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한국어 품사 통용 연구

논문상세정보
' 한국어 품사 통용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경계 모호성
  • 영파생
  • 의미전이
  • 재등재
  • 전성
  • 전환
  • 통용
  • 품사 통용 유형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62 0

0.0%

' 한국어 품사 통용 연구' 의 참고문헌

  • 형태론
    전상범 한신문화사 [1995]
  • 박사
    형용사·동사 양용 용언에 대한 연구
    김선영 서울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1]
  • 현대국어 형태론
    황화상 지식과교양 [2011]
  • 현대국어 한자어 연구
    노명희 태학사 [2005]
  • 현대 한국어 조어법 연구
    이상복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 박사
    현대 국어의 관형사 연구: 사전의 분류타당성을 중심으로
    조미경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박사
    한국어의 특이파생법 연구
    임지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2]
  • 한국어의 명사, II
    홍재성 『새국어생활』 11-4, 119-132 [2001]
  • 한국어의 명사 I
    홍재성 『새국어생활』 11-3, 129-144 [2001]
  • 한국어 형태론의 유형론
    최형용 박이정 [2013]
  • 박사
    한국어 파생 부사 연구
    Jin Hong-Mei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박사
    한국어 체언 수식 부사에 대한 연구
    Pawel, Kida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0]
  • 한국어 부사의 술어성: 품사론의 새로운 시각을 위하여
    김정웅 『언어학』 52, 167-186 [2008]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한국어 명사 연구
    정희정 한국문화사 [2000]
  • 한국어 관형어 연구
    김선효 역락 [2011]
  • 한국어 감탄사의 문법적 특성 연구
    양양 강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문교부 학교문법 통일에 따른 중학 국문법』,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38책
    박이정 [1964]
  • 한국국어교육연구회, 『문교부 학교문법 통일에 따른 고등 국문법』,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38책
    박이정 [1964]
  • 품사분류와 “품사의 통용”
    이정택 『인문논총』 24, 57-69 [2012]
  • 품사로서의 명사와 통사범주로서의 명사
    한정한 『한말연구』 23, 427-451 [2008]
  • 품사 통용의 몇 문제 — 기본 개념을 중심으로 —
    남수경 『개신어문연구』 33, 105-127 [2011]
  • 표준문법
    정인승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8책, 박이정 [1968]
  • 표준 고등 말본
    정인승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31책, 박이정 [1956]
  • 통사 단위 단어
    한정한 『국어학』 60, 211-232 [2011]
  • 최신문법
    이을환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6책, 박이정 [1968]
  • 초급국어문법
    이희승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32책, 박이정 [1949]
  • 중세국어 파생법 연구
    김효진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 조선문화어문법
    최윤갑 연변인민출판사 [1983]
  • 조선문전요령
    홍기문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15책, 박이정 [1927]
  • 조선문법연구
    홍기문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15책, 박이정 [1947]
  • 조선문법
    안확 유일서관 백일서점 [1917]
  • 정수문법
    강윤호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4책, 박이정 [1968]
  • 인지언어학으로 보는 학교 문법의 품사
    정병철 『담화와 인지』 19-2, 107-131 [2012]
  • 유형론적 관점에서 본 한국어 대명사 체계의 특징
    박진호 『국어학』50, 115-147 [2007]
  • 우리말본
    최현배 정음사 [1971]
  • 왜 다시 품사론인가
    남기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영파생어의 이해에 관한 연구 -품사 인식과 의미해석을 중심으로-
    김상철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 영어형태론
    김영석 한국문화사 [1998]
  • 영어 품사전환 현상의 인지적 분석
    민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박사학위논문 [2012]
  • 수사와 수량사구
    한송화 『사전편찬학연구』 9, 265-289 [1999]
  • 수사와 수관형사의 형태론
    구본관 『형태론』 3-2, 265-284 [2001]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문법(교사용 지도서)』,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67책
    박이정 [1985]
  • 새로운 말본
    최현배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9책, 박이정 [1968]
  • 범주와 계층의 통용과 통합
    최호철 『순천향어문논집』 5, 525-542 [1998]
  • 문법
    이숭녕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6책, 박이정 [1968]
  • 명사는 동사를 위한 존재다
    서태룡 『국어학』 66, 109-135 [2013]
  • 대명사
    장경희 『새국어생활』 12-2, 147-161 [2002]
  • 국어의미론 강의
    윤평현 역락 [2013]
  • 국어의 형태론과 어휘론
    최호철 『국어학』 35, 313-365 [2000]
  • 국어의 형용사 연구
    김정남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8]
  • 국어의 비접사 부사 형성에 대하여
    최형용 『정신문화연구』 32-1, 3-26 [2009]
  •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김창섭 태학사 [1996]
  • 국어음운사연구
    이기문 탑출판사 [1972]
  • 국어사전의 미시 구조 연구: 〈표준국어대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을 중심으로
    엄태경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 국어문법
    서정수 한양대 출판부 [1996]
  • 국어 형태론 연구
    고영근 서울대학교 출판사 [1999]
  • 국어 품사론의 몇 가지 문제에 대하여
    신지연 『목원어문학』 17, 27-40 [1999]
  • 국어 품사 통용의 사전 기술 방안 연구
    한희정 단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2012]
  • 국어 품사 분류와 관련한 몇 가지 문제
    구본관 『형태론』 12-2, 179-199 [2010]
  • 박사
    국어 명사와 대명사, 명사와 수사의 품사 통용
    김호중 동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4]
  • 국어 단어형성법 연구
    김정은 박이정 [1995]
  • 국어 관형사 연구
    김숙이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8]
  • 국립국어연구원, 『표준 국어대사전 편찬지침 I II』
    휴먼컬처아리랑 [2014]
  • 국립국어연구원, 『국어학의 번역 술어 연구』
    국립국어연구원 [1995]
  • 관형사의 품사 설정 문제
    이정택 『한말연구』 13, 167-187 [2003]
  • 과학.백과사전출판사
    『조선어문법』, 탑 [1979]
  • 감탄사와 부사의 경계에 대하여
    김미선 『인문과학연구』 27, 5-30 [2010]
  • 『학교문법 체계통일을 위한 연구』
    강신항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65책, 박이정 [1982]
  • 『학교 문법 해설서』
    고창식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38책, 박이정 [1965]
  • 『표준 중학말본』
    정인승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3책, 박이정 [1967]
  • 『표준 중등 말본』
    정인승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31책, 박이정 [1956]
  • 『중학문법』
    문덕수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2책,박이정 [1967]
  • 『중학 표준문법』
    이은정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2책, 박이정 [1967]
  • 『중학 말본 I』
    최태호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35책, 박이정 [1957]
  • 『중학 국문법책』
    김근수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28책, 박이정 [1947]
  • 『중등교과 조선어문전』
    이완응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16책, 박이정 [1929]
  • 『중등 국어문법』
    이영철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28책, 박이정 [1948]
  • 『조선어품사론』
    김옥희 사회과학출판사 [2005]
  • 박사
  • 『영어품사론』
    문용 한국문화사 [1998]
  • 『신국어학』
    김민수 일조각 [1986]
  • 『새문법』
    양주동 유목상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5책, 박이정 [1968]
  • 『새문법』
    이희승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8책, 박이정 [1968]
  • 『문법』
    명성학원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62책, 박이정 [1979]
  • 『문법』
    이길록 이명권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5책, 박이정 [1968]
  • 『문법』
    이은정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7책, 박이정 [1968]
  • 『문법(교사용 지도서)』
    김완진 이병근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60책,박이정 [1979]
  • 『국어문법연구 I 품사』
    이광정 역락 [2003]
  • 『고등국어문법』
    이숭녕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33책, 박이정 [1956]
  • 「형용사」
    유현경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현대국어의 영접사 파생에 대한 고찰」
    이홍식 『한국언어문학』 37, 183-199 [1996]
  • 「한국어 접사 체계에 대한 반성」
    박동근 『우리말 연구의 이론과실제』, 태학사 [2006]
  • 「한국어 발달사(중)」
    안병희 『한국문화사대계 V(언어 문학사 상)』고대민족문화연구소 [1967]
  • 「품사의 전성과 음성상징어」
    최영철 『일본연구』 40, 411-434 [2009]
  • 「품사의 경계」
    최형용 -조사, 어미, 어근, 접사를 중심으로-,『한국어학』 47, 61-92 [2010]
  • 「품사 통용의 유형 및 사전 기술: “표준국어대산전”의 사전기술을 중심으로」
    손성락 『나랏말쌈』 27, 82-112 [2012]
  • 「품사 통용어 교육 현황 분석」
    김한샘 『제40회 한말연구학회 전국학술대회 논문집』, 평택대학교 [2014]
  • 「품사 통용어 ‘조금’의 사전적 처리」
    유현경 『한국사전학』 24, 205-231 [2014]
  • 「영파생동사의 유형과 형태구조」
    권영을 『독일언어문학』 18, 29-45 [2002]
  • 「영파생과 의미전이」
    김창섭 『주시경학보』 5, 94-110 [1990]
  • 「언어학에서의 범주화 유형」
    박진호 『인문학연구』 17, 265-292 [2010]
  • 「수사」
    한송화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새문법」
    이인모 『역대한국문법대계』 1부 57책, 박이정 [1968]
  • 「부사성 명사에 대한 연구」
    신서인 『한국어학』 47, 191-234 [2010]
  • 「부사」
    조민정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범주로서의 품사와 품사의 전형성 ? 명사와 그 중복 범주를대상으로」
    이현희 『한국학연구』 19, 359-384 [2011]
  • 「문법론」
    안병희 『국어학개론』, 수도출판사 [1965]
  • 「명부 통용어와 부사와」
    이규효 『우리말글』 44, 61-82 [2008]
  • 「동사」
    砂原 秀遍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동사 형용사의 사전적 처리」
    홍재성 『새국어생활』 8-1, 131-157 [1998]
  • 「독자성을 위한 언어연구: 내용중심문법적 접근에 의한 품사연구」
    안정오 『독일문학』 52-1, 508-534 [1994]
  • 「대명사」
    정희정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남북의 품사 분류와 한국어 교육」
    구본관 『Korean연구와 교육』창간호, 149-169 [2005]
  • 「국어 부정칭 표현 ‘아무’ 계의 통사적 제약과 의미 변화」
    이금희 『한민족어문학』 65, 57-87 [2013]
  • 「국어 감탄사에 대하여」
    서태룡 『한국어문학연구』 34, 7-36 [1999]
  • 「감탄사와 부사의 범주 구분과 처리」
    박주원 『고려대 한국어대사전과사전학』, 지식과교양 [2011]
  • 「감탄사」
    오승신 『왜 다시 품사론인가』,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 「〈연세 한국어사전〉과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비교 연구: 언어사전으로서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현경 『한글』 4-295, 35-71 [2012]
  • 「‘-적’의 두음 경음화와 2자어 3자어론」
    김창섭 『국어학』 68,167-188 [2013]
  • 「[N+적]류 명사에 대한 형태 통사론적 고찰」
    金在玧 『청주교육대학교논문집』 12, 155-172 [1976]
  • 「15세기 국어에서의 영변화」
    이지영 『관악어문연구』 21-1, 441-467 [1996]
  • “수관형사 연구”
    설은정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 “국어 품사 통용은 이제 그만.”
    서태룡 『국어학논총』, 태학사, 359-389 [2006]
  • “국어 명사의 의미관계에 대한 연구.”
    윤평현 『한국언어문학』 35, 91-115 [1995]
  • ‘물론’의 품사와 구문
    배주채 『국어학』 42, 53-81 [2003]
  • Zandvoort, R.W. (1961), The Categories and Types of Present-DayEnglish Word Formation: A Synchronic-Diachronic Approach-Review, English Studies 42:1-6, 12-124.
  • Voorhoeve, J. (1981), Multifunctionality as a Derivational Problem. InMuysken, P. (ed.) Generative Studies on Creole Languages,Dordrecht: Foris, 25-34.
  • Vonen, A.M. (1994), Multifunctionality and Morphology in Tokelauand English, Nordic Journal of Linguistics 17, 155-178.
  • Sweet, H. (1966), A New English Grammar: logical and historical,Oxford: Clarendon.
  • Spencer, A. (1991), Morphological Theory. An Introduction to WordStructure in Generative Grammar, Oxford: Blackwell.
  • Sleeman, P. (2013), Deadjectival human nouns: conversion, nominalellipsis, or mixed category?, Linguistica: revista de estudoslinguisticos da Universidade do Porto 8, 159-180.
  • Quirk, R. et. al. (1985), A Comprehensive Grammar of the EnglishLanguage, London and New York: Longman.
  • Quirk, R. et. al. (1972), A Grammar of Contemporary English,London: Longman.
  • Pavesi, M. (1998), Same Word, Same Idea. Conversion as a WordFormation Process, IRAL 36-3, 213-232.
  • Nida, E. (1949), Morphology: the descriptive analysis of words,Ann Arbor: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 Nagano, A. (2008), Categorial Change of Conversion and the Processof Relisting, English Linguistics 25-2, 369-401.
  • Marzo, D. (2013), Italian Verb to Noun Conversion: the Case ofNouns in a deriving from Verbs of the 2nd and 3rd conjugation. Linguistica: revista de estudos linguisticos da Universidade do Porto 8, 69-87.
  • Martsa, S. (2012), Conversion in English: A Cognitive SemanticApproach, University of Pecs, Institute of English, HabilitationThesis.
  • Marchand, H. (1969), The Categories and Types of Present-DayEnglish Word Formation: A Synchronic-Diachronic Approach,Munchen: Bech.
  • Marchand, H. (1964), A Set of Criteria for the Establishing ofDerivational Relationship between Words Unmarked byDerivational Morphemes, Indogermanische Forschungen 69, 10-19.
  • Marchand, H. (1963), On a Question of Contrary Analysis withderivationally connected but morphologically uncharacterizedwords, English Studies 41:1-6, 176-187.
  • Manova, S. (2011), Understanding Morphological Rules: With SpecialEmphasis on Conversion and Substraction in Bulgarian,Russian and Serbo-Croatian, New York: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 Lieber, R. (2006), The category of roots and the roots of categories:what we learn from selection in derivation, Morphology 16, 247-272.
  • Lieber, R. (2005), English Word Formation Processes, In ?tekauer, P.and Lieber, R. (eds.) Handbook of Word-Formation, Dordrecht:Springer, 375-427.
  • Lieber, R. (1992), Deconstructing Morphology: Word Formationin Syntactic Theory,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Lieber, R. (1981), On the Organization of the Lexicon, Bloomington:Indiana University Linguistic Club.
  • Lieber, R. (1981), Morphological Conversion within a RestrictiveTheory of the Lexicon, In Moorgat, M, Hulst, H. Hoekstra, T.(eds) The Scope of Lexical Rules, Linguistic Models, Dordrecht? Holland/Cinnaminson ? USA: Foris Publications, 161-200.
  • Koziol, H. (1937), Ubertrit ohne Formanderung, In Koziol, H. (ed.)Handbuch der englischen Wortbildungslehre, Heidelberg:Universitatsverlag Winter.
  • Kim, G.H. (2010), Synchrony and Diachrony of Conversion inEnglish, MSc Degree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Edinburgh.
  • Jovanovic, V.Z. (2003), On Productivity, Creativity and Restrictions onWord Conversion in English, Linguistics and Literature 2-10, 425-436.
  • Hockett, Ch. (1958), A Course in Modern Linguistics. New York:Macmillan.
  • Haspelamth, M. (2010), Understanding morphology, London: HodderEductiom.
  • Farrell, P. (2001), Functional shift as category underspecification,English Language and Linguistics 5-1, 109-130.
  • Driven, R. (1999), Conversion as a Conceptual Metonymy of EventSchemata, In Metonymy in Language and Thought ,Klaus-Uwe Panther and Gunter Radden (eds.) 275-285,Amsterdam and Philadelphia: J. Benjamins.
  • Don, J. (2005), On conversion, relisting and zero-derivation, SKASEJournal of Theoretical Linguistics 2-2, 2-16.
  • Croft, W. (2001), Radical Construction Grammar: Syntactic theoryin typological perspective,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 Balteiro, I. (2007), The Directionality of Conversion in English:A Dia-Synchronic Study, Bern: Peter Lang.
  • A Typology of Conversion: An OT Perspective
    Kang, S.K. 언어학 18-3, 37-55 [2010]
  • ?tekauer, P., Valera, S., Krtvelyessy, L. (2012), Word-formation inthe World’s Languages: A Typological Survey, Oxford: Cambridge University Press.
  • ?tekauer, P. (1996), A theory of Conversion in English, Frankfurt:Peter Lang.
  • <고려대 한국어대사전 >의 품사 정보와 다품사어 처리에 관하여
    도원영 『한국어학』 47, 1-32 [2010]
  • 17세기 국어의 파생법 연구
    박현숙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 15세기 국어의 파생법 연구
    김길동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구본관 태학사 [1998]
  • (1999/2000/2007), 『국어문법론강의』
    이익섭 채완 학연사 [1999]
  • (1985,1993,2006,2011), 『표준국어문법론』, (개정판)
    고영근 남기심 탑출판사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