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국어 색채형용사의 어휘형태론적 연구

홍석준 2015년
논문상세정보
' 국어 색채형용사의 어휘형태론적 연구' 의 주제별 논문영향력
논문영향력 선정 방법
논문영향력 요약
주제
  • 색채형용사
  • 색채형용사의 구조와 의미
  • 어근 파생 접미사
  • 어근 파생 접미사의 어근과의 관련성
  • 유추
  • 파생어근 음절수와 단어 형태의 일치 경향
동일주제 총논문수 논문피인용 총횟수 주제별 논문영향력의 평균
156 0

0.0%

' 국어 색채형용사의 어휘형태론적 연구' 의 참고문헌

  • 후기 중세국어 색채어의 어휘적 특징과 의미, ≪국어학≫ 47
    이선영 국어학 회, 235-263 [2006]
  • 형태론
    전상범 한신문화사 [1995]
  • 형용사 파생에 관여하는 어근 접미사 연구, ≪한국언어문학≫39
    임성규 한 국언어문학회, 1-19 [1997]
  • 형용사 파생 접미사들의 기능과 의미, ≪진단학보≫ 58
    김창섭 진단학회, 145-161 [1984]
  • 현대국어의 상징어에 대한 연구
    최호철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5]
  • 현대국어의 반복복합어의 구조, ≪국어학 연구≫(백영 정병욱선생 환갑기념 논총1)
    이익섭 신구문화사, 60-72 [1983]
  • 현대국어의 반복복합어 연구
    이건식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
  • 현대국어 흉내말의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어 흉내 말의 이해≫(역락
    박동근 2008)로 출판됨.] [1997]
  • 현대국어 파생접미사 연구 - 생산력이 높은 접미사를 중심으로 -, ≪국어연구≫ 85
    조남호 서울대학교 국어연구회 [1988]
  • 현대국어 파생접미사 ‘-적/쩍-의 통시론, ≪국어학논총≫(이병근선 생퇴임기념)
    황문환 태학사, 605-622 [2006]
  • 현대국어 의성 의태어의 형태와 음운, ≪새국어생활≫ 3-2
    박창원 국립국 어연구원, 16-53 [1993]
  • 현대국어 상징어의 음운․형태론적 연구
    이문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 현대국어 매개모음의 연구사, ≪周時經學報≫ 11, 塔出版社, 73-106
    배주채 [배주채(2008)에 재수록됨.] [1993]
  • 현대국어 감각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송정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현대 국어의 상징어 연구 - 의태어를 중심으로 -
    이용구 경희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2]
  • 현대 국어의 복합 동사 연구, ≪국어연구≫ 47
    김창섭 서울대 국어연구회 [1981]
  • 현대 국어 색상어의 형태⋅의미론적 연구
    손용주 동아문화사 [1999]
  • 합성법의 변화, ≪국어사연구≫(전광현 송민 선생 화갑기념논총)
    김창섭 태학사, 815-840 [1997]
  • 한글학회 편, ≪우리말 큰사전≫
    어문각 [1992]
  • 한국어의 의성어와 의태어
    채 완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 한국어에 나타나는 언어적 상상력 - 중세 한국어를 중심으로 -, ≪ 국어국문학≫ 146
    구본관 국어국문학회, 55-91 [2007]
  • 한국어 흉내말의 이해
    박동근 역락 [2008]
  • 한국어 형태음운론적 연구
    송철의 태학사 [2008]
  • 한국어 형태론 연구
    김창섭 태학사 [2008]
  • 한국어 형용사사전
    박준하 계명출판사 [1991]
  • 박사
    한국어 청색계 색채어의 역사적 연구
    문혜란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박사
    한국어 의태어 어원연구
    김중섭 경희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5]
  • 한국어 색채형용사에 나타난 파생어근 분석에 관한 연구,≪인문논총≫ 71-3
    홍석준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59-197 [2014]
  • 한국어 색채어의 범시적 연 구
    구본관 김남경 이선영 이은섭 이현희 장경현 정인호 학술진흥재단 기초학문육성사업 최종 보고서 [2008]
  • 한국어 색채 표현에 대한 인지언어학적 고찰, ≪형태론≫ 10-2
    구본관 박 이정, 261-285 [2008]
  • 박사
    한국어 상징어의 형태․의미 구조 연구
    박동근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 한국어 문법론의 개념어 연구
    이선웅 월인 [2012]
  • 편, ≪형태≫
    김창섭 이병근 태학사 [1993]
  • 편, ≪토박이말 쓰임 사전≫
    이근술 최기호 동광출판사 [2001]
  • 편, ≪추상과 의미의 실재≫
    이승명 박이정 [1998]
  • 편, ≪유의어․반의어 사전≫
    김광해 한샘출판주식회사 [1993]
  • 편, ≪우리말 역순사전≫
    유재원 정음사 [1985]
  • 편, ≪언어학사전≫; 제3판(개정증보판)
  • 편, ≪뉘앙스 풀이를 겸한 우리말사전≫
    임홍빈 아카데미하우스 [1993]
  • 편, ≪금성판 국어대사전≫
  • 파생접미사의 범위, ≪형태론≫ 1-1
    구본관 박이정, 1-23 [1999]
  • 파생어 형성에 있어서의 의미변화, ≪국어교육≫ 39․40
    이경우 한국어 교육 학회, 215-256 [1981]
  • 파생과 합성, 다시 생각하기 - 복합어 구성요소의 교차 분류를 위한 시론 -, ≪국어학≫ 66
    최윤지 국어학회, 265-306 [2013]
  • 파생 접사의 뜻풀이, ≪새국어생활≫ 2-1
    김창섭 국립국어연구원, 72-88 [1992]
  • 중한 감각형용사의 형태 및 의미구조 연구
    곽일성 중국 상해: 복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2]
  • 중세국어의 형태론과 관련된 몇 문제, ≪21세기, 형태론 어디로 가는가≫
    이현희 박이정, 223-237 [2006]
  • 중세국어의 의성의태어, ≪새국어생활≫ 3-2
    남풍현 국립국어연구원, 93-115 [1993]
  • 중세국어의 용언어간말 ‘--’의 성격에 대하여, ≪국어학신연구≫ Ⅰ
    이현희 탑출판사, 233-246 [1986]
  • 중세국어 ‘둗겁-’의 형태론, ≪진단학보≫ 63, 진단학회, 133-150
    이현희 [이병근․채 완․김창섭 편(1993)에 재수록됨.] [1987]
  • 조선어연구회 편, ≪조선말의성의태어사전≫
    일본 동경: 학우서방 [1971]
  • 접두사의 사전적 처리, ≪새국어생활≫ 8-1
    김창섭 국립국어연구원, 5-22 [1998]
  • 전남방언 색채어의 형성과정, ≪한국문화≫ 24
    정인호 서울대학교 한국문화 연구소, 61-80 [1999]
  • 전남 무안 지역의 색채 형용사 - 복합어를 중심으로 -, ≪한글≫ 279
    오청진 한글학회, 119-152 [2008]
  • 박사
    의성의태 부사의 용언화 연구
    박주원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 의성어와 의태어 연구
    안인숙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 유추변화는 문법변화인가, ≪周時經學報≫ 7, 塔出版社, 137-139
    배주채 [배주채(2008)에 재수록됨.] [1991]
  • 유음 탈락의 음운론과 형태론, ≪한글≫ 173․174
    이병근 한글학회, 223-246 [1981]
  • 운평어문연구소 편, ≪금성판 국어대사전≫
    금성출판사 [1996]
  • 우리말의 비슷한 꼴 되풀이 낱말 연구
    한길 역락 [2010]
  • 우리말 파생형태론
    하치근 경진 [2010]
  • 우리말 색채어의 낱말밭, ≪국어교육연구≫ 63
    정재윤 한국국어교육연구회, 105-131 [1988]
  • 우리말 감각어 연구
    정재윤 한신문화사 [1989]
  • 용언의 어근분리 현상에 대하여, ≪언어≫ 4-2, 한국언어학회, 55-76
    임홍빈 [임홍빈(1998)에 재수록됨.] [1979]
  • 영어와 한국어의 색채어와 신체어에 나타나는 개념적 은유, ≪담화 와 인지≫ 8-1
    박경선 담화․인지언어학회, 69-83 [2001]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연구원 편, 『연세 한국어사전』
    두산 동아 [1998]
  • 연변언어연구소 편, ≪조선말 의성의태어분류사전≫
    중국 연변: 연변인민출 판사 [1981]
  • 역주, ≪음식디미방 주해≫
    백두현 글누림 [2006]
  • 역, ≪역사언어학≫
    최전승 한신문화사 [1992]
  • 언어변화와 언어의 화석,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352-370
    송철의 [송철의(2008)에 재수록됨.] [1993]
  • 어휘 자료 처리를 위한 파생접사 연구
    송철의 국립국어연구원 [2001]
  • 어근류 한자어의 문법적 특성, ≪어문연구≫ 118
    노명희 한국어문교육연구 회, 73-96 [2003]
  • 어근 형성 접미사의 설정 연구, ≪우리말 연구의 샘터≫(연산 도수 희선생 회갑기념논총)
    임성규 문경출판사, 446-460 [1994]
  • 어근 개념의 재검토, ≪어문연구≫ 37-1
    노명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59-84 [2009]
  • 어감 표현과 전설모음화의 한 유형, ≪우리말글≫ 57
    정인호 대구대학교 국 어국문학과, 55-77 [2013]
  • 시각형용사의 어휘론, ≪관악어문연구≫10
    김창섭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49-176 [1985]
  • 색채어의 상징의미 연구, 이승명 편, ≪추상과 의미의 실재≫
    서정섭 박이 정, 187-207 [1998]
  • 색채어 연구, ≪제효 이용주박사 회갑기념논문집≫
    이필영 한샘, 619-638 [1989]
  • 색채명사의 발달, ≪형태론≫ 4-2
    이병기 박이정, 279-299 [2002]
  • 색채 형용사의 의미 확장 양상, ≪언어과학연구≫ 24
    송현주 언어과학회, 131-148 [2003]
  •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편, ≪조선말대사전≫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992]
  • 복합 색채어의 의미 -사전의 뜻풀이를 중심으로-
    구본관 ≪국어학≫55, 173-211 [2009]
  • 민족어 문법에서 “語基”란 과연 필요한 개념일까 - 지상 토론을 제 안하면서 -, ≪형태론≫ 16-1
    고영근 박이정, 89-106 [2014]
  • 미각형용사의 형태론, ≪형태론≫ 7-2
    송정근 박이정, 303-324 [2005]
  • 리동빈, ≪조선어 단어 분화 연구≫
    역락 [2003]
  • 도상성을 적용한 한국어 색채 어휘 변별 방안 - ‘검다’와 ‘희다’ 를 중심으로 -, ≪언어와 문화≫ 11-1
    임지룡 함계임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39-162 [2015]
  • 단어형성과 음절수, ≪국어국문학≫ 138
    최형용 국어국문학회, 183-205 [2004]
  • 단어 형성과 직접 성분 분석, ≪국어학≫ 36
    최형용 국어학회, 161-190 [2000]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편, ≪漢韓大辭典≫ 제15권(총 16권)
    단국대학교출판부 [2000]
  • 기술보다는 설명을 중시하는 형태론의 기능 정립을 위하여, ≪한국 학보≫ 26, 일지사, 168-192
    임홍빈 [임홍빈(1998)에 재수록됨.] [1982]
  • 근대국어 파생형용사의 형태론적 연구, ≪국어연구≫ 132
    석주연 서울대학 교 국어연구회 [1995]
  • 근대국어 색채어의 몇 가지 특징, ≪어문연구≫ 36-4
    이선영 한국어문교육 연구회, 131-151 [2008]
  • 국어형태론연구
    고영근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 국어학개설
    이익섭 학연사 [2000]
  • 국어조어론연구 - 특히 명사 부사의 어간 형성을 중심으로 -
    성기철 서울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65]
  • 국어의 파생어형성 연구
    송철의 태학사 [1992]
  • 국어의 단어형성과 단어구조 연구
    김창섭 태학사 [1996]
  • 국어의 기본 색채어와 그 의미
    이선영 ≪국어국문학≫ 162, 143-170 [2012]
  • 국어음운론개설
    배주채 신구문화사 [1996]
  • 국어어휘론
    심재기 집문당 [1982]
  • 국어사전과 파생어, ≪어학연구≫ 22-3
    이병근 서울대학교 어학연구소, 389-408 [1986]
  • 국어 형용사의 의미 구조, 한국어의미학 8
    김정남 한국어 의미학회, 171-199 [2001]
  • 국어 형용사의 유형에 대한 연구, 국어학 36
    유현경 국어학회, 221-258 [2000]
  • 박사
    국어 형용사의 연구
    김정남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8]
  • 국어 형용사의 어휘사 - 파생형용사의 어휘사를 중심으로 -, ≪한 국어 의미학≫ 9
    석주연 한국어 의미학회, 49-64 [2001]
  • 국어 형용사의 상태성에 대한 고찰, 어문논집 45
    도원영 민족어문학회, 85-108 [2002]
  • 국어 형용사 연구
    유현경 한국문화사 [1998]
  • 국어 파생접사와 파생어의 사전적 기술, ≪애산학보≫ 16
    김창섭 애산학회, 165-201 [1995]
  • 국어 파생어 형성 과정의 음운․의미 변이 연구
    김창식 경북대 박사학위논문 [1996]
  • 국어 파생 의태어근의 형태통사적 특성 연구
    김강출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 국어 청각형용사의 의미 연구, ≪어문학≫ 67
    정인수 한국어문학회, 107-124 [1999]
  • 국어 조어론의 몇 문제, ≪동양학≫ 5,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이익섭 [이병 근․채 완․김창섭 편(1993)에 재수록됨.] [1975]
  • 국어 어휘부와 단어 형성
    송원용 태학사 [2005]
  • 국어 어휘론 신강
    심재기 태학사 [2000]
  • 국어 어간복합어 연구
    이선영 태학사 [2006]
  • 국어 색채어의 의미와 시각의 보편성
    이정애 ≪한국어 의미학≫ 27, 151-178 [2008]
  • 국어 색채어 연구, ≪한말연구≫ 6
    손세모돌 한말연구학회, 133-165 [2000]
  • 국어 색상어의 연구 - 의미 기술을 위한 이론적 선단 작업 -, ≪홍 익어문≫ 10․11(남사이근수박사환력기념논총)
    이승명 홍익어문연구회, 305-321 [1992]
  • 국어 색상어 접두사 ‘새-, 샛-, 시-, 싯-’에 대하여, 이승명 편, ≪ 추상과 의미의 실재≫
    손용주 박이정, 209-225 [1998]
  • 국어 색상 표시어군의 구조에 대한 연구, ≪어문학≫ 54
    이승명 한국어문학 회, 287-326 [1993]
  • 국어 색상 표시어군, ≪어문논총≫ 26
    이승명 경북어문학회, 133-149 [1992]
  • 국어 사전에서의 파생어 처리에 관한 연구
    김창섭 송철의 이남순 국립국어연 구원 [1992]
  • 국어 복합명사의 IC분석, ≪국어국문학≫ 30
    이익섭 국어국문학회, 121-129 [1965]
  • 국립국어연구원 편『표준국어대사전』
    두산 동아 [1999]
  • 고유어 복합어근 범주 설정에 대하여, ≪어문연구≫ 37-3
    송정근 한국어 문교육연구회, 145-167 [2009]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국어사전편찬실, 『고려대한국어대사전』
    고 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09]
  • 감각표현의 형태론적 절차와 그 의미기능,≪정신문화연구≫ 32-3
    송정근 한국학중앙연구원, 109-132 [2009]
  • 감각 용언 파생의 방언 분화, ≪진단학보≫ 86
    곽충구 진단학회, 1-26 [1998]
  • 靑山秀夫 編(1991), ≪朝鮮語象徵語辭典≫, 大學書林.
  • 現代 國語의 形態素 分析과 音韻 現象 - 活用, 曲用에서의 ‘으∼ ’를 中心으로 -
    강창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2]
  • 國語의 固有語系 色彩語에 관한 硏究
    김영철 군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4]
  • ≪한국어 어원 연구 Ⅲ - 형용사 어휘의 어원 -≫
    이남덕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85]
  • ≪조선어리론문법 단어조성론≫, 평양: 고등교육도서출판사, 북한어 학자료총서 314
    김동찬 탑출판사 [1987]
  • ≪전남 방언사전≫
    이기갑 태학사 [1998]
  • ≪우리말갈래사전≫
    박용수 서울대학교출판부 [2005]
  • ≪성능중심 어휘론≫, 국학자료원
    김재영 [제5장 ‘의의영역’의 예증 - 한국 어 색채어의 ‘의의영역’ -, 195~226.] [1996]
  • ≪국어 파생 접사의 생산성과 저지에 대한 계량적 연구≫, 국어학총 서 65
    이광호 태학사 [2009]
  • ≪국어 문법의 심층 1, 2, 3≫
    임홍빈 태학사 [1998]
  • 박사
  • “유추에 의한 복합명사 형성 연구”
    채현식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다’ 語詞의 性格에 대하여 - 누러다類와 엇더다類를 중심으 로 -
    이현희 ≪한신논문집≫ 2, 221-248 [1985]
  • ‘하다’ 형용사에서의 표현적 장음, ≪국어학의 새로운 인식과전개≫(김완진 선생 회갑기념 논총)
    김창섭 민음사, 744-764 [1991]
  • ‘푸르다’와 ‘파랗다’, ≪한국문화≫ 22
    구본관 서울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5-50 [1998]
  • ‘직하다’ 구문의 문법, ≪국어학논총≫(이병근선생퇴임기념)
    임동훈 태학사, 533-552 [2006]
  •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의 형태론 - 어휘 부류 형태론을 제안 하며 -, ≪형태론≫ 16-1
    최형용 박이정, 1~23 [2014]
  • ‘aa - 하다’ 형용사의 형태 의미론적 특징, ≪형태론≫ 5-2
    김정남 박이정, 225-254 [2003]
  • ‘-하다’류 낱말의 생성 기반에 대하여, 심재기 편, ≪국어 어휘의 기 반과 역사≫
    심재기 태학사, 451-460 [1998]
  • ‘-앟/엏-’형 색채형용사의 지리적 분화 양상, ≪우리말글≫ 43
    정인호 대 구대학교 국어국문학과, 25-49 [2008]
  • ‘-스럽다, -롭다’ 접미사에 대하여, ≪국어학≫ 13
    민현식 국어학회, 95-118 [1984]
  • Morphology, Amsterdam: John Benjamins Publishing Company. [이성하․구현정 역(2000), ≪형태론≫
    Bybee, J. L. 한국문화사.] [1985]
  • Lyons, John, Semantics 1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강범 모 역(2011), 의미론 1 - 의미 연구의 기초 -, 한국문화사.] [1977]
  • Lipka, Leonhard(1992), An outline of English lexicology: lexical structure, word semantics, and word-formation, T bingen: Niemeyer.
  • Lexical semantics
    Cruse, D. A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임지룡․윤희수 역(1989), ≪어휘의미론≫, 경북대학교 출판부.] [1986]
  • Katamba, Francis, Morphology, Houndmills: Macmillan. [김경란․김진형 역 (2004), ≪형태론≫
    한신문화사.] [1993]
  • Hock, H.H.(1991), Principles of Historical Linguistics (second edition), Mouton de Gruyter.
  • Eugene, Componential Analysis of Meaning: An Introduction to Semantics Structures, The Hague: Mouton. [조항범 역(1990), ≪의미분 석론 - 성분분석의 이론과 실제 -≫
    Nida, A. 탑출판사.] [1975]
  • Bybee, J. L.(1985), Phonology and language us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Berlin, B. and P. Kay(1969), Basic Color Terms - Their Universality and Evolution -, Berkeley and Los Angel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 Bauer, L.(1983), English Word-forma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Aitchison, Jean, Words in the mind: an introduction to the mental lexicon, New York: Blackwell. [홍우평 역(2004), ≪언어와 마음≫
    역 락.] [1990]
  • 15세기 색채어형용사의 분화형과 그 통시적 특성, ≪국어국문학 논 총≫(기곡 강신항 박사 정년퇴임 기념)
    김주필 태학사, 7-27 [1995]
  • 15세기 국어 파생법에 대한 연구
    구본관 태학사 [1998]