000년)신어≫
    국립국어연구원 [2000]
  • 구성 형태론은 가능한가: 보이 (2010), ConstructionMorphology를 중심으로, ≪형태론≫ 15-1
    최형용 박이정, 82-114 [2013]
  • 공형태소와 형태 분석에 대하여, ≪국어학≫ 57
    시정곤 국어학회,3-30 [2010]
  • 공시적 언어기술과 통시성의 몇 문제, ≪한국 언어학 연구와한국어 교육≫(강은국 선생 대학교직 종사 40주년 기념)
    송철의 하우,31-47 [2015]
  • 고유어 복합어근 범주 설정에 대하여, ≪어문연구≫ 37-3
    송정근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45-167 [2009]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고려대한국어대사전≫
    고려대학교민족문화연구원 [2009]
  • 경동사 ‘하다’의 두 가지 보어, ≪관악어문연구≫ 27
    김창섭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49-186 [2002]
  • ㄱ), 품사의 경계: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 ≪한국어학≫47
    최형용 한국어학회, 61-92 [2010]
  • 「현대국어의 복합동사연구」
    김창섭 국어연구 47 [1981]
  • 박사
    「한국어 어휘형성에 관한 연구」
    최규일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9]
  • ≪현대형태론≫
    김영석 이상억 학연사 [1992]
  • ≪한국어의 부사≫
    서정수 서울대학교출판부 [2008]
  • ≪표준국어문법론≫(1985/2011)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1985]
  • ≪우리말갈래사전≫
    박용수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어휘사 연구≫
    유창돈 이우출판사 [1980]
  • ≪근대국어 조어론 연구(1)≫
    기주연 태학사 [1994]
  • ≪국어형태론연구≫(증보판)
    고영근 서울대학교출판부 [1989]
  • ≪국어형태론≫
    이석주 한샘 [1989]
  • ≪국어 합성어 연구≫
    김일병 역락 [2000]
  • ≪15세기 국어의 활용어간에 대한 형태론적 연구≫
    안병희 탑출판사 [1982]
  • “국어의 합성동사 형성과 어기분리”
    허철구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7]
  • ‘형성소’와 ‘어근’ 개념의 재고를 통한 ‘어근 분리 현상’의 해석,≪국어학≫ 56
    최형강 국어학회, 34-60 [2009]
  • ‘헛발’ 류의 문법, ≪국어학≫ 72
    김창섭 국어학회, 71-102 [2014]
  • ‘하다’ 형용사에서의 표현적 장음,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전개≫(김완진 선생 회갑기념 논총)
    김창섭 민음사, 744-764 [1991]
  • ‘하다’ 동사 형성의 몇 문제, ≪관악어문연구≫ 22-1
    김창섭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47-267 [1997]
  • ‘줄임말’과 통사적 결합어, ≪국어국문학≫ 135
    최형용 국어국문학회, 191-220 [2003]
  • ‘줄넘기’와 ‘갈림길’형 합성명사에 대하여
    김창섭 ≪국어학≫ 12, 73-99 [1983]
  • ‘봄놀다’와 ‘붑괴다’에 대한 어원론적 형태 분석, ≪형태론≫2-2
    박진호 박이정, 209-214 [2000]
  • ‘명사+명사’ 합성어 구성요소의 의미관계 연구, ≪한국어 의미학≫ 34
    이민우 한국어 의미학회, 235-257 [2011]
  • ‘동사 어간+아/어+동사 어간’ 합성 동사 형성의 원리, ≪문법과 텍스트≫(고영근선생 정년퇴임논총)
    구본관 서울대학교출판부, 173- 193 [2002]
  • ‘도우미’와 ‘다리미’의 형성구조, ≪형태론≫ 5-2
    김유범 박이정,351-365 [2003]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형태론: 어휘장 형태론을 제안하며, ≪형태론≫ 16-1
    최형용 박이정, 1-23 [2014]
  • ‘ㄹ’ 말음 어기 합성 명사의 형태론, ≪형태론≫ 2-1
    구본관 박이정,17-41 [2000]
  • ‘aa - 하다’ 형용사의 형태 의미론적 특징, ≪형태론≫ 5-2
    김정남 박이정, 225-254 [2003]
  • ‘X하다’와 ‘X를 하다’의 관계에 대하여, ≪어학연구≫ 37-1
    김창섭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63-85 [2001]
  • Y. Tsuji(編), 認知言語學キ-ワ-ド事典, [임지룡 외 역, ≪인지언어학키워드 사전≫
    한국문화사.] [2004]
  • Word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lexicon: 3rd ed, Oxford: Blackwell publishing. [홍우평 역(2012),≪언어와 마음≫
    Aitchison, J. 역락.] [2003]
  • The generative lexicon, Cambridge, Mass: MITPress. [김종복 ? 이예식 역(2002), ≪생성어휘론≫
    Pustejovsky, J. 박이정.] [1995]
  • Semantic Relations and the Lexicon
    Murphy, M. L. CambridgeUniversity Press. [임지룡 윤희수 역(2008), ≪의미관계와 어휘사전≫, 박이정.] [2003]
  • Morphology: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Meaning and Form, Philadelphia: J. Benjamins Pub. co. [이성하 구현정 역(2000), ≪형태론: 의미-형태의 관계에 대한 연구≫
    Bybee, J. L. 한국문화사.] [1985]
  • Lexical semantics
    Cruse, D. A Cambridge University Press. [임지룡 윤희수 역(1989), ≪어휘의미론≫, 경북대학교출판부.] [1986]
  • Katamba, F.(1993), Morphology, London: The Macmillan Press.
  • K. Fudeman, What is Morphology?, Oxford:Blackwell publishing. [김경란 역(2005), ≪형태론≫
    Aronoff, M. 한국문화사.] [2005]
  • Haspelmath, M. & D. S. Andrea(2010), Understanding Morphology: 2nd,London: Hodder Education.
  • Foundations of Cognitive Grammar
    Langacker, R. W. StanfordUniversity Press. [김종도 옮김(1999), ≪인지문법의 토대≫,박이정.] [1987]
  • Downing, P.(1977), On the creation and use of English compoundnouns, Language 53, Number 4, 810-842.
  • Cognitive Grammar, New York: Oxford UniversityPress. [임지룡 ? 김동환 옮김(2005), ≪인지문법≫
    Taylor, J. R. 한국문화사.] [2002]
  • 2005년 신어
    김한샘 국립국어연구원 [2005]
  • 15세기 국어의 표기법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국어학≫ 16
    송철의 국어학회, 325-360 [1987]
  •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구본관 국어학회 [1998]
  • /2000), ≪국어학개설≫
    이익섭 학연사 [1986]
  • /2000), ≪국어어휘론≫
    심재기 집문당 [1982]
  • /1998), ≪국어사개설≫(신정판)
    이기문 태학사 [1972]
  • /1993), 국어 조어론의 몇 문제, ≪형태≫
    이익섭 태학사, 25-43 [1975]
  • /1989),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문화사 [19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