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명의신탁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A Study on the Criminal Issues about Nominal Trust

우인성 2015년
논문상세정보
' 명의신탁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A Study on the Criminal Issues about Nominal Trust'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명의신탁
  • 보호할 가치 있는 신뢰관계
  • 불가벌적 사후행위
  • 불법원인급여
  • 사회상규
  • 횡령의 미수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205 0

0.0%

' 명의신탁에 관한 형사법적 연구 = A Study on the Criminal Issues about Nominal Trust' 의 참고문헌

  • 「한국 전통사회에 있어서의 단체적 소유」
    이호규 서울대학교 석사학 위논문 [1987]
  • 林軒人, 財産犯の保護法益, 東京大學出版會(1984)
  • 林幹人, 刑法各論, 東京大學出版會(1999)
  • 林幹人, 刑法の基礎理論, 東京大學出版會(1995)
  • 金炳魯, “犯罪構成의 要件되 違法性을 논”
    法學界 第3號 [1915]
  • 효당 엄상섭 형법논집
    신동운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 횡령행위 후의 횡령죄 성립가능성에 관한 검토
    권창국 형사재판의 제문제 제6권, 박영사 [2009]
  • 횡령한 부동산에 대한 횡령죄의 성립 여부
    김대웅 형사판례연구 (18), 박영사 [2010]
  • 횡령죄의 이득액과 가벌적 후행행위 <상 >
    이상원 저스티스 [2012]
  • 횡령죄의 미수범 성립 여부
    신동운 법률신문 4064호 [2012]
  • 횡령죄의 기수시기와 장물죄의 성립여부
    김태명 형사법연구 23호, 한국형사법학회 [2005]
  • 횡령죄와 배임죄의 구별
    문영식 형사법의 신동향 통권 34호 [2012]
  •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
    이석배 동아법학 46호 [2010]
  • 횡령죄와 배임죄-명확한 구별을 위한 제언
    문형섭 법조 52권 5 호(통권 560호), 법조협회 [2003]
  • 횡령인가 불가벌적 사후행위인가
    이상원 형사재판의 제문제 7권(차 한성 대법관 퇴임기념), 형사실무연구회 [2014]
  • 회사법
    이등정사 박영사 [2009]
  • 회사법
    정동윤 법문사 [2001]
  • 형법학 각론강의(상)
    유기천 일조각 [1982]
  • 형법학 각론강의
    이영란 형설출판사 [2013]
  • 형법총론
    오영근 박영사 [2014]
  • 형법총론
    임웅 법문사 [2015]
  • 형법총론
    배종대 홍문사 [2013]
  • 형법연구 II
    허일태 동아대학교 출판부 [2004]
  • 형법강의(각론)
    정영일 도서출판 학림 [2013]
  • 형법강의 각론 [I]
    강구진 박영사 [1983]
  • 형법각론 연구 I
    이형국 법문사 [1997]
  • 형법각론
    정영일 대왕사 [2008]
  • 형법각론
    조준현 법원사 [2012]
  • 형법각론
    배종대 율곡출판사 [2015]
  • 형법각론
    좌백천인 법문사 [1981]
  • 형법각론
    이건호 일신사 [1976]
  • 형법각론
    한국사법행정학회 [1986]
  • 형법각론
    정영석 박영사 [1974]
  • 형법각론
    임웅 청림출판 [2002]
  • 형법각론
    이정원 신론사 [2012]
  • 형법각론
    박상기 박영사 [2011]
  • 형법각론
    이재상 박영사 [2013]
  • 형법각론
    이형국 법문사 [2007]
  • 형법각론
    황산덕 방문사 [1989]
  • 형법각론
    임웅 법문사 [2013]
  • 형법 제20조 정당행위에 관한 비판적 고찰
    김영환 김종원교수화갑 기념논문집, 법문사 [1991]
  • 현대형법이론 I, II
    이용식 박영사 [2008]
  • 현대민법론 II [물권]
    황적인 박영사 [1988]
  • 헌법학원론
    김학성 박영사 [2014]
  • 헌법학원론
    권영성 법문사 [2010]
  • 헌법학신론
    김철수 박영사 [2014]
  • 헌법학(상)
    계희열 박영사 [2005]
  • 헌법학
    김백유 법문사 [2011]
  • 한국형법 III, IV
    김일수 박영사 [1997]
  • 한국법제사
    박병호 민속원 [2012]
  • 한국물권법
    김기선 법문사 [1990]
  • 판례분석 형법각론
    신동운 법문사 [2014]
  • 판례교재 형법각론
    김기두 이수성 법문사 [1982]
  • 토지조사사업에 의한 소유권확정과 판결의 저촉
    이우석 영남법학 10권 2호,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4]
  • 타인명의 주식인수 시 주주결정에 관한 새로운 해석론
    정대익 비교 사법 21권 1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14]
  • 침해범·위험범, 결과범·거동범, 그리고 기수·미수의 구별기준
    김성돈 형사판례연구 (19), 박영사 [2009]
  • 총론・각론 강의 형법학
    박상기 집현재 [2015]
  • 채권총론
    내전승일 박영사 [2000]
  • 채권자대위권 연구
    여하윤 경인문화사 [2007]
  • 채권법각론
    김석우 박영사 [1978]
  • 채권각론신강
    이태재 진명문화사 [1977]
  • 채권각론
    김형배 박영사 [2003]
  • 진화생물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형사법체계
    김혜경(Kim, Hye-Kyung) 대법원 형사법연 구회 ‘학제적 관점에서 바라본 형사법’ 발표자료 [2014]
  • 주석형법 각칙(6)
    한국사법행정학회 [2006]
  • 주석민법(II) 물권법
    황적인 법원사 [1990]
  • 주석 형법 [각칙 (5)]
    한국사법행정학회 [2006]
  • 주석 형법 [각칙 (1)]
    한국사법행정학회 [2006]
  • 주석 민법 [물권 (2)]
    김용담 한국사법행정학회 [2011]
  • 제정형법의 성립경위
    신동운 형사법연구 20호, 한국형사법학회 겨울) [2003]
  • 재산범죄와 ‘보호할 가치 있는 신뢰관계’
    조기영 형사법연구 26권 1 호, 한국형사법학회 [2014]
  • 재산범죄론의 이해
    문형섭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6]
  • 장물의 성립요건과 범위 - 컴퓨터등사용사기죄와 배임죄를 중심으로
    권오걸 비교형사법연구 8권 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6]
  • 이수성, “판례회고 2호(1973년도)”
    서울대학교 [1974]
  • 이른바 중간생략등기형 명의신탁에 있어서 수탁자가 부동산을 임의로 처분한 경우, 횡령죄의 성립 여부(적극)
    정형식 대법원판례해 설 제39호(2001년 하반기), 법원도서관 [2002]
  • 은행신탁연구회 편, 신탁용어사전
    은행계 [1998]
  • 위험사회에서의 법익보호와 적극적 일반예방
    이용식 형사정책 13권 1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01]
  • 우리 형법과 독일 형법의 횡령죄에 대한 비교법적 고찰
    이정원 비 교형사법연구 4권 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2]
  • 영미신탁법상의 수동신탁법리에 의한 명의신탁이론의 재구성
    김상용 판례월보 201호, 판례월보사 [1987]
  • 악의의 계약명의신탁에 있어 명의수탁자의 보관물 임의처분 시 범죄성립 여부
    우인성 대법원판례해설 제94호(2012년 하), 법원도서 관 [2013]
  • 실명거래위반행위와 불법원인급여
    박재혁 사법 12호, 사법연구지원 재단 [2010]
  • 신물권법
    방순원 일한도서출판사 [1960]
  • 신물권・담보물권법
    최식 박영사 [1962]
  • 식민지법정에서 독립을 변론하다
    한인섭 경인문화사 [2012]
  • 식량전쟁
    이철호 식안연 [2012]
  • 송금착오와 횡령죄에 있어서 위탁관계 및 점유
    권창국 법률신문 3391호 [2005]
  • 소위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의 성부
    강동범 형사재판연구 (1), 박영 사 [1993]
  • 서 정, “명의신탁자가 명의수탁자를 상대로 부동산 자체를 부당이득반 환으로 구하는 청구의 가부”, 민사판례연구 [26]
    박영사 [2004]
  • 사법방해죄 도입가능성과 그 필요성 검토
    박달현 형사정책연구 23 권 3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012]
  • 비례성원칙을 통해서 본 형법과 헌법의 관계
    이용식 형사법연구 25호, 한국형사법학회 [2006]
  • 불가벌적 사후행위 - 대법원 2008.3.27. 선고 2007도9328 판결 -
    조현욱 비교형사법연구 제10권 제1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8]
  • 부동산의 최종매수인(전득자)의 최초매도인에 대한 등기청구권
    이호정 고시계 [1981]
  • 부동산실명제 하의 명의신탁
    이경철 중앙법학 제4집 제2호, 중앙법 학회 [2002]
  • 부동산실명법의 시행과 부동산명의신탁의 형사법적 문제점 검토
    박달현 비교형사법연구 6권 2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4]
  • 부동산실명법의 사법적 규정에 의한 명의신탁의 규율-소위 계약명의신탁을 중심으로-
    양창수 민법연구 제5권, 박영사 [2006]
  • 부동산실명법상 부동산명의수탁자의 형사책임
    천진호 형사재판의 제문제 제5권, 박영사 [2005]
  • 부동산실명법 해설
    재정경제원 [1995]
  • 부동산실명법 제4조에 의한 명의신탁의 효력⎼소위 등기명의신탁을 중심으로 ⎼
    양창수 서울대학교 법학 38권 1호, 서울대학교 법 학연구소 [1997]
  •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후 부동산명의신탁의 법률관계
    지영난 서울 지방법원 남부지원 실무연구 IV [2005]
  • 부동산실명법 규정의 제 모순점
    김상용 고시계 480호 [1997]
  •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의 제정과정과 문제점
    윤철홍 숭실대학교 법학논총 9집 [1996]
  • 부동산실권리자 명의등기에 관한 법률상 법률관계의 효력
    목영준 인권 과 정의 261호, 대한변호사협회 [1998]
  • 부동산명의신탁의 규제와 실명전환
    박종두 수원지방변호사회지 7호, 수원지방변호사회 [1997]
  • 부동산명의신탁과 횡령죄
    박상기 법률신문 제2642호 [1997]
  • 부동산등기의 진정성보장연구
    구연모 경인문화사 [2014]
  • 부동산 실권리자 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제4조에 의한 명의신탁의 사법적 규율
    김미리 사법논집 제32집, 법원도서관 [2001]
  • 부동산 명의신탁에 관한 민⋅형법의 통합적 연구
    이상태 일감법학 30권 [2015]
  • 부동산 명의신탁
    양천수 영남대학교 출판부 [2010]
  • 부동산 명의수탁자의 횡령죄 주체성
    이창섭 형사판례연구 (19), 박영 사 [2011]
  • 법익론의 생성, 발전과 변환
    안동준 법학논총 28권 1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08]
  • 법원행정처
    법원실무제요 민사집행 [III] [2014]
  • 법무부
    독일형법 [2008]
  • 배임죄의 구조와 문제점
    이정원 법학연구 34집, 전북대학교 법학연 구소 [2011]
  • 배임죄에 관한 연구
    문형섭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 민사사례연구(상)
    김증한 이희봉 동아학연사 [1982]
  • 민법특강
    권오승 홍문사 [1994]
  • 민법총칙론
    김용한 박영사 [1997]
  • 민법총칙
    천영 화산미디어 [2007]
  • 민법총칙
    최명구 법문사 [2009]
  • 민법총칙
    원등호 박영사 [2012]
  • 민법총칙
    송근양 박영사 [2001]
  • 민법총칙
    정환담 법문사 [2003]
  • 민법주해 [XVI] 채권 (9)
    박영사 [2001]
  • 민법주해 [XVII] 채권 (10)
    박영사 [2005]
  • 민법주해 [V] 물권 (2)
    박영사 [2002]
  • 민법주해 [IX] 채권 (2)
    박영사 [2001]
  • 민법주해 [II] 총칙 (2)
    박영사 [2006]
  • 민법주해 [III] 총칙 (3)
    박영사 [2000]
  • 물권법총론
    장병학 한국도서출판사 [1959]
  • 물권법론
    김용한 박영사 [1993]
  • 물권법
    현대호 박영사 [2015]
  • 물권법
    이광식 박영사 [1990]
  • 물권법
    이영준 박영사 [1992]
  • 물권법
    문한식 법문사 [1993]
  • 물권법
    아처영 박영사 [1983]
  • 물권법
    권용우 법문사 [1987]
  • 물권법
    End^o, Hiroshi 박영사 [1997]
  • 물권법
    이영준 박영사 [2009]
  • 물권법
    이태재 진명문화사 [1985]
  • 무어만 저 / 이원상 역, “배임죄(266 형법)와 모험거래 (Risikogech ft)”, 형사정책연구 제20권 제4호
    우베 한국형사정책연 구원 [2009]
  • 명의신탁에 있어서 내부적 소유권의 의미
    강봉수 민사재판의 제문 제 5권, 한국사법행정학회 [1989]
  • 명의신탁에 관한 판례이론의 연구
    곽윤직 서울대학교 법학 제15권 제2호 [1974]
  • 명의신탁에 관한 판례의 동향
    권오곤 민사판례연구 [10], 민사판례 연구회 [1988]
  • 명의신탁부동산의 처분행위와 횡령죄 -3자간명의신탁에 관한 대법원 2010. 6. 24. 선고, 2009도9242 판결을 중심으로-
    이상철 일감법학 24호 [2013]
  • 명의신탁부동산의 처분과 형사책임
    최상욱 형사법연구 13권, 한국 형사법학회 [2000]
  • 명의신탁부동산을 임의처분한 경우의 형사책임
    손동권 형사법연구 15호, 한국형사법학회 [2001]
  • 명의신탁부동산 처분행위와 형사책임
    천진호 비교형사법연구 4권 1 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2]
  • 명의신탁된 부동산영득행위의 죄책
    장영민 고시계 490호 [1997]
  • 명의신탁된 부동산과 불법원인급여
    김형한 재판과 판례 제13집, 대 구판례연구회 [2005]
  • 명의신탁된 부동산 영득행위의 죄책
    張榮敏 법학논집(제3권 제1호), 이화여자대학교 [1998]
  • 명의신탁과 형사처벌에 대한 비판적 재검토
    이주일 한국법학회 법 학연구 29집 [2008]
  • 명의신탁과 부당이득반환청구권
    이충훈 홍익법학 12권 1호 [2011]
  • 명의신탁 부동산의 처분행위와 횡령죄의 성립 여부 –대법원 2012. 12. 13. 선고 2010도10515 판결–
    박재혁 대한변협신문 493 호, 대한변호사협회 [2014]
  • 명의신탁 부동산의 처분이 명의신탁자의 채권자에 대한 관계에서 사해행위가 성립하는지
    조용현 대법원 판례해설 제93호(2012 년 하), 법원도서관 [2013]
  • 리차드 도킨슨 저/홍영남 역, 이기적 유전자
    을유문화사 [1993]
  • 로마법
    현승종 일조각 [1982]
  • 로마법
    조규창 현승종 법문사 [2004]
  • 독일법이 한국에 미친 영향- 한국형법의 역사와 정체성 -
    최준혁 인하대학교 법학연구 14집 3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 노명선, “2013년 형법 중요 판례”, 인권과 정의 440호
    대한변호사협 회 [2014]
  • 기업의 경제활동에 관한 형사법제 연구(II)
    김택수 김호기 최준혁 한 국형사정책연구원 [2010]
  • 금지된 명의신탁과 부동산소유권의 귀속
    권용우 단국대학교 법학논 총 30권 2호 [2006]
  • 금지되는 명의신탁 부동산의 처분행위와 관련한 형사책임
    윤상민 원광법학 23권 1호,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 국회사무처
    제26회 국회정기회의속기록 제30호 [1957]
  • 공동소유에 관한 민법 개정안
    윤진수(Jinsu Yune) 민사법학 68호, 한국민사법학 회 [2014]
  • 계약명의신탁에서 명의수탁자의 처분행위와 불법행위 성립 여부
    송오식 法學論叢 34輯 1號,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 계약명의신탁과 횡령․배임죄
    이호중 고시계 47권 12호 [2002]
  • 계약명의신탁과 부당이득
    배병일 민사법연구 13집 2호, 대한민사법 학회 [2005]
  • 경제학적 논증의 법적 지위: 배제적 법실증주의의 관점에서
    조홍식 서울대학교 법학 48권 4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 간접대리명의신탁(이른바 계약명의신탁)의 명의신탁자와 명의수탁자간 부당이득 반환관계
    김미리 법조 53권 2호 [2004]
  • 高橋則夫, 刑法各論, 成文堂(2014)
  • 高木俊夫, “委託を受けて管理する他人の不動産にほしいままに抵當權を設定 しその登記を了した後にこれを賣却した行爲の犯罪性とその審理 方法”, ジュリスト No.1281, 有斐閣 (2004. 12. 15.)
  • 韓國法制史攷
    박병호 법문사 [1974]
  • 難波讓治, “公序良俗と不法原因給與”, 椿 壽夫・伊藤 進 編 公序良俗違反の 硏究, 日本評論社(1995)
  • 鈴木左斗志, “橫領物の橫領と共罰的事後行爲”, 判例タイムズ No.1207 (2006. 6. 15.)
  • 野村稔, “不法原因給付にかかる物件の橫領”, 刑法判例百選 II: 各論, 有斐閣 (1992)
  • 近江幸治/田炳西, “韓國の登記制度における名義信託と法的規制”, 比較法學 29卷 2号, 早稻田大學比較法硏究所(1996. 1.)
  • 谷口知平, “民法第708條の獨立性について”, 民法論 第3卷 不當利得・知的 財産權等の硏究, 有斐閣(1990)
  • 西田典之, 刑法各論, 弘文堂(1999)
  • 藤木英雄, 刑法講義各論, 弘文堂(1986)
  • 町野 朔, “不法原因給付と詐欺・橫領”, ジュリスト 刑法の爭點, 有斐閣 (2000)
  • 甲斐克則, “刑事立法と法益槪念の機能”, 法律時報 75卷 2号, 日本評論社 (2003. 2.)
  • 牧野英一, 刑法各論 下卷, 有斐閣(1951)
  • 淺田和茂, “橫領後の橫領”, ジュリスト No.1269, 有斐閣(2004. 6. 10.)
  • 淺田和茂, “橫領か背任か”, 別冊 ジュリスト No.190, 有斐閣(2008. 3.)
  • 注釋民法(9) 物權(4), 有斐閣(1965)
  • 注釋民法(3) 總則(3), 有斐閣(1973)
  • 注釋民法(11) 債權(2), 有斐閣(1965)
  • 江家義男, 刑法各論, 靑林書院(1963)
  • 民議院 法制司法委員會 民法案審議小委員會, 民法案審議錄 上卷(1957)
  • 樋口亮介, “ドイツ財産犯講義ノート”, 東京大學法科大學院ローレビュ 8卷 (2013. 9.)
  • 植松正, 刑法槪論 II(各論), 勁草書房(1975)
  • 森下忠, “不法原因給付にかかる物件の橫領”, ジュリスト 增刊 基本判例解說 シリーズ No.2, 有斐閣(1973. 10.)
  • 松宮孝明, “不可罰的・共罰的事後行爲”, Jurist 增刊 刑法の爭点 シリーズ 2, 有斐閣(2007)
  • 木村龜二, 刑法各論, 法文社(1959)
  • 木村光江, “橫領と背任の區別”, Jurist 增刊 刑法の爭點 シリーズ 2, 有斐閣 (2007)
  • 曾根威彦, 刑法各論, 弘文堂(2006)
  • 張亨龍, 韓國信託法槪論, 有信堂(1991)
  • 平野龍一, 刑法槪說, 東京大學出版會(1977)
  • 岡野光雄, 刑法要說各論, 成文堂(2009)
  • 岡田孝介, “信託財産に對する受益者の處分權と名義信託”, (詳解)信託判例, 金融財政事情硏究所(2015)
  • 山口雅高, “背任と橫領の區別”, 刑事事實認定重要判決50選 (下), 立花書房 (2014)
  • 山口厚, 刑法各論, 有斐閣(2005)
  • 山中敬一, 刑法各論 I, 成文堂(2004)
  • 大谷實, 刑法講義 各論, 成文堂(2013)
  • 大塚仁, 刑法槪說 [各論], 有斐閣(2005)
  • 大コメンタール刑法, 第13卷, 靑林書院(2000)
  • 堀田力, “租稅ほ脫犯をめぐる諸問題(三)”
    法曹時報 22권 6호 [1970]
  • 四宮和夫, 信託の硏究, 有斐閣(1970)
  • 嘉門優, “法益論の現代的意義”, 刑法雜誌 50卷 2号, 日本刑法學會(2011)
  • 十河太朗, “●刑事法學の動き● 宮川基 「橫領物の橫領」”, 法律時報 78卷 8号(2006. 7.)
  • 前田雅英, 刑法總論講義, 東京大學出版會(1989)
  • 前田雅英, 刑法各論講義, 東京大學出版會(2007)
  • 前田雅英(編輯代表), 條解 刑法, 弘文堂(2013)
  • 冨高彩, “不可罰的・共罰的事後行爲論と財産罪の成否(2・完)”, 上智法學論 集 53卷 1号(2009)
  • 冨高彩, “不可罰的・共罰的事後行爲論と財産罪の成否(1)”, 上智法學論集 52 卷 4号(2009)
  • 內田幸隆, “背任罪と橫領罪の關係”, 早稻田法學會誌 52卷(2002)
  • 內田幸隆, “背任罪と橫領罪の區別”, 法學敎室 359号, 有斐閣(2010. 8.)
  • 佐久間修, 刑法各論, 成文堂(2006)
  • 伊東硏祐, 刑法講義 各論, 日本評論社(2011)
  • 伊東硏祐, “橫領後の橫領”, 別冊 ジュリスト No.190, 有斐閣(2008. 3.)
  • 上嶌一高, “不動産の二重賣買と橫領”, 別冊 ジュリスト 143號 {刑法判 例百選 Ⅱ 各論 [第4版]}, 有斐閣(1997. 5.)
  • 上嶌一高, “預金による占有”, ジュリスト 刑法の爭點, 有斐閣(2000)
  • 上嶋一高, 背任罪理解の再構成, 成文堂(1997)
  • 『近世朝鮮史硏究』
    천관우 一潮閣 [1979]
  • 「형법각론」
    Saitō, Shinji 박영사, 2014) [2009]
  • 「유비쿼터스사회에서의절도죄고찰」
    이원상 형사정책연구 20권 2 호, 한국형사정책연구원여름호) [2009]
  • “횡령죄의 미수범 성립여부”
    김봉수 형사판례연구 (21), 박영사 [2013]
  • “횡령죄의 기수시기”
    엄상섭 법정(法政) 제10권 제12호(통권 80호) [1955]
  • “횡령죄와 불가벌적 사후행위, 배임죄의 성립여부”
    장한철 고시계 통 권 691호 [2014]
  •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
    신동운 한국형사법학의 새로운 지평: 유일 당 오선주 교수 정년기념논문집 [2001]
  •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 - 문형섭 선생의 횡령죄와 배임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김재윤 법학논총 30집 1호, 전남대학 교 법률행정연구소 [2010]
  • “횡령죄에 있어서의 위탁관계”
    원혜욱 형사판례연구 (14), 박영사 [2006]
  • “횡령의 객관적 구성요건의 실체”
    성낙현 법조 통권589호, 법조협회 [2005]
  • “횡령미수의 적용여지”
    박일흠 검찰 50호, 대검찰청 [1973]
  • “횡령미수론에 관한 일고찰”
    정창운 법정 15권 4호 [1960]
  • “횡령・배임죄와 이사의 자기거래”
    이용식 상사판례연구 IV권, 박영사 [2000]
  • “횡령 후의 횡령죄 성립 여부”
    신동운 서울대학교 법학 54권 4호, 서 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형사소송에서 진실개념”,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1996) 서요한, “명의신탁된 부동산 영득행위의 죄책”
    변종필 재판실무 2집, 창원지방 법원 [2005]
  • “형법에 있어서의 이익형량”
    이용식 현대 형법이론 I, 박영사 [2008]
  • “형법상 점유에 관한 연구”
    김지웅 동의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2]
  • 박사
  • “형벌의 의미와 정당성 -언제나 형벌은 필요한가?-”
    송경석 이보녕 법조 통권 656호, 법조협회 [2011]
  • “협박죄의 추상적 위험범적 해석의 타당성”
    김혜경 재판과 판례 19집 [2010]
  • “현대의 소송과 고문서”
    박병호 고문서연구 19권, 한국고문서학회 [2001]
  • “향정신성의약품의 매매죄와 수수죄의 관계”
    이원일 형사재판의 제문 제 2권 [1999]
  • “행정형벌에 관한 일고”
    최봉석 법조 51권 12호, 법조협회 [2002]
  • “행정범에 있어서 고의・과실”
    孫基植 법조 47권 9호, 법조협회 [1998]
  • “해석근거로서의 ‘법질서의 통일성’과 ‘형법의 독자성’”
    변종필 형법해 석과 논증, 세창출판사 [2012]
  • “항변과 항변권”
    金榮喜(Kim Young-Hee) 민사법학 42호, 한국사법행정학회 [2008]
  • “항변3분설에 대한 재검토”
    박찬주 경희법학 45권 2호,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 “프랑스의 채권자대위권에 있어서 채권자의 채권과 특정물채권 자-1980년대 이후의 새로운 경향-”
    오수원 법조 통권 제528호, 법 조협회 [2000]
  • “토지조사부에 소유자로 등재된 사실과 사정의 추정 여부”
    한상호 대 법원 판례해설 5호, 법원도서관 [1986]
  • “토지 및 임야 사정의 법적 성격 -원시취득론 비판-”
    윤진수 서울대 학교 법학 53권 1호,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 “타인의 예금통장으로 예금을 인출하고 바로 반환한 경우의 죄 책”
    오영근 고시계 643호, 고시연구사 [2010]
  • “채권자대위소송에 있어서 피보전권리의 존부에 대한 판단기 준”
    원유석 민사판례연구 [22], 박영사 [2000]
  • “채권자대위소송에 관한 연구”
    박효진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3]
  • “채권자대위소송과 중복제소”
    호문혁 서울대학교 법학 35권 1호, 서 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994]
  • “채권자대위권에 있어서 채권보전의 필요성”
    강봉석 민사판례연구 [24], 박영사 [2002]
  • “채권자대위권 행사의 객체, 프랑스 민법상의 간접소권과의 비 교를 중심으로”
    여하윤 홍익법학 9권 1호, 홍익대학교 [2008]
  • “차입매수(LBO)시 피인수회사의 자산을 담보로 제공하는 행위 와 업무상배임죄”
    윤영신 상사판례연구 7권 [2007]
  • “차명주식의 법률관계”
    김상곤 BFL 제46호, 서울대 금융법센터 [2011]
  • “증권매매위탁과 증권대체거래의 법적구조”
    정대익 상사판례연구 15 집, 한국상사판례학회 [2003]
  • “중간생략등기합의의 법적 성질”
    엄동섭 민사판례연구 [28], 박영사 [2006]
  • “중간생략등기와 규제법”
    金炯秀 법학논총 3집, 조선대학교 법학연구 소 [1997]
  • “종중재산과 명의신탁”
    정기웅 현대민법의 과제와 전망: 남송 한봉희 박사화갑기념논문집, 밀알 [1994]
  • “종중에 관한 법적 고찰(하)”
    정기웅 사법행정 35권 8호, 한국사법행 정학회 [1994]
  • “종중・종중재산에 관한 제고찰 -연혁적・실무 적-”
    노종상 이태훈 허규 사법논집 제4집, 법원행정처 [1973]
  • “조세포탈죄에 관한 연구”
    구상진 고려법학 49호, 고려대학교 법학연 구원 [2007]
  • “조선후기 토지소유에 관한 연구 -국가지주설과 공동체소유설 비판-”
    심희기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1]
  • “조선시대의 토지사유제도에 관한 고찰”
    김성욱 집합건물법학 9집, 한 국집합건물법학회 [2012]
  • “조선시대에 있어서의 재판법 연구”
    우병창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절도죄의 재물과 제3자 영득에 관한 해석론의 문제점”
    김성룡 비교 형사법연구 12권 1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10]
  • “전세권의 입법과 법리”
    윤대성 민법학의 회고와 전망: 민법전 시행 삼십주년 기념논문집, 한국민사법학회 [1993]
  • “재산범죄에 있어서 ‘재물’과 ‘재산상의 이익’ 개념에 대한 비판 적 고찰”, 형사법연구 21권 4호
    임웅 한국형사법학회 [2009]
  • “일인회사의 주주 겸 대표이사의 업무상배임”
    김일수 변호사 -법률실 무연구- ⅩⅦ, 서울지방변호사회 [1987]
  • “일상적 중립적 행위와 방조 -방조행위의 개념적 의미내용과 방조의불법귀속의 이해구조-”
    이용식 서울대학교 법학 48권 1호, 서 울대학교 법학연구소 [2007]
  • “인신구속과 무죄추정원칙”
    이진국 형사정책연구 16권 4호, 한국형사 정책연구원 [2005]
  • “이중매매와 횡령죄”
    황태윤 전북대학교 법학연구 제39호 [2013]
  • “이사의 민사책임과 형사책임의 판단기준”
    송옥렬 상사판례연구 6권 [2006]
  • “이른바 불법성비교이론에 대한 고찰”
    정상현 비교사법 제9권 제2호, 한국비교사법학회 [2002]
  • “위탁금전의 소비와 형법상 고유한 소유권개념”
    허일태 형사판례연구 (12), 박영사 [2004]
  • “우리 민법학상의 신탁행위이론에 대한 평가”
    김준호 債權法에 있어 서 自由와 責任: 金亨培敎授華甲記念論文集, 박영사 [1994]
  • “연속범이론의 재검토”
    박광민 형사법연구 13호, 한국형사법학회 [2000]
  • “연속범의 죄수”
    金成敦(Kim Sung-Don) 형사정책연구 제8권 제1호 [1997]
  • “양벌규정의 실효성 확보에 관한 고찰”
    이주희 법학연구 47집, 한국 법학회 [2012]
  • “신탁의 담보방법으로의 활용방안”
    김상용 한국민법의 새로운 전개: 고상룡교수 고희기념논문집, 법문사 [2012]
  • 박사
  • “수탁자의 수탁부동산 처분행위와 횡령죄(지정토론문)”
    박흥식 판례연 구 1집, 제주판례연구회 [1997]
  • “수탁부동산의 영득행위와 불가벌적 사후행위-횡령죄를 중심으 로-”
    방기태 창연논집 8집(손용근 사법연수원장 퇴임기념), 사법연수 원 [2011]
  • “수죄인 연속범의 소송법적 문제의 해결방법 제안”
    이경렬 형사법연 구 제17호, 한국형사법학회 [2002]
  • “수인이 부동산을 공동으로 매수하면서 매수인 명의를 그 중 1 인으로 한 경우의 법률관계”
    김학준 대법원판례해설 62호(2006 상), 법원도서관 [2006]
  • “성공한 내란과 옐리네크의 ‘사실적인 것의 규범력’”
    임준호 인권과 정의 234호, 대한변호사협회 [1996]
  • “사실인정 과정과 논증”
    이용구 법관의 의사결정 ‘이론과 실무’, 사법 발전재단 [2010]
  • “사기죄와 배임(또는 횡령)죄의 양립 가능성에 관한 검토”
    이진석 재 판실무연구 4권, 수원지방법원 [2011]
  • “불법원인위탁과 횡령죄 성부의 재검토”
    장승일 형사법연구 제25권 제3호, 한국형사법학회가을) [2013]
  •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의 성부”
    박장우 법조 제38권 제5호, 법조협 회 [1989]
  •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의 성립여부”
    조현욱 형사법연구 제18호, 한 국형사법학회 [2002]
  •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
    이상윤 외국논집 제15집,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법학연구소 [2003]
  • “불법원인급여와 횡령죄”
    강구진 새법정 1권 10호, 한국사법행정학회 [1971]
  • “불법원인급여와 횡령”
    박정헌 형사법에 관한 제문제(하), 재판자료 제50집, 법원행정처 [1990]
  • “불법원인급여와 재산죄의 성부문제”
    홍함표 검찰 제28호, 대검찰청 [1970]
  • “불법영득의사”
    吳英根 고시계 543호, 고시연구사 [2002]
  • “불법영득의 의사와 사용절도”
    이윤근 법조 14권 6호 [1965]
  • “불법영득의 의사와 사용절도”
    최대권 서울대학교 법학 6권 2호, 서 울대학교 법학연구소, 148 [1964]
  • “불가벌적 사후행위의 범위”
    김창종 재판자료 50집 [1990]
  • “불가벌적 사후행위”
    조현욱 형사법의 쟁점과 판례, 법문사 [2009]
  • “부동산횡령죄의 미수”
    조현욱 단국대학교 법학논총 36권 2호 [2013]
  • “부동산처분행위와 관련한 횡령죄와 배임죄의 구별문제”
    손동권 현대 법학의 이론: 우재 이명구박사 화갑기념논문집 [III], 고시연구 사 [1996]
  • “부동산의 장물성”
    김성곤 검찰 55호, 대검찰청 [1974]
  • “부동산의 명의신탁과 횡령죄의 성부”
    허성희 실무연구자료 6권(조용 무법원장 정년퇴임기념), 대전지방법원 [2005]
  • “부동산에 대한 횡령행위와 횡령죄의 본질”
    신동운 고시연구 285호, 고시연구사 [1997]
  • “부동산에 관한 횡령죄에 있어서 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의 지위에 있는지 여부에 대한 판단 기준”
    김인겸 대법원판례해설 통권 제56호 (2005 상반기), 법원도서관 [2005]
  • “부동산실명제와 기업활동”
    孫在英 국토연구 166권, 국토연구원 [1995]
  • 박사
    “부동산실명제에 관한 연구”
    문혜정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5]
  • “부동산실명법의 사법상의 문제점과 대처방안”
    김상용 법제연구 제9 호, 한국법제연구원 [1995]
  • “부동산실명법에 위반한 부동산명의신탁과 횡령죄”
    정도영 광주지방 법원 재판실무연구 [1998]
  • “부동산실명법 시행 이후 명의신탁관계에서의 부당이득반환청 구”
    김문관 판례연구 15집, 부산판례연구회 [2003]
  • “부동산실명등기법률에 대한 연구”
    김형수 덕암 김병대교수 화갑 기 념논문, 대흥기획 [1998]
  •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의 연구”
    하승완 조선대학교 박사 학위논문 [1999]
  • “부동산명의신탁의 형사적 문제점”
    박혜영 검찰 117호, 대검찰청 [2006]
  • “부동산명의신탁의 법률관계에 관한 시론”
    권오창 인권과 정의 243 호, 대한변호사협회 [1996]
  • “부동산명의신탁에 관한 판례의 동향”
    박종원 민사법학 28호, 한국사 법행정학회 [2005]
  • “부동산명의신탁금지와 소유권의 귀속”
    김상용 민사법학 제20호, 한 국민사법학회 [2001]
  • “부동산명의신탁과 횡령죄”, 형사판례연구 (7), 박영사(1999) 박양빈, “불법영득의사”
    박상기 고시연구 245호 [1994]
  • “부동산명의신탁과 횡령죄”
    백재명 형사판례연구 (7), 박영사 [1999]
  • “부동산명의신탁과 재산권의 인정”
    문성제 재산법연구 제21권 제1호, 한국재산법학회 [2004]
  • “부동산거래실명법률에 대한 평가와 실명제 실시의 전제요건”
    김상용 민사재판의 제문제: 송천이시윤박사화갑기념 (상), 민사실무연 구회・한국민사소송법학회・한국민사법학회 [1995]
  • “부동산 명의신탁을 둘러싼 몇 가지 법률적 쟁점에 관한 검토 -부동산 실권리자 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시행 이후의 판례를 중심으로-”
    이은혜 재판실무연구, 광주지방법원 [2009]
  • “법조경합”
    김일수 고시연구 20권 8호 [1993]
  • “법인의 형사책임과 양벌규정의 법적 성격”, 서울대학교 법학 48권 3호
    조 국 서울대학교 [2007]
  • “법익을 통한 기수와 미수의 구별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성규 비교 형사법연구 10권 1호, 한국비교형사법학회 [2008]
  • “법률행위와 사회적 타당성”
    이재철 판례월보(64. 6.)
  • “법관의 직무상 권한 및 그 한계”
    김민기 우리법연구회 논문집 제6집 [2010]
  • “법관은 법률의 입”? — 몽테스키외에 관한 이해와 오해 —
    윤재왕 안암 법학 30호, 고려 [2009]
  • “배임행위의 기망행위에 대한 불가벌적 사후행위 여부”
    이승준 법학 연구 53권 3호, 부산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 “배임행위의 거래상대방의 형사책임”
    신양균 형사판례연구 (15), 박영 사 [2007]
  • “배임죄의 손해발생의 위험”
    안경옥 판례월보 357호, 판례월보사 [2000]
  • “배임죄에 대한 지나친 제한해석의 우려 -확대해석의 경계와 함께-”
    이용식 대법원 형사실무연구회 년 심포지움 지정토론문 [2014]
  • “배임적 거래행위의 상대방의 형사책임”
    원형식 형사법연구 21권 1 호, 한국형사법학회봄) [2009]
  • “배우자에게 명의신탁한 부동산이 권리행사방해죄에서 말하는 ‘자기의 물건’에 해당하는지 여부”
    이동신 대법원판례해설 59호(2005 하반기), 법원도서관 [2006]
  • “미수의 불법귀속에 관한 연구”
    김일수 고려법학 40호,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03]
  • “물권적 기대권 (I)”
    최종길 -독일민법에 있어서의 새로운 법리론-, 사 법행정 49호(6권 2호), 한국사법행정학회 [1965]
  • “무효인 명의신탁 약정에 기한 급부의 불법원인급여 성립 여 부”
    김상용 법률신문 3149호 [2003]
  • “명의차용주주와 명의개서 미필주주의 비교”
    정영진 인하대학교 법학 연구 16집 3호, 인하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 “명의차용에 의한 주식인수와 주주자격”
    양승규 상법의 논점, 삼지원 [2002]
  • “명의신탁행위가 불법원인급여에 해당하는지 여부와 그 판단기 준”
    양경승 판례연구 1집, 부산판례연구회 [1997]
  • “명의신탁자가 담보로 제공한 명의신탁 자동차를 임의로 취거 한 행위의 형사죄책”
    우인성 대법원 판례해설(2012 상반기), 법원도 서관 [2012]
  • “명의신탁이론의 재검토 -종래 학설・판례상의 몇 가지 문제점 을 중심으로-”
    권오창 민사판례연구 [23], 박영사 [2001]
  • “명의신탁이론의 연구”
    김학동 판례월보 307호, 판례월보사 [1996]
  • “명의신탁의 연혁에 관하여”
    김상수 토지법학 26-2호, 한국토지법학 회 [2010]
  • “명의신탁의 본질”
    김준호 고시계 제42권 제2호 [1997]
  • “명의신탁에 대한 규율 재고 -부동산실명법 시행 5년의 평가 와 반성-”
    양창수 민법연구 제6권, 박영사 [2007]
  • “명의신탁에 관한 연구”
    노재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4]
  • “명의신탁부동산의 임의처분과 형사책임”
    박달현 경영법률 17집 4호, 한국경영법률학회 [2007]
  • “명의신탁부동산의 소유권귀속”
    최창렬 성균관법학 17권 3호, 성균관 대학교 비교법연구소 [2005]
  • 박사
  • “명의신탁론의 재검토 소고”
    고상룡 민법학논총(곽윤직 교수 화갑기념 논문집), 박영사 [1985]
  • “명의신탁등기가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관한법률 시행으로 무효로 된 후에 명의수탁자가 임의로 신탁부동산을 처분한 경 우 매도인이 명의수탁자의 처분행위로 인하여 손해를 입었다 고 볼 수 있는지 여부(소극) -대법원 2002. 3. 15. 선고 2001 다61654 판결-”
    조원철 대법원판례해설 40호(2002 상반기), 법원도 서관 [2002]
  • “명의신탁과 허위표시”
    고상룡 고시계 통원 310호 [1982]
  • “명의신탁과 불법원인급여”
    이인철 법률신문 3474호 [2006]
  • “명의신탁과 부동산실명법의 법리”
    강해룡 법률신문 4091호 [2012]
  • “명의대여자의 책임”
    양승규 고시연구 [1976]
  • “매도인 악의의 계약명의신탁의 경우에 수탁자가 부동산을 임 의로 처분하면 매도인에게 손해가 발생하는지 여부”
    박영호 대법원 판례해설 제97호 하 [2014]
  • “매도담보「개념」을 재론함”
    문흥안 민사재판의 제문제: 송천이시윤 박사화갑기념 (상), 민사실무연구회 [1995]
  • “마약류에 대한 문화적・의학적・법학적 측면”
    차병직 서울지방변호 사회 변호사-법률실무연구- 25집 [1995]
  • “디지털정보 부정사용의 형법적 규제”
    송문호 법학연구 36집, 전북대 학교 법학연구소 [2012]
  • “등기의 공신력”
    권영준 법조 통권 661호 [2011]
  • “독일환경형법의 이론체계 (하) -새로운 환경형법이론의 시도 와 한계-”
    인권과 정의 215호, 대한변호사협회 [1994]
  • “독일에서 법인의 형사책임”
    박강우 한국형사법의 새로운 지평: 심온 김일수교수화갑기념논문집, 박영사 [2006]
  • “대법원 판례에서의 유사 종중”
    배병일 가족법연구 20권 2호, 한국가 족법학회 [2006]
  • “농지취득자격증명을 발급받지 못한 채 농지를 공매절차에서 매수하여 매각대금을 납부한 경우 매수인은 농지의 소유권을 취득하는지 여부”
    김승정 대법원판례해설 93호(2012 하), 법원도서관 [2013]
  • “년도 형법판례 회고”
    오영근 형사판례연구회 2015. 3. 발표자 료 [2014]
  • “내적 조합과 민법 제713조의 유추적용 여부”
    이상원 대법원판례해설 2호, 법원도서관 [1988]
  • “기업형사책임과 책임원칙”, 형사법연구 22권 1호
    조병선 한국형사법 학회봄) [2010]
  • “금융실명제하에서의 출연자와 예금명의자가 서로 다른 경우 예금주의 인정 기준 및 출연자의 예금반환채권의 행사방법”
    문성관 재판실무연구, 광주지방법원 [2002]
  • “근저당권에 관한 연구”
    안병훈 서강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6]
  • “군용물 재산범죄에 있어서 불법영득의 의사”
    신해중 군사법연구 8집, 육군본부 [1990]
  • “국가기밀에 관한 죄의 체계적 고찰”
    김용덕 군사법연구 제2집 [1984]
  • 박사
  • “고의와 목적에 관하여”
    이용식 현대형사법론: 죽헌 박양빈 교수 화갑 기념 논문집, 법문사 [1996]
  • “계약해제의 효과”
    구상진 새법정 3권5호(27호), 한국사법행정학회 [1973]
  • “계약명의신탁의 법률관계에 관한 고찰(하) -부동산실권리자명 의등기에관한법률 제4조 제2항 단서의 해석을 중심으로-”
    권오창 법 조 48권 6호 [1999]
  • “계약명의신탁의 법률관계에 관한 고찰(상) -부동산실권리자명 의등기에관한법률 제4조 제2항 단서의 해석을 중심으로-”
    권오창 법 조 48권 5호 [1999]
  • “계약명의신탁에 있어서 신탁자의 부당이득반환청구(대법원 2002. 12. 26. 선고 2000다21123 판결을 중심으로)”
    고제성 민형사 실무연구, 서울북부지방법원 [2004]
  • “계약명의신탁과 수탁자의 법적 책임”
    박상기 형사재판의 제문제 제7 권, 형사실무연구회(차한성 대법관 퇴임기념 [2014]
  • “계약명의신탁과 3자간 명의신탁의 법률관계”
    김윤영 판례연구 24집, 부산판례연구회 [2013]
  • “不動産實權利者名義登記에관한法律의 立法過程에서의 爭點”
    이동명 판례연구 1집, 제주판례연구회 [1997]
  •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81조 제7호에서 유상운송 제공행 위를 처벌하는 ‘자가용 자동차’의 의미(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제73조 제1항, 제81조 제7호)”
    이주원 대법원판례해설 66호(2006 하 반기), 법원도서관 [2007]
  • “‘사실상의 신임관계’에 기초한 배임죄 처벌의 한계”
    안경옥 형사판례 연구 (9), 박영사 [2001]
  • “‘부동산실권리자명의등기에 관한 법률’에 의거한 부동산명의신 탁제도의 검토와 동 법률의 해석”
    박동진 연세법학연구 6집 1권, 연 세법학연구회 [1999]
  • “<默齋日記>를 통해서 본 16세기 婢夫・奴妻의 삶”
    이혜정 한국사연 구 [2009]
  • “2중매매와 관련된 대법원 판례의 연구 -대법원판례를 중심으 로-”
    이재홍 판례월보 288호, 판례월보사 [1994]
  • “2014년 분야별 중요판례분석 (9) 형법 각칙”
    이용식 법률신문 4309 호 [2015]
  • “2008년 형사법 판례 연구”
    허일태 인권과 정의 391호, 대한변호사 협회 [2009]
  • “16세기 노비의 삶과 의식세계: 「묵재일기」를 중심으로”
    이혜정 경 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16, 17세기 노양처병산법(奴良妻幷産法)과 노비소송”
    김경숙 역사와 현실 통권 68호, 한국역사연구회 [2008]
  • von Bar, Carl Ludwig(translated by Thomas S. Bell and others), A History of Continental Criminal Law, the LawBook Exchange, Ltd.초간
    1999 재간) [1916]
  • van Rhee, C. H., “Trusts, Trust-like Concepts and Ius Commune”, European Review of Private Law(2000. 3.)
  • https://www
    lawtimes.co.kr (법률신문)
  • https://news
    koreanbar.or.kr (대한변협신문)
  • https://library
    scourt.go.kr/main.jsp# (법원도서관 귀중본・고서 전자책 서비스)
  • https://beck-online.beck.de/?vpath=bibdata/komm/MuekoStGB_2_Band5/stgb/cont/ MuekoStGB.stgb.p266.glB.glII.gl1%2Ehtm
  • https://a.next.westlaw.com/Search/Home.html?transitionType=Default&contex tData=(sc.Default) (WestlawNext online)
  • http://www.zjs-online.com
  • http://www.zis-online.com
  • http://www.servat.unibe.ch/dfr/bs041187.html
  • http://www.rwi.uzh.ch/elt-lst-wohlers/strafrechtbt/veruntreuung/de/html/inde x.html#/veruntreuung/de/html/unit_abs1.html (Wolfgang Wohlers, Strafrecht Besonderer Teil, Online)
  • http://www.nigeria-law.org/Criminal%20Code%20Act-Part%20VI%20%20to%2 0the%20end.htm
  • http://www.legislation.gov.uk/ukpga/2006/35/section/4
  • http://www.leginfo.ca.gov/cgi-bin/displaycode?section=pen&group=00001-01 000&file=503-515
  • http://www.legalserviceindia.com/articles/crbt.htm
  • http://www.law.virginia.edu/pdf/faculty/hein/schauer/83nyu_l_rev1109_2008.pdf
  • http://www.law.nyu.edu/ecm_dlv/groups/public/@nyu_law_website__journals__ law_review/documents/web_copytext/ecm_pro_059778.pdf
  • http://www.jasononline.com/law/juris.htm
  • http://www.humboldt-forum-recht.de/druckansicht/druckansicht.php?artikelid=79
  • http://www.humboldt-forum-recht.de/deutsch/publikationen/deckblatt.html&ar tikelid=79
  • http://www.hrr-strafrecht.de/hrr/db/ (HRR-Strafrecht.de, Januar 1999 ~)
  • http://www.gbhwang.pe.kr/St-word/G-ta/%C5%F5%C5%B9.html
  • http://www.ejcl.org
  • http://www.dictionnaire-juridique.com/index.php
  • http://www.cps.gov.uk/legal/s_to_u/sentencing_manual/fraud_by_abuse_of_position/
  • http://www.bailii.org/uk/cases/UKHL/1971/2.html
  • http://theme
    archives.go.kr/next/gazette/listKeywordSearch.do (관보)
  •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14348
  • http://likms.assembly.go.kr/record/mhs-60-010.do
  • http://lexetius.com/StGB/246
  • http://legal-dictionary.thefreedictionary.com/personal+property
  • http://jkd
    scourt.go.kr/JO/main/index.jsp (조선고등법원판결록)
  • http://jiplp.oxfordjournals.org/content/4/4/278.abstract
  • http://heinonline.org/HOL/Page?handle=hein.journals/jled48&div=9&g_sent=1 &collection=journals
  • http://embezzlement.uslegal.com/elements-of-embezzlement/
  • http://embezzlement.uslegal.com/character-of-embezzled-property/
  • http://elaw
    klri.re.kr/kor_service/lawTotalSearch.do (대한민국 영문법령)
  • http://e-lawresources.co.uk/Lawrence-v-MPC.php
  • http://dejure.org/dienste/vernetzung/rechtsprechung?Gericht=BGH&Datum=25 .07.1995&Aktenzeichen=GSSt 1/95
  • http://contents
    history.go.kr/front/deManage.do?process=deOriginalView&tree Id=010101&era=ancient&theme=politic&recordId=de_001_1101_0060 (국사편 찬위원회“우리역사넷”)
  • http://commerciallegal.blogspot.kr/2010/05/criminal-breach-of-trust.html
  • http://codes.lp.findlaw.com/uscode/18/I/31/657
  • http://caselaw.findlaw.com/nm-court-of-appeals/1145197.html
  • http://balkin.blogspot.com/2008/07/revisting-hart-v-fuller-no-vehicles-in.html
  • http://211.57.113
    105/sch/p_museum/full.cgi?v_db=1&v_doc_no=001&v_ list=0&v_kw_str=D2:DI%20AND%20(%C1%B6%BC%B1%20AND%20(A4:%B7 %C1%B8%BB%BC%B1%C3%CA%20OR%20A4:%C1%B6%BC%B1 (국가문화유 산종합정보서비스) [2093]
  • _____________, Das Deutsche Strafrecht, 10. Aufl., Berlin: de Gruyter, 1967
  • ____________, Grundkurs Strafrecht: Die einzelnen Delikte, 3. Aufl., Berlin: de Gruyter, 1991
  • __________, “Der Tatbestand des Diebstahls - Teil 2”, ZJS 6/2009
  • Zwalve, Willem J., A Labyrinth of Creditors: a Short Introduction to the History of Security Interests in Goods, Cambridge University Press(2009. 12.)
  • Zopfs, Jan, “Der Tatbestand des Diebstahls - Teil 1”, ZJS 5/2009
  • Wolfslast, Gabriele, “Anm. zum BGH, Beschl. V. 31. 3. 1993 -3 BJs 512/90-2(141)-AK5/93”, NStZ 1994
  • Wolf, Gerhard, “Befreiung des Strafrechts vom nationalsozialistischen Denken?”, HFR(Humboldt Forum Recht) 1996, Beitrag 9
  • Wessels, Johannes/Hillenkamp, Thomas, Strafrecht Besonderer Teil 2, 35. Aufl., Heidelberg: C.F.M ller, 2012
  • Wessels, Johannes/Beulke, Werner/Satzger, Helmut, Strafrecht Allgemeiner Teil, 44. Aufl., Heidelberg: C.F.M ller, 2014
  • Welzel, Hans, “Studien zum System des Strafrechts”, ZStW 58, 1939
  • Welzel, Hans, Das Deutsche Strafrecht, 6. Aufl., Berlin: de Gruyter, 1958
  • Walter Perron 저 / 안동준 역, “Probleme und Perspektiven des Untreuetatbestandes(배임죄구성요건의 문제점과 전망)”, 법 학논총 30집 1호
    전남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 Vogler, Theo, “M glichkeiten und Wege einer Entkriminalisierung”, ZStW 90, 1978
  • Stumer, Andrew, The Presumption of Innocence: Evidential and Human Rights Perspectives, Oxford and Portland Oregon(2010)
  • Snyder, Orvill C., “Word-Magic and The Embezzlement of Real Property”, 28 Am. Inst. Crim. L. & Criminology (1937)
  • Snell, Edmund Henry, The Principles of Equity, Sweet & Maxwell(2010)
  • Schwinge, Erich, Teleologische Begriffsbildung im Strafrecht, Bonn: Ludwig Rohrscheid, 1930
  • Scherner, Karl Otto, Salmannschaft, Servusgesch ft und venditio iusta, Fr hformen gewillk rter Mittlerschaft im altdeutschen Privatrecht, Wiesbaden: F. Steiner, 1971
  • Schauer, Frederick, “A Critical Guide to Vehicles in the Park”, 83 N.Y.U. L. Rev. 1109 (2008)
  • Sch nke, Adolf/Schr der, Horst, Strafgesetzbuch Kommentar, 29. Aufl., M nchen: C.H.Beck, 2014
  • Sauer, Wilhelm, “Schlie en sich Diebstahl und Sachbesch digung begrifflich aus?”, diss. Halle, 1908
  • Rudolphi, Hans-Joachim, “Der Begriff der Zueignung”, Godtdammer's Archiv f r Strafrecht 1965
  • Roxin, Claus, “Geld als Objekt von Eigentums-und Verm gensdelikte”, H. Mayer-FS, Duncker & Humblot, 1966
  • Roxin, Claus, Strafrecht Allgemeiner Teil Band I, 4. Aufl., M nchen: C.H.Beck, 2006
  • Roby, Henry John, Roman Private Law in the Times of Cicero and of the Antonines (Vol. II), Cambridge University Press(1902)
  • Rittstieg, Helmut, “Zur Entwicklung des Grundeigentums”, Juristen Zeitung, 11. M rz 1983
  • Rentrop, Kathrin, Untreue und Unterschlagung ( 266 und 246 StGB), Juristische Zeitgeschichte 27, Berlin: Berliner Wissenschafts-Verlag, 2007
  • Rengier, Rudolf, Strafrecht Besonderer Teil I Verm gensdelikte, 14. Aufl., M nchen: C.H.Beck, 2012
  • Raiser, Ludwig, Dingliche Anwartschaften, T bingen: J.C.B. Mohr (Paul Siebeck), 1961
  • Puppe, Ingeborg, “Anmerkungen zur Befreiung des Strafrechts vom konomistischen Denken”, ZIS(2010. 3.)
  • Paulus, Rainer, Der strafrechtliche Begriff der Sachzueignung, Neuwied: Luchterhand Verlag, 1968
  • Otto, Harro, Grundkurs Strafrecht: Allgemeine Strafrechtlehre, Berlin: de Gruyter, 2004
  • Ormerod, David, “The Fraud Act 2006 - Criminalising Lying?”, [2007] Crim. L. R. 193
  • Niedermair, Harald, “Straflose Beihilfe durch neutrale Handlungen?”, ZStW 107 (1995)
  • Neubecker, F. K., “Der abstrakte Vertrag in seinen historischen und dogmatischen Grundzugen”, Archiv f r burgerlichen Recht 22, 1903
  • Naucke, Wolfgang, Die Strafjuristische Privilegierung staatsverst rkter Kriminalit t, Juristische Abhandlungen Band 29, Frankfurt am Main: Vittorio Klostermann, 1996
  • Nagel, Bernhard/Eger, Thomas, Wirtschaftsrecht II, Eigentum, Delikt und Vertrag, mit einer Einf hrung in die konomische Analyse des Rechts, 4. Aufl., M nchen: Oldenbourg, 2003
  • Murmann, Uwe, Die Selbstverantwortung des Opfers im Strafrecht, Berlin Heidelberg: Springer, 2005
  • Mousourakis, George, Roman Law and the Origin of the Civil Law Tradition, Springer(2015)
  • Model Penal Code and Commentaries (Official Draft and Revised Comments) Part Two, American Law Institute(1980)
  • Mitsch, Wolfgang, Strafrecht, Besonderer Teil 2: Verm gensdelikte (Kernbereich) / Teilband 1, Berlin: Springer, 2003
  • Mikolajczyk, Sascha, “Das Aneignungselement der Zueignung”, ZJS 1/2008
  • Maurach, Reinhart/Schroeder, von Friedrich-Chr./Maiwald, Manfred, Strafrecht BT Teilband 1: Straftaten gegen Pers nlichkeits- und Verm genswert, 10. Aufl., Heidelberg: C.F.M ller, 2009
  • Maurach, Reinhart/G ssel, Karl Heinz/Zipf, Heinz, Strafrecht Allgemeiner Teil Teilband 2, 7. Aufl., Heidelberg: C.F.M ller, 1989
  • Mathews, Kurt, Treuhandpraxis, ordnungsm ige Durchf hrung rechtsgesch ftlicher Treuhandschaften, Neue Wirtschafts-Briefe Verlag, 1985
  • Martin, Jacqueline and Storey, Tony, Unlocking Criminal Law, Routledge(2013)
  • Maiwald, Manfred, Der Zueignungsbegriff im System der Eigentumsdelikte, Heidelberg: Winter, 1970
  • M nchener Kommentar zum StGB, 2. Aufl., M nchen: C.H.Beck, 2014
  • Loveless, Janet, Complete Criminal Law: Text, Cases, and Materials, Oxford University Press(2014)
  • Lawrence, William J., “Application of the Clean Hands Doctrine in Damage Actions”, 57 Notre Dame L. Rev. 673 (1982)
  • Law Commission(Great Britain), Reforming Bribery, The Stationery Office(2008)
  • Laufh tte, Heinrich Wilhelm/Saan, Ruth Rissing-van/Tiedemann, Klaus, Leipziger Kommentar StGB, 12. Aufl., Berlin: de Gruyter, 2012
  • Lackner, Karl/K hl, Kristian, Strafgesetzbuch mit Erl uterungen, 24. Aufl., M nchen: C.H.Beck, 2001
  • LaFave, Wayne R., CRIMINAL LAW, West(2010)
  • L hnig, Martin, Treuhand, T bingen: Mohr Siebeck, 2006
  • L derssen, Klaus, “Die Wiederkehr der Befreiung des Strafrechts vom zivilistischen Denken - eine Warnung”, FS-Ernst Walter Hanack zum 70. Geburtstag (Part 2), de Gruyter(1999)
  • Krey, Volker/Hellmann, Uwe, Strafrecht, Besonderer Teil Band 2: Verm gensdelikte, 15. Aufl., Stuttgart: W. Kohlhammer, 2008
  • Klein, Franz, Abgabenordung, 12. Aufl., M nchen: C.H.Beck, 2014
  • Keulen, B. F. & Gritter, E.,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in the Netherlands”, vol 14.3 Electronic Journal of Comparative Law(12. 2010.)
  • Kaser, Max/Kn tel, Rolf, R misches Privatrecht, 18. Auf., M nchen: C.H.Beck, 2005
  • Kaiser, Lothar, “Opferverantwortung und T ter (Sonder) Pflichten im Bereich der Verm gensdelikte - Untersuchung ber den Einflu der T ter-Opfer-Interaktion auf die Einschr nkung der Strafbarkeit im Bereich der Verm gensdelikte unter besonderer Ber cksichtigung der Massenkriminalit t”, M nster, 1991
  • KBS 과학카페 제작팀, KBS 과학 다큐멘터리 과학카페 2
    예담 [2008]
  • K per, Wilfried/Zopfs, Jan, Strafrecht Besonderer Teil: Definitionen mit Erl uterungen, Heidelberg: C.F.M ller, 2015
  • Joecks, Wolfgang, Strafgesetzbuch -Studienkommentar-, 2. Aufl., M nchen: C.H.Beck, 2000
  • Jaensch, Michael, Grundz ge des B rgerlichen Rechts: mit 63 F llen und L sungen, Heldelberg: C.F.M ller, 2012
  • Honsell, Heinrich, R misches Recht, Berlin Heidelberg: Springer, 2015
  • Hierl, Susanne/Huber, Steffen, Rechtsformen und Rechtsformwahl: Recht, Steuern, Beratung, 1. Aufl., Wiesbaden: Gabler, 2008
  • Helfendehl, Ronald, “Corporate Criminal Liability: Model Penal Code Section 2.07 and the Development in Western Legal Systems”, 4 Buff. Crim. L. Rev. 283 (2000)
  • Heghmanns, Michael, “Beschl. v. 26. 6. 2012. - 2StR 137/12", ZJS 1/2013
  • Heck, Philipp, Begriffsbildung und Interessenjurisprudenz, T bingen: J.C.B. Mohr (Paul Siebeck), 1932
  • Hassemer, Winfried, “Professionelle Ad quanz”, wistra 1995
  • Goebel, Roger J., “Reconstructing the Roman Law of Real Security”, Tulane Law Review 36 (1961)
  • Glaholt, Duncan W./Rotterdam, Markus, “Breach of Trust - Are You Exposed?”, 49 Construction Law Report (2d), 1998
  • Gehrmann, Daniel, Systematik und Grenzen der Zueignungsdelikte, Bern: Peter Lang, 2002
  • Gaede, Karsten, “Die strafbare Beihilfe und ihre aktuellen Probleme - Die gelungene Pr fung der 27 und 28 StGB”, JA 2007
  • Frank, Reinhard, StGB Kommentar, 18. Aufl., T bingen: J.C.B. Mohr (Paul Siebeck), 1931
  • Fischer, Thomas, Strafgesetzbuch und Nebengesetze, 60. Aufl., M nchen: C.H.Beck, 2013
  • Doerr, Friedrich, ber das Objekt bei den strafbaren Angriffen auf verm gensrechtliche Interessen, Breslau: Schletter, 1897
  • Cook, Robert N., “American Land Law Reform: Legal Co-ownership, Dower, And Curtesy”, Duke Law Journal, Volume 1960
  • Collins, Jennifer., “Fraud by Abuse of Position: Theorising Section 4 of the Fraud Act 2006”, [2011] Crim. L. R. 513
  • Cohen, Morris R., Law and Social Order: Essays in Legal Philosophy, Transaction Books(1982)
  • Brodocz, Andr , Die Macht der Judikative, Wiesbaden: VS Verlag f r Sozialwissenschaften, 2009
  • Braukmann, Michael, Das Pfandrecht unter dem Einflu der vorklassischen und klassischen Tradition der r mischen Rechtswissenschaft, G ttingen: Wallstein, 2008
  • Brandt, Reinhard, “Eigentumstheorien von Grotius bis Kant”, Stuttgart: Frommann-Holzboog, 1974
  • Bodner, Andrew, “The Fraud Act and the Future of Fraud Prosecution”, Presentation on the Fraud Act at Butterworths Serious Crime Conference, London, 2010. 3. 30.
  • Birk, Michael W., Die Unterschlagung nach dem 6. Strafrechtsreformgesetz, T bingen: MVK, 2003
  • Binding, Karl, Lehrbuch des gemeinen Deutschen Strafrechts Besonderer Teil Band 1, Leipzig: Wilhelm Engelmann, 1902
  • Beulke, Werner, Klausurenkurs im Strafrecht II: Ein Fall- und Repetitionsbuch f r Fortgeschrittene, 3. Aufl., Heidelberg: C.F.M ller, 2014
  • Bell, Bernard W., “No Motor Vehicles in the Park": Reviving the Hart-Fuller Debate to Introduce Statutory Construction”, 48 J. Legal Educ. 88 (1998)
  • Beckemper, Katharina, “Strafbare Beihilfe durch allt gliche Gesch ftsvorg nge”, Jura 2001
  • Bean, John Malcolm William, The Decline of English Feudalism 1215-1540, Manchester University Press(1968)
  • Baumgarte, Christian, “Die Strafbarkeit von Rechtsanw lten und anderen Beratern wegen unterlassener Konkursanmeldung”, wistra 1992
  • Bauer, Fritz, Lehrbuch des Sachenrechts, 12. Aufl., M nchen: C.H.Beck, 1983
  • Barak, Aharon, Purposive Interpretation in Law, Princeton University Press(2005)
  • Bamberger, von Heinz-Georg/Roth, Herbert, Beck'scher Online-Kommentar BGB, 2015
  • Aschenbrenner, Mark, Die Sicherungs bereignung im deutschen, englischen und brasilianischen Recht, T bingen: Mohr Siebeck, 2014
  • Arzt, Gunther/Weber, Ulrich/Heinrich, Bernd/Hilgendorf, Eric, Strafrecht, Besonderer Teil, 2. Aufl., Bielefeld: Gieseking, 2009
  • Amelung, Knut, “Die Neutralisierung gesch ftsm iger Beitr ge zu fremden Straftaten im Rahmen des Beihilfetatbestandes”, FS-Gr nwald, Nomos, 1999
  • Allgrove, Ben/Sellars, Simon, “The Fraud Act 2006: is breach of confidence now a crime?”, Journal of Intellectual Property law & Practice (Oxford University,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